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119Y1 -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119Y1
KR200429119Y1 KR2020060021071U KR20060021071U KR200429119Y1 KR 200429119 Y1 KR200429119 Y1 KR 200429119Y1 KR 2020060021071 U KR2020060021071 U KR 2020060021071U KR 20060021071 U KR20060021071 U KR 20060021071U KR 200429119 Y1 KR200429119 Y1 KR 200429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impeller
shaft
support
dis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학
송복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력
Priority to KR2020060021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1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06Disassembling, repairing or modify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나 발전기 등에 구성되는 회전체를 정기적으로 보수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를 상기 모터나 발전기로부터 인출한 후, 회전체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회전체를 거치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는 회전체의 안정적인 고정은 물론 일정 수직 높이만큼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여 회전체에 구성된 각종 부품(슬리브, 베어링 등)을 쉽게 분해할 수 있는 작업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회전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쉽게 육안으로 회전체의 외부 점검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동안 회전체의 축부에 다이얼 게이지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회전체의 동심도나 휨정도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는 판상의 상면과 하단부의 바퀴들과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수직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회전체의 임펠라부를 안치시키는 임펠라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 상면의 양단부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각 축부를 안치시키기 축 지지대와; 상기 몸체부 상면에서 상기 회전체의 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다이얼 게이지가 구비되는 계측부;로 이루어진다.
회전체, 모터, 발전기, 임펠라,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

Description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STANDING DEVICE OF ROTATING BOD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동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에 있어 임펠라 지지부의 측면을 보여주는 부분 구성도.
도 3은 동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에 있어 축 지지대의 측면을 보여주는 부분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체 11 : 임펠라
12 : 회전체의 축부
100 : 몸체부 200 : 임펠라 지지부
300 : 축 지지대 400 : 계측부
110 : 몸체부의 상면 120 : 손잡이
130 : 바퀴 140 : 높이조절부
210 : 지지판 220 : 유압자키
230 : 임펠라 롤러 240 : 압쇼바
250 : 보조 축 지지대 310 : 축 롤러
350 : 스크루 핸들 410 : 다이얼 게이지
a : 수평 레벨 게이지 b : 유압펌프
c : 페달
본 고안은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나 발전기 등에 구성되는 회전체를 정기적으로 보수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를 상기 모터나 발전기로부터 인출한 후, 회전체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회전체를 거치시키는 조립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체는 기계장치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플라이 휠, 헬리콥터의 날개 또는 발전기의 터빈 등과 같이 기계장치의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고장의 징후를 미리 감지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상기 회전체의 외부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원형의 지름이 다소 틀어지거나 하게 되면, 상기 회전기계에서 발생하는 회전운동이 심각하게 불평형을 이루게 된다. 이는 회전기계의 진동과 소음 발생의 주요 요인이며, 나아가 회전기계의 안전성 및 내구 수명이 짧아지는 큰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 회전기계에 구성되는 회전체를 보수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상기 구조체(회전기계)로 부터 회전체를 인출한 뒤 점검을 하고 다시 조립을 하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하여 회전체를 상기 구조체로부터 인출한 다음, 지면에 평행하게 다수로 놓여진 각목 상에 회전체를 안치시킨 뒤 점검을 하였다. 하지만, 상기 회전체의 경우 그 크기가 다양하고 대략 1.5톤 정도의 중량을 가지는 회전체의 경우, 작업자의 안전은 물론 상기 회전체의 점검을 위해 회전체의 이동(장소이동이나, 회전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체의 회전 등)에 매우 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중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상기 지면에 놓인 각목으로 버티기에는 무리가 있어 지면에 부딪혀 회전체의 외부가 더욱 손상이 가는 일도 종종 발생하였다. 특히, 상기와 같은 이유로 회전체 축부의 동심도나 휨정도를 정확히 측정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체를 안정적으로 안치시키고, 그 이동에 있어 안정적이고, 회전체 축부의 동심도나 휨정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축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를 제공함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임펠라부(11)와 상기 임펠라부(11)의 양단으로 돌출되는 축부(12)(12')로 이루어지는 회전체(10)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판상의 상면(110)과, 일단부에 구성되는 손잡이(120)와, 이동성을 위한 하단부의 바퀴(130)들과, 상기 바퀴(130)들에 인접 설치되며 어저스트 너트(141)와 고정로더(142)가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140)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110)과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자키(220)가 배면에 구성되는 지지판(210)과, 상기 지지판(2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10)의 임펠라부(11)를 안치시키기 위해 상기 임펠라부(11) 양측 하부에 각각 접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임펠라 롤러(230)와, 상기 지지판(210)의 배면에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10)가 지지판(210)의 임펠라 롤러(230)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 하강시 