KR102163849B1 -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849B1
KR102163849B1 KR1020200090596A KR20200090596A KR102163849B1 KR 102163849 B1 KR102163849 B1 KR 102163849B1 KR 1020200090596 A KR1020200090596 A KR 1020200090596A KR 20200090596 A KR20200090596 A KR 20200090596A KR 102163849 B1 KR102163849 B1 KR 102163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lid
eye
eyeball
fix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710A (ko
Inventor
박지현
Original Assignee
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현 filed Critical 박지현
Priority to KR102020009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8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65Details; Accessories allowing a choice of facial features, e.g. to change the facial ex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8Dolls' eyes
    • A63H3/40Dolls' eyes 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4Dolls' hair or wigs; Eyelashes; Eyebrows
    • A63H3/445Eyelashes; Eyebr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형의 헤드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눈꺼풀에 관한 것이며, 조작에 필요한 부품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한 헤드 전면부와, 그에 결합할 수 있는 형태의 눈꺼풀 부품, 안구 고정 부품, 그리고 용수철과 안구를 사용하여 조작하며, 간소화한 부품으로, 드라이버나 기타 부품, 그리고 접착 물질이 불필요하여, 종래의 방법보다 간편하게 조작이나 조립이 가능하고, 부품의 간소화로 헤드의 무게가 가벼워, 인형의 자립(사용자가 세워놓은 채로 유지 하는 것)도 가능하며, 얼굴의 일부분인 쌍꺼풀 부위를 컨트롤러로 설계해, 심미적인 부분을 해치지 않으면서 눈꺼풀을 상하로 조작할 수 있게 하였으며, 용수철의 탄성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종래보다 편리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인형의 눈꺼풀을 조작할 수 있게하여, 보다 다양한 표정을 연출 할 수 있는 특징을 둔다.

