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133Y1 -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133Y1
KR200430133Y1 KR2020060021073U KR20060021073U KR200430133Y1 KR 200430133 Y1 KR200430133 Y1 KR 200430133Y1 KR 2020060021073 U KR2020060021073 U KR 2020060021073U KR 20060021073 U KR20060021073 U KR 20060021073U KR 200430133 Y1 KR200430133 Y1 KR 200430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ember
cushion
mattress
spine
lum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동
Original Assignee
김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동 filed Critical 김수동
Priority to KR2020060021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1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 A61G7/07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for the head on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 골격의 굴곡부위에 대응되도록 쿠션부재의 상부면에 웨이브 형상의 곡면이 형성된 쿠션을 복수 구획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공간형태의 수용공간(112)을 배부에 구비한 커버(111)를 형성시킨 외장부(110)와;
상기 외장부(110)의 수용공간(112)에 인체 골격의 만곡부위와 대응되도록 웨이브 형상의 곡면(122)을 형성한 쿠션부재(121)를 복수로 구획하되, 구획된 쿠션부재(121)에 요홈(123)을 형성하고, 요홈(123)에 끼움결합 되도록 대향되게 돌출된 결합구(124)를 형성한 쿠션부(120)및;
상기 쿠션부(120)의 쿠션부재(121) 하부에 지지판(131)에 지지되어 치차 결합된 모터(132)를 형성하고 모터(132)의 작동으로 복수 구획된 쿠션부재(121)가 전, 후 이동되도록 하여 결합구(124)가 요홈(123)에 끼움 결합 및 분리되어 길이 연장 또는 축소시키는 구동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추, 흉추. 요추, 슬개골, 매트리스

Description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The human body the elder brother mattress which it fixes}
도 1 은 일반적인 인체의 부위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복수 구획된 쿠션부재중 어느 하나를 확대한 확대도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a)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쿠션부재의 동작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b)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쿠션부재가 중앙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c)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쿠션부재가 양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경추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
a)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경추 받침대 사시도.
b)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경추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매트리스 110: 외장부
111: 커버 112: 수용공간
120: 쿠션부 121: 쿠션부재
121a: 경추쿠션부재 121b: 흉추쿠션부재
121c: 요추쿠션부재 121d: 슬개골쿠션부재
122: 곡면 122a: 경추곡면
122b: 흉추곡면 122c: 요추곡면
122d: 슬개골곡면 123: 요홈
124: 결합구 125: 경추받침대
126: 관통공 127: 받침대
128: 밸크로 130: 구동수단
131: 지지판 132: 모터
132a: 구동치차 133: 동력전달수단
134: 회전축 134a: 회전치차
135: 지지구 136: 회동치차
137: 이송치차 138: 리모콘
본 발명은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부재를 복수로 구획하고, 구획된 쿠션부재의 상부를 인체 골격의 만곡부위 곡선과 대응되도록 곡면을 형성하여 골격에 집중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도록 하고, 복수 구획된 쿠션부재를 유동가능하게 형성하여 쿠션부재의 곡면이 장신자 및 단신자의 인체 골격의 만곡부위 맞도록 하여 수면시 자세의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인체 골격의 만곡부위 곡선이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추(목등뼈), 흉추(가슴등뼈), 요추(허리등뼈), 슬개골(무릎뼈)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 인간은 여타 포유류 동물과 달리 직립보행을 함으로 신체구조상 척추 부위에 많은 하중이 부가되어 상대적으로 피로가 유발되는 생태적 취약점이 있으며, 노년기에는 면역기능이 현저히 저하됨으로 피로가 풀리지 않고 누적되어 각종 성인병이 유발되거나 신체적 통증을 호소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람이 누웠을 때 상기 만곡부위를 각각 받쳐주면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고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침대용의 두툼한 요 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직사각형의 납작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매트리스는 스프링이 삽입되거나 스펀지로만 형성되는 것들이 있으며 스프링이 삽입된 매트리스의 경우 매우 딱딱하며, 스펀지로 형성된 매트리스 는 푹신하게 만들어진다.
