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168Y1 -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168Y1
KR200431168Y1 KR2020060023902U KR20060023902U KR200431168Y1 KR 200431168 Y1 KR200431168 Y1 KR 200431168Y1 KR 2020060023902 U KR2020060023902 U KR 2020060023902U KR 20060023902 U KR20060023902 U KR 20060023902U KR 200431168 Y1 KR200431168 Y1 KR 200431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et
forming
pinch roll
forming rol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Original Assignee
김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선 filed Critical 김동선
Priority to KR2020060023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1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7Devices for handl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7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frames for openings, e.g. for windows, doors, handbags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이 커팅된 철강코일 및 패널을 핀치롤 세트와 성형롤 세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용이하게 절곡시키도록 하여 창호 프레임 제작의 편리성과 경제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이커팅된 프레임을 모따기 등을 하기 위해 부분 펀칭하는 펀칭기와; 상기 판재의 평탄도를 높이기 위해 판재의 상하부를 롤러로 가압하는 레벨러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판재를 강제 이송시키는 능동형 상하부 롤러 형태이며, 일직선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종 성형 작업구간에 연속적인 판재의 이송이 가능토록 하는 다수개조의 핀치롤 세트와; 상기 핀치롤 세트 중간의 성형 작업구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되 별도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수동형 회전 롤러 형태이며, 핀치롤을 통해 이송되는 판재의 브이 커팅부의 절곡부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선택적으로 절곡시키는 다수개조의 성형롤 세트와; 상기 핀치롤 세트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창호, 프레임

Description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Windows and Door Frame Manufacturing Unit}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레이아웃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성형롤 세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성형롤 세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성형롤 세트 구성도.
도 5a - 5e는 본 고안의 핀치롤 세트 구성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 1 공정 타입도.
도 6b는 본 고안의 제 2 공정타입도.
도 7a는 본 고안의 제 3 공정타입도.
도 7b는 본 고안의 제 4 공정타입도.
도 8a는 본 고안의 제 5 공정타입도.
도 8b는 본 고안의 제 6 공정타입도.
도 9는 본 고안의 고속 펀칭기 상하 금형도.
도 10은 본 고안의 핀치롤 조립도.
도 11은 본 고안의 성형롤 A조립도.
도 12는 본 고안의 상부 핀치롤 구동방식 설명도.
도 13은 본 고안의 성형롤 기계 구조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어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펀칭기
20: 레벨러
30: 핀치롤 세트
40: 성형롤 세트
50: 전동모터
60: 교정롤
70: 절단기
80: 제어장치
90: 엔코더
100: 브이커팅 장치
110: 제품 적치대
120: 판재
본 고안은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이 커팅된 철강코일 및 패널을 핀치롤 세트와 성형롤 세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용이하게 절곡시키도록 하여 창호 프레임 제작의 편리성과 경제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창호는 단열기능 및 방음기능이 있으며 주로 일반주택 및 상가 가옥 아파트 사무실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그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PVC 등이며, 그 구성은 벽체에 고정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힌지 결합되는 창문틀로 이루어진다.
한편, 단열창호를 제작하기 위한 건축용 스테인레스 판재는 폭 1m 길이 3m 또는 4m로 규격화되어 시중에 판매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가 1층 점포 윈도우프레임 높이는 2.6m - 2.7m 내외다. 따라서 비싼 스테인레스 3m 판재는 2.7m 이하로 절단되어 30cm 이상 버려진 잔재는 고철로 처분된다. 폭도 1m 규격이어서 이것으로 창호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해 재단(절단)하려면 잔재와 짜투리가 많이 생겨 원가 상승의 큰 원인이 되고 자원 낭비가 크다.
또한, 절곡 공정은 절곡기의 날로 V컷팅 된곳을 순차적으로 눌러 필요한 각도를 맞추고 프레임에 따라서는 절곡기 날도 교체하여 순차적으로 판재를 뒤집어가면서 절곡하여 프레임을 완성한다. 그리고 숙련공의 능력에 따라 불량률과 생산능력 제품의 질이 차이가 나며, 위와 같은 문제점이있으나 윈도우 창호 프레임의 가공방법이 종전의 절곡기에 의한 절곡 방법뿐이었다.
