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825Y1 -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 - Google Patents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825Y1
KR200431825Y1 KR2020060024699U KR20060024699U KR200431825Y1 KR 200431825 Y1 KR200431825 Y1 KR 200431825Y1 KR 2020060024699 U KR2020060024699 U KR 2020060024699U KR 20060024699 U KR20060024699 U KR 20060024699U KR 200431825 Y1 KR200431825 Y1 KR 200431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nection terminal
battery
laboratory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현
Original Assignee
김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현 filed Critical 김학현
Priority to KR2020060024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8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8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생들의 실습용이나 학생들의 실습과제용으로 회로도에 작성된 상태로 각각의 부품다리를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설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다수의 실험실습용 회로기판들을 고정 설치하고, 저항, 다이오드, 콘덴서 및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자부품들과 드라이버, 니퍼와 같은 각종 공구의 수납이 용이하며, 실험실습시 이들 전자부품과 공구들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회로기판들(10)이 안착홈(21)에 수용되도록 한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 내측에는 테스터(22)와 스피커(23) 및 디지트론(24)이 내장되고, 상단부에는 테스터기접속단자(M), 디지트론 접속단자(FD), 건전지 접속단자(BT) 및 스피커접속단자(SP)가 설치되며,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케이스(20)와;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부에 위치되며, 다수의 공구들(41,42)을 수납하기 위한 공구홀더용 핀들(31)이 형성되며, 건전지(50)를 수납하기 위한 건전지홀더(32)가 구비되며, 전자부품들이 수납되는 수납함(6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하부케이스(30)로 구성되며; 실험실습시 상부케이스(20)를 하부케이스(3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실험실습, 회로기판, 수납함, 테스터, 스피커, 공구, 건전지,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 공구홀더용핀

Description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Circuit board stand for experimental practice of electrical circuit}
도 1 은 본 고안의 외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는 도 2에서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회로기판 20: 상부케이스
21: 회로기판 안착홈 22: 테스터
23: 스피커 30: 하부케이스
31: 공구홀더용 핀 32: 건전지홀더
41,42: 공구 50: 건전지
60: 전자부품 수납함
본 고안은 학생들의 실습용이나 학생들의 실습과제용으로 회로도에 작성된 상태로 각각의 부품다리를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설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다수의 실험실습용 회로기판들을 고정설치하고, 저항, 다이오드, 콘덴서 및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자부품들과 드라이버, 니퍼와 같은 각종 공구의 수납이 용이하며, 실험실습시 이들 전자부품과 공구들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실습용이나 학생들의 실습과제용으로 회로도에 작성된 상태로 각각의 부품다리를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설치하고, 기판에 납땜으로 고정을 시킴으로 인쇄회로기판과 각각의 부품을 한번만 사용하게 됨으로써 실험 실습용으로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현재에는 인쇄회로기판을 형성시에 각각의 전자부품이 위치하여 연결되는 회로도를 형성한 후 일반적으로 선진국에서 생산 사용을 하는 브레이드 보드(Bread Board)인 실험용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의 기판 구멍에 각각의 부품과 연결선의 핀을 꽂아서 상호 연결시켜서 회로도의 배선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실험하여 왔었다.
그러나 전자의 회로도가 제대로 작성이 되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는 전자부품을 결합 및 분해를 할 수 있도록 된 실험실습용 회로기판을 다수 개 구비하여 상호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비전도체인 패널에 실험실습용 회로기판을 고정설치하여 사용을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패널에 실험실습용 회로기판을 고정설치하여 사용을 함으로 외견상 조잡하게 됨을 알 수 있었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및 이에 결합시켜 놓은 전자부품들이 휴대시에 손상을 많이 입게 됨 으로 인하여 새로이 구입을 하여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며, 실험실습용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각각 별도로 휴대를 하도록 되어 있어 실험실습용 회로기판이나 전자부품들을 분실하게 되는 등으로 인하여 이 또한 새로이 구입을 하여야만 함으로 전자 회로도가 제대로 작성이 되었는지를 확인 및 실험실습을 하기 위해 전자부품과 실험실습용 회로기판의 구입비가 증가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제289622호에는 상판에는 다수의 회로기판이 고정설치되고, 상판 상부에는 입출력단자와 접속단자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상판의 하부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하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판의 일측에는 개폐문을 구비하여 각종 전자부품들이 수납되는 수납함을 넣을 수 있도록 한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가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손으로는 개폐문을 올려서 열고나서 다른 한손을 사용하여 수납함을 꺼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의 특허는 회로간의 전압 또는 전류를 시험하기 위한 테스터가 부착되지 않아 별도의 테스터기를 이용하여 체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수납함은 전자부품들만 수납할 수 있을 뿐 드라이버나, 니퍼와 같은 공구들은 수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의 목적은 전자부품들이 들어있는 수납함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테스터가 상판내부에 부착되어 있어 전압 또는 전류를 시험할 수 있으며, 드라이버나, 니퍼와 같 은 공구들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회로기판들이 안착홈에 수용되도록 한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 내측에는 테스터와 스피커 및 디지트론이 내장되고, 상단부에는 테스터기접속단자, 디지트론 접속단자, 건전지 접속단자 및 스피커접속단자가 설치되며,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며, 다수의 공구들을 수납하기 위한 공구홀더용 핀들이 형성되며, 건전지를 수납하기 위한 건전지홀더가 구비되며, 전자부품들이 수납되는 수납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며; 실험실습시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회로기판들(10)이 상부케이스(20)의 안착홈(21)에 수용되되는데, 이러한 회로기판들(10)은 주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아니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케이스(20)의 상부 내측에는 테스터(22)와 스피커(23) 및 디지트론(24)이 내장되고, 상단부에는 테스터기접속단자(M), 디지트론 접속단자(FD), 건전지 접속단자(BT) 및 스피커접속단자(SP)가 설치되며, 상부케이스(20)는 대체적으로 직사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도 1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0)는 그의 상단부의 높이가 하단부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작업자가 실험실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한편, 하부케이스(30)는 상부케이스(20)의 하부에 위치되며, 다수의 공구들(41,42)을 수납하기 위한 공구홀더용 핀들(31)과, 건전지(50)를 수납하기 위한 건전지홀더(32)가 구비되며, 전자부품들이 수납되는 수납함(6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이용하여 전자회로를 구성할 경우 도 2와 같이 작업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0)를 열어 도 3과 같이 상부케이스(20)를 하부케이스(3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부케이스(20)를 하부케이스(30)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위치시킴으로써 하부케이스(30) 내에 들어있던 전자부품 수납함(6)과 각종 공구(41,42)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전자부품들을 수납함(60)으로부터 선택하여 실험실습용 전자회로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자회로를 제작한 후에는 도시하지 않은 코드를 이용하여 건전지 접속단자(BT)에 연결하면 디지트론(24)에는 해당 전압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시되어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실험 실습하는 필요한 전원을 점프선으로 접속단자(BT)를 통하여 실험실습용 회로기판(10)과 연결시키면, 회로기판(10)에 공통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회로에서 음향이 발생되는 가를 시험할 경우에는 점프선을 이용하여 스피커단자(SP)에 연결하면 스피커(23)로부터 오디오 출력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자회로상의 전압 전류등을 체크하고자 할 경우에는 접속단자(M)에 점프선을 연결할 경우에는 해당 전류 또는 전압이 테스터(22)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학생들의 실습용이나 학생들의 실습과제용으로 회로도에 작성된 상태로 각각의 부품다리를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설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다수의 실험실습용 회로기판들을 고정설치하고, 저항, 다이오드, 콘덴서 및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자부품들과 드라이버, 니퍼와 같은 각종 공구의 수납이 용이하며, 실험실습시 이들 전자부품과 공구들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내에서 많은 변경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은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었으나, 원형 또는 기타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부케이스내에 위치되는 공구의 종류에 따라 공구홀더용 핀(31)들의 설치갯수는 다양하게 변화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다수의 회로기판들(10)이 안착홈(21)에 수용되도록 한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 내측에는 테스터(22)와 스피커(23) 및 디지트론(24)이 내장되고, 상단부에는 테스터기접속단자(M), 디지트론 접속단자(FD), 건전지 접속단자(BT) 및 스피커접속단자(SP)가 설치되며,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케이스(20)와;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부에 위치되며, 다수의 공구들(41,42)을 수납하기 위한 공구홀더용 핀들(31)이 형성되며, 건전지(50)를 수납하기 위한 건전지홀더(32)가 구비되며, 전자부품들이 수납되는 수납함(6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하부케이스(30)로 구성되며;
    실험실습시 상부케이스(20)를 하부케이스(3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
KR2020060024699U 2006-09-14 2006-09-14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 KR200431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699U KR200431825Y1 (ko) 2006-09-14 2006-09-14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699U KR200431825Y1 (ko) 2006-09-14 2006-09-14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825Y1 true KR200431825Y1 (ko) 2006-11-28

