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956Y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956Y1
KR200429956Y1 KR2020060018520U KR20060018520U KR200429956Y1 KR 200429956 Y1 KR200429956 Y1 KR 200429956Y1 KR 2020060018520 U KR2020060018520 U KR 2020060018520U KR 20060018520 U KR20060018520 U KR 20060018520U KR 200429956 Y1 KR200429956 Y1 KR 200429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aster
height
ho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현
Original Assignee
김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현 filed Critical 김두현
Priority to KR2020060018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9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9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9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permanently, e.g. for increased security on low fricti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손쉽게 고정이 가능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는 중량물 또는 대차에 설치되어 이동시키거나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캐스터에 있어서, 내측에 회전공이 형성되는 회전구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구의 소정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바퀴부와 상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부는 상기 회전공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부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부싱부재의 내경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중량물 또는 대차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캐스터, 브라켓, 지지부, 플랜지, 바퀴, 높이조절부재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Caster having height control}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3은 도2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캐스터 100: 브라켓
102: 회전공 110: 돌출부
112: 관통홀 150: 베어링 볼
105, 205: 베어링 골 200: 지지부
202: 체결공 210: 플랜지
220: 부싱부재 300: 바퀴부
310: 바퀴 320: 내륜휠
330: 외륜휠 340: 베어링 볼
350: 완충부재 360: 와셔
370: 바퀴축 400: 고정부
410: 높이조절부재 412: 수나사부
414: 치부 420: 받침부재
430: 결합부재
본 고안은 각종 물품을 쉽고 편리하게 운반하기 위한 기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캐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하며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운반기구가 주행할 시 구름성이 높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운반기구 등에 장착되어 제품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는 캐스터 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캐스터는 캐스터를 운반기구 등에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고정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휠로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캐스터는 이동의 용이성으로 인해 많이 쓰여지고 있으나 정밀을 요하는 기기에 있어서는 요동이나 진동 및 수평성에 불안정성을 갖고 있어서 근래에는 높이 조절 및 고정을 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캐스터에 사용되는 고정부는 일정한 도구를 사용하여야만 했었고, 결국 일정한 도구를 주위에 구비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을 갖게 되었다. 더 나아가 이에 따른 작업시간의 증가 및 사용자의 반복작업에 의한 피로를 누적시켜 결과적으로 생산량까지 악화시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캐스터는 평상시 중량물을 싣고 다니고, 작업장 내에서는 인력으로 운반하므로 바퀴가 잘 굴러가는 것이 매우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운반기구에 설치된 캐스터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고, 주행할 시 구름성이 좋은 캐스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퀴의 높은 구름성과 높이조절 및 수평맞춤을 위해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고정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고도 원활히 승, 하강 시키도록 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는 중량물 또는 대차에 설치되어 이동시키거나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캐스터에 있어서, 내측에 회전공이 형성되는 회전구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구의 소정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바퀴부와 상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부는 상기 회전공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부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부싱부재의 내경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중량물 또는 대차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며, 도 3은 도2의 Ⅲ-Ⅲ'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10)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10)는 캐스터(10)의 몸체를 형성하는 브라켓(100), 운반기구 등에 장착되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부(200), 상기 브라켓(10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바퀴부(300) 및 상기 브라켓(100)에 결합된 바퀴부(300)를 지면에서 소정높이로 띄워 캐스터(10)를 고정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소정측에 환형으로 이루어져 단턱이 형성된 회전공(102)이 마련되는 회전구(101) 및 바퀴부(300)를 수용하기 위해 회전구(10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하방향으로 절곡된 돌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0)의 일면에는 관통홀(112)이 마련된다. 브라켓(100)은 주철 등으로 주물 제작되어 성형되나, 캐스터(10)가 설치되는 중량물 또는 대차의 용도에 맞도록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200)는 상부에 소정크기의 너비를 가지는 플랜지(210)가 형성되어 중량물 또는 대차 등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지지부(200)의 하부는 브라켓(100)의 회전공(102)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부싱부재(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브라켓(100) 상부와 플랜지(210) 하부 사이에는 삽입골(raceway; 105, 205)이 각각 마련되고, 이 삽입골(105, 205)에 베어링 볼(150)이 위치되어 구름운동을 하여 브라켓(100)에 수용된 부싱부재(2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지지부(200)의 내경면에는 후술할 높이조절부재(410)의 수나사부(414)가 체결되도록 체결공(202)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공(202)은 수나사부(414)의 외주면과 상호체결 가능하도록 암나사공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베어링 볼(150)이 구름운동을 하는 각각의 삽입골(105, 205)이 형성된 플랜지(210) 하부와 브라켓(100)의 상부는 강도 및 경도를 위해 국부적으로 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부(200)는 중량물 또는 대차 등의 하부에 결합되고, 지지부(200)에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브라켓(100)의 회전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주행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바퀴부(300)는 브라켓(100) 돌출부(110)의 양측으로 바퀴(310)가 위치하여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바퀴축(370)에 의해 고정된다.