아울러, 허리 디스크 환자와 같은 경우 딱딱한 매트리스에서 수면을 취할 때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기 힘들었으며, 더욱이 허리에 무리가 생기지 않도록 다리에 쿠션이나, 큰 베개 받치고 수면을 취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나아가, 스펀지와 같이 푹신한 매트리스의 경우 사람의 무게에 의해 엉덩이 부분이 푹 들어가게 되고 다른 부분은 전혀 받쳐 주지 못하여 스프링 매트리스와 같이 쿠션이나 큰 베개를 받치고 수면을 취해야 했다.
상기와 같은 수면시 불편한 자세로 수면을 장시간 지속할 경우 인체의 척추 이상을 불러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매트리스는 싱글, 더블 및 퀸 등으로 규격 사이즈로 생산되어 장신자의 경우 매트리스 길이의 공간이 부족하여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과학적 기술이 부여된 침대의 매트리스가 제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매트리스의 핵심기술은 쿠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이 너무 좋은 매트리스를 통하여 수면을 취하게 되면 체중에 의해 매트리스가 휘게 되고, 이로 인해 요추부의 후만을 발생시킴으로써, 기능적 단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척추의 추간판의 압력을 상승시켜 추간판의 퇴화를 촉진 시켜 신경 다발을 압박할 수 있는 자세를 수면 중에 취할 수 없어 척추주위의 근육을 긴장시키고, 척추 후방부의 압박으로 요통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 다.
또한, 출산 등으로 복근의 약화가 있는 사람에게는 이러한 자세가 복근의 약화를 더욱 심화시키고 척추 주위 근육의 불균형으로 척추 변형을 촉진 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반대로 딱딱한 매트리스를 통하여 수면을 취할 경우 인체의 고관절과 슬관절을 신전시켜 골반의 전방 경사와 요추 전만을 심화시킬 수 있으며, 방바닥과 척추의 접촉 부위가 한정되어 있어 척추 주위 근육의 긴장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주목적은, 매트리스에서 수면시 인체 골격의 만곡부위를 효과적으로 받쳐 줄 수 있도록 인체의 만곡부위와 대응되도록 매트리스의 쿠션 상부에 웨이브 형상의 곡면을 형성하여 안락하고 편안한 수면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트리스의 쿠션은 복수로 구획하면서 구획된 쿠션에 구동수단을 형성하여 쿠션의 곡면을 수면자의 만곡부위에 맞도록 쿠션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는, 공간 형태의 수용공간을 배부에 구비한 커버를 형성시킨 외장부와; 상기 외장부의 수용공간에 인체 골격의 만곡부위와 대응되도록 웨이브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 쿠션부재를 복수로 구획하되, 구획된 쿠션부재에 요홈을 형성하고, 요홈에 끼움결합 되도록 대향되게 돌출된 결합구를 형성한 쿠션부및; 상기 쿠션부의 쿠션부재 하부에 지지판에 지지되어 치차 결합된 모터를 형성하고 모터의 작동으로 복수 구획된 쿠션부재가 전, 후 이동되도록 하여 결합구가 요홈에 끼움결합 및 분리되어 길이 연장 또는 축소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를 나타낸 평단 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복수 구획된 쿠션부재중 어느 하나를 확대한 확대도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쿠션부재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쿠션부재가 중앙을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c)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 리스의 쿠션부재가 양측 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경추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경추 받침대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의 경추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100)는 공간형태의 수용공간(112)을 배부에 구비한 커버(111)를 형성시킨 외장부(110)와;
상기 외장부(110)의 수용공간(112)에 인체 골격의 만곡부위와 대응되도록 웨이브 형상의 곡면(122)을 형성한 쿠션부재(121)를 복수로 구획하되, 구획된 쿠션부재(121)에 요홈(123)을 형성하고, 요홈(123)에 끼움 결합 되도록 대향 되게 돌출된 결합구(124)를 형성한 쿠션부(120)및;
상기 쿠션부(120)의 쿠션부재(121) 하부에 지지판(131)에 지지되어 치차 결합된 모터(132)를 형성하고 모터(132)의 작동으로 복수 구획된 쿠션부재(121)가 전, 후 이동되도록 하여 결합구(124)가 요홈(123)에 끼움 결합 및 분리되어 길이 연장 또는 축소시키는 구동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외장부(110)의 커버(111)는 합성섬유, 가죽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일측으로 수용공간(112)을 개구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개구부에는 수용공간(112)을 밀폐시 킬 수 있도록 지퍼, 밸크로 등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쿠션부(120)의 쿠션부재(121)는 경추쿠션부재(121a), 흉추쿠션부재 (121b), 요추쿠션부재(121c)및 슬개골쿠션부재(121d)로 복수 구획되는 것이다.