그리고 기존의 절곡기에 의한 상가 윈도어 프레임은 방음, 방풍과 먼지 등에 취약하며 특히 단열성이 떨어져 냉.난방때 에너지 손실이 많았다. 그리하여 강화유리도어에는 상하 H바(강화유리 아래, 위 끝에 끼워서 유리를 보호하고 후로아 훤지 의 롯트를 부착 고정하는 스텐프레임)에 방음 방풍을 위해 모헤야 홈이 있어 모헤야를 끼워 방풍을 차단하는 제품도 있으나 스테인레스 프레임과 강화유리도어 사이에 틈이 있어 먼지와 바람이 들어와서 문풍지나 테이프를 붙쳐 해결하려하였으나 외관이 좋지 못하고 실용성이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창호용 프레임의 판재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핀치롤 세트와 성형롤 세트를 구비하여 제품의 절곡부위에 선택적으로 물리적 압력을 가하여 보다 편리한 제작과 더불어 경제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브이커팅된 프레임을 필요시 모따기를 하기 위해 부분 펀칭하는 펀칭기와; 상기 판재의 평탄도를 높이기 위해 판재의 상하부를 롤러로 가압하는 레벨러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판재를 강제 이송시키는 능동형 상하부 롤러 형태이며, 일직선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종 성형 작업구간에 연속적인 판재의 이송이 가능토록 하는 다수개조의 핀치롤 세트와; 상기 핀치롤 세트 중간의 성형 작업구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되 별도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수동형 회전 롤러 형태이며, 핀치롤을 통해 이송되는 판재의 브이 커팅부의 절곡부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선택적으로 절곡시키는 다수개조의 성형롤 세트와; 상기 핀치롤 세트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모터와; 성형이 완 료된 판재의 상하 좌우면을 교정하는 상하 및 좌우 교정롤과; 교정이 완료된 판재를 절단하는 절단기 및; 상기 핀치롤 세트의 구동과 성형롤 세트의 상하좌우 움직임을 제어하여 원하는 가압압력으로 원하는 부위의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성형롤 세트는 가압조정이 상,하,좌,우로 가능토록 볼트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 축과 이를 회동하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을 따라 유동하는 너트부가 성형롤 지지대에 부가되며, 소재의 절곡부위를 단계별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조가 세트로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성형롤 세트는 절곡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일개의 절곡면을 절곡시키기 위한 형상을 구비하고, 성형롤 세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핀치롤 세트는 절곡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형상과 치수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볼트 및 너트 결합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판재의 브이홈을 가공하는 단계와; 절단할 부위를 펀칭하는 단계와; 핀치롤 세트를 구동하여 판재를 강제이송시키는 단계와; 제작할 프레임의 가공 형태에 필요한 성형롤 세트만을 구동하는 단계와; 펀칭된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레이아웃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성형롤 세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성형롤 세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성형롤 세트 구성도.
도 5a - 도 5e는 본 고안의 핀치롤 세트 구성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 1 공정 타입도.
도 6b는 본 고안의 제 2 공정타입도.
도 7a는 본 고안의 제 3 공정타입도.
도 7b는 본 고안의 제 4 공정타입도.
도 8a는 본 고안의 제 5 공정타입도.
도 8b는 본 고안의 제 6 공정타입도.
도 9는 본 고안의 고속 펀칭기 상하 금형도.
도 10은 본 고안의 펀치롤 조립도.
도 11은 본 고안의 성형롤 조립도.
도 12는 본 고안의 상부 핀치롤 구동방식 설명도.
도 13은 본 고안의 성형롤 기계 구조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어장치 구성도.
본 고안은 크게 펀칭기(10)와, 레벨러(20)와, 핀치롤 세트(30)와, 성형롤 세트(40)와, 전동모터(50)와, 교정롤(60)과, 절단기(70)와, 제어장치(80), 엔코더(90)로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100은 브이커팅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고, 110은 제품 적치대를 나타낸 것이며, 120은 판재를 나타낸다.
상기 펀칭기(10)는 브이커팅된 판재(120)에 일정한 간격으로 필요한 모따기 작업을 위해 설치된다.