바퀴(310)는 중앙부에 관통축공(322)을 형성하고, 베어링 볼(340)이 삽입되도록 베어링 골(324)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내륜휠(320), 상기 내륜휠(320)의 외면에 결합되고 베어링 볼(340)이 삽입되도록 베어링 골(332)이 형성되는 외륜휠(330), 바퀴(310)의 회전이 용이 하도록 상기 삽입홈 사이에 위치되는 베어링 볼(340) 및 상기 외륜휠(330)과 인서트 몰딩하여 형성되는 완충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볼(340)이 구름운동을 하는 각각의 베어링 골(324, 332)이 형성된 내륜휠(320)과 외륜휠(330)은 강도 및 경도를 위해 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이동 시 바퀴(310)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풀림 방지를 위해 양측 바퀴(310)와 브라켓(100)의 돌출부(110) 사이에 와셔(360)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바퀴부(300)는 바퀴축(370) 말단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부(372)와 고정부재(380)가 결합함으로써 견고히 고정된다. 따라서 바퀴(310)의 내륜휠(320)은 바퀴축(370)과 고정부재(38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외륜휠(330)은 베어링 볼(340)의 구름운동에 의해 원활히 회전한다. 여기서, 베어링은 볼(340)이 아닌 롤러 베어링 등 베어링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 채택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350)의 재질은 우레탄, PE, 고무 등 탄력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캐스터(10)가 지지해야 하는 중량에 따라 합성수지 등으로도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400)는 지지부(200)의 체결공(202)에 하향으로 체결되어 캐스터(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410)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4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캐스터(10)가 지면에 고정되었을 시에 캐스터(10)의 최하부에 위치되는 받침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410)는 체결공(202)과 체결하도록 소정 길이만큼 상방향으로 수나사부(412)가 형성되고, 회전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수월하도록 높이조절부재(410)의 외주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치부(414)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다수개의 치부(414) 대신 스패너 등의 공구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받침부재(420)는 높이조절부재(410)의 하부에 결합부재(430)에 의해 결합된다. 그러나 높이조절부재(410)와 받침부재(420)의 사이는 소정만큼 이격이 되어 있어 지지부(200)가 중량물 또는 대차 등에 고정되고, 받침부재(420)가 지면에 고정되어 있어도 높이조절부재(410)는 다른 구성요소에 간섭을 받지 않음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받침부재(420)가 지면에 닿았을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의 A부와 같이, 다수개의 미끄럼방지편(42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방지편(422)은 고무 및 우레탄 등 마찰력이 높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미끄럼방지편(422)의 형상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대체 가능하다.
한편, 높이조절부재(410) 수나사부(412)의 소정 길이는 경사로에서의 수평유지나 높이 조절을 위해 하중에 의한 전단응력에 대응되도록 규격화 하여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캐스터(10)의 사용용도가 보다 넓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10)의 사용방법에 대해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10)가 설치된 중량물 또는 대차(30)가 이동시에 고정부(400)는 브라켓(100)에 체결되어 지면에 닿아 있는 바퀴(310)보다 상부에 위치되어 지면과는 직접적으로 닿아 있지 않아 바퀴(310)는 간섭 없이 회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중량물 또는 대차(30)를 원하는 위치의 지면(1) 상에 고정하기 위해서 먼저 손으로 높이조절부재(410)를 풀림 방향으로 돌려서 풀면 높이조절부재(410)의 수나사부(412)가 지지부(200)에 체결공(202)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수직 하강하게 된다.
수직하강 된 높이조절부재(410)의 하부에 있는 받침부재(420)는 지면에 닿게 되고 이때, 더 힘을 가해 회전시키면 바퀴부(300)는 지면(1)으로부터 이격되게 됨으로써 바퀴부(300)는 지면(1)상에서의 구름이 불가능 하여 중량물 또는 대차(30)는 이동이 불가해진다.
이때, 고정부(400)는 지지부(200)가 하중을 받는 수직 동심선상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중량물 또는 대차(30)에서 받은 중량은 편심하중을 받지 않고 고정부(400)를 통해 지면으로 바로 전달된다.
