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391Y1 -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1391Y1 KR200431391Y1 KR2020060017736U KR20060017736U KR200431391Y1 KR 200431391 Y1 KR200431391 Y1 KR 200431391Y1 KR 2020060017736 U KR2020060017736 U KR 2020060017736U KR 20060017736 U KR20060017736 U KR 20060017736U KR 200431391 Y1 KR200431391 Y1 KR 20043139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connecting member
- shaft connecting
- screw
- bea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with screws formed by straight tubes or drums having internal threads, or by spiral or helical 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2—Adaptations of bearings or couplings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scre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을 담당하는 축을 다수개의 스크류 축으로 결합하되, 상하 스크류축 간의 연결은 축연결부재에 의해 착탈식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이러한 축 연결부위를 지지하는 부재로 내구성 있는 베어링부재를 사용하여 원료공급시 축 연결 지지부재의 교체주기를 연장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원활한 분체 이송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직 분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수직 스크류축과, 이를 감싸는 원통케이스와, 상기 원통케이스의 하측 일지점에 형성된 원료의 투입구와, 상기 원통케이스의 상측 일지점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출구와, 배출구와 연결된 원료 공급용 파이프와, 상기 스크류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체를 이송하는 수직 스크류 컨베이어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스크류축이 수직하게 다단으로 적층 결합되는 축부재와; 상기 적층된 상하 스크류축 간을 축 결합시키는 축 연결부재와; 상기 축 연결부재의 마찰을 저감하면서 지지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베어링부재의 교체를 위한 점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다단축, 버켓, 분체, 이송장치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축으로 이루어진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의 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의 축연결부재가 장치되는 점검부재를 일정 구간에서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축 연결부에 구비된 케이스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상부축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연결부재를 구성하는 하부축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베어링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연결부재의 상·하부축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상·하 스크류 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축 연결부재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축 연결부재의 결합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축 연결부재와 베어링부재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축 연결부재와 베어링부재와 상·하 스크류 축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점검부재 내부에 장치된 축연결부재의 결합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축 연결부재와 베어링부재의 교체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4는 종래 버켓 엘레베이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5는 종래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의 일 지점 단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부재 (2) : 축 연결부재
(3) : 베어링부재 (4) : 점검 부재
(11) : 스크류축 (21) : 상부축연결부재
(22) : 하부축연결부재 (23) : 볼트
(31) : 베어링 (32) : 베어링지지리브
(33) : 베어링결합부 (34, 214, 224) : 홈
(41) : 상측점검케이스 (42) : 하측점검케이스
(43) : 점검부재덮개 (44) : 홈
(211, 221) : 스크류축삽입부 (212, 222) : 돌출부
(213, 223) : 요철부 (410, 420) : 플랜지
본 고안은 다단축으로 이루어진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분체를 수직 이송시 회전축을 다단으로 구성하고, 상하 회전축 간의 연결부위를 분리식으로 구성하여 회전 마찰력을 저감하는 부재로 분리 가능한 베어링 구조를 적용하여 수직 회전시 수평방향 진동을 저감하고, 축회전에 따른 내구성을 높인 분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체 이송장치는 시멘트, 사료, 곡물, 각종 분말 등과 같이 그 재료의 크기 및 무게가 매우 작은 분체를 이송하는 장치를 말하는데, 이러한 분체를 이용하여 최종 제품으로 생산하는 산업현장에서는 각 공정에 따라 원료인 분체를 사일로 등에 저장하기 위해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이송해야 하는데, 일반적인 이송장치 즉, 개방부를 가지는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장치로 이송시는 비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보통 원통관과 같은 이송관을 사용하여 분체를 이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분체의 이송 장치 중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장치 수단으로는 수평 스크류 피더(컨베이어), 진공이송장치 등이 있고, 수직방향으로 분체를 이송시키는 장치 수단으로는 버켓 엘리베이터, 버티컬 스크류 피더(컨베이어) 등이 있다.
상기 분체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은 하중이 길이 방향으로 여러 지점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어서 안정적인 축 회전을 하게 된다.