물론, 통상 코일 형태로 판재(120)가 감겨있기 때문에 코일을 풀면서 상기 펀칭기(10)를 사용하여 모따기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고, 판재를 사각 패널 형상으로 제작한 후에 펀칭기(10)를 사용한 모따기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벨러(20)는 상하부 롤러로 이루어지며 브이커팅된 판재(120)를 상하부에서 가압함으로써 판재(120)의 평판도를 높여서 보다 양질의 제품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핀치롤 세트(30)는 판재(120)를 강제 이송시키는 능동형 롤러로서, 상부 롤러(30a)와 하부 롤러(30b)로 이루어지며, 상부 롤러(30a)는 굴곡이 없는 원통형상으로 전동모터(50)에 연결되어 외부 동력을 지원받아 강제로 회전하며, 하부 롤러(30b)는 작업의 각 단계에 맞는 판재(120)의 성형폼으로 다양한 굴곡이 형성되어 판재를 원할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 - 도 5e는 핀치롤 세트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바, 성형된 판재(120)의 형태에 상응하여 하부 롤러(30b)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는 총 7개의 핀치롤 세트(30)를 구비하였으며, 설명의 편의상 X1 - X7로 기재한다.
즉, 상기에서 핀치롤 세트(30)의 하부 롤러(30b)는 다양한 굴곡을 갖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각각의 제작단계에서 판재의 폼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폼에 맞추어서 굴곡을 형성하여야 원할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핀치롤 세트(3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어서 성형되는 판재를 원할하게 다른 성형작업구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성형롤 세트(40)는 핀치롤 세트(30) 중간에 삽입 설치되며, 별도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고 절곡할 부분을 선택적으로 절곡시키도록 세트 단위로 다수개조 구성된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는 총 12개조의 성형롤을 예시하고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4개조를 1개의 블록 단위로 표시하여 총 3개의 블록단위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도면번호를 1개 블록단위로 배치하여 제 1 블록은 A1, A2, A3, A4로 기재하고, 제 2 블록은 B1, B2, B3, B4로 기재하며, 제 3 블록은 C1, C2, C3, C4로 기재토록 한다.
즉, 성형롤 세트(40)는 작업단계 절곡할 부위를 구부릴 수 있도록 세트로 구성되며, 초기에는 45도로 구부린후 다음단계에서 90도로 구부려서 직각 상태로 판재를 성형할 수 있으며,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한단계 더 추가하여 절곡부위가 자 연스럽게 직각상태로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성형롤 세트(40)를 이용하여 절곡할 부위에만 롤러를 사용하여 절곡시키는바, 이는 종래 포밍 성형장치가 성형롤에 동력을 전달하여 판재 전체를 가압하면서 이송시키는 것과 차별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판재가 이송되는 도중에 절곡될 부위만을 롤러로 가압하므로 물성이 보호되면서 판재를 절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판재의 전체를 물고 들어가면서 판재를 성형하게 되면 가압롤러가 판재의 전체를 압착하면서 이송시키기 때문에 판재의 전체면을 가압하면서 판재의 물성이 약해져 재질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판재가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절곡할 부위만 성형롤 세트(40)가 가압시키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판재를 자극하지 않아 물성이 보호되어 판재의 강성이 충분히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성형롤 세트(40)는 핸들(41)과 나사산이 형성된 축(42) 및 너트구조(43)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피치를 조절할 수도 있고, 감속모터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피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는바,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핸들(41)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성형롤 세트(40)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데, 상기 핸들(41) 대신에 감속모터를 연결하게 되면 제어장치(80)에 의한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핸들을 회전하면 너트부(43)가 움직이며, 상기 너트부(43)에 연결된 지지대(44)가 유동하여 성형롤 연결단(45)을 좌우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다. 또한, 상하 움직임 역시 상하 유동을 위한 핸들(41)을 회전하면 성형롤 연결단을 상하로 유동시켜 성형롤 세트(40)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선택된 모델에 필요한 성형롤 세트(40)만을 필요한 피치로 배열하여 작업에 참가시키고, 선택되지 않은 성형롤 세트(40)는 작업구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피치를 조절하여 작업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동모터(50)는 핀치롤 세트(30)의 상부 롤러(30a)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체인으로 상부 롤러(30a)와 모터(50)를 연결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벨트나 기어연결등 기타 다양한 연결수단으로 상호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교정롤(60)은 모든 성형이 완료된 판재의 상하 좌우면을 교정하는 수단으로 완벽하게 직각상태로 판재가 성형되도록 마지막 정비작업을 하며, 상기 절단기(70)는 교정이 완료되면 판재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토록 한다.
