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993A - 온수 매트용 보일러 - Google Patents

온수 매트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993A
KR20140134993A KR1020130055153A KR20130055153A KR20140134993A KR 20140134993 A KR20140134993 A KR 20140134993A KR 1020130055153 A KR1020130055153 A KR 1020130055153A KR 20130055153 A KR20130055153 A KR 20130055153A KR 20140134993 A KR20140134993 A KR 20140134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chamber
accommodation space
bubbl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085B1 (ko
Inventor
박태봉
Original Assignee
박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봉 filed Critical 박태봉
Priority to KR20130055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085B1/ko
Priority to CN201310628243.5A priority patent/CN104165452A/zh
Publication of KR2014013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매트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용 보일러는, 물의 유로를 제공하는 튜브가 내장되어 있는 매트 측으로 상기 물을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상기 물이 수용되어 있는 수조통; 상기 수조통과 튜브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수조통으로부터 유출된 물을 히팅시켜 주는 히팅관; 상기 히팅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상기 수조통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포 배출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기포 배출수단은, 상기 수조통 내에 마련되어서 상기 역류된 기포의 상기 수조통 내에서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수조통 내에 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과 구별되는 제2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기포의 내부로의 유입 및 외부로의 배출에 따라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서의 물의 수위가 달라지게 되는 압력실; 및 상기 압력실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압력실 내로 유입된 기포의 배출을 상기 승강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수 매트용 보일러{Warm water mat boiler}
본 발명은 온수매트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히팅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인 온수매트에 있어서 그 히팅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포의 외부 배출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기포에 의한 소음 및 순환장애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온수매트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에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해 보온 기능을 가지는 매트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매트들 중에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전기매트가 보편적이기는 하나, 소비전력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전자파의 발생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근자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물을 가열시킴으로써 발생된 온수를 이용하여 보온 기능을 발휘되게 하는 온수 매트가 개발되고 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온수매트의 매트소재에 온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보일러는, 도 1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저장되는 저장통(100)과, 상기 저장통(100)으로부터 유출된 물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배출관(200)과, 상기 저장통(100)으로의 물의 재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유입관(500)과, 상기 배출관(200)과 유입관(500)에 각각 접속되어 매트(M) 측으로의 물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순환관(300)과, 상기 저장통(100)으로부터 유출된 물을 히팅시켜 주기 위한 히터(400)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온수매트용 보일러는,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매트소재의 접힘 등에 의해 플렉시블한 재질의 순환관(300)이 막히게 되는 경우에, 상기 배출관(200)을 경유한 물의 순환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장애를 감지하지 못한 채 상기 히터에 의한 물의 히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히팅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가 원활하게 순환되지 못하고 역류함에 따라 상기 저장통(100)과 배출관(200) 사이에 배치되는 체크밸브 측에 부딪히고 그 체크밸브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케이스 내벽에 부딪히게 됨에 따라 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순환장애를 신속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정상상태의 제어신호를 히터(400)와 체크밸브 등에 송출함에 따라 급수 및 히팅 등을 즉각적으로 중지하지 못하여 순환장애에 따른 소음발생 등을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를 이용하여 매트를 따뜻하게 하는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그 기포의 이동시 발생하는 수압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시시킴으로써 기포에 의한 소음발생 및 순환장애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온수매트용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용 보일러는, 물의 유로를 제공하는 튜브가 내장되어 있는 매트 측으로 상기 물을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상기 물이 수용되어 있는 수조통; 상기 수조통과 튜브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수조통으로부터 유출된 물을 히팅시켜 주는 히팅관; 상기 히팅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상기 수조통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포 배출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기포 배출수단은, 상기 수조통 내에 마련되어서 상기 역류된 기포의 상기 수조통 내에서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수조통 내에 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과 구별되는 제2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기포의 내부로의 유입 및 외부로의 배출에 따라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서의 물의 수위가 달라지게 되는 압력실; 및 상기 압력실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압력실 내로 유입된 기포의 배출을 상기 승강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조통 내의 상기 압력실 하측에 제3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역류된 기포의 상기 제3수용공간 측으로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제1구멍과 상기 수조통 내의 물이 상기 매트의 튜브 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유입공이 마련되어 있는 순환실; 및 상기 순환실의 상기 한 쌍의 유입공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한 쌍의 개폐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실은, 상기 순환실과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구멍과 소통되는 제2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압력실 내의 제2수용공간과 상기 수조통의 제1수용공간을 서로 소통가능하게 하는 제3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실 내에 마련되는 상기 제1구멍과 한 쌍의 유입공들은, 상기 압력실의 하측에서 상기 순환실 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구획리브들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실은, 상기 구획리브들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히팅관의 외부에서 그 히팅관에 접속되는 우회부와, 상기 우회부와 순환실의 제3수용공간 사이에 그 우회부 및 제3수용공간과 소통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히팅관 내부에 배치되는 기포수송부를 구비하는 기포우회관;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용 보일러는, 물의 히팅과정에서 발생하는 역류된 기포가 상대적으로 수압이 작은 압력실을 거쳐 수조통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기포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기포에 의한 소음 및 순환장애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압력실에 기포가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압력실로부터 기포가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압력실로부터 기포가 배출된 이후 압력실에 물이 다시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순환실 측으로 수조통의 물이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단면도.
