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284Y1 -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284Y1
KR200474284Y1 KR2020130001159U KR20130001159U KR200474284Y1 KR 200474284 Y1 KR200474284 Y1 KR 200474284Y1 KR 2020130001159 U KR2020130001159 U KR 2020130001159U KR 20130001159 U KR20130001159 U KR 20130001159U KR 200474284 Y1 KR200474284 Y1 KR 200474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earing
jig
jigs
moto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758U (ko
Inventor
장상명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1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8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7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06Disassembling, repairing or modify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전동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지그로 형성되며, 전동발전기의 회전자를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지그부; 상기 한 쌍의 지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회전자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부; 상기 지그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그부를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이프 볼트; 및 상기 파이프 볼트의 일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파이프 볼트의 상, 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핸들;을 포함하는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Rotor of motor generator drawing and inserting for support}
본 고안은 전동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자를 안전하게 받쳐주면서 좌, 우 이동 및 상, 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수리 및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발전기는 전력을 변성, 변환 또는 변류시켜주는 것으로, 전동기와 발전기가 같은 받침대 위에 설치되어 양자가 직결된다. 통상적으로 전동발전기는 별개로 제작된 전동기와 발전기를 연결수단, 예를 들어, 벨트나 기어를 매개로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전동기와 발전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동발전기의 주요 구성은 고정자, 회전자, 베어링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자는 고정자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와 같은 전동발전기는 돌발적인 고장 발생의 복구 공사나 정기적인 내부 점검 및 정비를 위한 계획 예방 정비 공사를 시행한다. 이때, 작업자는 전동발전기의 회전자를 인출하고, 점검이나 정비 완료 후 회전자를 다시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자가 소형일 경우에는 인력으로 회전자를 인출 또는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나, 발전소 등과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전동발전기의 경우에는 그 용량이 매우 크므로 일반적으로 회전자를 들어서 인출 또는 삽입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회전자를 체인블록 및 트롤리와 같이 인양장구를 사용하여 인력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회전자의 무게는 통상 수 톤(Ton)에서 수십 톤에 이르는 것까지 있어 인력으로 회전자의 인출, 삽입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매우 힘이 들고 위험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축심을 따라서 인출 또는 삽입되어야 하는데, 이를 감시하는 작업자가 있다 하여도 순간의 실수로 회전자가 고정자에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9011호(2006.06.09)
본 고안은, 하중이 큰 회전자를 고정자와 충돌없이 안정되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지그로 형성되며, 전동발전기의 회전자를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지그부; 상기 한 쌍의 지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회전자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부; 상기 지그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그부를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이프 볼트; 및 상기 파이프 볼트의 일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회점됨으로써, 상기 파이프 볼트의 상, 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핸들;을 포함하는 전동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는, 회전자 인출 및 삽입시, 높이조절핸들의 회전을 통해 서포트가 상, 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중, 베어링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2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회전자의 인출 및 삽입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회전자의 회전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 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삽입을 위한 지지장치(이하, '지지장치(1)'로 지칭함)는, 지그부(10), 베어링부(20), 서포터(30), 파이프 볼트(40) 및 높이조절핸들(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자(2)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 지그부(10)는 한 쌍의 지그(10a, 10b)로 형성되며, 가운데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원형의 회전자(2)가 후술할 베어링부(20)에 지지될 경우 지그부(10)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그부(10)의 하측에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의 받침판(15)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그(10b)의 하단이 받침판(15)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지그(10b)는 받침판(15) 위에서 소정 정도 좌, 우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받침판(15)의 좌측에는 후술할 간격조절핸들(11)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고정 베어링(13)이 배치될 수 있다.
간격조절핸들(11)은 지그부(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간격조절핸들(11)의 좌우측은 받침판(15)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 베어링(13) 및 지그(10a)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 블록(14)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간격조절핸들(11)의 중단은 지그(10b)의 일측에 형성된 스크류 블록(12)과 나합될 수 있다. 간격조절핸들(11)은 스크류 블록(12)과 나합되는 부분이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간격조절핸들(11)은 지그(10a, 10b)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간격조절핸들(11)을 회전시키면, 스크류 블록(12)이 간격조절핸들(11)의 나사산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소정 정도 밀리거나 당겨지고, 스크류 블록(12)이 설치된 지그(10b)가 받침판(15) 위에서 좌, 우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지그(10a, 10b)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서포터(30)는 지그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30)는 지그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서포터(30)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고). 도 1의 경우, 서포터(30)가 바닥에 고정된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하였다.
