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005B1 - 스파인코렉터 - Google Patents

스파인코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005B1
KR102530005B1 KR1020220189857A KR20220189857A KR102530005B1 KR 102530005 B1 KR102530005 B1 KR 102530005B1 KR 1020220189857 A KR1020220189857 A KR 1020220189857A KR 20220189857 A KR20220189857 A KR 20220189857A KR 102530005 B1 KR102530005 B1 KR 10253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main box
main
box memb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Priority to KR102022018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005B1/ko
Priority to KR1020230033920A priority patent/KR102529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의 굴곡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분리, 결합 할 수 있도록 하며, 리포머 운동장치에 탈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바닥에 놓고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스파인코렉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파인코렉터{spine collector}
본 발명은 스파인코렉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의 굴곡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분리, 결합 할 수 있도록 하며, 리포머 운동장치에 탈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바닥에 놓고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스파인코렉터에 대한 것이다.
필라테스 조셉 에이치(Joseph H. Pilates)는 사용자의 등, 다리 및/또는 팔의 주요 근육군을 운동하기 위하여 앉아 있거나 드러누운 자세에서 사용자가 발로 밀거나 팔로 당길 수 있는 가변형 레지스턴스를 제공하도록 고정식 프레임과 함께 웨이트 세트 등의 레지스턴스 장치에 결합된 바퀴달린 플랫폼 캐리지를 사용하는 개념을 개발하였다. 필라테스 조셉 에이치와 그의 와이프인 클라라(Clara)는 필라테스 트레이닝으로서 널리 알려지게 된 선구 작업에서 다양한 운동 장치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클라라 필라테스가 개발한 운동 장치 중의 하나로는 클라라가 "척추 교정기(spine corrector)"라 부르는 것이 있다. 이 장치는 평탄하고 경사진 평면 또는 스텝에 합체되는 원통형 배럴의 패드가 있는 부분 세그먼트의 형태를 갖고 있어, 오늘날 널리 알려진 "스텝 배럴(step barrel)"이라 불린다. 사용자는 스텝 위에 앉아서 배럴 부분의 곡선면 위에 등을 기대고 사용자의 척추를 신장시킨다.
그 이후로, 스텝 배럴의 설계에 있어서 많은 변화 및 개선이 생겼다. 수직면에 핸들이 추가되었고, "베이비 아크(Baby Arc)"라 부르는 간소화된 버전이 개발되었는데, 이 베이비 아크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보다 작은 아크 세그먼트이고 패드가 있는 가구재로 덮여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스텝 배럴은 배럴 부분의 곡선면이 하나의 고정된 반경을 갖게 형성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 사용자는 배럴 부분의 곡률이 너무 가파르다고 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사용자는 배럴 부분의 곡률이 너무 얕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이한 유저를 위해 상이한 곡률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배럴과 아크의 사용을 필요로 하여, 상이한 크기의 배럴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연습장 공간, 이에 따라 보관 공간은 이들 장치가 사용되는 대부분의 시설에서 제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추가의 공간을 차지하는 일 없이 상이한 사용자들에게 융통될 수 있는 스텝 배럴 운동 장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여러 가지의 상이한 구성뿐만 아니라 상이한 운동에 융통될 수 있는 운동 장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16233호
본 발명은 신체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의 굴곡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분리, 결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리포머 운동장치에 탈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바닥에 놓고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체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의 굴곡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분리, 결합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파인코렉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파인코렉터는, 바닥면에 안착되거나, 리포머의 슬라이드매트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메인박스부재와, 신체의 굴곡 또는 운동방식에 맞게 메인박스부재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변탈부착부재와, 사용자가 메인박스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메인박스부재 양측으로 형성되는 손잡이와, 리포머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매트에 안착시 슬라이드매트에 형서되는 어깨받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인박스부재 하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어깨받이삽입홈과, 가변탈부착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변고정돌기가 결속될 수 있도록 메인박스부재 하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돌기결속홈과, 메인박스부재에 형성되는 돌기결속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가변탈부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변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파인코렉터는, 메인박스부재와 가변탈부착부재 간의 간격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메인박스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의 케이스로 형성되는 메인측케이스와, 메인측케이스에 안착되는 메인박스부재를 메인측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해 메인측케이스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메인측안착판과, 가변탈부착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의 케이스로 형성되는 보조측케이스와, 보조측케이스에 안착되는 가변탈부착부재를 보조측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조측케이스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보조측안착판과, 메인박스부재가 