절단하는 크기는 엔코드(90)로 미리 길이를 표시하여 두기 때문에 표시된 크기대로 절단기(70)가 절단하며, 코일판재로 작업하게 되면 일정한 크기 단위로 연속적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자투리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상기 제어장치(80)는 핀치롤 세트(30)와 성형롤 세트(40)와 펀칭기(10) 및 절단기(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핀치롤 세트(30)의 구동을 제어하고, 아울러 성형롤 세트(4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원하는 모델의 창호 프레임이 생성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제어한다.
즉, 본 고안의 다양한 모델을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성형롤 세트(30)를 구비 하고, 작업에 필요한 성형롤 세트만을 구동하고 나머지는 구동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다양한 모델을 한가지 기계 어셈블리에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작업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총 6가지 타입의 모델을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는바, 원하는 모델을 선택하고, 이에 해당하는 성형롤의 피치를 조절하여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성형롤의 피치는 감속모터에 의해서 자동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핸들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선택된 성형롤의 피치 조절이 완료되면 핀치롤 세트(30)를 구동하여 판재(120)를 이송시키고, 상기 판재는 레벨러(20)를 지나 펀칭기(10)에서 모따기가 실시되며, 제 1 핀치롤 세트(X1)에 진입한다. 물론, 이때 판재(120)는 브이커팅이 완료된 상태이다.
이어 선택된 성형롤 세트(40)를 통과하면서 브이커팅된 절곡부가 선택적으로 절곡되면서 제 7 핀치롤 세트(X7)를 지나게 되면 원하는 타입의 모델이 완료된다.
원하는 타입의 모델이 완료되면 교정롤(60)을 통과하면서 직각 상태를 정확하게 교정하고, 엔코더(90)에 의해서 측정된 길이에 따라서 절단기(70)로 절단한 후 제품 적치대(11)로 이송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이하에서 성형롤의 선택과 작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6a에 제 1 공정 타입 모델을 도시하였는바, 이는 일측이 오픈된 사각통 형상이고 저면은 수평한 길이로 직각 절곡한 형태이다.
상기 제 1 공정 타입 모델은 본 고안의 성형롤 세트 중에서 B1과 B2 성형롤 및 C1과 C2 성형롤을 작업에 참가시켜 제작한다.
즉, B1의 성형롤을 통해서 판재 끝단부위를 45도 구부리고, B2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90도로 완전하게 절곡하며, C1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판재 전체의 3분의 1 및 3분의 2 지점을 45도로 내측으로 절곡하고, C2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90도로 직각으로 완전하게 절곡하였다.
상기 C1타입의 성형롤은 2개의 롤러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되 양 롤러의 상하부 끝단부위가 45도로 꺽여있어 내측으로 45도 구부리기 용이한 타입이고, C2타입의 성형롤은 양측으로 배차하되 각각 90도로 판재를 확정짓기 용이한 구성으로 판재의 외측에서 90도로 성형하기 용이한 타입이다.
본 고안의 도 6b에 제 2 공정 타입 모델을 도시하였는바, 이는 일측이 오픈된 사각통 형상이고, 저면은 수평한 길이로 직각 절곡한 다음에 상부로 다시한번 수직한 길이로 직각 절곡한 형태이다.
상기 제 2 공정타입은 B1과 B2 성형롤과, C1과 C2와 C3와 C4의 성형롤을 작업에 참가시켜 제작한다.
즉, B1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판재 끝단부위를 45도 구부리고, B2 모델을 이용하여 90도로 완전하게 절곡하며, C1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판재 전체에 4개의 절곡라인이 형성된 상태에서 2번째 및 3번째 절곡라인을 45도로 내측으로 절곡하고, C2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90도로 직각으로 완전하게 절곡하며, C3 모델을 이용하여 1번째 절곡라인과 4번째 절곡라인을 45도로 절곡하고, C4모델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하부 수평면과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판재를 제 작한다.
상기 C3모델은 판재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45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는 구조이고, C4모델은 회전롤 형태로서 상기 회전롤의 외주연을 이용하여 판재를 90도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도 7a에 제 3 공정 타입 모델을 도시하였는바, 이는 일측이 오픈된 사각통 형상이고, 상부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하부 저면에는 수평한 길이로 절곡한 형태이다.