도 10은 일반적인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보일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Ⅳ-Ⅳ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압력실에 기포가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압력실로부터 기포가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압력실로부터 기포가 배출된 이후 압력실에 물이 다시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순환실 측으로 수조통의 물이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용 보일러는 수조통(1)과 히팅관(2)과 기포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포 배출수단은 압력실(3)과 부력체(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통(1)은, 온수매트 측으로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고, 상기 수조통(1)에 수용된 물은 튜브를 통하여 상기 매트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튜브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매트에 골고루 열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유로를 구비한다.
상기 히팅관(2)은, 상기 수조통(1)에 수용된 물이 상기 매측 측으로 공급되기 이전에 경유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통(1)과 튜브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히팅관(2)은 상기 수조통(1)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히팅시켜서 온수를 상기 튜브 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기포 배출수단은, 상기 히팅관(2)에 의한 물의 히팅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상기 수조통(1)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압력실(3)과 부력체(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력실(3)은, 물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역류된 기포가 유입됨으로써 상기 기포의 유입에 따른 내부 압력의 변화에 따라 물의 수위가 변화하게 된다. 즉,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실(3) 내부에 물이 꽉 차 있는 상태에서 기포가 유입되게 되면, 상기 기포는 상기 압력실(3)에서 가장 수압이 낮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위쪽으로 이동된 기포는 상기 압력실(3)에 기포가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그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수압의 변화와 함께 수위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상기 부력체(7)는 이러한 압력실(3)의 수위변화를 고려하여 채용된 것으로, 상기 압력실(3)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기포가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실(3)과 부력체(7)에 의한 기포의 선택적 배출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압력실(3)은, 상기 수조통(1) 내에 마련되어서 상기 역류된 기포의 상기 수조통(1) 내에서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역류된 기포가 상기 압력실(3)을 거치지 않고 수조통(1) 외부로 배출되는 비교예에 의하면, 상기 수조통(1) 내의 압력 때문에 상기 기포의 외부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됨에 따라 소음 및 순환장애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압력실(3)이 구비되게 함으로써, 상기 역류된 기포가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상기 압력실(3) 측으로 신속하게 유입되게 한 후 일정량이 모인 후에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기포의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압력실(3)은, 이러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통(1) 내에 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10)과 구별되는 제2수용공간(30)을 구비하고, 상기 기포의 내부로의 유입 및 외부로의 배출에 따라 상기 제2수용공간(30) 내에서의 물의 수위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부력체(7)는, 상기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압력실(3)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부력체(7)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량의 기포가 상기 압력실(3) 내로 모이게 되면, 그 기포에 의해 상기 압력실(3) 내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동작을 하게 되고, 상기 기포가 외부로 배출되고 나면,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상기 압력실(3) 내로 물이 채워짐에 따라 상승동작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용 보일러는, 물의 히팅과정에서 발생하는 역류된 기포가 상대적으로 수압이 작은 압력실(3)을 거쳐 수조통(1)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기포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기포에 의한 소음 및 순환장애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력실(3)의 하측에 순환실(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순환실(4)은, 상기 수조통(1) 내의 제1수용공간(10) 및 상기 압력실(3) 내의 제2수용공간(30)과 구별되는 제3수용공간(40)을 구비하고, 상기 히팅관(2) 측에서 역류된 기포의 상기 제3수용공간(40) 측으로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제1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실(4)에는, 상기 수조통(1) 내의 제1수용공간(10)에 수용된 물이 상기 매트의 튜브 