여기서, 경추쿠션부재(121a)는 외장부(110)의 수용공간(112) 선단부에 고정되어 인체 골격의 경추를 받치도록 일측 하부에서 타측 상부로 만곡된 경추곡면(122a)을 형성하여 인체의 경추(목등뼈)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경추곡면(122a)의 상부인 외피에 만곡된 경추곡면(122a)이 수평 되도록 하면서, 선단부에 인체의 뒤통수를 받칠 수 있는 관통공(126)을 형성하고, 후단부를 선단부보다 넓게 형성하여 인체의 견갑골을 지지할 수 있는 경추받침대(125)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경추받침대(125) 저면에 밸크로(128)를 형성하여 커버(111)에 부착시 움직임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흉추쿠션부재(121b)는 경추쿠션부재(121a)의 요홈(123)과 결합구(124)로 상호 유동가능하게 끼움 결합하고, 인체의 흉추를 받치도록 일측이 경추곡면(122a)을 볼록하게 연장하면서 타측 하부로 오목하게 흉추곡면(122b)을 형성하고 하부에 받침대(127)를 구비하여 수용공간(112)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흉추곡면(122b)에 흉추인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요추쿠션부재(121c)는, 흉추쿠션부재(121b)의 요홈(123)과 결합구(124)로 상호 유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인체의 요추를받치도록 일측이 흉추곡면(122b)의 오목한 부분을 연장하면서, 타측 상부로 볼록하게 요추곡면(122c)을 형성하고 하부에 받침대(127)를 구비하여 경추쿠션부재(121a)와 동일 높이로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흉추쿠션부재(121b)의 오목부와 요추쿠션부재(121c)의 오목한 부분에 엉덩을 위치시키면서 요추쿠션부재(121c)의 볼록하게 형성된 요추곡면에 대퇴골(넓적다리뼈)를 올려 요추 부분의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슬개골쿠션부재(121d)는 외장부(110)의 수용공간(112) 후단부에 고정되어 요추쿠션부재(121c)의 요홈(123)과 결합구(124)로 끼움결합되고, 인체의 슬개골을 받치도록 일측이 요추곡면(122c)의 볼록한 부분을 연장하면서, 타측 하부로 오목하게 슬개골곡면(122d)을 형성하여 인체의 비골(종아리뼈)를 받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인체의 슬개골(무릎뼈)를 엉덩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허리에 스트레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구동수단(130)은 모터(132)에 결합되어 정회전, 역회전하는 스프라켓 형상의 구동치차(132a)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133)을 형성한다.
