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940Y1 -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940Y1
KR200430940Y1 KR2020060022893U KR20060022893U KR200430940Y1 KR 200430940 Y1 KR200430940 Y1 KR 200430940Y1 KR 2020060022893 U KR2020060022893 U KR 2020060022893U KR 20060022893 U KR20060022893 U KR 20060022893U KR 200430940 Y1 KR200430940 Y1 KR 200430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e
pin
correction device
circuit break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2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9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 기구부의 동작과 조립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가이드를 추가하여 체결공정에서의 틀어짐으로 인한 기구부의 동작방해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잘못된 조립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잘못된 보정량과 기구부의 동작방해 등의 요인을 제거할 수 있고, 보정장치에 회전중심을 주어 보정장치의 기구부에 의한 동작이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고 보정장치가 로테이트 핀을 지지함에 있어 로테이트 핀의 변형량이 동일함으로써 기구부의 동작이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의 동작과 일치하게 하여 기구부의 변형으로 인한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의 동작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류형의 전원측 및 부하측 고정 접촉자와, 상기 각 고정 접촉자에 대하여 회동되어 상기 각 고정 접촉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의 회동력을 단극차단유닛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 구비된 한 쌍의 로테이트 핀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류가 흐르는 주회로에 전기적인 과부하 및 순시전류상태 또는 단락상태와 같은 이상 전류상태 시 자동으로 상기 주회로의 전류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복수의 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상기 한 쌍의 로테이트 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그 내측에 상기 한 쌍의 로테이트 핀이 관통되어 상기 각 로테이트 핀을 지지하되 상기 각 로테이트 핀의 회동에 연동되어 구동되는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배선용 차단기,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 가이드 벽, 간극부재, 결합부, 결합핀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INSTANT TRIP CONTROLLER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가 장착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가 배선용 차단기에 장착되는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배선용 차단기 101 : 고정 접촉자
110 : 기구부 120 : 결합핀
130 : 케이스 200 : 제1 로테이트 핀
210 : 제2 로테이트 핀 300 :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310 : 제1 지지부 311 : 제1 핀삽입부
312 : 제2 핀삽입부 313 : 볼트삽입홈
320 : 제2 지지부 321 : 제1 핀삽입부
322 : 제2 핀삽입부 323 : 너트삽입홈
330 : 결합부 331 : 볼트
332 : 너트 400 :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410 : 제1 가이드 벽 411 : 결합핀 삽입공
412 : 회전홀 413 : 간극부재 삽입공
420 : 제2 가이드 벽 421 : 결합핀 삽입공
422 : 회전홀 423 : 간극부재 삽입공
430 : 제1 지지부 431 : 볼트 삽입홈
432 : 볼트 관통홈 433 : 회전홀 결합부
434 : 제1 돌기부 435 : 리브
436 : 제1 삽입부 440 : 제2 지지부
441 : 너트 삽입홈 442 : 볼트 관통홈
443 : 회전홀 결합부 444 : 제2 돌기부
445 : 리브 446 : 제2 삽입부
450 : 결합부 460 : 간극부재
461 : 본체부 462 : 고정부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 기구부의 동작과 조립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가이드를 추가하여 체결공정에서의 틀어짐으로 인한 기구부의 동작방해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잘못된 조립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잘못된 보정량과 기구부의 동작방해 등의 요인을 제거할 수 있고, 보정장치에 회전중심을 주어 보정장치의 기구부에 의한 동작이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고 보정장치가 로테이트 핀을 지지함에 있어 로테이트 핀의 변형량이 동일함으로써 기구부의 동작이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의 동작과 일치하게 하여 기구부의 변형으로 인한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의 동작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 시 또는 단락 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로서 그 구조는 크게 전원측과 부하측을 연결하는 단자부와, 배선용 차단기 내의 고정자와 가동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개폐시키는 기구부와, 전원측에서 과전류나 순시전류 및 단락전류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개폐 기구부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트립을 유도하는 트립부로 이루어져 전원과 부하 사이에서 이상전류 즉 과전류나 순시전류 및 단락전류가 발생 시 이를 차단하여 부하 및 회로를 보호하여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을 말한 다.