메인측안착판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측안착판 상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며, 가변탈부착부재가 보조측안착판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측안착판 상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걸림단과, 조절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메인측케이스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모터와, 조절모터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시 스크류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일측이 조절모터에 연결되고, 타측은 스크류축과 연결 형성되는 조절구동축과, 조절구동축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메인측케이스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축고정부재와, 스크류부재와 결합되며, 일측이 조절구동축에 연결 형성되어 조절구동축의 회전시 스크류부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크류축과, 스크류축에 결합되며, 스크류축의 회전시 보조측케이스가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보조측케이스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부재와, 스크류축의 회전시 이동되는 스크류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크류축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단과, 메인측케이스와 보조측케이스가 상호 접촉시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측케이스 일측면에 형성되는 밀착패드와, 메인측케이스와 보조측케이스의 접촉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보조측케이스 일측면에 형성되는 밀착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체의 굴곡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분리, 결합 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리포머 운동장치에 탈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바닥에 놓고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사용공간을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스파인코렉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대한 탈부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스파인코렉터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길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스파인코렉터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부재가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스파일코렉터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바닥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스파인코렉터(1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대한 탈부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스파인코렉터(100)는 신체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의 굴곡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분리, 결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파인코렉터(100)는 메인박스부재(110), 가변탈부착부재(111), 손잡이(112), 어깨받이삽입홈(113), 돌기결속홈(114), 가변고정돌기(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박스부재(110)는 바닥면에 안착되거나, 리포머의 슬라이드매트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탈부착부재(111)는 신체의 굴곡 또는 운동방식에 맞게 메인박스부재(110)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112)는 사용자가 메인박스부재(110)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112)는 메인박스부재(110)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깨받이삽입홈(113)은 리포머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매트에 안착시 슬라이드매트에 형서되는 어깨받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어깨받이삽입홈(113)은 메인박스부재(110) 하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결속홈(114)은 가변탈부착부재(111)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변고정돌기(115)가 결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결속홈(114)은 메인박스부재(110) 하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고정돌기(115)는 메인박스부재(110)에 형성되는 돌기결속홈(114)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고정돌기(115)는 가변탈부착부재(1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스파인코렉터(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길이조절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200)는 본 발명 스파인코렉터(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길이조절부(200)는 메인박스부재(110)와 가변탈부착부재(111) 간의 간격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조절부(200)는 메인측케이스(210), 메인측안착판(211), 보조측케이스(212), 보조측안착판(213), 걸림단(214), 조절모터(215), 조절구동축(216), 축고정부재(217), 스크류축(218), 스크류부재(219), 이탈방지단(220), 밀착패드(221), 밀착센서(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측케이스(210)는 메인박스부재(1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측케이스(210)는 사각의 케이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측안착판(211)은 메인측케이스(210)에 안착되는 메인박스부재(110)를 메인측케이스(2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측안착판(211)은 메인측케이스(210)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측케이스(212)는 가변탈부착부재(1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측케이스(212)는 사각의 케이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측안착판(213)은 보조측케이스(212)에 안착되는 가변탈부착부재(111)를 보조측케이스(212)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측안착판(213)은 보조측케이스(212)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단(214)은 메인박스부재(110)가 메인측안착판(211)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단(214)은 