파이프 볼트(40)는 서포터(3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파이프 볼트(40)는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볼트(4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높이조절핸들(50)과 나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높이조절핸들(50)은 전술한 서포터(3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높이 조절핸들(50)은 파이프 볼트(40)의 일측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핸들(50)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이 형성된 내주면 부위에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핸들(50)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홈으로 파이프볼트(40)의 외주면이 나합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핸들(50)은 파이프 볼트(40)를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높이조절핸들(50)이 회전되면, 높이조절핸들(50)의 내측으로 나합된 파이프 볼트(40)가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높이조절핸들(50)을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파이프 볼트(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핸들(50)을 통해 파이프 볼트(40)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사용자는 회전자(2)의 회전, 인출 및 삽입시 고정자(3, 도 4 참고)와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베어링부(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중, 베어링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고하면, 베어링부(20)는 전술한 지그(10a, 10b)의 상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부(20)는 회전자(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20)는 베어링 케이스(21), 제 1 베어링(22), 제 2 베어링(23), 및 상하조절나사(2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케이스(21)에는 복수개의 나사홈(21a)이 구비될 수 있다. 나사홈(21a)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나사홈(21a)에 체결된 볼트에 의해 베어링 케이스(21)가 지그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볼트를 체결하거나 제거하여 전술한 지그부(10)로부터 베어링 케이스(21)를 탈부착시킬 수 있다. 베어링 케이스(21)의 탈부착이 가능함에 따라 베어링부(20)의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베어링(22)은 베어링 케이스(21)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베어링(22)은 회전자(2)의 인출 및 삽입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 2 베어링(23)은 제 1 베어링(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베어링(23)은 회전자(2)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삭제
이때, 제 2 베어링(23)은 회전자(2)의 인출 이나 삽입 작업시 제 1 베어링(22)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베어링(23)은 회전자(2)의 회전시 제 1 베어링(2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회전자(2)의 인출이나 삽입 작업시에는, 회전자(2)의 인출 또는 삽입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1 베어링(22)을 통해, 회전자(2)의 인출이나 삽입을 보조하고, 회전자(2)의 검사 등을 위한 회전 작업시에는, 회전자(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2 베어링(23)을 통해, 회전자(2)의 회전 구동을 보조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점검 작업의 종류에 따라, 제 1, 2 베어링(22, 23)이 적절히 취사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하조절나사(24)가 베어링 케이스(21)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하조절나사(24)는 베어링 케이스(21)에 설치된 제 2 베어링(23)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하조절나사(24)는 제 2 베어링(2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하조절나사(24)가 회전됨에 따라 제 2 베어링(23)의 높이가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하조절나사(24)를 조절하여, 회전자(2)의 인출 및 삽입 작업시 제 2 베어링(23)을 제 1 베어링(22)보다 낮게 배치하고, 회전 작업시에는 제 2 베어링(23)을 제 1 베어링(22)보다 높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자(2)의 인출 및 삽입, 또는 회전시 각각 다른 베어링이 사용되므로 베어링의 내마모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 회전자의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를 이용한 회전자의 회전, 삽입 및 인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회전자의 인출 및 삽입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회전자의 회전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베어링부(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베어링(22) 및 제 2 베어링(23)만을 강조하여 도시한 것임을 알려둔다.
또한, 도 4의 좌측방향으로 도시된 지지장치(1')는 회전자(2)의 인출 및 삽입시 원활한 이동을 위해, 서포터(30)의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고, 도 4의 우측방향으로 도시된 지지장치(1)는 회전자(2)의 인출 및 삽입시 회전자(2)의 회전축을 밀어주는 별도의 파이프(4)등이 베어링부(20)에 안착된 것임을 알려둔다.
도 4를 참고하면, 회전자(2)의 인출 작업시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장치(1, 1')를 회전자(2)의 회전축 양측에 위치시킨다. 지지장치(1, 1')가 상기 회전축 양측에 배치되면, 사용자는 베어링부(20)가 회전자(2) 또는 회전자(2)에 설치된 파이프(4)를 지지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핸들(50)을 회전시켜 지그부(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지그부(10)의 높이가 조절되면, 사용자는 간격조절핸들(11)을 이용하여 지그부(10)의 간격을 조절하고, 회전자(2)의 회전축을 베어링부(20)에 안착시킨다(도 4의 (a) 참고). 이때, 사용자는 전술한 상하조절나사(24)를 조절하여 제 1 베어링(22)이 제 2 베어링(23)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한다. 즉, 회전자(2)의 인출 또는 삽입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베어링(22)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도록 상하조절나사(24)를 조절한다. 상기 회전축이 제 1 베어링(22)에 지지되면, 사용자는 상기 파이프(4)를 전진시켜 회전자(2)를 외부로 인출한다 (도 4의 (b)참고).
