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759Y1 -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 - Google Patents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759Y1
KR200429759Y1 KR2020060021290U KR20060021290U KR200429759Y1 KR 200429759 Y1 KR200429759 Y1 KR 200429759Y1 KR 2020060021290 U KR2020060021290 U KR 2020060021290U KR 20060021290 U KR20060021290 U KR 20060021290U KR 200429759 Y1 KR200429759 Y1 KR 200429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ad
fastening device
rail p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복
전세곤
박광련
백인혁
윤병현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1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7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01B9/685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C침목에 접합한 레일패드로서, 패드에 일정한 구배를 형성하여 상판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구간 및 분기기 구간에 사용하도록 한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는 소정의 폭과 너비 및 두께를 갖는 사각형 레일패드로 이루어지되, 사각형 레일패드의 내측에는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단 내측에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면 두께에는 일정한 구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레일 체결장치, 레일패드

Description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rail pad for rail fastener}
도 1은 종래의 레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레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사시도1,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정면도1,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평면도1,
도 6은 본 고안에 레일패드가 레일 체결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사시도2,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정면도2,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평면도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 구배 H: 요홈부
O: 개구부 P: 레일패드
10: 침목 12: 숄더
14: 팬드롤 클립 16: 절연블록
18: 레일
본 고안은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패드에 일정한 구배를 형성하여 일반 구간 및 분기기 구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 체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레일(51)의 저부(51a) 일측으로 설치되는 레일 체결구(52)의 전방으로 레일(51)의 웨브(51b)를 밀어 고정하는 레일 고정편(53)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 체결구(52)의 상부에는 다수의 요철부(54)가 형성되어 그 상측으로 저부에 역시 요철홈(55)이 형성된 평판상의 클립(56)이 설치되어 클립고정 플레이트(57)에 설치된 팬드롤 클립(58)이 상기 평판상의 클립(56) 상부를 탄성적으로 압입하여 레일(51)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레일 체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의 분기부에 설치되는 레일(51)을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51)의 저부(51a) 일측으로 레일 체결구(52)의 전방 레일 고정편(53)을 상판(59)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일 고정편(53)의 요철부(54)상에 평판상의 클립(56)을 올려놓고, 이를 클립고정 플레이트(57)에 설치되는 팬드롤 클립(58)을 체결함에 의해, 평판상의 클립(56) 저부의 요철홈(55)이 레일 체결구(52)의 요철부(54)와 맞물리면서 레일(51)을 밀어, 상기 레일(51)이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레일 체결장치는 그 상측에 별도의 평판상 클립(56)과 상판(59)을 설치해야 함으로 인하여 레일 체결장치의 제작 및 레일의 일측으로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평판상의 클립(56)과 상판(59)은 레일(51)을 통과하는 열차의 심한 진동 등에 따른 충격으로 인하여 쉽게 파손이 발생되며, 이와 같은 경우 레일(51)의 체결력이 부족하여 열차 통과시 심한 진동 및 소음을 유발시키고, 상기 레일 체결구(52)의 유지 및 보수에 많은 경비 및 인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PC침목에 접합한 레일패드로서, 패드에 일정한 구배를 형성하여 상판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구간 및 분기기 구간에 사용하도록 한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는 소정의 폭과 너비 및 두께를 갖는 사각형 레일패드로 이루어지되, 사각형 레일패드의 내측에는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단 내측에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면 두께에는 일정한 구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사시도1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정면도1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평면도1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레일패드가 레일 체결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사시도2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정면도2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를 도시한 평면도2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는 소정의 폭과 너비 및 두께를 갖는 사각형 레일패드(P)로 이루어지되, 사각형 레일패드(P)의 내측에는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단 내측에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개구부(O)가 형성되고, 측면 두께에는 일정한 구배(G)가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구배(G)는 1:40 또는 1:20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는 소정의 폭과 너비 및 두께를 갖는 사각형 레일패드(P)로 이루어지되, 사각형 레일패드(P)의 양단에는 각각 내측부분으로 일정한 깊이로 요입되는 요홈부(H)가 형성되고, 측면 두께에는 일정한 구배(G)가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구배(G)는 1:40 또는 1:20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 패드(P)는 일반구간 및 분기기 구간의 레일 체결장치에 설치시 PC침목(10)상에 접합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상판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레일패드(P)는 PC침목(10)상에 설치시 개구부(O) 또는 요홈부(H)를 갖는 레일패드(P)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는 일반구간이나 분기기 구간의 PC침목상에 접합시켜 사용함으로써, 상판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소정의 폭과 너비 및 두께를 갖는 사각형 레일패드(P)로 이루어지되, 사각형 레일패드(P)의 내측에는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단 내측에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개구부(O)가 형성되고, 측면 두께에는 일정한 구배(G)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G)는 1:40 또는 1:20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
  3. 소정의 폭과 너비 및 두께를 갖는 사각형 레일패드(P)로 이루어지되, 사각형 레일패드(P)의 양단에는 각각 내측부분으로 일정한 깊이로 요입되는 요홈부(H)가 형성되고, 측면 두께에는 일정한 구배(G)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G)는 1:40 또는 1:20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
KR2020060021290U 2006-08-08 2006-08-08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 KR200429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90U KR200429759Y1 (ko) 2006-08-08 2006-08-08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90U KR200429759Y1 (ko) 2006-08-08 2006-08-08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821 Division 2006-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759Y1 true KR200429759Y1 (ko) 2006-10-27

Family

ID=4177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290U KR200429759Y1 (ko) 2006-08-08 2006-08-08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7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03B1 (ko) 2006-10-25 2007-11-16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가드레일 체결장치용 분리형 가드상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03B1 (ko) 2006-10-25 2007-11-16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가드레일 체결장치용 분리형 가드상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742564A (en) Sliding curtain piece
ATE417959T1 (de) Träger eines fahrweges für ein spurgebundenes fahrzeug
KR101672181B1 (ko) 콘크리트침목 레일고정장치
KR200429759Y1 (ko) 레일 체결장치용 레일패드
RU142971U1 (ru)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варианты)
DE502006001140D1 (ko)
TW200639295A (en) Level railway crossing
JP6204169B2 (ja) 軌道用レール締結装置
KR100776203B1 (ko) 가드레일 체결장치용 분리형 가드상판
RU2392364C2 (ru) Изолятор для рельсового анкера (варианты)
US9725854B2 (en) Railway ail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
JP2014066111A (ja) 鉄道線路横断用舗装板及びその舗装構造
KR200465375Y1 (ko) 차상신호시스템용 발리스 설치대
EA027838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и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на шпале
KR200430266Y1 (ko) 신축 및 분기기 레일 체결장치
US2854194A (en) Railroad grade crossing
SU175482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на шпале рельсового страховочного пакета
CN210140741U (zh) 一种用于铁路复合轨枕的专用铁垫板
KR101067834B1 (ko) 철도 분기기용 베이스플레이트와 이를 이용한 침목 배치구조 및 방법
EP3444401A1 (en) Anchor bolt for a resilient rail fastening
JP2014234644A (ja) 太陽光発電パネル設置構造
KR100268160B1 (ko) 철도레일 체결장치
ATE419428T1 (de) Vorrichtung zum auslegen von y-schwellen
KR20170037699A (ko) 레일분기기의 상하분리형 크로싱 구조
KR100838680B1 (ko) 분기기 힐부 상판 체결구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