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464Y1 - 손가락 인형 - Google Patents

손가락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464Y1
KR200420464Y1 KR2020060010357U KR20060010357U KR200420464Y1 KR 200420464 Y1 KR200420464 Y1 KR 200420464Y1 KR 2020060010357 U KR2020060010357 U KR 2020060010357U KR 20060010357 U KR20060010357 U KR 20060010357U KR 200420464 Y1 KR200420464 Y1 KR 200420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resent
puppet
head
pupp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to KR2020060010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4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2Dolls made of fabrics or stuff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4Dolls into which the fingers of the hand can be inserted, e.g. hand-pupp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가락 인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장기 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공동체 생활에서의 정서적인 유대감 및 친밀감을 고취시키는 동화를 구연 및 연출할 수 있는 손가락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손가락 인형에 있어서, 머리와; 상기 머리와 연결되고, 저면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핑거포켓을 형성한 몸통과; 상기 몸통의 양측 상부에 형성한 한 쌍의 팔과; 상기 팔의 단부 각각에 상호 대응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한 탈부착부재와; 상기 몸통의 하부에 형성한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인형이 개시된다.
손가락 인형, 핑거포켓, 탈부착부재, 영구자석, 밸크로패스너

Description

손가락 인형{FINGER DOL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인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인형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인형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손가락 인형 110: 머리
120: 몸통 122: 핑거포켓(finger pocket)
130,130a: 팔 132,132a: 수용공간
140: 다리 160: 영구자석
160a: 밸크로패스너 160b: 스냅버튼
본 고안은 손가락 인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장기 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공동체 생활에서의 정서적인 유대감 및 친밀감을 고취시키는 동화를 구연 및 연출할 수 있는 손가락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가락 인형은 손가락을 인형의 몸통 또는 얼굴 속에 끼워넣고 얼굴을 움직이거나 인형의 표정을 다양하게 표현하면서 전래동화와 같은 이야기를 풍성하게 꾸며서 관객들에게 구연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기구이다.
특히 어린이들은 이와 같은 손가락 인형 놀이를 통해 감정의 표출이 자연스러워지고 풍부해지며, 감정 및 행동을 상황에 맞게 정확히 표현하거나 조절하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 인형은 어린이들의 감수성 발달과 정서순화에 많은 도움을 주는 교육적 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손가락 인형은 제각기 주어진 역할과 특성에 맞도록 캐릭터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이를 사용자가 동화내용과 상황에 따라 즉흥적으로 각각의 캐릭터를 일일이 서로 연계시켜 연출을 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동화의 내용중 서로 간의 화합과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표현을 연출하기에는 상당히 어렵고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손가락 인형을 다양한 캐릭터로 여러 개 구비할 경우, 이동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부주의한 취급에 의해 몇몇 캐릭터의 손가락 인형을 분실하므로 인하여 인형극을 제대로 연출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공동체 생활에서의 정서적인 유대감 및 친밀감을 고취시키는 동화를 구연 및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인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인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손가락 인형에 있어서, 머리와; 상기 머리와 연결되고, 저면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핑거포켓을 형성한 몸통과; 상기 몸통의 양측 상부에 형성한 한 쌍의 팔과; 상기 팔의 단부 각각에 상호 대응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한 탈부착수단과; 상기 몸통의 하부에 형성한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인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인형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인형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인형(100)은 머리(110), 몸통(120), 한 쌍의 팔(130,130a), 탈부착부재, 한 쌍의 다리(140)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먼저, 머리(110)는 몸통(120)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둘레를 따라 한 쌍의 눈, 코, 입 및 한 쌍의 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머리(110)는 강아지, 호랑이, 토끼 등의 다양한 동물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몸통(120)의 저면에는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등의 손가락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핑거포켓(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통(120)의 좌우 양측 상부에는 팔(130,13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의 움직을 통해 손가락 인형의 다양한 표정과 동작을 조종 및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탈부착부재는 팔(130,130a)의 단부 각각에 상호 대응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탈부착부재의 일 실시예로 영구자석(160)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영구자석(160)은 한 쌍의 팔(130,130a)이 서로 손을 마주잡은 형태로 고정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다른 손가락 인형(100a,100b)의 팔(130,130a)과 서로 손을 잡은 형태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팔(130,130a)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32,132a)을 마련함으로써 영구자석(160)이 수용공간(132,132a)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내장됨이 바람직 하다. 이는 영구자석(160)의 특성상 서로 같은 자극끼리는 밀어내려는 척력과 서로 다른 자극끼리는 잡아당기는 인력이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외부의 간섭없이 영구자석(160) 상호 간에 신속하고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손가락 인형(100)은 부드럽고 유연한 천소재를 재봉하여서 구비된 외피의 내부에 솜이나 헝겊 등을 채워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손가락 인형(100)을 끼우거나 분리하기가 쉬우며, 오염시에는 세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손가락 인형(100)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팔(130,130a)의 수용공간(132,132a)에 각각 내장된 영구자석(160)을 통해 손가락 인형(100)이 양손을 마주잡은 형태를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인형과 서로 손을 잡은 상태를 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다양한 내용과 상황에 맞는 표현을 적절하게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손가락 인형(100)을 영구자석(160)으로 서로 연결하여 한 곳에 보관하거나 옷걸이, 밸트 등의 특정물품에 양쪽 팔(130,130a)이 감싸는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세트 상태로 이동 및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이나 보관과정에서 손가락 인형(100)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결합되는 암수밸크로로 구성되는 밸크로패스너(160a)를 구 비하였다 이러한 밸크로패스너(160a)는 상기 일실시예의 영구자석(1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결합되는 암수버튼으로 구성되는 스냅버튼(160b)을 구비하였다. 이러한 스냅버튼(160b)은 상기 일실시예의 영구자석(1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손가락 인형의 양쪽 팔에 상호 대응결합되는 탈부착부재를 각각 구비하므로 손가락 인형의 양쪽 팔이 서로 손을 마주잡은 형태를 취하거나, 다양한 캐릭터의 인형을 서로 손을 잡은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동화의 구연시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공동체 생활에서의 정서적인 유대감 및 친밀감을 고취시키는 표현 및 연출을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교육적인 활용도를 높이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여러 개의 손가락 인형을 탈부착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한 곳에 보관하거나 옷걸이, 밸트 등의 특정물품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이동 및 보관과정에서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손가락 인형에 있어서,
    머리와;
    상기 머리와 연결되고, 저면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핑거포켓을 형성한 몸통과;
    상기 몸통의 양측 상부에 형성한 한 쌍의 팔과;
    상기 팔의 단부 각각에 상호 대응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한 탈부착부재와;
    상기 몸통의 하부에 형성한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인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재는 영구자석, 밸크로패스너, 스냅버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인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팔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인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는 동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인형.
KR2020060010357U 2006-04-18 2006-04-18 손가락 인형 KR200420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357U KR200420464Y1 (ko) 2006-04-18 2006-04-18 손가락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357U KR200420464Y1 (ko) 2006-04-18 2006-04-18 손가락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464Y1 true KR200420464Y1 (ko) 2006-07-04