여기서 상기 트립이 발생될 때 상기 배선용 차단기에는 상기 기구부에서 발생되는 트립력을 나머지 단극차단유닛으로 전달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트립력을 전달하는 로테이트 핀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는 상기 로테이트 핀의 변형을 방지하고 변형을 복원시켜주는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가 구비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가 장착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100)는 크게 외함을 형성하는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류형의 전원측 및 부하측 고정 접촉자(미도시)와, 상기 고정 접촉자(미도시)와 접촉(ON 시) 및 분리(OFF 또는 TRIP 시)되는 위치로 회동 가능한 가동 접촉자(미도시)와, 상기 케이스(13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류가 흐르는 주회로에 전기적인 과부하 및 순시전류상태 또는 단락상태와 같은 이상 전류상태 시 자동으로 상기 주회로의 전류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복수의 기구부(110)와, 상기 기구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기구부(110)를 수 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측에서 전기적인 과부하 및 순시전류상태 또는 단락상태와 같은 이상 전류상태가 발생할 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기구부(110)에 전원을 차단시켜주도록 트립을 유도하는 트립부(미도시) 및 상기 회로가 차단될 때 발생하는 아크를 소멸시키는 소호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접촉자(미도시)는 전원측과 부하측을 각 극별 선로에 연결되어 외부의 선로와 내부 장치를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소호부(미도시)는 가동 접촉자(미도시)와 고정 접촉자(미도시)의 개리 시 발생하는 아크를 신속히 소멸시켜 접점 및 내부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기구부(110)는 상기 핸들에 연결된 어퍼링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로우링크(도시하지 않음)가 연동되면서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개폐기구부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배선용 차단기(100)는 복수개의 단극차단유닛이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단극차단유닛의 외함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130)의 외측으로는 상기 단극차단유닛과 단극차단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결합핀(120)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기구부(110) 및 가동 접촉자(미도시)에서 전달되는 회동력을 단극차단유닛에 전달하기 위한 로테이트 핀(200, 210)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100)를 구성하는 단극차단유닛의 케이스(130)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로테이트 핀(200, 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극차단유닛의 내부에서 트립이 발생될 때 상기 기구부(110)에서 발생되는 트립력을 나머지 단 극차단유닛으로 전달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100)는 상기 기구부(110)에서 발생되는 트립력과 그 동작을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에 전달하는 로테이트 핀(200, 210)이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의 내부에서 접점간의 반발력과, 로테이트 핀(200, 210)을 지지하고 있는 각 기구부(110)와의 접촉지점에서 작용하는 각각의 힘에 따라 기구부(110)가 동작하려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의 변형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트립력을 전달하는 로테이트 핀(200, 210)에 소정의 모멘트 및 굽힘응력이 형성되어 발생되는 형상의 변형은 상기 기구부(110)에 있는 로테이트 핀(200, 210)의 구속지점에서 멀어질수록 커지게 되어 상기 기구부(110)에서 멀리 설치된 단극차단유닛일수록 그 증가된 변형량으로 인한 동작지연이 발생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변형을 막기 위하여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100)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30)에 인접되며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을 고정지지하는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300)가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30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30)에 인접되며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의 일측 및 타측으로 조립되는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는 상기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결합부(330)에 의하여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30)는 상기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통하여 어느 타측으로 관통되는 볼트(331)와 상기 볼트(331)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너트(332)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331)와 너트(332)로 체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100)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300)는 상기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상기 결합부(330)를 구성하는 상기 볼트(331)와 너트(332)가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체결됨에 있어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에 변형을 유발할 수 있을 만큼의 강한 체결력을 요구한다.
