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3413A -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3413A
KR20060063413A KR1020040102582A KR20040102582A KR20060063413A KR 20060063413 A KR20060063413 A KR 20060063413A KR 1020040102582 A KR1020040102582 A KR 1020040102582A KR 20040102582 A KR20040102582 A KR 20040102582A KR 20060063413 A KR20060063413 A KR 20060063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movable contact
current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320B1 (ko
Inventor
조상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320B1/ko
Publication of KR2006006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 H01H1/221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 H01H2001/223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using a torsion spring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부재로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몰드케이스와; 상기 몰드케이스의 내부에 고정접점을 구비하여 배치되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하여 상기 몰드케이스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을 구비하여 상기 가동접촉자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자지지부재와; 일측은 상기 접촉자지지부재에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동접촉자에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개극 시 가동접촉자의 거동이 안정적으로 되어 한류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LIMITING CURRENT TYP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도 1은 종래의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가동접촉자영역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가동접촉자의 개극 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접촉자영역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4의 디스크부재의 분리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가동접촉자의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접촉자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도 4의 토션스프링의 사시도,
도 9는 도 3의 폐극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가동접촉자의 개극 회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가동접촉자의 개극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몰드케이스 13 : 고정접촉자
15 : 고정접점 40 : 회동축
41 : 가동접촉자 42 : 아암부
43 : 가동접점 45 : 축공
48 : 구동핀 51 : 접촉자지지부재
54 : 축수용공 55 : 돌출부
57 : 지연홈 58 : 지연턱
59 : 스톱퍼부 61 : 디스크부재
52 : 축결합부 66 : 스프링공
71 : 토션스프링
본 발명은,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극 시 가동접촉자의 거동이 안정적으로 되어 한류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는, 공장, 빌딩 등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되어 부하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배선용 차단기중에는, 통상 정격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는 일정한 접촉력을 가지고 폐극 상태를 유지하고, 이상 전류 발생시 전자반발력에 의해 빠르게 폐극상 태에서 개극상태로 전환되어 통과 에너지 값을 줄임으로써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동접촉자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가동접촉자의 개극 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는, 절연부재로 형성되어 내부에 각 부품이 취부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몰드케이스(11)와, 고정접점(15)을 각각 구비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몰드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접촉자(13)와, 고정접점(15)에 대응되게 가동접점(22)을 구비하여 고정접촉자(13) 사이에 고정접점(15)과 가동접점(22)이 상호 접촉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촉자(21)와, 수동 개폐를 위한 레버(33) 및 복수의 링크(35)를 구비한 개폐기구(31)와, 사고 전류 발생시 개폐기구(31)를 조작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이 분리되도록 하는 트립장치(37)와, 고정접점(15)의 둘레에 아크를 신속하게 소호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소호장치(39)를 구비하고 있다.
몰드케이스(11)의 내부에는 부하측 및 전원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접촉자(13)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각 고정접촉자(13)에는 고정접점(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접촉자(13) 사이에는 각 고정접점(15)에 대응되게 양 단부에 가동접점(22)이 형성된 가동접촉자(21)가 배치되어 있으며, 가동접촉자(21)의 중앙영역에는 거의 원통형상을 가지는 접촉자지지부재(미도시)가 상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접촉자지지부재의 양 측에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부재 (23)가 결합핀에 의해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접촉자지지부재와 디스크부재(23)의 내측에는 각 가동접점(22)이 해당 고정접점(15)과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될 수 있게 가압할 수 있도록 스프링(29)이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스프링(29)의 일단은 결합핀(25)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동접촉자(21)에 형성된 구동핀(27)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상 전류 발생 시 고정접점(15) 및 가동접점(22) 사이에는 스프링(29)의 탄성력에 비해 큰 전자반발력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가동접촉자(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점(22)이 고정접점(15)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회동되어 가동접촉자(21)의 일측에 형성된 스톱퍼핀(30)에 접촉될 때까지 회전되어 개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21)의 개극 회동 시 스프링(29)이 접촉되어 