상기 제 3 공정타입은 A1과 A3 성형롤과, B1과 B2 성형롤과, C1과 C2 성형롤을 작업에 참가시켜 제작한다.
즉, A1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중앙이 45도로 홈이 파인 판재를 형성하고, A3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중앙이 90도 홈이 파인 판재를 형성한다.
그리고, B1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판재 끝단부위를 45도 구부리고, B2 모델을 이용하여 90도로 완전하게 절곡하며, C1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판재 전체 중에서 2부분의 절곡라인을 45도로 내측으로 절곡하고, C2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90도로 직각으로 완전하게 절곡하여 상부 중앙에 홈이 형성되고 하부 자투리가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창호 프레임을 제작하였다.
본 고안의 도 7b에 제 4 공정 타입 모델을 도시하였는바, 이는 저면이 오픈된 사각통 형상이고, 좌우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하부 저면에는 수평한 길이로 절곡되다가 끝부분이 상부면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형태이다.
상기 제 4 공정타입의 모델을 완성하기 위해서 A1과 A3 성형롤과, B1과 B2 성형롤과, C1, C2, C3, C4의 성형롤을 작업에 참가시켜 제작한다.
즉, A1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중앙이 45도로 홈이 파인 판재를 형성하고, A3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중앙이 90도 홈이 파인 판재를 형성한다.
그리고, B1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판재 끝단부위를 45도 구부리고, B2 모델을 이용하여 90도로 완전하게 절곡하며, C1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판재 전체에서 상부 2지점을 45도로 내측으로 절곡하고, C2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90도로 직각으로 완전하게 절곡하며, C3 모델을 이용하여 하부 2지점을 45도로 절곡하고, C4모델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상부방향으로 90도 수직한 직각으로 완전하게 절곡하여, 상부면에 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이 수평면과 수직면이 존재하는 창호 프레임을 제작하였다.
본 고안의 도 8a에 제 5 공정타입의 모델을 도시하였는바, 제 5 공정타입의 모델은 상부면과 측면 오른쪽에 홈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수평하게 90도로 꺽은 상태이다.
상기 제 5 공정타입의 모델을 완성하기 위해서 A1, A2, A3, A4모델의 성형롤과, B1, B2 모델의 성형롤과, C1, C2 모델의 성형롤을 작업에 참가시킨다.
즉, A1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중앙이 45도로 홈이 파인 판재를 형성하고, A2모델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측면 일측에 45도로 홈이 파이도록 하고, A3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중앙이 90도 홈이 파이도록 하며, A4모델을 이용하여 측면 일측이 90도로 파이도록 한다.
그리고, B1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판재 끝단부위를 45도 구부리고, B2 모델 을 이용하여 90도로 완전하게 절곡하며, C1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판재 전체의 길이에서 2지점을 45도로 내측으로 절곡하고, C2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90도로 직각으로 완전하게 절곡하여 상부 중앙과 측면에 홈이 형성되고 하부 자투리가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창호 프레임을 제작하였다.
본 고안의 도 8b에 제 6 공정타입의 모델을 도시하였는바, 제 6 공정타입의 모델은 상부면 중앙과 하부면 중앙에 홈이 형성된 판재이다.
상기 제 6 공정타입의 모델을 완성하기 위해서 A1, A3모델의 성형롤과, B1, B2, B3, B4모델의 성형롤과, C1, C2, C3, C4 모델의 성형롤을 작업에 참가시킨다.
즉, A1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중앙이 45도로 홈이 파인 판재를 형성하고, A3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중앙이 90도 홈이 파인 판재를 형성한다.
B1모델의 성형롤을 통해서 판재 끝단부위를 45도 구부리고, B2 모델을 이용하여 90도로 완전하게 절곡하며, B3모델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수직한 끝단부위를 다시한번 외측으로 45도 구부리고, B4모델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수평하게 90도로 구부려서 수직면과 수평면을 갖도록 한다.
또한, C1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판재 전체에 4개의 절곡라인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 2지점을 45도로 내측으로 절곡하고, C2의 성형롤을 이용하여 90도로 직각으로 완전하게 절곡하며, C3 모델을 이용하여 하부 두지점을 45도로 절곡하고, C4모델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상부방향으로 90도 수직한 직각으로 완전하게 절곡하여, 상하부에 홈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의 창호 프레임을 제작하였다.