Family

ID=4176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357U KR200420464Y1 (ko) 2006-04-18 2006-04-18 손가락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4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65B1 (ko) * 2006-05-08 2007-12-28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쿠키상자
JP2022127579A (ja) * 2021-02-19 2022-08-31 修二 橋本 開閉マスク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65B1 (ko) * 2006-05-08 2007-12-28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쿠키상자
JP2022127579A (ja) * 2021-02-19 2022-08-31 修二 橋本 開閉マスク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9546A (en) Pillow with hand puppet receivable in a pocket thereof and manipulable while therein
US8062087B1 (en) Glove with attached doll
US20160325193A1 (en) PLUSH STANDING DOLL and BACKPACK DOLLHOUSE
US4488315A (en) Combination scarf and puppet
US20120329357A1 (en) Arm garment with plush toy
US20140220851A1 (en) Transformable objec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0420464Y1 (ko) 손가락 인형
US20140349543A1 (en) Containerized hand puppet embodying multiple toy figures
US20100273391A1 (en) Plush writing toy
CN102058981A (zh) 可拆装毛绒玩具
US5713781A (en) Doll carrier for miniature toy animals
KR200433412Y1 (ko) 모자
US3861078A (en) Convertible doll having mirror surface concealable by a face portion
CN201572524U (zh) 具有多动作能力的玩具
US20140273725A1 (en) Stretchable Plush Doll
CN205460966U (zh) 猩猩手偶
KR100722959B1 (ko) 케이크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인형극 연출방법
KR200420471Y1 (ko) 케이크 상자
CN211963055U (zh) 一种人型立方体串智力玩具
KR100782165B1 (ko) 쿠키상자
CN201085921Y (zh) 一种组装、拼贴或自由搭配的毛绒玩具
KR200308027Y1 (ko) 얼굴 변신 인형
US20080194172A1 (en) Re-configurable doll/stuffed toy
JP3118225U (ja) 人形をあしらった遊戯手袋
JP3170141U (ja) 縫いぐるみ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