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097Y1 -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 Google Patents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097Y1
KR200429097Y1 KR2020060020666U KR20060020666U KR200429097Y1 KR 200429097 Y1 KR200429097 Y1 KR 200429097Y1 KR 2020060020666 U KR2020060020666 U KR 2020060020666U KR 20060020666 U KR20060020666 U KR 20060020666U KR 200429097 Y1 KR200429097 Y1 KR 200429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mold
iron plate
door fram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오영
Original Assignee
송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오영 filed Critical 송오영
Priority to KR2020060020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0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2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81Workpiece sup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7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frames for openings, e.g. for windows, doors, hand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판의 절곡 작업이 진행되는 순서에 따라 금형 및 철판 받침대가 자동으로 절곡 위치로 이동하여 철판이 절곡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방화문의 문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절곡에 유용한 것이며, 그 주요 구성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며 철판을 절곡하는 상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의 직 하부에 설치되어 절곡되는 철판이 놓이도록 하되, 가동 금형이 1, 2차 절곡 순서에 따라 이동하며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과 연동하여 이동하며 1차 절곡시에는 절곡 위치를 결정하고, 2차 절곡시에는 1차 절곡된 철판을 받쳐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와 가동 금형을 절곡 순서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화문, 문틀, 프레임, 철판, 상부 금형, 가동 금형, 받침대

Description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door frame bending device}
도 1은 종래 방화문 문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곡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 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a.b.c,d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절곡을 위한 준비 과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6b는 1차 절곡 과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6c는 2차 절곡을 위해 철판을 끼워넣는 과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6d는 본 고안 절곡 장치에 의해 얻어진 문틀 프레임의 단면도.
도 7a,b,c는 본 고안에 의해 철판이 절곡되는 과정을 나타낸 철판의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절곡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철판 100 : 절곡장치
120 : 상부 금형 122 : 로드
140 : 하부 금형 142 : 고정금형
144 : 가동 금형 160 : 받침부재
200 : 이송수단 220 : 금형 이송부
본 고안은 방화문의 문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절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 작업이 진행되는 순서에 따라 금형 및 철판 받침대가 자동으로 절곡 위치로 이동하여 연속적인 절곡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작업 능률이 뛰어난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 구조물에는 방화벽, 방화셔터 혹은 방화문 등이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불이 옮겨 붙는 것을 차단하거나 혹은, 불이 옮겨 붙는 시간을 늘려주어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고 있다.
이러한 방화 시설 중 특히 방화문은 철판이나 철재 골조 등에 의해 제작되어 역시 철판에 의해 제작된 문틀에 끼워져 개,폐문되며, 철재의 문틀은 좌우 및 상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복도 혹은 벽체의 개구부에 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화문용 문틀은 제작이 어렵고, 제작 과정에서 휨 혹은 뒤틀림이 발생하며 또한, 작업 능률이 현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문틀을 구성하는 프레임(10)은 첨부된 도 1과 같이 좌측 철판(11)은 "ㄹ"형태로, 우측 철판(12)은 "⊃" 형태로 절곡되어 각각의 상편(14)(15)이 맞대어 융착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좌,우측 철판 각각을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는 과정과 이들을 다시 별도의 절곡 장치를 의해 절곡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 있었다.
또한 융착 과정에서 철판에 고열이 가열됨으로써, 휘어지거나 혹은 뒤틀리는 문제가 있으며, 융착 후에는 융착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불량하게 되고 따라서 융착 부위를 반드시 다듬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나의 철판을 연속으로 절곡하여 용접 부위와 같이 이음매가 없는 프레임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이 또한 절곡 위치를 작업자의 경험치에 의존함으로서, 정밀한 제품을 얻기 어렵고 절곡 후에도 직진도가 떨어져 제품으로써 활용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절곡 순서에 따라 금형 및 철판 받침대가 자동으로 이동하며 정확한 절곡 위치가 결되도록 하고, 정확한 위치에서 절곡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속도 및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절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련의 작업 과정을 통해 하나의 철판으로 방화문의 문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이 제작될 수 있도록 하는 절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확한 위치에서 철판을 받쳐줌으로써, 철판의 휨, 뒤틀림을 방지하고, 일련의 작업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능률을 물론, 고품질의 규격화된 문틀 프레임을 얻을 수 있는 방화문 문틀 프레임용 절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며 철판을 절곡하는 상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의 직 하부에 설치되어 절곡되는 철판이 놓이도록 하되, 가동 금형이 1, 2차 절곡 순서에 따라 이동하며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과 연동하여 이동하며 1차 절곡시에는 절곡 위치를 결정하고, 2차 절곡시에는 1차 절곡된 철판을 받쳐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와 가동 금형을 절곡 순서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의 절곡 장치는 방화문의 설치 및 개폐를 용이하게 하고, 기밀을 유지시켜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문틀 프레임을 절곡하는 것이나,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 예이고, 다른 용도의 철판 절곡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하부 금형을 선택적으로 교환 설치하여 다양한 형태의 절곡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절곡되는 제품에 따라 본체에 적어도 한쌍 혹은 그 이상으로 후술하는 이송 수단 및 가동부가 설치되어 원활한 절곡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곡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 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절곡장치(100)는 절곡이 이루어지는 제작 공장 혹은 본 고안의 장치가 사용되는 장소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본체(102)와 철판(30)을 절곡하는 상,하부금형(120)(140)과 철판(30)의 절곡 위치를 결정함과 아울러 2차 절곡시 철판을 받쳐 휨, 뒤틀림 등을 방지하는 받침부재(160)와 상기 받침부재(160)와 하부 금형(140)을 절곡 순서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2)는 지지 다리(104)가 구비되어 안정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하며, 상부 금형(120)은 상하 이동하며 철판(30)을 절곡하게 된다.
