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827Y1 -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827Y1
KR200430827Y1 KR2020060023283U KR20060023283U KR200430827Y1 KR 200430827 Y1 KR200430827 Y1 KR 200430827Y1 KR 2020060023283 U KR2020060023283 U KR 2020060023283U KR 20060023283 U KR20060023283 U KR 20060023283U KR 200430827 Y1 KR200430827 Y1 KR 200430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mber
tray
enclosure
implant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권
Original Assignee
(주)신영디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디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신영디앤아이
Priority to KR2020060023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3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거치부재를 함체에서 꺼낼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며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함체와 상기 함체를 덮어 내부를 보호하게 되는 덮게와 상기 함체 내부에 삽입되며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팁과 나사가 거치되는 거치부재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에 좌우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함체의 좌우측벽에 가이드홈을 전후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함체 후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드릴 공구 슬라이드 시술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tray for implant operation}
도1 :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의 분해사시도
도2 :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의 분해사시도
도3 : 함체내부에 거치부재가 슬라이딩 된 상태와 수납된 상태의 사시도
도4 : 함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 : 함체 12 : 경사부
14 : 수평부 20 : 덮개
22 : 결합수단 30 : 거치부재
32 : 돌기
본 고안은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함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돌기를 거치부재에 부설하여 함체의 내부에 삽입된 거치부재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손상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은 턱뼈에 통공을 형성하고 볼트를 박은 후 인공치아를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서 드릴팁이나 볼트가 사용되므로 이러한 드릴과 볼트를 수납하기 위한 트레이를 사용하게 된다. 도1에는 종래에 사용되는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트레이는 하측의 함체(1)와 상측의 덮개(2) 그리고 상기 함체 내부에 삽입되는 거치부재(3)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재는 각종 드릴과 볼트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각 통공에 드릴과 볼트가 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함체와 거치부재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임플란트 시술에 필요한 공구들이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트레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덮개를 분리하고 거치부재를 함체에서 꺼내 배열한게 된다. 따라서 함체와 거치부재와 덮개를 모두 위치시키기위해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사용시마다 거치부재를 꺼내거나 삽입하는 과정이 필요하여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함체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거치부재를 함체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어져 사용이 편리하며 적은 면적에서도 트레이를 놓아둘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상부가 개방된 함체와 상기 함체를 덮어 내부를 보호하게 되는 덮게와 상기 함체 내부에 삽입되며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팁과 나사가 거치되는 거치부재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에 좌우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함체의 좌우측벽에 가이드홈을 전후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함체 후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함체는 상기 거치부재의 후측이동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후측이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홈은 후측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거치부재가 후측으로 이동시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경사부의 전측과 후측은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는 크게 함체와 덮개와 거치부재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함체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함체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체의 내부 좌우측면의 벽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전측에서 후측으로 상승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 부의 전후측에 바닥과 수평을 이루는 수평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경사부를 형성한 이유는 후술하게 될 거치부재가 후측으로 진행시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거치부재의 후측이 들려 경사를 이루게 되어 용이하게 드릴팁이나 볼트를 확인하고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함체의 후측 벽면은 절개하여 측면보다 약간 낮게 형성한다. 이는 거치부재가 후측으로 이동시 상기 함체의 벽면에 막혀 이동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함체의 후측을 반드시 절개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함체의 후측에 걸리지 않도록 경사를 이룬상태에서 후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함체 후측을 절개하지 않고 타측의 벽과 동일한 높이로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덮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덮개는 상기 함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부가 빈 상자형상을 이루게 되며 좌우측에 함체와의 고정을 위한 결합수단이 부설된다.
그리고 거치부재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형상을 이루게 되며 표면에 다양한 크기의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팁이나 볼트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재는 좌우 양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거치부재를 전후로 밀거나 당길 때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돌기는 일측에 전후로 두 개 씩 형성하여 상기 거치부재가 상하로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함체의 좌우측 벽에 가이드홈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은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전후에 바닥면에 수평인 수평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는 함체내에서 수평으로 이동한 후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후측이 상측으로 올라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부를 형성함에 따라 거치부재는 경사를 이룬상태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해져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전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홈이 형성된 함체에 거치부재의 돌기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덮개를 덮게 된다.
이후 본 고안의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덮개를 분리한 상태에서 거치부재를 후측으로 밀어 놓은 후 함체 내부에 공구를 두고 상기 거치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드릴팁이나 볼트를 거치한 후 거치부재를 원위치 시킨 후 덮개를 덮어 보관하게 된다.
임플란트 시술시에는 덮개를 분리하여 일측에 두고 거치부재를 후측으로 밀게된다. 상기 거치부재는 최초에는 수평으로 이동한 후 돌기가 가이드홈의 경사부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후측이 상측으로 올라가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후 이후 상기 돌기가 완전히 상승한 상태에서 계속 후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거치부재는 경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적절한 위치까지 민후 필요한 공구나 드릴팁, 볼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시술이 끝나면 상기 공구는 함체 내부에 수납하고 거치부재를 전측으로 당겨 함체 내로 이동시킨 후 덮 개를 덮고 결합수단으로 고정한 후 보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에 의하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사용이 간편하며 좁은 면적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공간운영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함체와 상기 함체를 덮어 내부를 보호하게 되는 덮게와 상기 함체 내부에 삽입되며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팁과 나사가 거치되는 거치부재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에 좌우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함체의 좌우측벽에 가이드홈을 전후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함체 후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거치부재의 후측이동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후측이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후측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거치부재가 후측으로 이동시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경사부의 전측과 후측은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
KR2020060023283U 2006-08-30 2006-08-30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 KR200430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283U KR200430827Y1 (ko) 2006-08-30 2006-08-30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283U KR200430827Y1 (ko) 2006-08-30 2006-08-30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827Y1 true KR200430827Y1 (ko) 2006-11-13

Family

ID=4177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283U KR200430827Y1 (ko) 2006-08-30 2006-08-30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8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492Y1 (ko) 컴퓨터 수납 데스크
US7559782B2 (en) Storage device box
JP2008014564A (ja) 冷蔵庫
KR200430827Y1 (ko) 임플란트 시술용 트레이
US20060169613A1 (en) Case with length stop
JP2008039263A (ja) 冷蔵庫
JP4622927B2 (ja) 包丁差し
RU108334U1 (ru) Ящик для инструментов
JP3136656U (ja) 靴収納庫用棚板及び靴収納庫
JP2011144986A (ja) 貯蔵庫の機械室構造
JP4967371B2 (ja) 包丁差し
KR100491076B1 (ko) 칼날 케이스
JP2005007544A (ja) 釘打機のノーズキャップ保持装置
JP5999422B2 (ja) 収納装置付ベッド
JP3838009B2 (ja) 包丁差し
JP2007029394A (ja) 収納棚
JP2005152339A (ja) 遊技機
CN107152831B (zh) 冰箱
JP2005080783A (ja) 遊技機
JP5885519B2 (ja) キャビネット
KR200369282Y1 (ko) 치과용 부품케이스
KR200284087Y1 (ko) 씨디 보관용 랙
JP2009247623A (ja) 収納家具
WO2014129198A1 (ja) 収納ユニット
JP6282096B2 (ja) コンパクト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