하지만 분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은 하중이 일 축지점에 몰려 있어서, 버티컬 스크류 피더와 같은 수직 축 회전시 편심이 발생하여 스크류 피더(컨베이어)를 감싸는 케이스와 스크류 날개가 마모될 수 있고, 또한 회전축을 감싸는 부시 등의 소모품이 쉽게 소모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종래 수직 이송장치를 이하 설명한다.
도 14는 종래 버켓 엘리베이터를 보인 단면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 엘리베이터의 구조 및 작용은 다수개의 버켓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에 일측이 연결되어 컨베이어의 이송에 따라 이송하면서 하부에 저장된 분체를 담아 목적지인 상부까지 이송 후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방향이 반전되면서 버켓이 뒤집어져 버켓 안에 담겨진 분체가 공급대상 목적지에 공급되는 구조와 작용을 가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버켓 엘리베이터의 문제점으로는 유한개의 버켓을 일일이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함에 따른 설치상의 어려움과, 장치 구조상 이송능력에 비해 과다한 설치면적이 소요되고, 설치 높이도 버켓이 뒤집어진 후 분체가 공 급되는 구조여서 저장조(사일로)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갖도록 설치해야 하는 설치 구조상의 문제점 있다.
또한 유한개의 버켓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분체의 연속적인 공급과 고속공급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서 버켓 크기에 비해 이송능력이 작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송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버켓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데 이 경우 모터의 용량도 함께 커져야 하고, 버켓 엘리베이터 설치 장소 역시 더 넓어지거나 거 높아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버켓 엘리베이터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치공간이 작고, 전체적인 이송장치의 크기가 작고, 연속 및 고속으로 분체를 이송하는 방식으로는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방식이 있는데, 도 15는 이러한 종래 수직 스크류 컨베이어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도 분체이송을 위한 회전축이 단일 스크류축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하고 있어서, 다수개의 스크류축을 단일축으로 일체화하기 위해 단위 스크류축을 용접 등으로 일체화하는데 따른 많은 시간과 축 회전시의 상하 편차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다.
결국 길이가 긴 단일축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회전시 편심이 크다는 문제점과, 이러한 단일 스크류축의 회전을 지지하여 편심이 생기지 않게 하는 부재 선택시 베어링과 같은 내구성 좋은 마찰저감재를 구조상 설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 이 있다. 그 이유는 베어링을 설치시 베어링 교체주기에 따른 교체작업을 위해서는 단일축 상에서 베어링을 빼내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결국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를 모두 해체해야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상기 종래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방식에서는 두 조각으로 분리되는 부시를 사용하여 용접된 스크류축 연결부위의 회전축 부위와 접촉시키고, 이 부시의 후단부와 용접된 지지부재를 원통관 케이스에 고정하도록 구성하였는데, 이러한 구조에 사용되는 부시는 스크류축과의 회전 접촉에 따른 마모로 인해 그 교체주기가 너무 빨라 부시의 교체를 위해 공정이 중단됨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원료 공급이 어려워 실제 분체 이송공정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을 담당하는 축을 다수개의 스크류 축으로 결합하되, 상하 스크류축 간의 연결은 축연결부재에 의해 착탈식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이러한 축 연결부위를 지지하는 부재로 내구성 있는 베어링부재를 사용하여 원료공급시 축 연결 지지부재의 교체주기를 연장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원활한 분체 이송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직 분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수직 스크류축과, 이를 감싸는 원통케이스와, 상기 원통케이스의 하측 일지점에 형성된 원료의 투입구와, 상기 원통케이스의 상측 일지점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출구와, 배출구와 연결된 원료 공급용 파이프와, 상기 스크류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체를 이송하는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스크류축이 수직하게 다단으로 적층 결합되는 축부재와; 상기 적층된 상하 스크류축 간을 축 결합시키는 축 연결부재와; 상기 축 연결부재의 마찰을 저감하면서 지지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베어링부재의 교체를 위한 점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연결부재는 상부축연결부재와 하부축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축연결부재는 스크류축의 하부 내경부에 삽입되는 스크류축삽입부와, 스크류축 삽입시 스크류축의 하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끝단을 단속하도록 스크류축삽입부의 하단부 일지점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와, 내경에 