Description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Head and eyelids device of doll without external controller}
본 고안은 인형의 헤드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간단한 구조와 적은 부품의 수로 눈꺼풀을 움직여 심미적인 부분을 해치지 않으며, 하나의 헤드로 기존보다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는 헤드 및 눈꺼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형은 인류 역사에서 오래 전부터 만들어져 왔으며, 그 시작은 기원전 2000년에서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에서 만든 주걱모양의 인형(paddle doll)이다.
기원전 500년 무렵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은 팔과 다리를 핀으로 연결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든 나무 인형, 혹은 점토 인형을 가지고 있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르네상스 시대에 와서는 인형 제작이 성행 했으며, 당시 15세기 초반 무렵부터 인형을 생산했던 독일의 뉘른베르크(Nurunberg)는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인형제작의 중심지로 알려졌으며,‘도헨마허(Dochenmacher)’라는 많은 인형제작자들이 있었다. 파리 역시 이 시기에는 훌륭한 인형이 많이 제작되던 곳이었고, 또 유행을 선도하는 인형들을 생산했다.
이 후 대표적인 예로는 1959년에 마텔(Mattel)사에서 출시된 바비 인형(Barbie Doll)을 들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인형은 다양한 형태로 인류의 역사와 오랜 기간 함께 하였다.
본 발명이 거의 모든 인형의 헤드에 적용이 가능하나, 주로 사용될 구체관절 인형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구체관절 인형이란 인형의 각 관절을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관절 사이에 구체를 넣고 고리와 장력줄(텐션)로 연결하여 관절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인형의 포괄적 명칭이다.
독일의 초현실주의 조형미술가인 벨머(Hans Bellmer)가 구체로 관절 인형을 만들어 인체를 표현한 것이 구체관절 인형의 시초이며, 이를 1980년대부터 일본의 전통인형 작가들이 응용하면서 현재의 구체관절 인형으로 발전하였다.
구체관절 인형은 줄여서 구관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얼굴표정, 인체비례, 세부묘사등 인체와 흡사한 것이 특징이며, 팔과 다리가 자유롭게 움직이므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인형과 비교해 높은 연령대의 소비자들을 위해 제작 되며, 재질은 주로 우레탄 레진을 사용한다.
값은 수십만원으로, 사람 형태의 일반 아동완구 인형에 비해 가격대가 높다.
구매자의 취향에 알맞게 화장(메이크업)을 해주거나 구체관절 인형 전용 안구, 가발, 그 외의 다양한 종류의 물품 (악세서리나 의상 등)으로 인형을 꾸밀 수 있으며, 꾸며놓은 모양을 두고 출사(야외에서 사진을 찍는 행동)를 나가거나 온.오프라인의 모임을 갖는 등, 구체관절 인형으로 할 수 있는 취미 생활의 범위가 넓어졌다. 이와 같이 단순히 두고,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인형을 가지고 노는 것)를 하는 사용자가 많은데, 구체관절 인형은 그 특성에 맞게 다양한 포즈를 잡아줄 수 있는데 반해, 헤드부(얼굴)의 다양한 연출은 아쉬웠다.
종래의 구체관절 인형의 경우, 눈을 감은 모습을(구체관절 인형 용어로 잠눈)을 가진 인형을 얻으려면 가발을 벗기고 헤드부 뚜껑을 열어 텐션과 고리를 분해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여 새로운 헤드(감긴 눈을 가진)로 전면 교체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교체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양쪽 눈을 모두 감고 있는 형태일 수 밖에 없었으며, 눈꺼풀 부품이 부착되어 인형이 감은 눈을 할 수 있게 한 안구가 존재 했으나, 양쪽 눈꺼풀이 함께 움직여야해서 잠자는 눈만 연출이 가능 했고, 역시나 가발을 벗기고 헤드를 열어야하는 번거로움도 해소되지 못했다. 그 밖에 인형 눈꺼풀의 움직임에 대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눕혀놓은 상태에서만 눈을 감거나, 전기를 이용, 또는 복잡한 구조의 장치를 이용하여, 무겁고, 고장이 쉬우며, 추가로 드라이버나 기타 장비를 추가 사용하여 사용자가 다루기가 어려웠고, 그 외에, 컨트롤러가 헤드부 밖으로 나와 있어서 미적인 부분이 침해되는 것은 감수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헤드 전면부와 눈꺼풀 부품, 안구 고정 부품, 그리고 용수철과 안구(돔을 쌓아올린 안구의 기본형태를 갖춘 안구로써, 용수철과 안구는 시중에 알맞는 것을 선택할 수 있음)로 조작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헤드 전면부와 각 부품은 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한다. 헤드부 뚜껑을 열어 분리하고 바라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각 부분에 있는 홈과 돌기를 이용하여 눈꺼풀 부품은 안구홈에 맞춰서 끼워주고, 용수철은 인형의 안구 뒤에 끼워주어 눈꺼풀 부품 뒤에 두고, 안구고정 부품은 안구 뒤에 있는 스프링의 반대 방향에 끼워 조립하여 사용하며, 눈꺼풀을 아래로 이동하여 인형의 감은 눈을 연출할 경우, 용수철을 결합하여 탄력이 생긴 안구를 위로 밀어 준 다음 눈꺼풀 부품을 내려주는데, 이 때 눈꺼풀 부품은 쌍꺼풀 부위인 동시에 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그 자체가 컨트롤러 역할을 하여 인형의 심미적인 부분을 침해하지 않으며, 앞서 위로 밀어준 안구는 눈꺼풀 부품 뒤, 안구 이탈 방지턱으로 인해 엉뚱한 위치로 이탈하지 않는다. 감긴 눈꺼풀을 뜬 눈으로 올리고자 할 경우, 컨트롤러 역할의 쌍꺼풀 부위를 밀어 올려준 후, 용수철의 탄력을 이용하여 안구를 튕겨 끌어오듯 제자리로 돌려놓으면 되는데, 이는 안구고정 장치의 돌기와 형태가 용수철의 위치를 잡아주며, 용수철의 탄성(압축되었다 제자리로 돌아가는 성질)이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간편하게 눈꺼풀을 움직이며 여러 편리한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에 있다. 가발을 벗기고 헤드부 뚜껑을 여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 헤드부 정면에서 눈꺼풀을 움직여서 표정을 연출 할 수 있으며, 눈꺼풀의 쌍꺼풀 부위가 컨트롤러의 역할을 함으로써 헤드부 외부에 따로 돌출된 장치가 필요 없게 하여 미적인 부분을 침해하지 않으며, 양쪽 눈꺼풀을 따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양쪽 눈을 감는 표정(잠눈)외에 한 쪽 눈만 감는 표정(윙크)도 연출할 수 있게 하였다. 