상기 상부 금형(120)은 랙과 피니언 혹은 실린더와 같은 구동부(124)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절곡되는 철판 및 제품에 따라 혹은 수리시 교체가 용이하게 보울트 등에 의해 로드(122)에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물론, 상기 보울트 결합 방식은 하나의 실 예이고, 이 외에 끼워맞춤 혹은 자력을 이용한 방식으로도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금형(120)의 직 하부측에 위치하는 하부 금형(140)은 고정 금 형(142)과 가동 금형(144)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다이(146)에 조립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 금형(142)은 다이(146)의 상면 선단부에 끼워맞춤 혹은 보울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조립되고, 가동 금형(144)은 그 전방측에 위치하여 절곡 순서에 따라 이동하는데, 이 가동 금형(144)은 도면과 같이 상편(144a)은 상기 고정 금형(142)의 상면에, 하부체(144b)는 다이(146)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동하며 1차 및 2차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재(160)는 수직체(162)와 이 수직체(162)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받침대(164)로 이루어진 "ㄴ" 형상으로, 1차 절곡시 작업자가 철판을 기계 내부로 밀어 넣을 때 철판(30)이 받침대(164)의 선단에 걸리도록 하여 절곡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고, 2차 절곡시에는 철판(30)의 절곡부(32)에 상기 받침대(164)가 끼워져 철판을 받침으로써 휨 혹은 뒤틀림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체(162)의 상부에는 완충 스프링(166)이 갖추어지는데, 이 완충 스프링(166)은 2차 절곡시 받침대(164)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시켜 기계적인 고장은 물론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철판을 밀어 넣을 때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이송수단(200)은 하부 금형(140)의 가동 금형(144)을 이동시키는 금형 이송부(220)와 상기 받침부재(160)를 이송시키는 받침대 이송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금형 이송부(220)는 유압 혹은 공압의 실린더(222)와, 상기 가동 금 형(144)의 하부체(144b)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금형 이동시키는 연결대(224)로 이루어지며, 하부체(144b)와 연결대(224) 사이에 완충부 즉 스프링(226)이 개재되어 충격 완화는 물론, 복원이 완활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받침대 이송부(240)는 정,회전 모터(242)와 상기 본체(102)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스크류(244)와 이 스크류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봉(246)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244)와 가이드봉(246)에는 왕복 이송대(148)이 끼워져 가이드봉을 따라 혹은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되, 이 이송대에는 상기 받침부재(160)가 설치되는 수평 왕복대(168)가 연결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 왕복대(168)는 선단이 받침부재(160)의 수직체(162)를 관통하여 플랜지를 맞대고 보울트에 결합 고정되며, 왕복대(168)의 상부에는 상기 완충 스프링(166)은 이격 공간(t)을 두고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이격 공간(t)은 받침부재(160)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주어 절곡시 상부 금형(120)에서 가해지는 힘이 완충되도록 함과 아울러, 2차 절곡시 철판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동작 과정 및 본 고안에 의해 철판이 절곡되는 과정을 첨부된 6a.b.c,d 및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곡 작업에 앞서 작업자는 프레임(34)이 사용되는 즉, 방화문의 규격 혹은 적용되는 제품의 규격에 따라 또는, 금형의 형태에 따라 셋팅 작업을 하게 된다.
셋팅 작업은 철판의 길이를 감안하여 받침부재(160)를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송시켜 절곡 위치를 결정하고, 철판의 두께와 상부 금형의 치수를 감안하여 가동 금형(144)을 이동시켜 이동 금형과 고정 금형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 공간을 조절하게 된다.
셋팅 작업 후 작업자는 1차 절곡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 금형(120)은 상향에 위치하고, 받침대(160)와 이동 금형(144)은 상부 금형이 삽입되어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절곡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작업자는 먼저 철판(30)을 하부 금형(140)의 상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철판(30)을 받침대(164)에 걸릴 때까지 밀어 넣어 1차 절곡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물론, 상기 받침대(164)는 준비 과정에서 그 위치가 조절된 상태임은 설명 바와 같다.
철판(30)을 밀어 넣은 다음 작업자는 기계를 가동하여 상부 금형(120)을 하강시켜 1차 절곡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1차 절곡된 철판은 도 7a와 같은 형태로 절곡된다.
1차 절곡 후 작업자가 철판을 빼내고, 이와 동시에 이송수단(220)이 동작하여 가동 금형(144)과 받침부재(160)를 이송시킨다.