수직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축연결부재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에는 내경까지 관통되는 홈이 형성되어 하부축연결부재가 삽입시 하부 축연결부재에 형성된 동일축상의 동일 내경을 가지는 홈까지 볼트가 관통 삽입되어 회전시 맞물린 상·하부축연결부재간의 상하 유격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볼트가 스크류축의 하중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스크류축의 하 중의 최하단에 형성된 통상적인 회전축 지지부재(베어링)가 지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축연결부재는 스크류축의 상부 내경부에 삽입되는 스크류축삽입부와, 스크류축 삽입시 스크류축의 상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끝단을 단속하도록 스크류축삽입부의 상단부 일지점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경둘레를 따라 상부축연결부재의 내경에 형성된 요철에 맞물리도록 수직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축연결부재에 형성된 요철부에는 상기 상부축연결부재의 돌출부에 형성된 홈과 동일축상에서 동일 내경을 가지는 홈이 형성되어 상부축연결부재와 삽입시 볼트가 관통 삽입되어 회전시 맞물린 상·하부축연결부재간의 상하 유격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하부축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고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베어링과; 이 베어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고정지지하는 베어링지지리브와; 이 베어링지지리브와 내경부 일지점에서 결합되고, 외경부는 원통케이스에 내경과 접하여 그 둘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에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이 원통케이스에 형성된 홈을 관통하여 원통케이스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베어링결합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지지리브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지지리브는 베어링과 베어링결합부를 연결시 상부면과 하부면이 수직하지 않고 하부면이 회전방향쪽으로 진행한 형태가 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시켜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한 고정 지지력을 강화시킨 구조로 구성한 다.
상기 점검부재는 원통케이스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일측에 상하측 원통케이스의 플랜지에 대응하는 홈을 관통한 볼트너트로 결합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상측점검케이스 및 하측점검케이스와;
상하측 점검케이스의 경계부에 형성된 베어링결합부에 형성된 홈과 동일내경을 가지는 홈과;
상하측 점검케이스의 경계부에 형성된 점검부재덮개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축으로 이루어진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의 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의 축연결부재가 장치되는 점검부재를 일정 구간에서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축 연결부에 구비된 케이스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내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고안의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는 기본적으로 통상의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처럼 분체를 이송하는 수직 스크류축과, 이러한 수직스크류축을 감싸는 원통케이스(50)와, 상기 원통케이스의 하측 일지점에 형성된 원료의 투입구(51)와, 상기 원통케이스(50)의 상측 일지점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출구(52)와, 배출구와 연결된 원료 공급용 파이프(53, 53')와, 상기 스크류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54)와, 투입구 하단에 구비되어 개폐되는 점검구(55)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도면에서 배출구와 연결된 원료 공급용 파이프는 2개의 경로를 가지도록 도시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공급 파이프라인 설계시 일측 파이프는 제품 생산을 위한 공정으로 공급되고, 타측 파이프는 제품생산이 중단되면, 분체 공급 유로를 변경하여 별도의 저장소인 사일로(도시 없음)로 보내기 위해 2개의 파이프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스크류축의 구동축은 하부에서 지지되고, 상부에 설치된 모터(54)에 의해 구동되는데 스크류축과 모터는 체인에 의한 동력 전달이 아닌 수평구동력전달 방식의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력이 제공됨으로써 설치 위치가 감소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원료의 투입구(51) 하단에 위치한 점검구(55)의 덮개를 열고 원료인 분체를 공급할 수도 있는데 실제로는 투입구에 연결된 수평 스크류 피더(56)를 이용하여 연속공급할 수 있다. 수평 스크류피더의 구성은 상부에 형성된 호퍼(561) 및 스크류축 구동용 모터(5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설치된 원통케이스(50) 중간 중간에는 점검부재(4)가 설치된다. 이 점검부재(4)는 베어링부재 교체시 해체되어도 점검부재의 상하부에 설치된 원통케이스(50)는 그 상하부에서 각각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거나, 별도의 외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교체 작업시 안전상의 문제 없이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점검부재(4)가 설치된 지점의 내부에는 본 고안의 스크류축(11)으로 이루어진 축부재(1)를 연결하는 축연결부재(2) 및 베어링부재(3) 등이 설치된다.