가동접촉자(21)가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고려하여 접촉자지지부재와 디스크부재(23)의 사이 공간에 스프링(29)의 이동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디스크부재(23)의 회전축(24)과 일체로 가동접촉자(21)의 회동축을 형성하지 못하여 가동접촉자(21)는 접촉자지지부재의 중앙을 단순히 통과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가동접촉자(21)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구동핀(27) 및 스프링(29)에 의해 위치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어, 이상 전류에 의한 가동접촉자(21)의 개극 회동시 각 가동접점(22)이 고정접점(15)에 대해 일정하게 이격 회동되지 못하고 좌우 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유동되어 가동접촉자(21)는 개극 시 불규칙한 거동을 보이 게 되고, 그에 기인한 스프링(29)의 탄성력의 불규칙한 변화로 가동접촉자(21)가 충분히 개극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고정접점(15)과 가동접점(22)이 서로 접촉되는 폐극 상태로 조기에 회동하게 되는 등 한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기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스크부재(23)와 가동접촉자(21)의 사이에 스프링(29)을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되어 있어, 스프링(29)의 조립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극 시 가동접촉자의 거동이 안정적으로 되어 한류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절연부재로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몰드케이스와; 상기 몰드케이스의 내부에 고정접점을 구비하여 배치되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하여 상기 몰드케이스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을 구비하여 상기 가동접촉자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자지지부재와; 일측은 상기 접촉자지지부재에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동접촉자에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접촉자는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각 단부에 상기 가동접점이 형성된 양 팔 아암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접촉자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양 가동접점에 접촉가능하게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가동접촉자의 각 아암부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배치되게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측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고정공을 구비하여 상기 접촉자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디스크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접촉자지지부재에는 상기 토션코일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기 회동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부재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회동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자지지부재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가동접촉자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동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자지지부재에는 전자반발력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 및 상기 가동접점의 개극 시 상기 구동핀의 복귀를 지연시키는 지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가동접촉자의 개극 시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지연홈의 도달전에 상기 구동핀과 접촉되어 상기 가동접촉자의 회동속도를 완화시키는 지연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접촉자의 개극 시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지연홈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접촉자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가동접촉자에는 상기 회동축이 수용되고 축선방향에 가로로 상기 회동축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장공상의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접촉자영역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디스크부재의 분리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가동접촉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접촉자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토션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의 폐극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가동접촉자의 개극 회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가동접촉자의 개극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는, 절연부재로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몰드케이스(11)와, 몰드케이스(11)의 내부에 고정접점(15)을 구비하여 배치되는 고정접촉자(13)와, 고정접점(15)과 접촉되는 가동접점(43)을 구비하여 몰드케이스(11)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 동접촉자(41)와, 가동접촉자(4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40)을 구비하여 가동접촉자(41)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자지지부재(51)와, 일측은 접촉자지지부재(51)에 상기 회동축(40)으로부터 이격되게 결합되고 타측은 가동접점(43)이 고정접점(15)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7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부재로 내부에 각 부품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몰드케이스(11)와, 수동 개폐를 위한 레버(33) 및 복수의 링크(35)를 구비한 개폐기구(31)와, 사고 전류 발생시 개폐기구(31)를 조작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이 분리되도록 하는 트립장치(37)와, 접점의 둘레에 아크를 신속하게 소호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소호장치(39)를 구비하고 있다.
몰드케이스(11)의 내부에는 고정접점(15)을 각각 구비하여 부하측 및 전원측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접촉자(13)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접촉자(13) 사이에는 양 단부에 고정접점(15)과 접촉될 수 있도록 가동접점(43)을 구비한 가동접촉자(41)가 배치되어 있다.