메인측안착판(211) 상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며, 가변탈부착부재(111)가 보조측안착판(213)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측안착판(213) 상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모터(215)는 조절구동축(216)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모터(215)는 메인측케이스(2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구동축(216)은 조절모터(215)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시 스크류축(218)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구동축(216)은 일측이 조절모터(215)에 연결되고, 타측은 스크류축(218)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고정부재(217)는 조절구동축(216)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고정부재(217)는 메인측케이스(210)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축(218)은 스크류부재(219)와 결합되며, 일측이 조절구동축(216)에 연결 형성되어 조절구동축(216)의 회전시 스크류부재(219)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부재(219)는 스크류축(218)에 결합되며, 스크류축(218)의 회전시 보조측케이스(212)가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부재(219)는 보조측케이스(212)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단(220)은 스크류축(218)의 회전시 이동되는 스크류부재(219)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단(220)은 스크류축(218)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패드(221)는 메인측케이스(210)와 보조측케이스(212)가 상호 접촉시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패드(221)는 메인측케이스(210)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센서(222)는 메인측케이스(210)와 보조측케이스(212)의 접촉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센서(222)는 보조측케이스(212)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스파인코렉터(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부재가변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재가변부(300)는 본 발명 스파인코렉터(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부재가변부(300)는 메인박스부재(110) 상면에서 가변매트(316)가 상승되도록 하여 스트레칭 효과를 극대화시켜주며, 진동발생으로 마사지효과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가변부(300)는 가변구동홈(310), 가변모터(311), 가변스크류(312), 가변판(313), 가변부재(314), 매립홈(315), 가변매트(316), 진동자(317), 높이감지센서(318), 제어수단(3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구동홈(310)은 가변모터(311)가 매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구동홈(310)은 메인박스부재(110) 중앙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모터(311)는 가변스크류(31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모터(311)는 가변구동홈(310) 바닥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스크류(312)는 가변판(313)이 결합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스크류(312)는 가변모터(3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판(313)은 가변스크류(312)에 결합되어 가변스크류(312)의 회전시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부재(314)는 가변매트(316)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부재(314)는 가변판(313)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립홈(315)은 가변매트(316)가 매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매립홈(315)은 메인박스부재(110)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매트(316)는 가변스크류(312)의 회전시 승하강되는 가변부재(314)에 의해 매립홈(315)에서 이탈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매트(316)는 가변부재(314)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자(317)는 가변매트(316)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자(317)는 가변부재(314)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감지센서(318)는 변판의 높낮이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이감지센서(318)는 가변구동홈(310) 바닥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319)은 가변모터(311)와 진동자(317)를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319)은 메인박스부재(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 스파일코렉터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바닥고정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고정부(400)는 본 발명 스파인코렉터(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바닥고정부(400)는 바닥면에 밀착시켜 메인박스부재(110)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고정부(400)는 에어펌프(410), 흡입튜브(411), 흡착패드(412), 흡입홈(413), 공기배출구(414), 분사튜브(415), 분사홈(416), 개폐기(417), 송수신기(418), 제어기(4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펌프(410)는 흡착력과 분사공기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에어펌프(410)는 메인박스부재(1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튜브(411)는 에어펌프(410)로부터 생성되는 흡착력에 의해 흡착홈에 공기를 흡입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튜브(411)는 일측이 개폐기(417)에 연결되고, 타측이 흡착패드(412) 중앙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패드(412)는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착패드(412)는 메인박스부재(110) 하면으로 복수개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홈(413)은 밀폐되도록 바닥면과 흡착패드(4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구(414)는 에어펌프(4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배출구(414)는 메인박스부재(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g나다.