눈꺼풀을 움직이기 위한 헤드 내부의 구조를 비교적 간단하게 하여, 기타 나사나 드라이버, 접착물질이 없는 간편하고 쉬운 사용법과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헤드부의 무게가 기능에 비해 가벼워, 인형의 자립(사용자가 세워놓은 채로 유지 하는 것)이 가능하고, 위와 같은 기능을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용이하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체적인 부품과 구조, 그리고 부품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체가 되며, 컨트롤러(쌍꺼풀) 조작이 가능한 헤드 전면부의 앞 부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부품을 조립하여 움직이도록 고안한 기본 틀이 되는 헤드 전면부의 뒷 부분 정면에 해당되는 도안으로, 안구 고정턱과 눈꺼풀 상측 이동 제한 걸림턱, 그리고 안구 고정 부품의 지지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품을 조립하여 움직이도록 고안한 기본 틀이 되는 헤드 전면부의 뒷 부분 측면에 해당되는 도안으로, 눈꺼풀 부품과 안구 고정 부품이 겹쳐져 돌아가는 회전축 고정 홈을 추가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안구 고정 부품의 전면부 외관을 나타낸다.
도 6은 안구 고정 부품의 후면부 외관을 나타낸다.
도 7은 눈꺼풀 부품의 상부 외관을 나타낸다.
도 8은 눈꺼풀 부품의 하부 외관을 나타낸다.
도 9는 눈꺼풀 부품의 내측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모양의 안구에 대한 전면, 후면을 나타내며, 본 도안의 안구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안구 베이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실제 인형에 활용시에는 이 베이스 홈 부분에 돔을 쌓아 정상적인 안구의 모양을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을 조립했을 때, 헤드 전면부의 뒷 부분 정면에 해당되는 도안으로, 정면 각 부품들의 위치와 조립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을 조립했을 때, 헤드 전면부의 뒷 부분 측면에 해당되는 도안으로, 측면 각 부품들의 위치와 조립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을 조립했을 때 헤드 전면부의 앞 부분에 해당되는 도안으로, 구체관절 인형 사용자가 주로 바라보는 방향과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부품을 조립했을 때 본 발명이 개선하고자 하는 목표의 하나인 양쪽 눈꺼풀을 따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양쪽 눈을 감는 표정(잠눈)외에 한 쪽 눈만 감는 표정(윙크)도 연출할 수 있는 작동례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인형의 외부 컨트롤러 없는 헤드 및 눈꺼풀 장치의 특징과 구성,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모든 조작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안구(12)는 홈부분에 돔을 쌓아 안구의 정상적인 모양을 갖춘 상태로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은 도 11, 도 12를 참조하여, 부품 자체를 회전축의 역할, 그리고 고정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형태로 서로 맞물리고 조립되게 설계하여 나사나 드라이버, 접착물질이 필요하지 않는 간편한 조작 수위를 바탕으로, 도 1을 참조, 눈꺼풀을 컨트롤 할 수 있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고 관리하는 것을 쉽게함과 동시에, 인형의 헤드부 무게를 비교적 가볍게 하여, 인형의 자립(사용자가 세워놓은 채로 유지 하는 것) 또한 가능하게 하며, 도 7,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인형의 쌍꺼풀 부위가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체가 컨트롤러(쌍꺼풀)(23) 역할을 하여 손을 이용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 하며, 도 13, 도 14를 참조하여, 외관상 미적인 부분도 침해하지 않는다. 조작에 관하여는 좌우 부품이 따로 존재함에 따라 좌우 눈꺼풀이 각각 움직일 수 있어서 원하는 눈꺼풀만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다양한 표정 연출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눈꺼풀 장치의 가동을 위해서는, 인형의 얼굴을 이루며, 기본 가동 틀이 되는 헤드 전면부(10), 눈꺼풀 부품(20), 안구(12), 용수철(14), 그리고 안구 고정 부품(25)을 필요로 한다.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면 헤드 전면부(10)는 눈꺼풀 장치를 가동을 위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안구 홀(15), 눈꺼풀 상측 이동 제한 걸림턱(16), 안구 받침 및 내측 이동 제한 걸림턱(17), 안구 고정 부품 고정대(18), 회전축 고정 홈(19)이 있고, 도 7,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눈꺼풀 부품(20)은 안구 이탈 방지턱(21)과 눈꺼풀 회전 돌기(22a), 눈꺼풀 회전 홈(22b), 컨트롤러(쌍꺼풀)(23)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0을 참조하면, 안구(12)는 후면에 안구 돌기(13)로 이루어져 있고,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안구 고정 부품(25)은 용수철 고정 돌기(26), 안구 고정 부품 회전 돌기(27), 그리고 안구 고정 부품 지지대(28)와 안구 고정 부품 결함 홈(29)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은 도 1을 참조 하여 다음과 같이 각 부품들을 조립하고 배치하는 방법으로 조작하는데 배치의 순서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1, 도 12를 참조하여 먼저 헤드 전면부(10)에 있는 안구 홀(15)과 눈꺼풀 상측 이동 제한 걸림턱(16), 회전축 고정 홈(19)에 눈꺼풀 부품(20)을 배치 하는데, 이 때 안구 홀(15)에 컨트롤러(쌍꺼풀)(23)를, 회전축 고정홈(19)에 눈꺼풀 회전 돌기(22a)를 맞춰 준다. 다음으로 도 7, 도 8, 도 9를 참조하여, 눈꺼풀 부품(20)의 후면은 안구(12)의 모양에 맞춰 설계 됨에 따라 안구(12)는 눈꺼풀 부품(20)의 후면과 안구 받침 및 내측 이동 제한 걸림턱(17)에 맞춰준 후, 안구 돌기(13)에 용수철(14)을 끼우고, 용수철(14)의 반대 방향에는 안구 고정 부품(25)의 용수철 고정 돌기(26)를 끼워 눈꺼풀 부품(20) 뒤에 배치해주는데, 안구 돌기(13)와 용수철 고정 돌기(26)는 용수철(14)의 크기에 알맞게 설계가 되어 있어 따로 접착물질의 사용이 필요없다. 