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642Y1 - 습식 사우나기 - Google Patents

습식 사우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642Y1
KR200431642Y1 KR2020060022369U KR20060022369U KR200431642Y1 KR 200431642 Y1 KR200431642 Y1 KR 200431642Y1 KR 2020060022369 U KR2020060022369 U KR 2020060022369U KR 20060022369 U KR20060022369 U KR 20060022369U KR 200431642 Y1 KR200431642 Y1 KR 200431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water level
steam generator
sau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음두식
Original Assignee
음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음두식 filed Critical 음두식
Priority to KR2020060022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6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61H33/065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with steam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61H2033/0054Electrical circuits therefor with liquid leve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습식 사우나기에 관한 것으로서,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스팀발생기는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도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고 격벽에 의하여 물유입실과 물가열실로 구획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상측을 개폐하는 물탱크 커버와, 상기 물탱크 커버에 설치되고 물유입실 내부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저수위, 중수위, 고수위 및 만수위의 4단계로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물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유로상에는 전동볼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가 직렬연결되어, 물이 상기 전동볼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쳐 상기 물탱크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스팀발생기와 스팀배관을 통해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만약 스팀발생기와 스팀배관을 통해 물이 넘치는 경우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컨트롤박스가 넘친 물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고 실내로도 물이 넘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사우나, 습식 사우나