점검부재(4)의 외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케이스(50)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일측에 상하측 원통케이스의 플랜지(510)에 대응하는 홈(도시없음)을 관통한 볼트너트(도시없음)로 결합되는 플랜지(410, 420)가 형성된 상측점검케이스(41) 및 하측점검케이스(42)와; 상하측 점검케이스(41, 42)의 경계부에 형성된 베어링결합부(33)에 형성된 홈(34)과 동일내경을 가지는 홈(44)과; 상하측 점검케이스(41, 42)의 경계부에 형성된 점검부재덮개(43)로 구성된다.
상기 각 플랜지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원통케이스(5) 또는 상측점검케이스(41) 및 하측점검케이스(42)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상 미도시 되었으나 상하 면접촉하고 있는 플랜지간에는 동일 축상의 홈이 형성되어 이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볼트가 관통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볼트 너트에 의한 플랜지 고정은 통상적인 결합이다.
또한 도면상 미도시 되었으나 점검부재덮개(43)는 볼트 너트에 의해 상측점검케이스(41) 및 하측점검케이스(42)와 결합되던가 아니면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결합은 통상적인 결합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상부축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연결부재를 구성하는 하부축 연결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고안의 축연결부재는 상부축연결부재(21)와 하부축연결부재(22) 로 이루어지는데, 상부축연결부재(21)는 스크류축(11)의 하부 내경부에 삽입되는 스크류축삽입부(211)와, 스크류축(11) 삽입시 스크류축의 하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끝단을 단속하도록 스크류축삽입부의 하단부 일지점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212)와, 내경에 수직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21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축연결부재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에는 내경까지 관통되는 홈(214)이 형성되어 하부축연결부재(22)가 삽입시 하부축연결부재에 형성된 동일축상의 동일 내경을 가지는 홈까지 볼트가 관통 삽입되어 회전시 맞물린 상·하부축연결부재간의 상하 유격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볼트가 스크류축(11)의 하중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스크류축의 하중의 최하단에 형성된 통상적인 회전축 지지부재(베어링- 도시없음)가 지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축연결부재(22)는 스크류축의 상부 내경부에 삽입되는 스크류축삽입부(221)와, 스크류축(11) 삽입시 스크류축의 상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끝단을 단속하도록 스크류축삽입부의 상단부 일지점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222)와, 상기 돌출부의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경둘레를 따라 상부축연결부재의 내경에 형성된 요철에 맞물리도록 수직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223)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축연결부재에 형성된 요철부(223)에는 상기 상부축연결부재의 돌출부에 형성된 홈과 동일축상에서 동일 내경을 가지는 홈(224)이 형성되어 상부축연결부재(21)와 삽입시 볼트가 관통 삽입되어 회전시 맞물린 상·하부축연결부재간의 상하 유격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베어링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고안 베어링부재(3)는 상·하부축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고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베어링(31)과; 이 베어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고정지지하는 베어링지지리브(32)와; 이 베어링지지리브와 내경부 일지점에서 결합되고, 외경부는 원통케이스에 내경과 접하여 그 둘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34)에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이 원통케이스에 형성된 홈을 관통하여 원통케이스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베어링결합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베어링지지리브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바람직하게 3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숫자에 본 고안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상기 베어링지지리브는 베어링과 베어링결합부를 연결시 상부면과 하부면이 수직하지 않고 하부면이 회전방향쪽으로 진행한 형태가 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시켜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한 고정 지지력을 강화시킨 구조로 구성한다. 이러한 형상은 본 고안을 한정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지 않으면 스크류축 회전시 진동이 심해지고, 이에 따라 편심이 발생하고, 원통케이스와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일측의 마찰이 더 심하게 진행되어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축연결부재의 상·하부축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상·하 스크류축을 보인 사시도인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또 한 상·하 스크류축간을 축연결부재로 결합시 약간의 스크류 날개가 연속되지 않는 중단부분이 생기는데 이 경우 분체의 이송은 하부로부터 지속적인 분체 공급에 의해 분체가 공간부에 쌓인 후 상부부분부터 다시 스크류축을 따라 수직 이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 및 분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축 연결부재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축 연결부재의 결합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축 연결부재와 베어링부재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축 연결부재와 베어링부재와 상·하 스크류 축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점검부재 내부에 장치된 축연결부재의 결합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고안은 상부에 위치한 스크류축(11)의 하단에 상부축연결부재(21)의 스크류축삽입부(211)를 삽입 후 용접하고, 하부에 위치한 스크류축(11)의 상단에 하부축연결부재(22)의 스크류축삽입부(221)를 삽입 후 용접하여 상하 각각의 축부재 일체로 결합된 축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는 각각의 스크류축(11) 타측에 동일한 용접으로 상부 또는 하부 축연결부재를 용접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축연결부재와 하부측연결부재가 구비되면 베어링부재(3)를 하부축연결부재(22)의 요철부(223)에 끼운 상태에서 상하측 연결부재에 형성된 요 철부(213, 223)의 홈을 맞춘 후 끼우면 상하 스크류축이 용접없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도 8, 9에서는 스크류축과 베어링부재 없이 결합된 것을 보였지만 이는 상부축연결부재와 하부측연결부재간의 연결을 알기 쉽게 보여 주기 위함이고, 실제로는 도 10과 같이 결합된다. 물론 도 10도 스크류축을 제외한 상태의 결합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시 상하 유격을 단속하기 위해 볼트(23)를 홈(214, 224)를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볼트가 상하 스크류축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본원 고안의 다단 스크류축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모터에 의한 동력 전달이 각 스크류축을 통해 동시에 전달되게 된다.