가동접촉자(41)의 중앙영역에는 가동접촉자(4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접촉자지지부재(51)가 결합되어 있다. 회동축(40)의 축선방향을 따라 접촉자지지부재(51)의 양 측에는 가동접촉자(41)를 폐극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토션스프링(71)이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토션스프링(71)의 외측에는 디스크부재(61)가 각각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가동접촉자(41)에는 토션스프링(71)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동핀(48)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한편, 가동접촉자(41)는 중앙이 절곡되고 중앙에 결합되는 회동축(4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양 팔 아암부(42)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영역에는 회동축(40)이 통과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축공(4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축공(45)은 고정접점(15) 및 가동접점(43)이 서로 접촉된 폐극 상태에서 접점의 비산 등에 기인한 접점의 위치 변동이 발생된 경우, 양 측의 가동접점(43)이 모두 동시에 해당 고정접점(15)과 접촉될 수 있도록 회동축(40)에 대한 상대 변위, 즉 수직방향으로의 변위가 가능하게 상하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가지는 장공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축공(45)의 양 측 각 아암부(42)에는 토션스프링(71)의 일측이 결합되는 구동핀(48)이 결합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된 구동핀공(47)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접촉자지지부재(51)는 중앙을 관통하여 가동접촉자(41)가 통과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가동접촉자수용부(52)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축선방향을 따라 양 측면에는 회동축(40)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축수용공(5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축수용공(54)을 사이에 두고 양 측에는 토션스프링(71)의 코일구간부(72)가 결합됨과 아울러 디스크부재(61)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5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촉자지지부재(51)에는 이상 전류 발생 시 전자반발력에 의해 개극 회동되는 가동접촉자(41)가 완전 개극된 상태에서 폐극 상태로 다시 회동되는 속도를 지연시켜 한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동핀(48)에 대응되게 함몰된 지연홈(5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동접촉자(41)의 회동방향을 따라 지연홈(57)의 일측에는 지연홈(57)의 도달전에 구동핀(48)과 접촉되어 가동접촉자(41)의 회동 속도를 완화시키는 지연턱(58)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접촉자(41)의 회동방향을 따라 지연홈(57)의 후방영역에는 구동핀(48)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연홈(57) 및 지연턱(58)에 의한 가동접촉자(41)의 지연 시간은 트립장치(37)에 의해 트립 신호가 발생되어 가동접촉자(41)가 개극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접촉자지지부재(51)가 트립장치(37)에 의해 가동자접촉자(41)의 개극 시 회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시점까지 충분히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소호장치(39)에 의한 아크의 소호가 원활하게 되고 한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디스크부재(61)는 원방형상을 가지며 중앙영역에는 회동축(40)이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축결합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축결합부(62)의 주변에는 접촉자지지부재(51)의 돌출부(55)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결합공(64)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결합공(64)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71)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공(66)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토션스프링(71)은 원형 코일 형상을 가지는 코일구간부(72)와, 코일구간부(72)에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직선구간부(74)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구간부(72)의 일측에는 디스크부재(61)에 형성된 스프링공(6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된 삽입단부(73)가 형성되어 있으며, 직선구간부(74)에는 내부에 구동핀(48)이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고리상으로 절곡된 핀수용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접촉자지지부재(51)에 가동접촉자(41)가 통과되도록 결합하고 축공(45) 및 축수용공(54)에 회동축(40)이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가동접촉자(41)에 각 구동핀(48)을 삽입 결합하고, 돌출부(55)에 토션스프링(71)을 각각 결합한다. 각 토션스프링(71)의 핀수용부(75)에 구동핀(48)이 수용 결합되도록 하고, 토션스프링(71)의 삽입단부(73)가 각 디스크부재(61)의 스프링공(66)에 대응되도록 토션스프링(71)이 가압되도록 한 상태에서 회동축(40) 및 돌출부(55)에 디스크부재(61)를 각각 결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탄성력이 축적되도록 가압된 각 토션스프링(71)은 정격 전류의 통전 시 가동접점(43) 및 고정접점(15)이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상 전류 발생 시 고정접점(15) 및 가동접점(43) 사이에는 전자반발력이 작용하게 되고, 가동접촉자(41)는 고정접점(15) 및 가동접점(43)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회동하게 된다. 가동접촉자(41)는 구동핀(48)이 지연턱(58)을 통과하게 되면서 속도가 완화되고 스톱퍼부(59)에 접촉된 후 반발력으로 다시 폐극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때, 가동접촉자(41)는 지연턱(58)과 접촉되면서 속도가 완화되며 스톱퍼부(59)와의 접촉에 의해 다시 속도가 저감되어 지연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아크가 소호장치(39)에 의해 원활하게 소호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상 전류가 발생됨과 동시에 트립장치(37)는 이를 감지하고 개폐기구(31)를 동작시켜 토션스프링(71)의 탄성력에 의해 폐극 상태로 회동되어 구동핀(48)이 지연턱(58)과 접촉되는 시점에서 접촉자지지부재(51)가 회동되어 가동접촉자(41)와 접촉되어 폐극 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함으로써 개극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트립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부재로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몰드케이스와, 몰드케이스의 내부에 고정접점을 구비하여 배치되는 고정접촉자와, 고정접점과 접촉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하여 몰드케이스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을 구비하여 가동접촉자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자지지부재와, 일측은 접촉자지지부재에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폐극 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일정 이상의 접압력을 유지함과 아울러 개극 시 가동접촉자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동되어 아크 전압의 기울기를 급격히 증가시켜 통전 전류의 피크값을 원활히 신속하게 낮출 수 있어 한류 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고, 토션스프링을 결합 한 후 디스크부재를 결합할 수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전류에 의한 가동접촉자의 개극 회동 시 폐극 방향으로의 회동을 지연시키는 지연홈을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개극 후 폐극 방향으로 회동되어 접점 간의 거리가 근접되는 것에 의해 아크 전압 및 아크 전류가 신속하게 소멸되지 못하고 시간 축 상으로 연장되는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한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된다.