상기에서 6가지 타입을 예시하고 있으나, 그 밖에 다양한 타입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련의 작업공간에 핀치롤 세트와, 성형롤 세트를 구비하고, 이들을 앞뒤로 펀칭기 및 절단기를 적절히 배치하여 한 라인에서 각종 창호 프레임을 모두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4)

  1. 브이커팅된 판재에 모따기를 위해 부분 펀칭하는 펀칭기와;
    상기 판재의 평탄도를 높이기 위해 판재의 상하부를 롤러로 가압하는 레벨러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판재를 강제 이송시키는 능동형 상하부 롤러 형태이며, 일직선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종 성형 작업구간에 연속적인 판재의 이송이 가능토록 하는 다수개조의 핀치롤 세트와;
    상기 핀치롤 세트 중간의 성형 작업구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되 별도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수동형 회전 롤러 형태이며, 핀치롤을 통해 이송되는 판재의 브이 커팅부의 절곡부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선택적으로 절곡시키는 다수개조의 성형롤 세트와;
    상기 핀치롤 세트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모터와;
    성형이 완료된 판재의 상하 좌우면을 교정하는 상하 및 좌우 교정롤과;
    교정이 완료된 판재를 절단하는 절단기 및;
    상기 핀치롤 세트의 구동과 성형롤 세트의 상하좌우 움직임을 제어하여 원하는 가압압력으로 원하는 부위의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롤 세트는 가압조정이 상,하,좌,우로 가능토록 볼트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 축과 이를 회동하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을 따라 유동하는 너트부가 성형롤 지지대에 부가되며, 소재의 절곡부위를 단계별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조가 세트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롤 세트는 절곡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일개 또는 수개의 절곡면을 절곡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형상을 구비하고, 성형롤 세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롤 세트와 하부 핀치롤 세트의 회전축은 절곡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형상과 치수에 따라 좌·우 또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볼트 및 너트 결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KR2020060023902U 2006-09-05 2006-09-05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KR200431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902U KR200431168Y1 (ko) 2006-09-05 2006-09-05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902U KR200431168Y1 (ko) 2006-09-05 2006-09-05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246A Division KR100791647B1 (ko) 2006-09-05 2006-09-05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168Y1 true KR200431168Y1 (ko) 2006-11-15

Family

ID=4177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902U KR200431168Y1 (ko) 2006-09-05 2006-09-05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1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647B1 (ko)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CN212096854U (zh) 一种石膏板封边设备
KR101193249B1 (ko) 샌드위치패널 절단기
CN109159327B (zh) 一种塑料薄膜回收粉碎机器人
CN112917171A (zh) 用于塑钢卡板的方管自动化成型设备
KR200431168Y1 (ko)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KR100887521B1 (ko) 창호프레임 및 금속절곡품 제조장치
KR20000021198A (ko) 윈도어 창호용 프레임 제조방법및절단 그 장치
CN219485838U (zh) 一种pe管材生产设备
CN207642584U (zh) 一种预制保温管金属外护管滚压成型设备
CN209811343U (zh) 一种板材剪切装置
CN114951789B (zh) 一种具有多功能压紧结构的刨槽机
KR200381687Y1 (ko) 원형커터를 이용한 절곡용 홈 성형기
CN211162839U (zh) 一种幕墙板材成型机
CN212469921U (zh) 一种风管折叠槽加工设备
KR101044794B1 (ko) 복합판넬에 브이 홈을 컷팅하는 장치
CN220329631U (zh) 一种铝板挤压机
CA2557013A1 (en) A roll-forming machine for forming smooth curves in profiled panel sections and method of forming curved panels
KR0136351B1 (ko) 도어판재의 포밍방법 및 그 장치
CN210862550U (zh) 一种用于竹筒的视觉检测装置
CN216990798U (zh) 一种后浇带支护挡板折弯设备
CN217619117U (zh) 一种轧辊切割装置
CN218487344U (zh) 一种便于调节的辊剪机
CN218699212U (zh) 一种用不锈钢做加强筋的采光瓦切割成型装置
CN215589291U (zh) 一种保温材料剪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