안구 고정 부품 회전 돌기(27)는, 앞서 회전 축 고정 홈(19)에 맞춰져 있던 눈꺼풀 회전 홈(22b)에 맞춰주고, 안구 고정 부품 결합 홈(29)은 안구 고정 부품 고정대(18)에 맞춰 배치해주며, 마지막으로 헤드 후면부(11)를 닫아 인형에 맞는 가발을 씌운 채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조작은 사용자가 인형의 얼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한다. 눈꺼풀 부품(2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뜬 눈을 하고 있는 것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감긴 눈을 연출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눈꺼풀 부품(2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액상 실리콘을 묻힌 면봉이나 손을 이용하여 용수철(14)의 탄성(압축되었다가 제자리로 돌아가는 특성)을 바탕으로 안구(12)를 눌러서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안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한 안구 이탈 방지턱(21)에 닿게 올려준 후, 눈꺼풀 부품(20)을 면봉이나 손으로 내려주면 가능하며, 이 때 양쪽을 모두 조작하면 잠눈(양쪽 모두 감은 눈), 한쪽만 조작시, 윙크(한쪽만 감은 눈)의 연출이 가능한 것이다. 눈꺼풀 부품(20)이 하측으로 이동한 감은 눈에서, 상측으로 이동한 뜬 눈을 연출할 경우, 마찬가지로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액상 실리콘을 묻힌 면봉이나 손을 이용하여 눈꺼풀 부품(20)을 위로 밀어 올려준 후, 액상실리콘을 묻힌 면봉이나 손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안구(12)를 살짝 튕기듯이 하여 제자리 놓을 수 있는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용수철(14)의 탄성을 이용함에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태의 얼굴 형상이며, 헤드의 후면은 개방되어 있고, 중앙 상측의 좌측과 우측에 안구 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과 우측의 안구 홀(15) 뒤쪽에는 안구 받침 및 내측 이동 제한 걸림턱(17)이 좌우로 각각 위치하고, 헤드 후방 안쪽 면 중앙 하단에는 위로 솟은 돌기 형태의 안구 고정 부품 고정대(18)가 위치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귀 안쪽 면에는 홈 형태의 좌측 회전축 고정 홈(19)이 위치해 있고, 우측의 귀 안쪽 면에도 홈 형태의 우측 회전축 고정 홈(19)이 위치한 헤드 전면부(10);
도 7과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눈꺼풀 부품(20-1)과 우측 눈꺼풀 부품(20-2)으로 구성되어 각각 전체적으로 낫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좌측 눈꺼풀 부품(20-1)과 우측 눈꺼풀 부품(20-2)의 중앙 하단에 각각 컨트롤러(쌍꺼풀)(23)이 위치하고, 좌측 눈꺼풀 부품(20-1)의 좌측에는 연장부가 연결되어 있고, 연장부의 끝부분 바깥쪽에는 눈꺼풀 회전 돌기(22a), 안쪽에는 눈꺼풀 회전 홈(22b)이 있으며, 우측 눈꺼풀 부품(20-2)의 우측에도 연장부가 연결되어 있고, 연장부의 끝부분 바깥쪽에 눈꺼풀 회전 돌기(22a), 안쪽에는 눈꺼풀 회전 홈(22b)이 있는 눈꺼풀 부품(20);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안구 고정 부품(25-1)과 우측 안구 고정 부품(25-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안구 고정 부품(25-1)과 우측 안구 고정 부품(25-2) 각각은 본체라고 할 수 있는 중앙부와 연장부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중앙부에 용수철 고정 돌기(26)가 위치하고, 중앙부 바깥쪽 하단에 안구 고정 부품 결합 홈(29)이 존재하며, 좌측 안구 고정 부품(25-1)는 좌측으로 연장부가 있고, 연장부의 상단에는 돌기형태의 안구 고정 부품 회전 돌기(27)가 있으며, 우측 안구 고정 부품(25)은 우측으로 연장부가 있고. 연장부의 상단에는 돌기형태의 안구 고정 부품 회전 돌기(27)가 있는 안구 고정 부품(25);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이며 후면에 돌기 형태의 안구 돌기(13)가 있는 안구(12)를 포함하고,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전면부(10)의 안구 홀(15)의 내측 후방에 눈꺼풀 부품(20)이 위치하며,
상기 눈꺼풀 부품(20)의 눈꺼풀 회전 돌기(22a)를 헤드 전면부(10)의 회전축 고정 홈(19)에 결합시키고, 눈꺼풀 부품(20)의 컨트롤러(쌍꺼풀)(23)부분이 헤드 전면부(10)의 안구 받침 및 내측 이동 제한 걸림턱(17)에 올려지는 형태로 놓여져, 상기 눈꺼풀 부품(2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안구 받침 및 내측 이동 제한 걸림턱(17)에 올려진 눈꺼풀 부품(20)의 후방으로 안구(12)가 올려지고,
상기 안구(12)의 후면 안구 돌기(13)에 용수철(14)의 일면이 결합되며, 상기 용수철(14)의 타면은 상기 안구 고정 부품(25)의 용수철 고정 돌기(26)와 결합되고,
상기 안구 고정 부품(25)의 안구 고정 부품 회전 돌기(27)는 상기 눈꺼풀 부품(20)의 내측의 눈꺼풀 회전 홈(22b)과 결합되며, 동시에 안구 고정 부품 결합 홈(29)은 헤드 전면부(10) 내측의 후면 중앙 아랫부분에 위치한 안구 고정 부품 고정대(18)와 결합하여,
손으로도 간단하게 상기 안구(12)의 좌우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용수철(14)의 탄성으로 눈꺼풀 부품(20)과 안구(12)의 이동 뿐 아니라 원하는 위치의 고정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관절 인형.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전면부(10)의 관자놀이 안쪽 면에는 상기 눈꺼풀 부품(20)이 상측으로 과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돌기형태로 되어 있는 좌측 눈꺼풀 상측 이동 제한 걸림턱(16)과 우측 눈꺼풀 상측 이동 제한 걸림턱(16);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꺼풀 부품(20)에는 안구가 중앙 부분으로 과이동 하는 것을 막기 위해 중앙 상단 안쪽으로 지붕과 같이 돌출된 안구 이탈 방지턱(21);을 포함하는 구체 관절 인형.
10: 헤드 전면부
11: 헤드 후면부
12: 안구
13: 안구 돌기
14: 용수철
15: 안구 홀
16: 눈꺼풀 상측 이동 제한 걸림턱
17: 안구 받침 및 내측 이동 제한 걸림턱
18: 안구 고정 부품 고정대
19: 회전축 고정 홈
20: 눈꺼풀 부품
21: 안구 이탈 방지턱
22a: 눈꺼풀 회전 돌기
22b: 눈꺼풀 회전 홈
23: 컨트롤러(쌍꺼풀)
25: 안구 고정 부품
26: 용수철 고정 돌기
27: 안구 고정 부품 회전 돌기
28: 안구 고정 부품 지지대
29: 안구 고정 부품 결합 홈

