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921Y1 - 장례용 염 고깔 - Google Patents

장례용 염 고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921Y1
KR200428921Y1 KR2020060015672U KR20060015672U KR200428921Y1 KR 200428921 Y1 KR200428921 Y1 KR 200428921Y1 KR 2020060015672 U KR2020060015672 U KR 2020060015672U KR 20060015672 U KR20060015672 U KR 20060015672U KR 200428921 Y1 KR200428921 Y1 KR 200428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eral
deceased
collar
salt
boundar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규
Original Assignee
김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규 filed Critical 김재규
Priority to KR2020060015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9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9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6Sacks for corpses; Corpse wrapp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례용 염 고깔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고인의 시신에 수의-염포를 입혀 염하는 과정에서 시신의 목 부분에서 발목까지를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고깔을 제공하여 고인을 좀더 화려하게 장식하여 보내고 싶어하는 유족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상부장식부에 장례회사의 상표 등을 인쇄하거나 붙이는 구성이므로 장례회사를 홍보할 수 있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장례, 염, 수의, 염포, 고깔

Description

장례용 염 고깔{Dressing the deceased a peaked hat for funeral}
도 1은 본 고안 고깔의 제작도
도 2는 본 고안 고깔의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 고깔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신 2. 수의-염포
3. 안면가리개 4. 끈
5. 고깔 6. 한지
51. 중앙경계선 52. 제1접이부
53. 제2접이부 54. 제3접이부
55. 제4접이부 56. 상부경계선
57. 연결부 58. 상부장식부
59. 상표 60. 하부장식부
본 고안은 장례용 염 고깔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고인의 시신에 수의-염포를 입혀 염하는 과정에서 시신을 미려하게 장식하는 고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실시되는 염 및 염포의 과정은 시신에 수의를 입힌 다음 시신의 머리는 창호지를 사용하여 감싸서 염을 마친 후 관에 염포를 깔고 시신을 염포 위에 입관시킨 후 시신을 보관하는 방법이 통상적인 염의 과정이다.
여기서 수의는 비단, 명주, 삼베, 한지 등의 재료로 만들어 시신에 입히게 되며, 수의를 입힌 시신을 입관 전에 큰 포대기로 포장하는 것을 염포라 한다.
염포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20-292849호와 등록실용신안 제20-368447호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20-0377259호에가 있는데 입관시 별도의 베개를 사용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장착된 베개를 제공하여 시신의 머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과 시신의 안면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안면가리개를 구비하여 고인의 주검을 경건하게 목도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수의에 대하여서는 다수 건이 출원되어 있으므로 수의 자체의 부연설명은 생략하며 수의를 입히는 과정에서부터 염하는 과정을 설명하자면, 수의는 아랫도리를 먼저 입힌 다음 윗도리를 입히며, 옷깃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여미고, 고름은 감기만 할분 매듭은 짓지 않으며, 손은 악수(握手)로 싸매고, 구 귀와 콧구멍은 께끗한 솜으로 틀어 막아주며, 눈은 명목으로 싸매고, 머리는 두건-복건-망건으로 싼다.
두 손은 배 위에 모으고 염포로 시신을 고르게 싼 다음 장포의 긴쪽 양끝을 세갈래로 찢어서 서로 잡아당겨 매고, 가로로는 일곱 가닥을 째고 각 가닥을 다시 세갈래로 짼 다음 발 쪽에서부터 머리 쪽으로 올라가면서 양쪽 가닥을 꽁꽁 동여매는데, 양쪽 다리 사이나 팔, 목, 어깨 사이에 옷이나 창호지 또는 황토를 싼 창호지 등을 끼워 넣어 시신을 반듯하게 하여 일곱 가닥을 묶으면 매듭은 일직선으로 모두 21개가 생기게 되는데, 그 이유는 나중에 관 속에서 시신이 썩어도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하는 방법인데, 고인을 보내는 유족들은 염할 때에 좀더 미려하게 시신을 장식하기를 원하지만 특별한 방법이나 제품이 없어 유족의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신에 수의를 입힌 후 염포를 싼 다음 매듭으로 시신을 동여맬 때에 목 부분에서부터 발목까지를 좀더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고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장례식의 염하는 과정에서 시신을 좀더 미려하게 장식하는 고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고깔은 접어서 제작되기 때문에 재료로는 접기가 가장 용이한 한지가 좋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명주- 삼베-비단 등과 같은 재료도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 고깔의 제작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 고깔의 실시 예이며, 도 3은 본 고안 고깔의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먼저 직사각형 모양의 한지(6)를 반으로 접어서 펴면 중앙경계선(51)이 생기게 되어 접는데에 있어서 중심 역할을 하며, 상기의 중앙경계선(51)을 중심으로 한쪽 상단의 모서리를 접으면 제1접이부(52)가 생기고, 같은 방법으로 반대편의 다른 상단의 모서리를 접으면 제2접이부(53)가 생겨서 삼각형 모양의 고깔형태로 구비된다.
상기의 제1, 2접이부(52, 53)의 절반을 다시 중앙경계선(51)의 중심으로 접으면 제3, 4접이부(54, 55)가 생겨서 더욱 뾰족한 모양의 삼각형 형태인 고깔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접혀지면서 아래로 처진 하부장식부(60)가 구비되어 1차 접기가 완료된다.
1차 접기가 완료된 고깔을 뒤로 돌려서 고깔의 상부 일측을 뒤로 접으면 상부경계선(56)이 생기고, 상부경계선(56)의 상부에는 수의-염포(2)의 끈(4)과 함께 동여매지는 연결부(57)가 구비되며, 상부경계선(56)의 하부에는 넓은 삼각형의 상부장식부(58)가 구비되며, 아래에는 하부장식부(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부장식부(58)의 일측에 장례식을 진행하는 장례회사의 로고나 상표(59)를 인쇄하거나 붙여넣어 장례회사를 홍보할 수도 있으며, 특정한 장식무늬를 넣어 좀더 화려한 고깔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로서, 고인을 보내는 유족은 좀더 미려하게 시신(1)을 장식하기를 원하므로, 고인의 안면은 안면가리개(3)로 가려지고, 수의-염포(2)를 입힌 시신의 목 부분에서 발까지를 고깔(5)로 장식하는데, 고깔(5)의 뒤로 접혀진 연결부(57)를 염포(10)의 끈과 함께 동여매면 장식이 완료되므로 염하는 사람이 용이하게 장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시신도 한층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
그리고 보통의 시신(1)은 고깔(5)을 7단으로 장식하는데 시신의 길이에 따라서 7단 이하 또는 이상이 될 수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인의 시신을 염하는 과정에서 시신을 좀더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으므로 고인을 좀더 화려하게 장식하여 보내고 싶어하는 유족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효과 있으며, 상부장식부에 장례회사의 상표 등을 인쇄하거나 붙 일수 있으므로 홍보효과도 있다.