Family

ID=4178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699U KR200431825Y1 (ko) 2006-09-14 2006-09-14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8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224B1 (ko) * 2015-05-29 2018-01-23 김상원 전도 테이프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실험 교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224B1 (ko) * 2015-05-29 2018-01-23 김상원 전도 테이프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실험 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6315A (en) Miniature electrical voltage and continuity tester with circuit compartment and test lead compartment casing
JP4936150B2 (ja) モータ制御装置
AU2016394097A1 (en) Battery packs and method of assembling battery packs
US20210088481A1 (en) Portable phased array test instrument
CN102749482A (zh) 电容测试夹具及具有该电容测试夹具的电容测试装置
JP2007294333A (ja) 分岐端子台装置
KR200431825Y1 (ko) 실험실습용 회로기판 고정대
CN201927253U (zh) 一种便携式工业控制电路综合实训箱
US6946602B1 (en) Quadrifold housing assembly for electronics
JP4593637B2 (ja) 電力量計
JP5740994B2 (ja) 電子機器取り付け治具
JP6349220B2 (ja) 分電盤
KR100948822B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용 소켓
JP2011002274A (ja) 補助道具
JP6700094B2 (ja) プラグ
JP3160095U (ja) ノイズフィルタ
KR200401080Y1 (ko) 기판이나 제품 표면에 회로를 표시하여 체크 포인트를설정한 교육용 전기전자 실험 장치
JPH0449739Y2 (ko)
JP6459022B2 (ja) コネクタの案内構造及びガイド部材
CN209768014U (zh) 一种编程积木控制盒
CN219434917U (zh) Esd测试治具
JP4776718B2 (ja) ソケット
TW200736625A (en) Join structure between test jig and the test machine
JP2018073961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用筐体
JP4337660B2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