여기서, 동력전달수단(133)은 체인, 밸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동력전달수단(133)과 결합된 스프라켓 형상의 회전치차(134a)를 고정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134)을 모터(132)의 양측으로 대향되게 복수 형성하며 회전축(134)의 양끝단에 지지구(135)를 형성하고 하고, 지지구(135)에 회전축(134)에 결합된 피니언 형상의 회동치차(136)을 형성하여 회동치차(136)를 지지판(131)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회동치차(136)에 전, 후 이송되도록 결합되어 쿠션부재(121)를 받치고 있는 받침대(127)의 저면에 이송치차(137)를 형성하여 쿠션부재(121)가 전, 후 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구동수단(130)은 흉추쿠션부재(121b)와, 요추쿠션부재(121c)의 받침대(127) 저면에 각각 구성되며, 이때 각각 구성된 구동수단(130)의 모터가 서로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흉추쿠션부재(121b)와, 요추쿠션부재(121c)의 간격을 동일 하게 움직을 수 있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력원인 모터(132)를 외부에서 콘트롤 하는 리모콘(138)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매트리스(100) 복수 구획된 쿠션부재(121)는 평소에 도 6a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부재(121)의 요홈(123)과 결합구(124)가 끼움결합 되지 않고 서로 맞다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곡면(122)이 자신의 굴곡부위와 맞다면 구획된 쿠션부재(121)를 움직이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b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키가 작은 단신자의 경우 복수 구획된 중앙의 쿠션부재(121)인 흉추쿠션부재(121b)와 요추쿠션부재(121c)의 간격을 좁혀야 한다.
여기서, 구동수단(130)의 리모콘(138)을 조작하여 모터(132)를 정회전 시키 게 되면 모터(132)가 회전되면서 구동치차(132a)에 의해 동력전달수단(133)이 구동하게되고, 이때 회전치차(134a)에 의해 회전축(134) 회전된다.
이렇게, 회전축(134)이 회전되면, 회동치차(136) 정회전을 하게 되고, 이송치차(137)가 매트리스(100)의 중앙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흉추쿠션부재(121b)와 요추쿠션부재(121c)가 서로 밀착되면서 요홈(123)과 결합구(124)가 서로 끼움결합된다.
이와같이, 요홈(123)과 결합구(124)가 끼움결합되면서, 흉추쿠션부재(121b)와 요추쿠션부재(121c)의 간격이 좁혀져 단신자가 흉추쿠션부(120)에 흉추인 등뼈를 기대면서, 요추쿠션부재(121c)에 대퇴골(넓다리뼈)를 올려 슬개골(무릎뼈)을 요추쿠션부재(121c)의 타측 볼록면에 올려 놓을 수 가 있어 안락하고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c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키가 큰 장신자의 경우 흉추쿠션부재(121b)와 요추쿠션부재(121c)의 간격을 넓히도록 한다.
여기서도, 상기와 같이, 구동수단(130)의 리모콘(138)을 조작하여 모터(132)를 작동시키는데 상기와 반대로 모터(132)를 역회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모터(132)를 역회전 시키면 구동치차(132a)에 결합된 동력전달수단(133)이 역회전되면서 회전치차(134a)에 의해 회전축(134)이 역회전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134)이 역회전되면, 지지구(135)에 결합된 회동치차(136)가 역회전을 하여 이송치차(137)가 매트리스(10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송치차(137)가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흉추쿠션부재(121b)와 경추쿠 션부재(121a)의 요홈(123)과 결합구(124)가 서로 끼움결합되고, 요추쿠션부재(121c)와 슬개골쿠션부재(121d)의 요홈(123)과 결합구(124)가 서로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복수 구획된 쿠션부재의 중앙 부분이 이격되면서 흉추쿠션부재(121b)와 요추쿠션부재(121c)의 간격이 넓혀져 장신자가 흉추쿠션부(120)에 흉추인 등뼈를 기대면서, 요추쿠션부재(121c)에 대퇴골(넓다리뼈)를 올려 슬개골(무릎뼈)을 요추쿠션부재(121c)의 타측 볼록면에 올려 놓을 수 가 있어 안락하고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단신자, 장신자는 일 예로 나타낸 것으로 복수구획된 쿠션부재(121)중 흉추쿠션부재(121b)와 요추쿠션부재(121c)의 받침대(127) 하부에 구동수단(130)을 각각 형성하여 