Claims (4)

  1. 구 형태의 얼굴 형상이며, 헤드의 후면은 개방되어 있고, 중앙 상측의 좌측과 우측에 안구 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과 우측의 안구 홀(15) 뒤쪽에는 안구 받침 및 내측 이동 제한 걸림턱(17)이 좌우로 각각 위치하고, 헤드 후방 안쪽 면 중앙 하단에는 위로 솟은 돌기 형태의 안구 고정 부품 고정대(18)가 위치해 있으며, 좌측의 귀 안쪽 면에는 홈 형태의 좌측 회전축 고정 홈(19)이 위치해 있고, 우측의 귀 안쪽 면에도 홈 형태의 우측 회전축 고정 홈(19)이 위치한 헤드 전면부(10);

    좌측 눈꺼풀 부품(20-1)과 우측 눈꺼풀 부품(20-2)으로 구성되어 각각 전체적으로 낫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좌측 눈꺼풀 부품(20-1)과 우측 눈꺼풀 부품(20-2)의 중앙 하단에 각각 컨트롤러(쌍꺼풀)(23)이 위치하고, 좌측 눈꺼풀 부품(20-1)의 좌측에는 연장부가 연결되어 있고, 연장부의 끝부분 바깥쪽에는 눈꺼풀 회전 돌기(22a), 안쪽에는 눈꺼풀 회전 홈(22b)이 있으며, 우측 눈꺼풀 부품(20-2)의 우측에도 연장부가 연결되어 있고, 연장부의 끝부분 바깥쪽에 눈꺼풀 회전 돌기(22a), 안쪽에는 눈꺼풀 회전 홈(22b)이 있는 눈꺼풀 부품(20);