상기 분사튜브(415)는 메인박스부재(110) 상면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튜브(415)는 메인박스부재(110) 내부 상측으로 일측이 개폐기(417)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홈(416)은 분사튜브(415)로 이동되는 공기가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홈(416)은 분사튜브(415)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기(417)는 에어펌프(410)로부터 흡착력 생성시 흡입튜브(41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며, 에어펌프(410)로부터 분사공기생성시 분사튜브(415) 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에어펌프(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수신기(418)는 에어펌프(410)와 개폐기(417)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받거나, 에어펌프(410)와 개폐기(417)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도록 에어펌프(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419)는 송수신기(418)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따라 에어펌프(410)와 개폐기(417)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기(419)는 에어펌프(410)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파인코렉터
110 : 메인박스부재 111 : 가변탈부착부재
112 : 손잡이 113 : 어깨받이삽입홈
114 : 돌기결속홈 115 : 가변고정돌기
200 : 길이조절부 210 : 메인측케이스
211 : 메인측안착판 212 : 보조측케이스
213 : 보조측안착판 214 : 걸림단
215 : 조절모터 216 : 조절구동축
217 : 축고정부재 218 : 스크류축
219 : 스크류부재 220 : 이탈방지단
221 : 밀착패드 222 : 밀착센서
300 : 부재가변부 310 : 가변구동홈
311 : 가변모터 312 : 가변스크류
313 : 가변판 314 : 가변부재
315 : 매립홈 316 : 가변매트
317 : 진동자 318 : 높이감지센서
319 : 제어수단
400 : 바닥고정부 410 : 에어펌프
411 : 흡입튜브 412 : 흡착패드
413 : 흡입홈 414 : 공기배출구
415 : 분사튜브 416 : 분사홈
417 : 개폐기 418 : 송수신기
419 : 제어기

Claims (3)

  1. 신체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의 굴곡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분리, 결합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파인코렉터에 있어서,
    상기 스파인코렉터는,
    바닥면에 안착되거나, 리포머의 슬라이드매트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메인박스부재와,
    신체의 굴곡 또는 운동방식에 맞게 메인박스부재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변탈부착부재와,
    사용자가 메인박스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메인박스부재 양측으로 형성되는 손잡이와,
    리포머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매트에 안착시 슬라이드매트에 형서되는 어깨받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인박스부재 하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어깨받이삽입홈과,
    가변탈부착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변고정돌기가 결속될 수 있도록 메인박스부재 하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돌기결속홈과,
    메인박스부재에 형성되는 돌기결속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가변탈부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변고정돌기포함하되,

    상기 스파인코렉터는,
    메인박스부재와 가변탈부착부재 간의 간격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메인박스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의 케이스로 형성되는 메인측케이스와,
    메인측케이스에 안착되는 메인박스부재를 메인측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해 메인측케이스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메인측안착판과,
    가변탈부착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의 케이스로 형성되는 보조측케이스와,
    보조측케이스에 안착되는 가변탈부착부재를 보조측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조측케이스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보조측안착판과,
    메인박스부재가 메인측안착판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측안착판 상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며, 가변탈부착부재가 보조측안착판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측안착판 상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걸림단과,
    조절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메인측케이스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모터와,
    조절모터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시 스크류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일측이 조절모터에 연결되고, 타측은 스크류축과 연결 형성되는 조절구동축과,
    조절구동축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메인측케이스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축고정부재와,
    스크류부재와 결합되며, 일측이 조절구동축에 연결 형성되어 조절구동축의 회전시 스크류부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크류축과,
    스크류축에 결합되며, 스크류축의 회전시 보조측케이스가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보조측케이스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부재와,
    스크류축의 회전시 이동되는 스크류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크류축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단과,
    메인측케이스와 보조측케이스가 상호 접촉시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측케이스 일측면에 형성되는 밀착패드와,
    메인측케이스와 보조측케이스의 접촉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보조측케이스 일측면에 형성되는 밀착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파인코렉터는,
    메인박스부재 상면에서 가변매트가 상승되도록 하여 스트레칭 효과를 극대화시켜주며, 진동발생으로 마사지효과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부재가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재가변부는,
    가변모터가 매립될 수 있도록 메인박스부재 중앙 내부로 형성되는 가변구동홈과,
    가변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가변구동홈 바닥면으로 형성되는 가변모터와,
    가변판이 결합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변모터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변스크류와,
    가변스크류에 결합되어 가변스크류의 회전시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가변판과,
    가변매트를 지지하도록 가변판 상면으로 형성되는 가변부재와,
    가변매트가 매립될 수 있도록 메인박스부재 상면으로 형성되는 매립홈과,
    가변스크류의 회전시 승하강되는 가변부재에 의해 매립홈에서 이탈되도록 가변부재 상면으로 형성되는 가변매트와,
    가변매트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변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진동자와,
    변판의 높낮이를 감지하기 위해 가변구동홈 바닥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이감지센서와,
    가변모터와 진동자를 제어하기 위해 메인박스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파인코렉터는,
    바닥면에 밀착시켜 메인박스부재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고정부는,
    흡착력과 분사공기를 생성하기 위해 메인박스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에어펌프와,
    에어펌프로부터 생성되는 흡착력에 의해 흡착홈에 공기를 흡입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개폐기에 연결되고, 타측이 흡착패드 중앙으로 관통 형성되는 흡입튜브와,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메인박스부재 하면으로 복수개 매립 형성되는 흡착패드와,
    밀폐되도록 바닥면과 흡착패드 사이에 형성되는 흡입홈과,
    에어펌프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메인박스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공기배출구와,
    메인박스부재 상면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메인박스부재 내부 상측으로 일측이 개폐기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분사튜브와,
    분사튜브로 이동되는 공기가 분사되도록 분사튜브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분사홈과,
    에어펌프로부터 흡착력 생성시 흡입튜브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며, 에어펌프로부터 분사공기생성시 분사튜브 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에어펌프 일측으로 형성되는 개폐기와,
    에어펌프와 개폐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받거나, 에어펌프와 개폐기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도록 에어펌프 일측으로 형성되는 송수신기와,
    송수신기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따라 에어펌프와 개폐기를 제어하도록 에어펌프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인코렉터.