흉추쿠션부재(121b)와, 요추쿠션부재(121c)를 전,후 이동시켜 요홈(123)과 결합구(124)가 끼움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여 쿠션부재(121)의 간격이 이격되거나 밀착되어 매트리의 길이가 연장 되거나 축소되어 쿠션부재(121)의 곡면이 수면자의 골격의 만곡부위 맞도록 조절하여 사용하면 안락하고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경추쿠션부재(121a)의 경추곡면(122a)에 의해 머리가 뒤로 너무 제처질 경우 경추받침대(125)를 경추쿠션부재(121a)가 삽입된 커버(111)의 표면에 경추받침대(125)이 저면에 형성된 밸크로(128)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여기서. 경추받침대(125)를 부착하게 되면 경추곡면(122a)이 평평함을 유지 할 수 있으며 이때 관통공(126)이 인체의 뒤통수를 안착 고정할 있으며 넓게 형성된 후단부가 인체의 견갑골(날개뼈)를 지지하여 안락하고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는, 인체 골격의 만곡부위에 대응되게 쿠션의 상부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만곡부위를 받처주게 되어 수면자는 안락하고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는, 복수 구획된 쿠션의 위치를 구동수단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수면자의 만곡부위체 맞추어 쿠션의 곡면 부분을 맞출수 있어, 효과적으로 수면자를 받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는, 구획된 쿠션을 받치고,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수단을 리모콘으로 조작할 수 있어, 몸이 불편한 환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는, 눕은 자세를 매우 편안하고 바른 자세로 잡아줄 수 있는 인체공학적인 구조로 구성하였으므로 매우 편안히 잠을 잘 수 있음과 아울러 허리를 받처 주므로서 허리 디스크 환자에게 보다 편리한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공간형태의 수용공간(112)을 배부에 구비한 커버(111)를 형성시킨 외장부(110)와;
    상기 외장부(110)의 수용공간(112)에 인체 골격의 만곡부위와 대응되도록 웨이브 형상의 곡면(122)을 형성한 쿠션부재(121)를 복수로 구획하되, 구획된 쿠션부재(121)에 요홈(123)을 형성하고, 요홈(123)에 끼움 결합 되도록 대향 되게 돌출된 결합구(124)를 형성한 쿠션부(120)및;
    상기 쿠션부(120)의 쿠션부재(121) 하부에 지지판(131)에 지지되어 치차 결합된 모터(132)를 형성하고 모터(132)의 작동으로 복수 구획된 쿠션부재(121)가 전, 후 이동되도록 하여 결합구(124)가 요홈(123)에 끼움 결합 및 분리되어 길이 연장 또는 축소시키는 구동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120)의 복수 구획된 쿠션부재(121)는
    외장부(110)의 수용공간(112) 선단부에 고정되어 인체 골격의 경추를 받치도록 일측 하부에서 타측 상부로 만곡된 경추곡면(122a)을 형성한 경추쿠션부재(121a)와,
    상기 경추쿠션부재(121a)의 요홈(123)과 결합구(124)로 상호 유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인체의 흉추를 받치도록 일측이 경추곡면(122a)을 볼록하게 연장하면서 타측 하부로 오목하게 흉추곡면(122b)을 형성하고 하부에 받침대(127)를 구비한 흉추쿠션부재(121b)와,
    상기 흉추쿠션부재(121b)의 요홈(123)과 결합구(124)로 상호 유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인체의 요추를받치도록 일측이 흉추곡면(122b)의 오목한 부분을 연장하면서, 타측 상부로 볼록하게 요추곡면(122c)을 형성하고 하부에 받침대(127)를 구비한 요추쿠션부재(121c)와,
    상기 외장부(110)의 수용공간(112) 후단부에 고정되어 요추쿠션부재(121c)의 요홈(123)과 결합구(124)로 끼움결합되고, 인체의 슬개골을 받치도록 일측이 요추곡면(122c)의 볼록한 부분을 연장하면서, 타측 하부로 오목하게 슬개골곡면(122d)을 형성한 슬개골쿠션부재(121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3.