상기와 같은 강한체결력으로서 상기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하더라도 그 체결력으로 인하여 그 조립방향이 비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립방향의 비틀어짐 현상으로 인해 상기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300)는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의 변형을 막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며 더 심할 경우에는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에 결합된 상기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300)가 상기 케이스(130)와 간섭을 일으켜 상기 기구부(110)의 동작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립의 비틀어짐으로 인하여 상기 한 쌍의 로테이트 핀(200, 210)의 변형량이 현저히 달라질 경우에는 상기 기구부(110)의 동작시 상기 단극차단유닛의 내부 접점간의 개리 시점이 틀려지게 되고, 상기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300)가 상기 케이스(130)와 간섭을 일으킬 경우에는 상기 기구부(110) 개리속도의 저하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기구부(110)에 의한 차단동작에 악영향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선용 차단기 기구부의 동작과 조립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가이드를 추가하여 체결공정에서의 틀어짐으로 인한 기구부의 동작방해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잘못된 조립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잘못된 보정량과 기구부의 동작방해 등의 요인을 제거할 수 있고, 보정장치에 회전중심을 주어 보정장치의 기구부에 의한 동작이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고 보정장치가 로테이트 핀을 지지함에 있어 로테이트 핀의 변형량이 동일함으로써 기구부의 동작이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의 동작과 일치하게 하여 기구부의 변형으로 인한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의 동작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류형의 전원측 및 부하측 고정 접촉자와, 상기 각 고정 접촉자에 대하여 회동되어 상기 각 고정 접촉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의 회동력을 단극차단유닛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 구비된 한 쌍의 로테이트 핀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류가 흐르는 주회로에 전기적인 과부하 및 순시전류상태 또는 단락상태와 같은 이상 전류상태 시 자동으로 상기 주회로의 전류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복수의 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상기 한 쌍의 로테이트 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그 내측에 상기 한 쌍의 로테이트 핀이 관통되어 상기 각 로테이트 핀을 지지하되 상기 각 로테이트 핀의 회동에 연동되어 구동되는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배선용 차단기 기구부의 동작과 조립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가이드를 추가하여 체결공정에서의 틀어짐으로 인한 기구부의 동작방해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잘못된 조립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잘못된 보정량과 기구부의 동작방해 등의 요인을 제거할 수 있고, 보정장치에 회전중심을 주어 보정장치의 기구부에 의한 동작이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고 보정장치가 로테이트 핀을 지지함에 있어 로테이트 핀의 변형량이 동일함으로써 기구부의 동작이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의 동작과 일치하게 하여 기구부의 변형으로 인한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의 동작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그 달성수단의 구성 및 전술한 작용효과 이외의 부가적인 세부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가 배선용 차단기에 장착되는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400)는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류형의 전원측 및 부하측 고정 접촉자(미도시)와, 상기 각 고정 접촉자(미도시)에 대하여 회동되어 상기 각 고정 접촉자(미도시)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 접촉자(미도시)와, 상기 가동 접촉자(미도시)의 회동력을 단극차단유닛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30)의 외부로 돌출 구비된 한 쌍의 로테이트 핀(200, 210)과, 상기 케이스(13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류가 흐르는 주회로에 전기적인 과부하 및 순시전류상태 또는 단락상태와 같은 이상 전류상태 시 자동으로 상기 주회로의 전류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복수의 기구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선용 차단기(100)에 구비된다.
즉, 상기 배선용 차단기(100)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400)는 상기 가동 접 촉자(미도시)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상기 한 쌍의 로테이트 핀(200, 2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30)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그 내측에 상기 한 쌍의 로테이트 핀(200, 210)이 관통되어 상기 각 로테이트 핀(200, 210)을 지지하되 상기 각 로테이트 핀(200, 210)의 회동에 연동되어 구동되는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400)는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며 상기 한 쌍의 로테이트 핀(200, 210)을 지지하는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과,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이 그 내측에서 설치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케이스(130)에 그 일측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벽(410, 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400)는 상기 각 가이드 벽(410, 420)이 소정의 간극을 이루어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가이드 벽(410, 420)의 사이에 개재되는 간극부재(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벽(410, 420)은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이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의 회동에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된 회전홀(4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은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30)에 인접되며 상기 로테이트 핀(200, 210)의 일측 및 타측으로 조립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430, 440)와,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430, 44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430)와 제2 지지부(440)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결합부(450)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부(450)는 상기 제1 지지부(430) 및 제2 지지부(44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통하여 어느 타측으로 관통되는 볼트(331)와 상기 볼트(331)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너트(332)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은 상기 제1 지지부(430) 및 제2 지지부(440)가 상호 교합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일측에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부(434)와 함몰 형성되는 제1 