또한, 가동접촉자에는 회동축을 수용함과 아울러 폐극 상태에서 회동축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장공상의 축공이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접점의 비산 등에 기 인한 접점의 접촉 위치 변동 발생 시에도 양측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이 동시에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된다.

Claims (11)

  1. 절연부재로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몰드케이스와; 상기 몰드케이스의 내부에 고정접점을 구비하여 배치되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하여 상기 몰드케이스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을 구비하여 상기 가동접촉자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자지지부재와; 일측은 상기 접촉자지지부재에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동접촉자에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는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각 단부에 상기 가동접점이 형성된 양 팔 아암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접촉자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양 가동접점에 접촉가능하게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가동접촉자의 각 아암부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측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고정공을 구비하여 상기 접촉자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디스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지지부재에는 상기 토션코일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기 회동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부재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회동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자지지부재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동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지지부재에는 전자반발력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 및 상기 가동접점의 개극 시 상기 구동핀의 복귀를 지연시키는 지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의 개극 시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지연홈의 도달전에 상기 구동핀과 접촉되어 상기 가동접촉자의 회동속도를 완화시키는 지연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의 개극 시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지연홈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접촉자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에는 상기 회동축이 수용되고 축선방향에 가로로 상기 회동축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장공상의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KR1020040102582A 2004-12-07 2004-12-07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KR100689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582A KR100689320B1 (ko) 2004-12-07 2004-12-07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582A KR100689320B1 (ko) 2004-12-07 2004-12-07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413A true KR20060063413A (ko) 2006-06-12
KR100689320B1 KR100689320B1 (ko) 2007-03-08

Family

ID=3715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582A KR100689320B1 (ko) 2004-12-07 2004-12-07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3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08B1 (ko) * 2007-02-14 2008-05-22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반발형 회로차단기의 접촉자장치
KR100835609B1 (ko) * 2007-02-14 2008-06-05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반발형 회로차단기의 접촉자장치
KR101285752B1 (ko) * 2012-03-19 2013-07-19 주식회사 대륙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메카니즘
CN108666164A (zh) * 2018-03-20 2018-10-16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旋转式电气开关接触系统及旋转式电气开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537B1 (ko) 2011-01-03 2012-05-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한류형 배선용차단기의 가동접촉자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947U (ja) * 1992-03-19 1993-10-15 日東工業株式会社 接触子
JP4356267B2 (ja) 2001-05-28 2009-11-04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配線用回路しゃ断器
JP2004055478A (ja) 2002-07-24 2004-02-1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回路しゃ断器
JP2004055477A (ja) 2002-07-24 2004-02-1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回路しゃ断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08B1 (ko) * 2007-02-14 2008-05-22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반발형 회로차단기의 접촉자장치
KR100835609B1 (ko) * 2007-02-14 2008-06-05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반발형 회로차단기의 접촉자장치
KR101285752B1 (ko) * 2012-03-19 2013-07-19 주식회사 대륙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메카니즘
CN108666164A (zh) * 2018-03-20 2018-10-16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旋转式电气开关接触系统及旋转式电气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320B1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752B1 (ko) 다극 배선용 차단기
JP4012226B2 (ja) 配線用遮断器の接触子アセンブリ
JP4167259B2 (ja) 回路遮断器の接触子アセンブリ
KR101026306B1 (ko) 순시 트립 기구를 가진 배선용차단기
EP2835814B1 (en) Circuit breaker
KR10057524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KR100689320B1 (ko)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KR100676968B1 (ko)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KR10107902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유닛
KR100701775B1 (ko) 기중 차단기의 가동접압장치
KR100832325B1 (ko) 복합형 배선용 차단기
KR100606424B1 (ko) 한류형 배선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KR20090085976A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기구장치
KR100990256B1 (ko) 4극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장치 및 이를 갖는 4극 배선용 차단기
KR100798340B1 (ko) 한류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KR10059546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KR20120080139A (ko) 회로차단장치 및 조립방법
KR10060642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자 어셈블리
KR100290932B1 (ko) 배선용차단기의한류장치
KR10020271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기구부
KR10089075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단극 차단유닛
KR10101363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KR20030086582A (ko) 기중차단기
KR200411525Y1 (ko) 한류형 배선차단기
JPH0824023B2 (ja) 回路しや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