낙하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압쇼바(2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100) 상면의 중심부에 구성되는 임펠라 지지부(200)와; 상기 몸체부(100) 상면(110)의 양단부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10)의 각 축부(12)(12')를 안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축부(12)(12') 외주면 양측 하부에 접하여 지지하는 축 롤러(310)를 가지는 한 쌍의 축 지지대(300)(300')와; 상기 몸체부(100) 상면(110)에 안치되는 회전체(10)의 축부(12)(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부(100) 상면(110)에 위치하며, 상단에는 상기 회전체(10) 축부(12)(12')의 외주면에 접하는 다이얼 게이지(410)가 구성되어 축부(12)(12')의 동심도 및 휨정도를 측정하는 계측부(400);로 이루어지는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임펠라 지지부(200)의 일단에는 상기 축부(12')를 더욱 지지할 수 있도록 축롤러(310)를 상단에 가지는 보조 축 지지대(250)가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축 지지대(300)(300')에는 수직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크루 핸들(350)이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이하, 스탠드 장치 라함)는 모터나 발전기 내부에 구성되는 회전체(10)를 상기 모터나 발전기로부터 인출한 후, 회전체(10)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회전체(10)를 거치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스탠드 장치는 회전체(10)의 안정적인 고정 안치는 물론, 일정 수직 높이만큼 상승과 하강이 가능 하여 회전체(10)에 구성된 각종 부품(슬리브, 베어링 등)을 쉽게 분해할 수 있는 작업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회전체(1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체(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쉽게 육안으로 회전체(10)의 외부 점검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0)를 회전시키는 동안 회전체(10)의 축부(12)(12')에 다이얼 게이지(410)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회전체(10)의 동심도나 휨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 장치는 크게, 판상의 상면(110)과 하단부의 바퀴들(130)과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140)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110)에서 수직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회전체(10)의 임펠라부(11)를 안치시키는 임펠라 지지부(200)와; 상기 몸체부(100) 상면(110)의 양단부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10)의 각 축부(12)(12')를 안치시키기 축 지지대(300)(300')와; 상기 몸체부(100) 상면(110)에서 상기 회전체(10)의 축부(12)(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다이얼 게이지(410)가 구비되는 계측부(4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을 더욱 자세히 알아보면, 먼저, 도 1의 스탠드 장치의 정면도와, 도 4의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의 평면도 및 도 5의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의 측면도 각각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몸체부(100)는 판상의 상면(110)과, 일단부에 구성되는 손잡이(120)와, 이동성을 위한 하단부의 바퀴(130)들과, 상기 바퀴(130)들에 인접 설치되며 어저스트 너트(141)와 고정로더(142)가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140)로 이 루어진다. 몸체부(100)의 크기는 안치되는 회전체(10)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가지는 회전체(10)를 안정적으로 안치할 수 있도록 견고한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회전체를 점검하는 사용자가 회전체(10)를 안치한 상태로 스탠드 장치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120)와 다수의 바퀴(13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여주는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설치 구성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14)는 몸체부(100)의 이동시에는 어저스트 너트(141)를 조정하여 고정로더(142)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하여 운용하며, 안치된 회전체(10)를 축 중심으로 회전 시키거나, 회전체(10)의 내부 부속을 교환하는 등의 작업시에는 지면에 고정시켜 작업자로부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임펠라 지지부(200)는 회전체(10)의 임펠라부(11)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110)과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자키(220)가 배면에 구성되는 지지판(210)과, 상기 지지판(2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10)의 임펠라부(11)를 안치시키기 위해 상기 임펠라부(11) 양측 하부에 각각 접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임펠라 롤러(230)와, 상기 지지판(210)의 배면에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10)가 지지판(210)의 임펠라 롤러(230)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 하강시 낙하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압쇼바(2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100) 상면의 중심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펠라 지지부(200)의 일단에는 상기 축부(12')를 더욱 지지할 수 있도록 축롤러(310)를 상단에 가지는 보조 축 지지대(250)가 더욱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펠라 지지부(200)의 지지판(210)을 수직으로 높이 조절하기 위해서 구성되는 유압자키(220)는 거대 중량의 회전체(10)를 지탱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족동식 유압자키(22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족동식 유압자키(220)는 몸체부(100)의 하부에 구성 되는 유압펌프(b)와 사용자가 발로 동작의 개시를 조절하기 위한 페달(c)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에 있어 임펠라 지지부(200)의 측면을 보여주는 부분 구성도에서와 같이, 회전체(10)가 안치된 채로 상기 임펠라 지지부(200)를 하강할 때에는 회전체(10)의 무게로 인해 수직 하강으로 낙하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 흡수를 위한 압쇼바(240)를 구성하여 낙하 속도를 느리게 한다. 또한, 지지판(210)의 판상에서 다수로 구성된 임펠라 롤러(230)의 경우 회전체(10)의 임펠라부(11)를 떠받칠 수 있도록 지지판(210)에서 각 간격을 구성하여야 하며, 도 4에는 4개의 임펠라 롤러(230)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지지판(210)의 각 꼭짓점에 설치 구성됨을 보여주고 있다. 도한, 상기 임펠라 롤러(230)는 회전체(10)의 임펠라부(11)의 각 측 하부에 각각 접하게 되며 상기 회전체(1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체(10)의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육안으로 임펠라(11)의 외관을 점검할 수 있다.