삽입부(436)가 각각 구비되되 어느 타측에 상기 제1 돌기부(434)와 제1 삽입부(436)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삽입부(436)에 삽입되는 제2 돌기부(444)와 상기 제1 돌기부(434)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4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은 상기 회전홀(422)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그 두께방향 중앙에 그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4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간극부재(460)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벽(410, 42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벽(410, 420) 사이의 간극을 유지시키는 본체부(461)와, 상기 본체부(461)의 일단 및 타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성기 제1 및 제2 가이드벽(410, 420)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462)로 구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 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는, 배선용 차단기 기구부의 동작과 조립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가이드를 추가하여 체결공정에서의 틀어짐으로 인한 기구부의 동작방해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잘못된 조립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잘못된 보정량과 기구부의 동작방해 등의 요인을 제거할 수 있고, 보정장치에 회전중심을 주어 보정장치의 기구부에 의한 동작이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고 보정장치가 로테이트 핀을 지지함에 있어 로테이트 핀의 변형량이 동일함으로써 기구부의 동작이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의 동작과 일치하게 하여 기구부의 변형으로 인한 각각의 단극차단유닛의 동작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류형의 전원측 및 부하측 고정 접촉자와, 상기 각 고정 접촉자에 대하여 회동되어 상기 각 고정 접촉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의 회동력을 단극차단유닛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 구비된 한 쌍의 로테이트 핀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류가 흐르는 주회로에 전기적인 과부하 및 순시전류상태 또는 단락상태와 같은 이상 전류상태 시 자동으로 상기 주회로의 전류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복수의 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상기 한 쌍의 로테이트 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그 내측에 상기 한 쌍의 로테이트 핀이 관통되어 상기 각 로테이트 핀을 지지하되 상기 각 로테이트 핀의 회동에 연동되어 구동되는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는,
    상기 로테이트 핀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며 상기 한 쌍의 로테이트 핀을 지지하는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과,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이 그 내측에서 설치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케이스에 그 일측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는,
    상기 각 가이드 벽이 소정의 간극을 이루어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가이드 벽의 사이에 개재되는 간극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벽은,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이 상기 로테이트 핀의 회동에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된 회전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은,
    상기 로테이트 핀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인접되며 상기 로테이트 핀의 일측 및 타측으로 조립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통하여 어느 타측으로 관통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은,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상호 교합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일측에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부와 함몰 형성되는 제1 삽입부가 각각 구비되되 어느 타측에 상기 제1 돌기부와 제1 삽입부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삽입부에 삽입되는 제2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트 핀 지지유닛은,
    상기 회전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그 두께방향 중앙에 그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벽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벽 사이의 간극을 유지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성기 제1 및 제2 가이드벽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KR2020060022893U 2006-08-25 2006-08-25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KR200430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93U KR200430940Y1 (ko) 2006-08-25 2006-08-25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93U KR200430940Y1 (ko) 2006-08-25 2006-08-25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940Y1 true KR200430940Y1 (ko) 2006-11-14

Family

ID=4177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893U KR200430940Y1 (ko) 2006-08-25 2006-08-25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9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752B1 (ko) 다극 배선용 차단기
JP4012226B2 (ja) 配線用遮断器の接触子アセンブリ
KR100689324B1 (ko) 다극 배선용 차단기
US7148775B2 (en) Contactor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KR100988100B1 (ko) 배선용 차단기
JP5059934B2 (ja) 4極配線用遮断器の回転ピン補正装置
KR101052645B1 (ko) 아크 차폐장치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KR10057524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EP3382731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0676968B1 (ko)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KR100701775B1 (ko) 기중 차단기의 가동접압장치
JP4232370B2 (ja) 回路遮断器
KR100832325B1 (ko) 복합형 배선용 차단기
KR20090085976A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기구장치
KR200430940Y1 (ko) 배선용 차단기의 로테이트 핀 보정장치
KR100676967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0290932B1 (ko) 배선용차단기의한류장치
KR20019079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KR10059546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KR10089075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단극 차단유닛
KR200376453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캡 구조
KR20060063413A (ko)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KR100494664B1 (ko) 회로차단기
KR10059546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가이드 구조
KR10066275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