Description

습식 사우나기{Hydro sauna equip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사우나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사우나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위감지센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사우나기의 계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컨트롤박스 20: 케이블
30: 스팀발생기 31: 하우징
32: 물탱크 33: 격벽
34: 물유입실 35: 물가열실
36: 물탱크 커버 37: 걸림돌기
38: 배관연결홀 40: 선반
50: 스팀배관 60: 고리
70: 수위감지센서 80: 히터
91: 급수관 91a: 전동볼밸브
91b: 솔레노이드 밸브
본 고안은 습식 사우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팀발생기에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팀의 누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습식 사우나기에 관한 것이다.
거대도시화로 발생된 대기와 수질오염은 점점 심해져 무한경쟁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현대인들을 더욱 지치게 만들고, 바쁜 생활에 쫓겨 건강을 해치고 있다. 이때 피곤해진 심신을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면서 여유롭게 건강과 미용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우나를 하게 된다.
이때 스팀을 이용하여 사우나를 하게 되면, 40∼50도 정도의 낮은 온도로도 많은 땀을 흘려 체내에 축적된 노폐물과 피로물질을 체외로 배출하여 피로와 스트레스를 없애주며, 땀을 반복하여 배출하면 피부미용에도 효과가 탁월하다. 이외에도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를 좋게 해주므로 성인병예방과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이러한 사우나의 종류에는 통상적으로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되는데, 습식 사 우나기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증기)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습식 사우나기는 스팀발생기와 컨트롤박스가 상하방향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스팀발생기나 스팀배관을 통해 물이 넘치는 현상이 발생될 때 넘치는 물에 의하여 컨트롤박스가 악영향을 받을 수 있고 실내로 물이 넘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습식 사우나기는 스팀발생기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물이 넘치고 나서야 급수밸브를 급하게 잠금으로써 사우나기와 실내에 물이 넘치는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팀발생기와 스팀배관을 통해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습식 사우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팀발생기와 스팀배관을 통해 물이 넘친다 하더라도 컨트롤박스만큼은 넘치는 물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고 실내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습식 사우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팀발생기에서 발생된 스팀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습식 사우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습식 사우나기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스팀발생기는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도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고 격벽에 의하여 물유입실과 물가열실로 구획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상측을 개폐하는 물탱크 커버와, 상기 물탱크 커버에 설치되고 물유입실 내부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저수위, 중수위, 고수위 및 만수위의 4단계로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물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유로상에는 전동볼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가 직렬연결되어, 물이 상기 전동볼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쳐 상기 물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사우나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사우나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위감지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사우나기의 계통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습식 사우나기는 컨트롤박스(10)와 상기 컨트롤박스(10)와 케이블(20)로 연결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스팀발생기(30)와, 상기 스팀발생기(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금속재로 구성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를 갖는 선반(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0)는 상기 스팀발생기(30)를 제어할 수 있는 각종 부품들이 내장되는데, 이러한 내장 부품들은 종래의 구성부품들과 다르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스팀발생기(30)는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도어(31a)가 형성되고 타측에 스팀배관(50)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홀(31b)이 형성되며,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덮개가 형성된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 내부에 수납된 물탱크(32)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31a)에는 케이블 연결홀(31a′)이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32)와 컨트롤박스(10)가 케이블(20)로 연결된다.
상기 물탱크(32)는 격벽(33)에 의하여 물유입실(34)과 물가열실(35)로 구획되고, 상면에는 실리콘 패킹(32a)이 되어 물탱크 커버(36)가 부착될 때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격벽(33)의 하단은 상기 물탱크(32)의 하면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물유입실(34)에 들어온 물이 상기 물가열실(35)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물탱크 커버(36)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1쌍씩 총 4개의 걸림돌기(37)가 형성되어 후술할 고리(60)와 연결된다.
상기 물탱크(32)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물탱크 커버(36)의 걸림돌기(37)와 대향되는 위치에 고리(60)가 형성되는 데, 상기 고리(60)는 상기 물탱크(32)에 체결부재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부(61)와, 상기 고정부(61)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31)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2)와, 상기 연장부(62)의 중간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63)와, 상기 연결부(63)에 하측이 나선결합되고 상측이 상기 나선이 형성된 하측과 핀결합되는 손잡이부(64)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64)의 상측은 나선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하나의 꼭지점 부분이 연결되는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돌기(37)가 잘 걸림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 커버(36)를 상기 물탱크(32)에 밀폐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손잡이부(64)를 나선회전시켜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한 다음 손잡이부(64)를 상기 물탱크 커버(36)의 걸림돌기(37)에 걸면 된다.
상기 물탱크 커버(36)에는 나선이 형성된 관통홀(36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6a)에는 수위감지센서(70)가 설치되는데, 상기 관통홀(36a)의 형성위치는 상기 물유입실(34)을 밀폐하는 곳이다.
상기 수위감지센서(70)는 상기 물유입실(34)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70)는 4단계로 물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서, 저수위와 중수위와 고수위 및 만수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저/중/고/만수위 감지센서(71,72,73,74)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센서(70)의 상측에는 나선부(70a)가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 커버(36)의 관통홀(36a)에 형성된 나선부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수위감지센서(7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였다.
한편, 상기 물탱크(32)의 우측면에는 히터(80)가 연결되어 물탱크(32) 내부에, 좀 더 자세하게는 물가열실(35) 내부에 유입된 물이 가열되고, 좌측면에는 스팀배관(5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1)에 형성된 배관홀(31a′)과 연통되도록 배관연결홀(3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32)의 상측,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히터(80)의 상측에 온도센서(39)가 설치되는데, 상기 온도센서(39)는 상기 물탱크(32) 내부에 물이 유입되지 않았거나, 유입되었다 하더라도 저수위 미만의 양이 유입되었는데 상기 히터(80)가 오작동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히터(80)에 의하여 상기 물탱크(32)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물탱크(32) 내부의 온도가 상승됨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컨트롤박스(20)에 전송하여 상기 히터(8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과 물탱크(32)에는 각각의 저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급수관(91)이 연결되고, 상기 급수관(91) 라인에는 전동볼밸브(91a)와 솔레노이드 밸브(91b)가 직렬로 연결되는데, 상기 전동볼밸브(91a)와 솔레노이드 밸브(91b)의 설치위치는 상기 하우징(31)과 상기 물탱크(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31)과 물탱크(32)에는 각각의 저면을 관통하여 청소용 급수관(93)과 청소용 배수관(92)이 연결되는데, 상기 청소용 급수관(93)에는 청소용 급수밸브(93a)가 설치되고, 상기 청소용 배수관(92)에는 청소용 배수밸브(92a)가 설치되며, 상기 청소용 배수관(92)의 형태는 직관형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트롤박스(10)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동볼밸브(91a)가 개방되고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91b)가 개방되어 급수관(91)을 통하여 물유입실(34) 내부로 물이 공급된다.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저수위 감지센서(71)에 의하여 저수위까지 저장되었음이 감지되면 히터(80)가 작동되어 물을 가열시킨다.
상기 히터(80)가 물을 가열하는 동안 상기 물유입실(34) 내부에는 물이 계속해서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물의 양이 고수위 감지센서(73)에 의하여 고수위까지 저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91b)가 폐쇄되어 물이 상기 물유입실(34)에 더 이상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만일 솔레노이드 밸브(91b)에 고장이 발생되어 고수위가 되었는데도 물이 물유입실(34) 내부로 계속 공급된다면, 물탱크 커버(36)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70) 중 만수위 감지센서(74)에 의하여 물이 만수되었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만수위 감지신호를 받은 컨트롤박스(10)에 의하여 전동볼밸브(91a)가 차단된다.
한편, 히터(80)에 의하여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면, 상기 스팀은 스팀배관(50)을 통하여 사우나실 내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팀 발생과정이 완료된 후에 상기 물탱크(32) 내에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고자 할 때는 청소용 급수관(93)에 설치된 청소용 급수밸브(93a)를 개방하여 상기 물탱크(32) 내에 물이 소정량만큼 유입되도록 한 후 상기 청소용 급수밸브(93a)를 폐쇄하여 더 이상 물이 물탱크(3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여러 가지 청소도구를 사용하여 청소를 한다.
이후, 청소용 배수관(92)에 설치된 청소용 배수밸브(92a)를 개방하여 스케일이 섞인 오염된 물을 상기 청소용 배수관(92)을 통하여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습식 사우나기는 전동볼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가 급수관에 직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만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만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면 전동볼밸브를 폐쇄시키므로, 스팀발생기와 스팀배관을 통해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의 상단은 실리콘으로 패킹되어 스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의 전후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고리가 형성되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스팀이 누설되는 경우 고리의 손잡이부를 돌려 밀폐를 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스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청소용 배수관의 형태는 곡관이 아닌 직관형태로 구성되어 스케일이 배출이 빠르고 배출되는 스케일이 청소용 배수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 커버와 수위감지센서는 나선결합되어 있어서 물탱크 커버를 분리시키지 않아도 수위감지센서만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팀발생기와 컨트롤박스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므로 스팀발생기에 물넘침이 발생하더라도 컨트롤박스는 영향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에 설치되는 히터 방향으로 도어가 형성된 하우징을 설치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히터의 고장수리 등을 용이하게 하고 누전이나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위감지센서는 물유입실쪽에 설치되어 물가열실에 저장된 물이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어 요동된다 하더라도 격벽에 의하여 물유입실 내부에 저장된 물은 덜 요동되므로, 좀 더 정확하게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 내부에 온도센서가 장착되어 히터의 오동작에 의하여 비정상적으로 물탱크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히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스팀발생기의 과열로 인한 사우나기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로 구성된 습식 사우나기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는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도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고 격벽에 의하여 물유입실과 물가열실로 구획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상측을 개폐하는 물탱크 커버와;
    상기 물탱크 커버에 설치되고 물유입실 내부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저수위, 중수위, 고수위 및 만수위의 4단계로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우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와 콘트롤박스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우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유로상에는 전동볼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가 직렬연결되어, 물이 상기 전동볼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물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우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물유입실의 상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우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에는 나선이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상측에는 상기 물탱크 커버에 맞물려 회전되는 나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우나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의 전후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 커버가 상기 물탱크에 밀폐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와 대향되는 물탱크의 전후면에는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우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물탱크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하측이 나선결합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우나기.
KR2020060022369U 2006-08-21 2006-08-21 습식 사우나기 KR200431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369U KR200431642Y1 (ko) 2006-08-21 2006-08-21 습식 사우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369U KR200431642Y1 (ko) 2006-08-21 2006-08-21 습식 사우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642Y1 true KR200431642Y1 (ko) 2006-11-23