축 지지대(300)(300')는 상기 몸체부(100) 상면(110)의 양단부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10)의 각 축부(12)(12')를 안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축부(12)(12') 외주면 양측 하부에 접하여 지지하는 축 롤러(310)를 가지도록 구성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 지지대(300)(300')에는 수직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크루 핸들(350)이 더욱 구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회전체(10)를 안정적으로 안치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회전체(10)를 구성하고 있는 임펠라부(11)와 상기 임펠라부(11)의 양단에 구성되는 축부(12)(12')의 크기(지름)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각 축 지지대(300)(300')에 구성되는 축 롤러(310) 또한, 상술한 임펠라 지지부(200)의 임펠라 롤러(230)와 동일하게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회전체(10)가 안치된 상태에서 축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계측부(400)는 회전체(10)의 축부(12)(12')의 동심도 및 휨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100) 상면(110)에 안치되는 회전체(10)의 축부(12)(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부(100) 상면(110)에 위치하며, 상단에는 상기 회전체(10) 축부(12)(12')의 외주면에 접하는 다이얼 게이지(41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립 스탠드 장치의 작동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조립 스탠드 장치의 유압자키(220)를 작동시켜 임펠라 지지부(200)를 수직으로 일정 간격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회전체(10)를 구조체에서 분리한 다음 상기 임펠라 지지부(200)상에 구성된 다수의 임펠라 롤러(230)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회전체(10)가 상기 임펠라 지지부(200)에 안정적으로 안착이 되었는지를 획인한 후 상기 회전체(10)의 외관(임펠라부(11)와 축부(12)(12'))을 육안으로 점검을 한다. 육안 점검을 종료하면, 회전체(10)를 구성하는 부품(슬리브나 베어링 등)을 교체하거나 수리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압자키(220)를 조작하여 상기 임펠라 지지 부(200)를 하강시킨다. 회전체(10)의 하강운동은 회전체(10)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생하도록 하고 하강 충격은 지지판(210) 배면에 구성된 압쇼바(240)에 의해 완화된다. 회전체의 하강이 완료되면 축부의 동심도 및 휨정도를 계측부에 의해 측정하여 회전체의 건전성을 확인하는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때 상기 축부(12)(12')의 수평을 더욱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도 1의 수평 레벨 게이지(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축 지지재(300)(300')의 스쿠루 핸들(350)을 이용하여 각 축부(12)(12')를 받쳐주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회전체의 보수작업이 종료되고 구조체로의 조립시에는 상술된 작업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본 고안은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로서,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에 한정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에 의하면, 회전체를 정기적으로 보수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를 상기 모터나 발전기로부터 인출한 후, 회전체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회전체를 거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체의 안치된 상태로 안정된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체 축부의 동심도나 휨정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축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임펠라부(11)와 상기 임펠라부(11)의 양단으로 돌출되는 축부(12)(12')로 이루어지는 회전체(10)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판상의 상면(110)과, 일단부에 구성되는 손잡이(120)와, 이동성을 위한 하단부의 바퀴(130)들과, 상기 바퀴(130)들에 인접 설치되며 어저스트 너트(141)와 고정로더(142)가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140)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110)과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자키(220)가 배면에 구성되는 지지판(210)과, 상기 지지판(2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10)의 임펠라부(11)를 안치시키기 위해 상기 임펠라부(11) 양측 하부에 각각 접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임펠라 롤러(230)와, 상기 지지판(210)의 배면에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10)가 지지판(210)의 임펠라 롤러(230)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 하강시 낙하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압쇼바(2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100) 상면의 중심부에 구성되는 임펠라 지지부(200)와;