또한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축 연결부재와 베어링부재의 교체를 보인 예시도인데, 도 8 내지 12에서 설명된 결합방법과 반대의 방법으로 분해된다. 즉, 유격을 단속하는 볼트를 푼 상태에서 하부의 스크류축을 지지하는 통상의 회전 지지부재(도시없음)의 지지력을 해제하여 하부스크류축을 하부방향으로 내려놓는다. 이에 따라 상부축연결부재(21)와 하부축연결부재(22)의 결합이 해제되게 되고, 이후 사용에 의해 마모된 베어링부재를 점검부재를 통해 빼내거나 점검부재를 해제한 후 빼내면 된다. 이때 베어링부재와 원통케이스를 볼트 너트로 고정하고 있는 베어링결합부의 볼트를 해제해서 분리해야 베어링부재가 원통케이스와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 및 분해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의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장치는 베어링부재 교체방식으로 인해 종래와 같이 전체 장치의 해체 없이 일부분만 해체하여 마모된 베어링부재를 간단히 교체하기만 하면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의 분체의 이송을 담당하는 스크류축을 착탈식 연결부재에 의해 축결합되는 스크류축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종래와 같이 용접에 의한 단일축으로 가공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과, 내구성이 높은 베어링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분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는 장점과, 베어링부재 마모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의 해체 없이 점검부재를 통해 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고안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8)
- 수직 스크류축과, 이를 감싸는 원통케이스와, 상기 원통케이스의 하측 일지점에 형성된 원료의 투입구와, 상기 원통케이스의 상측 일지점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출구와, 배출구와 연결된 원료 공급용 파이프와, 상기 스크류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체를 이송하는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에 있어서,적어도 두개 이상의 스크류축(11)이 수직하게 다단으로 적층 결합되는 축부재(1)와;상기 적층된 상하 스크류축(11) 간을 축 결합시키는 축 연결부재(2)와;상기 축 연결부재(2)의 마찰을 저감하면서 지지하는 베어링부재(3)와;상기 베어링부재(3)의 교체를 위한 점검부재(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축연결부재(2)는 상부축연결부재(21)와 하부축연결부재(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상부축연결부재(21)는 스크류축(11)의 하부 내경부에 삽입되는 스크류축삽입부와, 스크류축(11) 삽입시 스크류축(11)의 하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끝단을 단속하도록 스크류축삽입부의 하단부 일지점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212)와, 내경에 수직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2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하부축연결부재(22)는 스크류축(11)의 상부 내경부에 삽입되는 스크류축삽입부(221)와, 스크류축(11) 삽입시 스크류축의 상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끝단을 단속하도록 스크류축삽입부의 상단부 일지점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222)와, 상기 돌출부의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경둘레를 따라 상부축연결부재의 내경에 형성된 요철에 맞물리도록 수직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2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상부축연결부재(21)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에는 내경까지 관통되는 홈(214)이 형성되어 하부축연결부재(22)가 삽입시 하부축연결부재(22)에 형성된 동일축상의 동일 내경을 가지는 홈까지 볼트가 관통 삽입되어 회전시 맞물린 상·하부축연결부재간의 상하 유격을 단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하부축연결부재(22)에 형성된 요철부에는 상기 상부축연결부재(21)의 돌출부에 형성된 홈과 동일축상에서 동일 내경을 가지는 홈(224)이 형성되어 상부축연결부재(21)와 삽입시 볼트가 관통 삽입되어 회전시 맞물린 상·하부축연결부재간의 상하 유격을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베어링부재(3)는 