Family

ID=4177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369U KR200431642Y1 (ko) 2006-08-21 2006-08-21 습식 사우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64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816B1 (ko) 2008-07-15 2010-12-21 김광례 건식과 습식이 혼합된 형태의 사우나 방열기
KR101012934B1 (ko) 2008-06-12 2011-02-08 김영기 스팀발생기
KR20160095263A (ko) * 2015-02-02 2016-08-11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스팀 발생기
CN109258544A (zh) * 2018-09-07 2019-01-25 姜利 一种自动排污换水鱼缸及其控制方法
KR102544478B1 (ko) 2022-07-25 2023-06-21 가나산업개발 (주) 이동식 습식사우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934B1 (ko) 2008-06-12 2011-02-08 김영기 스팀발생기
KR101002816B1 (ko) 2008-07-15 2010-12-21 김광례 건식과 습식이 혼합된 형태의 사우나 방열기
KR20160095263A (ko) * 2015-02-02 2016-08-11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스팀 발생기
KR102360833B1 (ko) 2015-02-02 2022-02-10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스팀 발생기
CN109258544A (zh) * 2018-09-07 2019-01-25 姜利 一种自动排污换水鱼缸及其控制方法
CN109258544B (zh) * 2018-09-07 2023-11-17 姜利 一种自动排污换水鱼缸及其控制方法
KR102544478B1 (ko) 2022-07-25 2023-06-21 가나산업개발 (주) 이동식 습식사우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1642Y1 (ko) 습식 사우나기
KR100774181B1 (ko) 증기발생장치
US5032186A (en) Washer-sterilizer
JP6018328B1 (ja) 温水マット用温水ボイラー
EP2228480B1 (en) Washing dryer and deodorant device
KR101257162B1 (ko) 수세식 위생기구
KR20100023175A (ko) 식기 세척기
KR20090127708A (ko) 노즐 어셈블리
KR200405821Y1 (ko) 비데 물탱크의 세정수 유입장치
KR20070088212A (ko) 세탁기 및 세제공급기구의 세척방법
US8438880B2 (en) Detergent dispensing unit
JP7465156B2 (ja) 加熱調理器
KR101079584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는 세탁기
CN109208262B (zh) 洗衣机的蒸汽发生装置、洗衣机及清洗方法
JP4181517B2 (ja) ミストサウナ機能付き浴室暖房乾燥機
KR101202103B1 (ko) 식기 세척기의 증기 발산 억제 구조 및 억제 방법
KR200464684Y1 (ko) 비데의 온수탱크 구조
JP3894069B2 (ja) 浴室の排水ユニット
KR20140134993A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WO2020249224A1 (en) Washing appliance
CN205372739U (zh) 家用热水智能循环装置
JPH04319329A (ja) 排水濁度検知装置
KR102525137B1 (ko) 감성교감형 실리콘 목욕용 장갑
CN215016077U (zh) 一种蒸汽发生装置及具有其的烹饪设备
KR960002961Y1 (ko) 냉,온수 겸용 항문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