  2. 삭제
  3. 삭제
KR1020220189857A 2022-12-29 2022-12-29 스파인코렉터 KR102530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857A KR102530005B1 (ko) 2022-12-29 2022-12-29 스파인코렉터
KR1020230033920A KR102529068B1 (ko) 2022-12-29 2023-03-15 신체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857A KR102530005B1 (ko) 2022-12-29 2022-12-29 스파인코렉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920A Division KR102529068B1 (ko) 2022-12-29 2023-03-15 신체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005B1 true KR102530005B1 (ko) 2023-05-08

Family

ID=863812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9857A KR102530005B1 (ko) 2022-12-29 2022-12-29 스파인코렉터
KR1020230033920A KR102529068B1 (ko) 2022-12-29 2023-03-15 신체교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920A KR102529068B1 (ko) 2022-12-29 2023-03-15 신체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300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133Y1 (ko) * 2006-08-07 2006-11-02 김수동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KR101216233B1 (ko) 2007-09-11 2012-12-28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전용 가능한 배럴 운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164B1 (ko) * 2012-02-03 2012-08-16 (주)아이웰니스 경추 견인치료기
KR20210157548A (ko) * 2020-06-22 2021-12-29 임화목 신체 교정용 운동 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133Y1 (ko) * 2006-08-07 2006-11-02 김수동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KR101216233B1 (ko) 2007-09-11 2012-12-28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전용 가능한 배럴 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068B1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3008B2 (en) Squat exercise apparatus
EP2353662B1 (en) Exercise apparatus with resilient foot support
US10010738B2 (en) Exercise apparatus with resilient foot support
US20180169464A1 (en) Translating carriage exercise machines and methods of use
US20110111934A1 (en) Physical Fitness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WO2010006429A1 (en) Portable multi-directional exercise apparatus
US9682278B2 (en) Exercise apparatus
US11027170B2 (en) Multi-planar rotational platform and suspension exercise device
KR100516263B1 (ko) 밸런스 훈련장치
US7470221B1 (en) Upper extremity portable exercise machine
KR102530005B1 (ko) 스파인코렉터
US5085429A (en) Musculature exercising method
CA2265452A1 (en) Combination slant board and abdominal rocker
CN108601970B (zh) 具有移动用户支撑件的三头肌推举锻炼器械
KR101064307B1 (ko) 상체 운동기구
US20040082450A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9750969B2 (en) Functional training equipment with multiple movement planes used for press exercises
US7556570B2 (en) Training apparatus for golf swing
CN214388721U (zh) 智能气缸阻力哈克深蹲机
CN213031767U (zh) 一种田径运动员腿部力量训练装置
KR102589347B1 (ko) 리포머에 탈착가능한 숏박스
CN215841416U (zh) 一种具有夹持装置的跑步机
CN218474836U (zh) 普拉提锻炼装置
US10821316B2 (en) Leg press with adjustable resistance ratio
CN114569948B (zh) 一种锻炼平衡感的体育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