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유입공(42)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유입공(42)들은 상기 순환실(4)을 형성하는 자체 구조에서 형성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실(3)을 형성하는 프레임(34)으로부터 상기 순환실(4) 측으로 연장된 구획리브(35)들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실(4)은, 상기 구획리브(35)들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하는 끼움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력실(3)을 형성하는 프레임(34)에는 상기 순환실(4) 측으로 연장된 구획리브(35)들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리브(35)들에는 각각 상기 유입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획리브(35)들에는 각각 개폐부재(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각 개폐부재(5)는, 상기 구획리브(35)에 대해 상대회전됨으로써, 상기 유입공(42)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조통(1) 내의 제1수용공간(10) 측에서 상기 매트 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5)들이 상기 유입공(42)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히팅관(2) 측에서 물이 역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재(5)들이 상기 유입공(42)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물의 역류를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실(3) 하측에 마련된 순환실(4)과 그 순환실(4) 측으로 물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개폐부재(5)들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는, 상기 수조통(1) 내의 공간을 상기 압력실(3)과 순환실(4)로 세분화하여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기포가 상대적으로 작은 수압이 발생하는 상기 순환실(4)을 거쳐 상기 압력실(3)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기포의 배출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압력실(3) 내에서의 기포의 이동 및 부력체(7)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2구멍(32)과 제3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구멍(32)은, 상기 순환실(4)과의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순환실(4)의 제1구멍(41)과 소통되고, 상기 제3구멍(33)은 상기 압력실(3)과 수조통(1)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압력실(3) 내의 제2수용공간(30)과 수조통(1) 내의 제1수용공간(10)을 서로 소통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보일러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된 기포가 상기 순환실(4)의 제1구멍(41)을 경유하여 상기 순환실(4)의 제3수용공간(40)에 유입된 후, 상기 제2구멍(32)을 경유하여 상기 압력실(3)의 제2수용공간(30)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기포들은, 상기 압력실(3) 내에서 상대적으로 수압이 낮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기포들의 배출압력이 수압보다 클 정도로 많은 양이 모이게 되면,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실(3)의 제3구멍(33)을 통과하여 수조통(1) 내의 제1수용공간(10) 측으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부력체(7)는, 상기 기포들이 상기 제3구멍(33)을 통과하기 전까지 그 제3구멍(33)을 폐쇄하게 되고, 그 기포들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수위의 변화에 따라 하측으로 하강된 다음,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멍(32)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다시 상측으로 상승됨으로써 상기 제3구멍(33)을 재차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트의 튜브 측으로 유입된 이후 역류하는 기포의 배출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히팅관(2)과 튜브 사이에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순환실(4)의 제3수용공간(40)에 접속되는 기포우회관(6)이 구비된다.
상기 기포우회관(6)은, 상기 히팅관(2)의 외부에서 그 히팅관(2)에 접속되고 상기 튜브 측과 인접한 위치에 접속되는 우회부(61)와 상기 우회부(61)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우회부(61)와 상기 제3수용공간(40)에 접속되는 기포수송부(62)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튜브 측에서 히팅관(2) 측으로 역류하는 기포가 일차적으로 상기 우회부(61)를 경유한 후 상기 기포수송부(62)를 통해 상기 순환실(4) 측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역류된 기포의 이동이 수압에 의한 저항을 덜 받게 하여 결국 기포배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구성에 더하여 지연캡(8), 지연부재(9)를 더 포함하고, 부력체(7)에는 지연부재(8)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돌기부(71)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지연캡(8)에는 상부에 제4구멍(9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연캡(8)은 압력실(3)에 체결되어 지연캡(8)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지연부재(9)는 하부의 일부가 개방된 통의 형상으로,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연부재(9)는 압력실(3)과 지연캡(8)이 체결되어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개방된 하부를 통해 부력체(7)의 돌기부(71)가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지연부재(9)는 실리콘 재질임에 따라 부력체(7)의 돌기부(71)를 지연부재(9) 내부에 억지 끼울 수 있다.