    좌측 안구 고정 부품(25-1)과 우측 안구 고정 부품(25-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안구 고정 부품(25-1)과 우측 안구 고정 부품(25-2) 각각은 본체라고 할 수 있는 중앙부와 연장부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중앙부에 용수철 고정 돌기(26)가 위치하고, 중앙부 바깥쪽 하단에 안구 고정 부품 결합 홈(29)이 존재하며, 좌측 안구 고정 부품(25-1)는 좌측으로 연장부가 있고, 연장부의 상단에는 돌기형태의 안구 고정 부품 회전 돌기(27)가 있으며, 우측 안구 고정 부품(25)은 우측으로 연장부가 있고. 연장부의 상단에는 돌기형태의 안구 고정 부품 회전 돌기(27)가 있는 안구 고정 부품(25);

    구형이며 후면에 돌기 형태의 안구 돌기(13)가 있는 안구(12)를 포함하고,

    헤드 전면부(10)의 안구 홀(15)의 내측 후방에 눈꺼풀 부품(20)이 위치하며,
    상기 눈꺼풀 부품(20)의 눈꺼풀 회전 돌기(22a)를 헤드 전면부(10)의 회전축 고정 홈(19)에 결합시키고, 눈꺼풀 부품(20)의 컨트롤러(쌍꺼풀)(23)부분이 헤드 전면부(10)의 안구 받침 및 내측 이동 제한 걸림턱(17)에 올려지는 형태로 놓여져, 상기 눈꺼풀 부품(2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안구 받침 및 내측 이동 제한 걸림턱(17)에 올려진 눈꺼풀 부품(20)의 후방으로 안구(12)가 올려지고,