Claims (2)

  1. 고인의 시신(1)에 수의-염포(2)를 입힌 다음 끈(4)으로 동여매는 장례용 염에 있어서,
    한지(6)의 중앙경계선(51)을 중심으로 한쪽 모서리를 접어 제1접이부(52)를 만들고 나머지 한쪽도 접어 제2접이부(53)를 만들어서 삼각형 모양으로 구비하며, 상기 제1, 2접이부(52, 53)를 다시 반으로 접어 제3, 4접이부(54, 55)로 만들어서 뾰족한 모양의 고깔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고깔의 상부 일측을 뒤로 접어서 상부경계선(56)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경계선(56)의 상부에는 뒤로 접혀져서 끈(4)과 함께 동여매지는 연결부(57)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경계선(56)의 하부에는 넓은 삼각모양의 상부장식부(58)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장식부(58)의 아래에는 고깔을 접으면서 처진 하부장식부(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용 염 고깔.
  2. 삭제
KR2020060015672U 2006-06-12 2006-06-12 장례용 염 고깔 KR200428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672U KR200428921Y1 (ko) 2006-06-12 2006-06-12 장례용 염 고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672U KR200428921Y1 (ko) 2006-06-12 2006-06-12 장례용 염 고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921Y1 true KR200428921Y1 (ko) 2006-10-16

Family

ID=4177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672U KR200428921Y1 (ko) 2006-06-12 2006-06-12 장례용 염 고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9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738B1 (ko) 2007-05-18 2009-05-25 주영님 고깔, 염포 및 그를 이용한 염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738B1 (ko) 2007-05-18 2009-05-25 주영님 고깔, 염포 및 그를 이용한 염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6790B2 (en) Pre-tied multi-knotted necktie
US6691319B1 (en) Simulated necktie knot
JP4178478B2 (ja) ネクタイ、シャツ、ボタン及びナプキン
KR200428921Y1 (ko) 장례용 염 고깔
JP4147332B1 (ja) 新しい軽装帯
KR200381588Y1 (ko) 의류 겸용 목도리
US1692897A (en) Nonbreakable dressed doll
CN203417293U (zh) 腋窝吸汗袋
RU242316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кстильной куклы (варианты)
KR20120115611A (ko) 카라꽃과 장미꽃을 이용한 망자의 고깔
JP3193529U (ja) 装飾具
KR200251934Y1 (ko) 리본을 바꿀 수 있는 모자
KR101047014B1 (ko) 종교별 대렴
JP6485784B2 (ja) 帯揚げ
JP2002320516A (ja) ヘアーキャップ兼用ケープ
JP4307605B2 (ja) 帯枕
KR20080005388U (ko) 곡선으로 미려함을 배가한 한복 옷 고름
JPH08325803A (ja) 女性用長じゅばん、女性用長着及び女性長着用帯
JP3071344U (ja)
JP6366919B2 (ja) 服飾用簡易インナーおよび服飾用簡易インナーの生産方法
JP3109611U (ja) 葬儀用ドレス
JPH0223346Y2 (ko)
KR200481322Y1 (ko) 셔츠 고정 넥타이
CN2836879Y (zh) 一种毛绒玩具的结构改良
TWM383495U (en) Gift packaging deco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