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30)은 모터(132)에 결합되어 정회전, 역회전하는 스프라켓 형상의 구동치차(132a)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133)을 형성하고 동력전달수단(133)과 결합된 스프라켓 형상의 회전치차(134a)를 고정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134)을 형성하며 회전축(134)의 양끝단에 지지구(135)를 형성하 고, 지지구(135)에 회전축(134)에 결합된 피니언 형상의 회동치차(136)을 형성하며, 회동치차(136)에 전, 후 이송되도록 결합되어 받침대(127)의 저면에 형성되는 이송치차(137)를 형성하고, 동력원인 모터(132)를 외부에서 콘트롤 하는 리모콘(138)으로 구성하여 복수구획된 쿠션부재(121)중 흉추쿠션부재(121b)와 요추쿠션부재(121c)의 받침대(127) 하부에 구동수단(130)을 각각 형성하여 흉추쿠션부재(121b)와, 요추쿠션부재(121c)를 전,후 이동시켜 요홈(123)과 결합구(124)가 끼움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여 쿠션()의 간격이 이격되거나 밀착되어 매트리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쿠션부재(121a)에 형성된 경추곡면(122a)의 상부인 외피에 만곡된 경추곡면(122a)이 수평이 되도록 하면서, 선단부에 인체의 뒤통수를 받칠 수 있는 관통공(126)을 형성하고, 후단부를 관통공(126)이 형성된 선단부보다 넓게 형성하여 인체의 견갑골을 지지할 수 있는 경추받침대(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KR2020060021073U 2006-08-07 2006-08-07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KR200430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073U KR200430133Y1 (ko) 2006-08-07 2006-08-07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073U KR200430133Y1 (ko) 2006-08-07 2006-08-07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133Y1 true KR200430133Y1 (ko) 2006-11-02

Family

ID=4177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073U KR200430133Y1 (ko) 2006-08-07 2006-08-07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1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220A (ko) * 2016-11-25 2018-06-04 임정현 척추 교정 기기
KR102017214B1 (ko) * 2018-03-23 2019-09-02 홍준호 척추 교정 기구
KR102530005B1 (ko) * 2022-12-29 2023-05-08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스파인코렉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220A (ko) * 2016-11-25 2018-06-04 임정현 척추 교정 기기
KR101865539B1 (ko) * 2016-11-25 2018-06-08 임정현 척추 교정 기기
KR102017214B1 (ko) * 2018-03-23 2019-09-02 홍준호 척추 교정 기구
KR102530005B1 (ko) * 2022-12-29 2023-05-08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스파인코렉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4739A (en) Therapeutic and preventive device for giving a set position to lower limbs
KR20090102595A (ko) 개량형 척추교정장치
US8596717B2 (en) Posture trainer
KR101590068B1 (ko) 자세 교정용 기능성 취침구
US9326906B2 (en) Therapeutic pillow
JPS63503287A (ja) 横臥または着座エレメント
JP2004081641A (ja) 整体治療の前後において使用する整体治療用補助具
KR200430133Y1 (ko)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JP5114783B2 (ja) 健康運動器具
JP6453793B2 (ja) 骨盤支持具及び椅子
KR200477364Y1 (ko) 등쿠션
US6810543B2 (en) Orthopedic body segment support
KR20170084556A (ko)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다른 경도와 탄성을 갖는 매트리스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CN209864547U (zh) 一种按摩保健靠背垫及按摩保健轮椅
JP3138255U (ja) 椅子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101102894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JP3106889U (ja) 整体器具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KR200456599Y1 (ko) 척추 받침대
KR200268150Y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CA2324818A1 (en) Adjustable orthopedic neck support pillow
JP7490209B2 (ja) 安産準備パッド、安産準備椅子
KR20220085016A (ko) 팽창식 목 견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