즉, 가동 금형(140)은 실린더(222)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고정 금형(142)에 밀착되고, 받침대(164)는 모터(242)와 스크류(244) 그리고 스크류와 연동하는 왕복대(148)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하부 금형(14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송부(220)(240)의 동작이 멈추면 작업자는 다시 철판(30)을 밀어 넣어 2차 절곡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즉, 1차 절곡된 철판(30)에서 하판을 가동 금형(144)과 받침대(164) 사이에 끼워 밀어 넣게 되는데, 이때 받침대(164)는 이격 공간(t)에 의해 들어 올려지며 철판(30)이 끼워지도록 하며, 철판을 완전히 밀어 넣으며 받침대가 1차 절곡부(32)에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지게 된다.
철판(30)이 끼워지면 다시 작업자는 상부 금형(120)은 하강시켜 경사 절곡부(32a)를 압착하여 수평이 되도록 하는데, 이때 받침대(164)는 이격 공간과 스프링(166)에 의해 완충되며 힘이 분산됨으로써, 큰 무리 없이 철판이 압착되도록 한다.
2차 절곡 후, 작업자는 완성된 제품을 빼내고, 이와 동시에 가동 금형과 받침대는 다음 작업을 위해 후방으로 복원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철판의 절곡 과정에 따라 가동 금형과 받침대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절곡 위치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편리하도록 하고, 아울러 철판을 받쳐 철판이 휘어지거나 혹은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일련 절곡 작업을 통해 하나의 철판으로 방화문의 문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규격화된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4)

  1. 문틀을 구성하는 철판을 절곡하는 절곡장치로써,
    상하 이동하며 철판을 절곡하는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의 직 하부에 설치되어 절곡되는 철판이 놓이도록 하되, 가동 금형이 1차 및 2차 절곡 과정에 따라 이동하며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부 금형;
    절곡 순서에 따라 이동하며, 1차 절곡시에는 철판의 절곡 위치를 결정하고, 2차 절곡시에는 1차 절곡된 철판을 받쳐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받침부재;
    상기 가동 금형을 절곡 순서에 따라 이동시키는 금형 이송부;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받침대 이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은 다이에 고정되는 고정 금형과, 1차 절곡시에는 고정 금형과 절곡 간격을 유지하고, 2차 절곡 시에는 고정 금형에 밀착되어 그 상면에 철판이 올려 지도록 하는 가동 금형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수직체와 이 수직체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장된 받침대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체에 이송수단의 왕복대가 연결되도록 하되, 이 왕복대의 상부측에 완충 스프링이 구비되어 2차 절곡시 받침대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이송부는 상기 가동 금형을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되, 이 실린더와 가동 금형 사이에 완충 스프링이 갖추어져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고, 상기 받침대 이송부는 모터와 연결된 스크류를 회전시켜 이 스크류와 연결된 왕복대를 전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되, 상기 왕복대에 받침부재가 연결되어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프레임 절곡장치.
KR2020060020666U 2006-08-01 2006-08-01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KR200429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66U KR200429097Y1 (ko) 2006-08-01 2006-08-01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66U KR200429097Y1 (ko) 2006-08-01 2006-08-01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861A Division KR100821635B1 (ko) 2006-07-31 2006-07-31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097Y1 true KR200429097Y1 (ko) 2006-10-17

Family

ID=4177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666U KR200429097Y1 (ko) 2006-08-01 2006-08-01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0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495597U (zh) 一种折弯机的板料随动装置
CN110814100B (zh) 一种板材弯曲成型装置
US45016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to complicated shapes
JP2009519888A (ja) 金型間の制御された移行を伴ういくつかの支持体金型上にてガラスを重力曲げするための装置
CN102695567A (zh) 成型设备
JPH06501912A (ja) 板ガラスを曲げ加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HUT72902A (en) Press bending apparatus
KR100821635B1 (ko)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KR101337510B1 (ko) 고강성 씨형강 생산 코너리브 비드가공 자동 캠 금형
KR200429097Y1 (ko)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CN204320946U (zh) 一种斜楔驱动式门壳端折模具
CN105731059A (zh) 一种用于洗衣机门封脱模和搬运的机器人生产线及其方法
KR102359351B1 (ko) 판유리를 벤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438852A (zh) 一种斜楔驱动式门壳端折模具
JP6703099B2 (ja) 金属の平板製品の矯正プレス成形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A2703310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a force-absorbing closed system
CN107552632A (zh) 一种送料切割装置
CN210231265U (zh) 一种具有压平辅助支撑板的折弯机
CN209189691U (zh) 搅拌车叶片自动成型设备
CN206356466U (zh) 一种冰箱门壳端部包角模具的下模机构
KR101131248B1 (ko) 스윙형 휴대폰 데코부재 융착장치
KR100599075B1 (ko) 롤포밍기
CN109433958A (zh) 搅拌车叶片自动成型设备
CN219786080U (zh) 一种整平机调节装置
KR102046959B1 (ko) 롤 교체용 지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