    상기 몸체부(100) 상면(110)의 양단부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10)의 각 축부(12)(12')를 안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축부(12)(12') 외주면 양측 하부에 접하여 지지하는 축 롤러(310)를 가지는 한 쌍의 축 지지대(300)(300')와;
    상기 몸체부(100) 상면(110)에 안치되는 회전체(10)의 축부(12)(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부(100) 상면(110)에 위치하며, 상단에는 상기 회전 체(10) 축부(12)(12')의 외주면에 접하는 다이얼 게이지(410)가 구성되어 축부(12)(12')의 동심도 및 휨정도를 측정하는 계측부(400);로 이루어지는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임펠라 지지부(200)의 일단에는 상기 축부(12')를 더욱 지지할 수 있도록 축롤러(310)를 상단에 가지는 보조 축 지지대(250)가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대(300)(300')에는 수직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크루 핸들(350)이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 장치.
KR2020060021071U 2006-08-07 2006-08-07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장치 KR200429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071U KR200429119Y1 (ko) 2006-08-07 2006-08-07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071U KR200429119Y1 (ko) 2006-08-07 2006-08-07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119Y1 true KR200429119Y1 (ko) 2006-10-17

Family

ID=4177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071U KR200429119Y1 (ko) 2006-08-07 2006-08-07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1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744B1 (ko) 2010-11-19 2011-02-14 주식회사 에네스코 발전기 회전자 이동 레일형 인출장치 및 그 인출방법
KR101033127B1 (ko) 2009-07-23 2011-05-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모터 분해 정비용 장치
KR200474284Y1 (ko) * 2013-02-15 2014-09-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KR101776843B1 (ko) 2015-10-13 2017-09-11 여계성 양단경 동심도 검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127B1 (ko) 2009-07-23 2011-05-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모터 분해 정비용 장치
KR101014744B1 (ko) 2010-11-19 2011-02-14 주식회사 에네스코 발전기 회전자 이동 레일형 인출장치 및 그 인출방법
KR200474284Y1 (ko) * 2013-02-15 2014-09-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KR101776843B1 (ko) 2015-10-13 2017-09-11 여계성 양단경 동심도 검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9119Y1 (ko)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장치
CN107192501A (zh) 一种船用螺旋桨静平衡检测装置及方法
CN114778054A (zh) 一种轮胎加速变角度反向冲击试验装置
CN208855888U (zh) 一种新型的刹车与动力试验台
KR101335531B1 (ko) 발전설비용 회전축 지지장치
CN213016188U (zh) 一种用于路面质量检测的钻孔取芯机
CN107064560A (zh) 高g值加速度计连续冲击试验装置
CN202770377U (zh) 大型水轮发电机转子测圆架
KR101364436B1 (ko) 발전설비용 안전 작업대
CN204013142U (zh) 一种用于电机转子静平衡的装置
CN106840924A (zh) 一种模拟大颗粒推移质冲击的抗冲击性能测试仪
KR101288330B1 (ko) 풍력발전기용 시뮬레이션 장치
CN206393580U (zh) 一种石油化工用原料泵固定装置
CN204008005U (zh) 一种用于电机转子静平衡的新型装置
CN202256184U (zh) 版辊检验架
CN209589476U (zh) 一种变桨轴承试验机
CN205843527U (zh) 电磁阀阀体螺纹测试机
JP5850692B2 (ja) 旋回ポスト装置
CN211028927U (zh) 一种发动机水平装配分解支撑架
KR101307761B1 (ko) 회전형 터빈 로터 작업대
CN213275228U (zh) 一种可对不同方位检测的计算机硬件硬度检测装置
KR102082141B1 (ko) 터빈쉘 보수용 회전식 지지장치
KR200343095Y1 (ko) 발전설비의 로터 축 베어링 점검용 승강장치
KR200462930Y1 (ko) 복수펌프 축 정렬장치
CN114152153A (zh) 一种火箭箭体固有频率试验支撑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