또한, 지연부재(9)는 내부에 삽입된 부력체(7)의 돌기부(7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부력체(7)를 감싸는 방향으로 돌기부(9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력체(7)의 돌기부(71)는 지연부재(9)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포 및 수압에 의해 지연부재(9)가 지연캡(8)의 제4구멍(91)을 폐쇄하거나 개방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보일러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된 기포가 상기 순환실(4)의 제1구멍(41)을 경유하여 상기 순환실(4)의 제3수용공간(40)에 유입된 후, 상기 제2구멍(32)을 경유하여 상기 압력실(3)의 제2수용공간(30)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기포들은, 상기 압력실(3) 내에서 상대적으로 수압이 낮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기포들의 배출압력이 수압보다 클 정도로 많은 양이 모이게 되면,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실(3)의 제3구멍(33)을 통과하여 압력실(3)과 지연캡(8)이 체결되어 형성된 수용공간에 유입된다. 만약, 지연부재(9)가 지연캡(8)의 제4구멍(91)을 폐쇄하고 있지 않을 경우, 기포들은 지연캡(8)의 제4구멍(91)을 통해 수조통(1) 내의 제1수용공간(10) 측으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부력체(7)는, 상기 기포들이 상기 제3구멍(33)을 통과하기 전까지 그 제3구멍(33)을 폐쇄할 뿐만 아니라 압력실(3)과 지연캡(8)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납된 지연부재(9)를 밀어 지연캡(8)의 제4구멍(91)을 폐쇄한다.
이후, 부력체(7)에 의해 기포들이 압력실(3)에 모이게 되면, 상기 압력실(3) 내에서 상대적으로 수압이 낮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부력체(7) 또한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부력체(7)가 하측으로 하강하더라도 지연캡(8)의 제4구멍(91)을 폐쇄하고 있던 지연부재(9)는 기압 차에 의해 개방되지 않고 폐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지연부재(9)는 기포에 의해 제4구멍(91)이 반복적으로 개폐되지 않고 지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후, 기포들이 압력실(3)에 더 많은 양이 모여, 부력체(7)가 더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면, 부력체(7)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71)가 지연부재(9)의 돌기부(92)에 맞닿게 되고, 부력체(7)가 추가로 하강하게 되면 부력체(7)의 돌기부(71)에 의해 지연부재(9)의 돌기부(92)를 강압적으로 하강시켜 지연캡(9)의 제4구멍(91)을 개방하게 되어, 압력실(3)의 기포들은 지연캡(8)의 제4구멍(91)을 통해 수조통(1) 내의 제1수용공간(10) 측으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수조통 10:제1수용공간
2:히팅관 3:압력실
30:제2수용공간 32:제2구멍
33:제3구멍 34:프레임
35:구획리브 4:순환실
40:제3수용공간 41:제1구멍
42:유입공 43:끼움홈
5:개폐부재 6:기포우회관
61:우회부 62:기포수송부
7:부력체 71:돌기부
8:지연캡 9:지연부재
91:제4구멍 92:돌기부

Claims (5)

  1. 물의 유로를 제공하는 튜브가 내장되어 있는 매트 측으로 상기 물을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상기 물이 수용되어 있는 수조통(1); 상기 수조통(1)과 튜브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수조통(1)으로부터 유출된 물을 히팅시켜 주는 히팅관(2); 상기 히팅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상기 수조통(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포 배출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기포 배출수단은,
    상기 수조통(1) 내에 마련되어서 상기 역류된 기포의 상기 수조통(1) 내에서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수조통(1) 내에 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10)과 구별되는 제2수용공간(30)을 구비하며, 상기 기포의 내부로의 유입 및 외부로의 배출에 따라 상기 제2수용공간(30) 내에서의 물의 수위가 달라지게 되는 압력실(3); 및
    상기 압력실(3)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압력실(3) 내로 유입된 기포의 배출을 상기 승강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부력체(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통(1) 내의 상기 압력실(3) 하측에 제3수용공간(40)을 형성하고, 상기 역류된 기포의 상기 제3수용공간(40) 측으로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제1구멍(41)과 상기 수조통(1) 내의 물이 상기 매트의 튜브 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유입공(42)이 배치되어 있는 순환실(4); 및
    상기 순환실(4)의 상기 한 쌍의 유입공(42)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한 쌍의 개폐부재(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보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실(3)은, 상기 순환실(4)과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구멍(41)과 소통되는 제2구멍(3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압력실(3) 내의 제2수용공간(30)과 상기 수조통(1)의 제1수용공간(10)을 서로 소통가능하게 하는 제3구멍(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보일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실(4)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1구멍(41)과 한 쌍의 유입공(42)들은, 상기 압력실(3)의 하측에서 상기 순환실(4) 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구획리브(35)들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실(4)은, 상기 구획리브(35)들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보일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관(2)의 외부에서 그 히팅관(2)에 접속되는 우회부(61)와, 상기 우회부(61)와 순환실(4)의 제3수용공간(40) 사이에 그 우회부(61) 및 제3수용공간(40)과 소통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히팅관(2) 내부에 배치되는 기포수송부(62)를 구비하는 기포우회관(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보일러.