또한, 상기와 같은 회전자(2)의 인출작업 후에 외부에서 정비가 완료되거나 별도로 분리되었던 회전자(2)를 고정자(3)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결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인출작업과는 역순으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회전자(2)의 회전 작업시에는, 지지장치(1, 1')에 회전자(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조절나사(24)를 통해 제 2 베어링(23)을 제 1 베어링(22)보다 높게 배치시키고, 제 2 베어링(23)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도록 하여 회전 작업을 행하면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는, 지그부(10)의 간격 및 높이를 조절가능 하도록 하여 회전자(2)의 좌, 우 쏠림을 방지하고, 회전자(2)와 고정자(3)의 갭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전자(2)의 회전과, 인출 및 삽입시 각각 다른 베어링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베어링의 내마모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지그부 11: 간격조절핸들
12: 스크류 블록 13: 고정 베어링
14: 고정 블록 15: 받침판
20: 베어링부 21: 베어링 케이스
21a: 나사홈 22: 제 1 베어링
23: 제 2 베어링 24: 상하조절나사
30: 서포터 40: 파이프 볼트
50: 높이조절핸들

Claims (3)

  1. 한 쌍의 지그(10a, 10b)로 형성되며, 전동발전기의 회전자(2)를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지그부(10);
    상기 한 쌍의 지그(10a, 10b)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회전자(2)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자(2)의 회전,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부(20);
    상기 지그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그부(10)를 지지하는 서포터(30);
    상기 서포터(30)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이프 볼트(40); 및
    상기 파이프 볼트(40)의 일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파이프 볼트(40)의 상, 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핸들(50);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부(20)는,
    베어링 케이스(21);
    상기 베어링 케이스(21) 양 측에 상기 회전자(2)의 인출 또는 삽입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베어링(22);
    상기 한 쌍의 제 1 베어링(22) 사이에 상기 회전자(2)의 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베어링(23); 및
    상기 베어링 케이스(21)의 하측에 제 2 베어링(23)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하조절나사(24);를 포함하는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지그(10a)에 고정되고,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지그(10b)를 전후방향으로 소정정도 이동시켜 상기 지그(10a, 10b)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간격조절핸들(11); 및
    상기 지그(10b)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간격조절핸들(11)과 나합되는 스크류 블록(12);이 더 구비되는 전동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3. 삭제
KR2020130001159U 2013-02-15 2013-02-15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KR200474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159U KR200474284Y1 (ko) 2013-02-15 2013-02-15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159U KR200474284Y1 (ko) 2013-02-15 2013-02-15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758U KR20140004758U (ko) 2014-08-25
KR200474284Y1 true KR200474284Y1 (ko) 2014-09-03

Family

ID=5200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159U KR200474284Y1 (ko) 2013-02-15 2013-02-15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28B1 (ko) * 2017-12-21 2018-09-2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주급수 승압펌프 전동기용 회전자 인출 툴
KR102371087B1 (ko) 2020-11-30 2022-03-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충전 펌프의 분해 조립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119Y1 (ko) * 2006-08-07 2006-10-17 주식회사 수력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장치
KR100747792B1 (ko) 2006-03-17 2007-08-08 정동옥 용접대상물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792B1 (ko) 2006-03-17 2007-08-08 정동옥 용접대상물 지지장치
KR200429119Y1 (ko) * 2006-08-07 2006-10-17 주식회사 수력 회전체의 보수 및 건전성 확인을 위한 분해 조립 스탠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28B1 (ko) * 2017-12-21 2018-09-2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주급수 승압펌프 전동기용 회전자 인출 툴
KR102371087B1 (ko) 2020-11-30 2022-03-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충전 펌프의 분해 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758U (ko) 201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11246U (zh) 一种发动机罩壳加工用攻丝机
CN203542406U (zh) 一种夹紧装置
KR100935215B1 (ko) 발전기용 여자기 로터의 인출장치
CN103894900B (zh) 一种卡管型钢管坡口加工机
KR200474284Y1 (ko) 전동발전기의 회전자 인출 및 삽입을 위한 지지장치
RU2014138616A (ru) Способ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узла разъемного подшипника скольжения и ротационной машины, в которой он используется
KR101335531B1 (ko) 발전설비용 회전축 지지장치
CN207475363U (zh) 一种中小型永磁电机装配工装
KR20160019309A (ko) 전동기 조립 장치
CN204366797U (zh) 轮毂轴承固定夹具
CN201125967Y (zh) 一种轴承装配装置
CN106938357B (zh) 一种智能化内圆切片机床
JP5729909B2 (ja) ポンプの内部部材抜き出し/組み込み装置及び方法
CN201846207U (zh) 一种电机转子吊装工具
CN103394533A (zh) 一种铜材链式拉拔机
CN208721400U (zh) 一种减速机移动试验装置
CN203459440U (zh) 一种铜材链式拉拔机
KR101307761B1 (ko) 회전형 터빈 로터 작업대
CN206850627U (zh) 发电机抽穿转子延长支撑及自动找正装置
CN203937215U (zh) 一种无纺布蓬松棉卷打包机
CN204238946U (zh) 隧道掘进机电机箱座易拆卸加固装置
CN204397333U (zh) 一种用于司机室安装的旋转工装
CN204835847U (zh) 一种汽车用电机检修工具
CN214558918U (zh) 一种螺栓螺母自动组装机
KR101662435B1 (ko) 볼스터 링 그리스 주입용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