상·하부축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고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베어링(31)과; 이 베어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고정지지하는 베어링지지리브(32)와; 이 베어링지지리브(32)와 내경부 일지점에서 결합되고, 외경부는 원통케이스에 내경과 접하여 그 둘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34)에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이 원통케이스에 형성된 홈을 관통하여 원통케이스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베어링결합부(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베어링지지리브(32)는 베어링(31)과 베어링결합부(33)를 연결시 상부면과 하부면이 수직하지 않고 하부면이 회전방향쪽으로 진행한 형태가 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시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7736U KR200431391Y1 (ko) | 2006-06-30 | 2006-06-30 |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7736U KR200431391Y1 (ko) | 2006-06-30 | 2006-06-30 |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0443 Division | 2006-06-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1391Y1 true KR200431391Y1 (ko) | 2006-11-23 |
Family
ID=4177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7736U KR200431391Y1 (ko) | 2006-06-30 | 2006-06-30 |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139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7556B1 (ko) * | 2010-03-02 | 2011-01-14 | 주식회사 신흥기공 | 팁 교체가 부분적으로 가능한 세그먼트 연결형 스크루 모듈 |
KR101732999B1 (ko) | 2016-09-23 | 2017-05-08 | (주)수산인더스트리 | 석탄 하역기 인렛 어셈블리 정비용 툴 |
-
2006
- 2006-06-30 KR KR2020060017736U patent/KR20043139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7556B1 (ko) * | 2010-03-02 | 2011-01-14 | 주식회사 신흥기공 | 팁 교체가 부분적으로 가능한 세그먼트 연결형 스크루 모듈 |
KR101732999B1 (ko) | 2016-09-23 | 2017-05-08 | (주)수산인더스트리 | 석탄 하역기 인렛 어셈블리 정비용 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418019B (zh) | 具有去污特征部的输送系统装置 | |
US6651805B2 (en) | High-gradient high-pump-head screw conveyor device | |
CN1200097A (zh) | 螺旋推运器的驱动装置和方法 | |
KR200431391Y1 (ko) | 다단축으로 결합된 버티컬 스크류 컨베이어 | |
JP2006264963A (ja) | 回転ドラムコンベア | |
KR102307109B1 (ko) | 원료 이송용 튜브형 디스크 컨베이어 | |
KR101271722B1 (ko) |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 | |
JP2001278434A (ja) | 粉粒体供給装置 | |
JP2011016596A (ja) | 搬送装置 | |
CN212798749U (zh) | 一种螺旋输送机 | |
CN210654921U (zh) | 封闭式无轴螺旋输送装置 | |
EP2010822A1 (en) | Device at a container for combustible goods arranged to be transported by a conveyor from the container to subsequent management | |
US11053080B2 (en) | Eyelink belt drive systems and methods | |
CN209854796U (zh) | 破碎料斗以及带有该破碎料斗的挖掘机 | |
JP5572333B2 (ja) | 搬送装置 | |
CN208377686U (zh) | 一种带横格式耐磨防静电大倾角输送装置 | |
CN208165917U (zh) | 一种实现快速装料的螺旋输送机 | |
KR100461982B1 (ko) | 링크체인을 이용한 컨베이어 장치 | |
CN215591785U (zh) | 一种高耐磨性耐磨螺旋输送机 | |
JP7541320B2 (ja) | スクリューフィーダー | |
CN210479893U (zh) | 一种铸石型埋刮板输送机 | |
CN215853488U (zh) | 一种分段式螺旋输送机 | |
US4446963A (en) | Return chain roller support for en masse conveyor | |
CN220148373U (zh) | 一种驱动中置式螺旋输送设备 | |
CN219326342U (zh) | 半自动分装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