사용자가 작업을 마치고 다시 중량물 또는 대차(30)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대로 수행하면 될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10')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상기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 또는 대차(30) 등에 고정되 는 캐스터(10')의 플랜지(210')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결합공(215)을 형성하여 지지부(200)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 또는 대차(30)의 하부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다른 공구 없이 캐스터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고, 바퀴에 베어링이 삽입되어 주행 시 구름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량물 또는 대차에서 전달된 하중이 수직선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고정력이 높고, 바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캐스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득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중량물 또는 대차에 설치되어 이동시키거나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캐스터에 있어서,
    내측에 회전공이 형성되는 회전구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구의 소정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브라켓;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바퀴부;
    상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부는 상기 회전공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부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부싱부재의 내경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중량물 또는 대차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도록 소정길이를 가지는 체결부재가 형성되어 수직 상승 및 하강하고, 상기 체결부재 하부의 외주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치부가 형성되는 높이조절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지면상에 밀착되었을 시 미끄럼을 최소화 하도록 하부면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편을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중앙에 관통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위치되는 바퀴;
    상기 관통축공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바퀴를 상기 브라켓에 고정하는 바퀴축; 및
    상기 바퀴와 돌출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와셔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중앙부에 상기 관통축공을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 1베어링 골이 형성되는 내륜휠;
    상기 내륜휠의 외면에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제 2베어링 골이 형성되는 외륜휠;
    상기 제 1베어링 골 및 상기 제 2베어링 골에 삽입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다수개의 베어링 볼; 및
    상기 외륜휠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동 시 상기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축은,
    말단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 및 상기 바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에 제 1삽입골을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의 하부면에 제 2삽입골을 형성하여, 상기 제 1삽입골 및 상기 제 2삽입골에 삽입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다수개의 베어링 볼을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삽입골 및 상기 제 2삽입골은,
    상기 중량물 또는 대차의 중량에 견디고,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도를 최소화 하기 위해 국부적으로 열처리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KR2020060018520U 2006-07-07 2006-07-07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KR200429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520U KR200429956Y1 (ko) 2006-07-07 2006-07-07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520U KR200429956Y1 (ko) 2006-07-07 2006-07-07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956Y1 true KR200429956Y1 (ko) 2006-10-31

Family

ID=4177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520U KR200429956Y1 (ko) 2006-07-07 2006-07-07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95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038B1 (ko) * 2012-12-31 2014-03-28 지덕산업 주식회사 캐스터
KR101883620B1 (ko) 2018-03-29 2018-07-30 임재각 캐스터
KR101961483B1 (ko) 2018-09-04 2019-03-22 삼성물산 주식회사 탈부착형 캐스터
KR102616692B1 (ko) * 2023-08-25 2023-12-21 윤여선 고정장치가 구비된 바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038B1 (ko) * 2012-12-31 2014-03-28 지덕산업 주식회사 캐스터
KR101883620B1 (ko) 2018-03-29 2018-07-30 임재각 캐스터
KR101961483B1 (ko) 2018-09-04 2019-03-22 삼성물산 주식회사 탈부착형 캐스터
KR102616692B1 (ko) * 2023-08-25 2023-12-21 윤여선 고정장치가 구비된 바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9956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US9481207B2 (en) Adjustable sleeve for rolling support device
US20060197299A1 (en) Convertible low profile roller and support base
US8640626B2 (en) Ramp system for bridging flexible cable to rigid rail
KR101714748B1 (ko) 공연용 왜건 캐스터
US6908088B2 (en) Wheelbarrow bumper
KR200490642Y1 (ko) 쇼핑카트의 이동바퀴용 마찰패드
US7213815B2 (en) Mechanic's creeper
WO2021005814A1 (ja) 重量物移動台車
CN111801261B (zh) 重物移动台车
JP2018001980A (ja) トラックロール式搬送台車
US2905964A (en) Caster structure
CN208326444U (zh) 带式输送机
KR101378038B1 (ko) 캐스터
US4088337A (en) Equipment-moving dolly
US54472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pallet-type conveyor systems
CN216543286U (zh) 一种轨道巡检机器人自动行走机构
CN213228710U (zh) 一种服装加工流动车
US652128A (en) Caster.
CN220549081U (zh) 一种可防止料桶倾倒的推车
CN215439541U (zh) 手动搬运机
CN212828434U (zh) 一种建筑工地用车轮分段伸缩式手推车
CN214114722U (zh) 起吊装置
KR101386705B1 (ko)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CN212980192U (zh) 一种用于钢材生产的电动平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