KR20130055153A 2013-05-15 2013-05-15 온수 매트용 보일러 KR101487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153A KR101487085B1 (ko) 2013-05-15 2013-05-15 온수 매트용 보일러
CN201310628243.5A CN104165452A (zh) 2013-05-15 2013-11-29 热水垫用锅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153A KR101487085B1 (ko) 2013-05-15 2013-05-15 온수 매트용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993A true KR20140134993A (ko) 2014-11-25
KR101487085B1 KR101487085B1 (ko) 2015-01-27

Family

ID=5190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5153A KR101487085B1 (ko) 2013-05-15 2013-05-15 온수 매트용 보일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7085B1 (ko)
CN (1) CN1041654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590A (ko) * 2015-04-24 2016-11-02 윤한무 압력조절 기능이 구비된 온수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2510A (zh) * 2016-06-08 2016-08-17 湖北漆氏实业有限公司 智能水暖床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12739Y (zh) * 2005-05-24 2006-09-06 尤波 智能控制水热毯
KR100918522B1 (ko) * 2007-10-31 2009-09-24 삼원온스파주식회사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KR100948908B1 (ko) * 2009-09-29 2010-03-24 삼원온스파주식회사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JP5535860B2 (ja) * 2009-10-06 2014-07-02 チョンジンテファエレクトリックマシナリ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振動及び騷音低減構造を持つポンプハウジングを備えた温水ボイラー
CN201764659U (zh) * 2010-09-03 2011-03-16 舒定涛 自动排出气泡静音高效的即热式电加热器
CN102679526A (zh) * 2011-03-14 2012-09-19 株式会社阿梦西斯 用于加热热水垫的气泡旁路设备及包含其的热水垫组合件
KR101145359B1 (ko) * 2011-03-29 2012-05-25 박나단 온수 매트 난방용 기포 우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 매트 어셈블리
KR101109705B1 (ko) * 2011-03-28 2012-01-31 주식회사 케이아이 순간 온수공급기
KR200468024Y1 (ko) * 2011-05-06 2013-07-17 김창건 체크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590A (ko) * 2015-04-24 2016-11-02 윤한무 압력조절 기능이 구비된 온수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65452A (zh) 2014-11-26
KR101487085B1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167B1 (ko) 온수 순환 시스템
CN101991348A (zh) 一种电蒸箱外接自来水水箱装置
KR101487085B1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KR101347990B1 (ko)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CN101879041A (zh) 一种电蒸器水箱结构
CN102679558A (zh) 一种有序排出承压缸体内液体的装置
KR20130015778A (ko) 체크밸브 및 이 체크밸브가 이용되는 무동력 난방장치
KR101432194B1 (ko) 온수보일러를 이용한 온열매트
CN201719076U (zh) 一种电蒸器水箱结构
KR101564133B1 (ko) 정수기
KR101573798B1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KR101561927B1 (ko) 비데의 온수장치
KR101730145B1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KR101623839B1 (ko) 드럼 히터
KR200464684Y1 (ko) 비데의 온수탱크 구조
CN111435038B (zh) 一种具有防冻功能的热水器装置及其防冻方法
CN106247627A (zh) 一种高效节水控温装置
KR101617678B1 (ko) 온수보일러가 내장된 온수매트
KR102031084B1 (ko)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순간식 온수기
KR101523213B1 (ko) 유로막힘 감지기능을 갖는 가열장치
JPH0786245B2 (ja) 温水供給装置
KR20110005104U (ko) 소형 온수 보일러
KR101369875B1 (ko) 정수기용 순간 온수장치
JP6347412B2 (ja) 電気温水器
JPS6029036B2 (ja) 温度差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