    상기 안구(12)의 후면 안구 돌기(13)에 용수철(14)의 일면이 결합되며, 상기 용수철(14)의 타면은 상기 안구 고정 부품(25)의 용수철 고정 돌기(26)와 결합되고,

    상기 안구 고정 부품(25)의 안구 고정 부품 회전 돌기(27)는 상기 눈꺼풀 부품(20)의 내측의 눈꺼풀 회전 홈(22b)과 결합되며, 동시에 안구 고정 부품 결합 홈(29)은 헤드 전면부(10) 내측의 후면 중앙 아랫부분에 위치한 안구 고정 부품 고정대(18)와 결합하여,

    손으로도 간단하게 상기 안구(12)의 좌우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용수철(14)의 탄성으로 눈꺼풀 부품(20)과 안구(12)의 이동 뿐 아니라 원하는 위치의 고정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체 관절 인형.

  2. 제 1항에 있어서,
    헤드 전면부(10)의 관자놀이 안쪽 면에는 상기 눈꺼풀 부품(20)이 상측으로 과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돌기형태로 되어 있는 좌측 눈꺼풀 상측 이동 제한 걸림턱(16)과 우측 눈꺼풀 상측 이동 제한 걸림턱(16);

    눈꺼풀 부품(20)에는 안구가 중앙 부분으로 과이동 하는 것을 막기 위해 중앙 상단 안쪽으로 지붕과 같이 돌출된 안구 이탈 방지턱(21);을 포함하는 구체 관절 인형.

  3. 삭제
  4. 삭제
KR1020200090596A 2020-07-21 2020-07-21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KR10216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596A KR102163849B1 (ko) 2020-07-21 2020-07-21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596A KR102163849B1 (ko) 2020-07-21 2020-07-21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836A Division KR20200046534A (ko) 2018-10-25 2018-10-25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710A KR20200090710A (ko) 2020-07-29
KR102163849B1 true KR102163849B1 (ko) 2020-10-12

Family

ID=7189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596A KR102163849B1 (ko) 2020-07-21 2020-07-21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8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283Y1 (ko) 2005-05-17 2005-08-01 영 광 김 자석을 이용한 가변 인형
KR200432825Y1 (ko) 2006-07-18 2006-12-08 김도경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CN101890239A (zh) 2009-05-18 2010-11-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玩具眼睑控制结构
KR101874978B1 (ko) 2017-02-07 2018-07-05 윤유지 인형의 안구 및 눈꺼풀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283Y1 (ko) 2005-05-17 2005-08-01 영 광 김 자석을 이용한 가변 인형
KR200432825Y1 (ko) 2006-07-18 2006-12-08 김도경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CN101890239A (zh) 2009-05-18 2010-11-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玩具眼睑控制结构
KR101874978B1 (ko) 2017-02-07 2018-07-05 윤유지 인형의 안구 및 눈꺼풀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710A (ko)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874B2 (en) Expression mechanism for a toy, such as a doll, having fixed or moveable eyes
US9592455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osable feature controls in a toy
US20080293324A1 (en) Toy doll system
JP6303051B1 (ja) 人形玩具
US20060234599A1 (en) Doll having head and upper torso interchangeable on doll bodies and styling bases
US7234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plush to an artificial eye
JP6971175B2 (ja) 人形玩具
US1489385A (en) Figure toy
US7641535B2 (en) Artificial eye assemblies
KR102163849B1 (ko)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US5178574A (en) Article having a movable fold member for alteration of a feature
US4580992A (en) Transformable toy
Narita et al. Development of OSONO, a service robot with reference to “Joruri puppet”, and its Choreography
KR20200046534A (ko)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US4276715A (en) Puppet
US6135847A (en) Puppets and character representations
KR200391283Y1 (ko) 자석을 이용한 가변 인형
CN201333317Y (zh) 跳舞机器玩偶
US6409572B1 (en) Big mouth doll
US2220719A (en) Animated display method and means
US20170021283A1 (en) Doll System
CN107362504B (zh) 一种训练儿童手指灵活性的装置
CN209931698U (zh) 一种儿童伞
CN107362554B (zh) 一种训练儿童表演能力的装置
KR200311135Y1 (ko)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