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551Y1 - 산업차량용 릴레이 - Google Patents

산업차량용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551Y1
KR200428551Y1 KR2020060020500U KR20060020500U KR200428551Y1 KR 200428551 Y1 KR200428551 Y1 KR 200428551Y1 KR 2020060020500 U KR2020060020500 U KR 2020060020500U KR 20060020500 U KR20060020500 U KR 20060020500U KR 200428551 Y1 KR200428551 Y1 KR 200428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lay
fuse
groove
protectiv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동서콘트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콘트롤(주) filed Critical 동서콘트롤(주)
Priority to KR2020060020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5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차량용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개방구를 갖는 케이스의 내측으로 회전방지홈을 형성한 보호캡과, 상기 회전방지홈과 결합되는 회전방지부를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으로 중공보스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코어의 중공부에는 플런저수단과 밀착되는 로드를 형성한 보빈과, 상기 보호캡과 결합되는 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2단자홈을 구성하고, 상기 제1, 2단자홈에 삽입되는 제1, 2단자를 구성하며, 상측으로는 장착홀을 형성한 바디과, 상기 바디에 형성된 장착홀에 결합되는 댐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산업차량용 릴레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산업차량용 릴레이는 보호캡의 내측에 형성된 회전방지홈에 보빈의 회전방지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보호캡과 바디와의 결합시 상기 보빈의 조립 위치 조정 없이 용이한 조립을 할 수 있으며, 장착홀에 절연재질의 댐퍼를 부착하여 제1단자와 제2단자간의 쇼트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릴레이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플런저에 볼을 채용함으로써 전원 인가에 따른 릴레이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휴즈를 휴즈홈과 동일한 형상인 육각형상으로 형성하여 휴즈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휴즈의 불필요한 단락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산업차량, 릴레이, 휴즈, 캡, 바디, 패킹, 보빈

Description

산업차량용 릴레이{Relay for industrial vehic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산업차량용 릴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캡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디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산업차량용 릴레이의 댐퍼와 너트가 조립되기전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산업차량용 릴레이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디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댐퍼와 너트가 조립되기 전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용 릴레이의 평면도.
도 9는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작동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도로서 작동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호캡 11 : 개방구
12 : 케이스 14 : 플런저수단홈
15 : 회전방지홈 20 : 보빈
21 : 회전방지부 22 : 중공보스
23 : 로드 24 : 내부코어
25 : 외부코어 30 : 패킹
31 : 돌출구멍 32 : 인출구멍
33 : 밀봉단 40 : 플런저수단
41 : 스프링 42 : 볼
43 : 장착구 44 : 플런저
50 : 장착홀 51 : 제1단자홈
52 : 제2단자홈 53 : 제3단자홈
54 : 휴즈홈 55 : 인서트볼트
56 : 콘볼트 57 : 러그
58 : 스위치통전단 59 : 커넥터
60 : 그립 61 : 컨택트
62 : 제1누름돌출부 63 : 제2누름돌출부
64 : 리턴스프링 70 : 바디
71 : 제1단자 72 : 제2단자
73 : 제3단자 75 : 몸체부
80 : 댐퍼 90 : 휴즈
91 : 육각형단자부 92 : 연결단
100, 100' : 릴레이
본 고안은 산업차량용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쇼트방지용 댐퍼 구조와, 휴즈 회전 방지 구조와, 보호캡과 바디간의 실링 구조와, 보호캡 구조 및 그 내부에서 작동하는 보빈 및 플런저 구조 등을 새롭게 개선하여, 산업차량의 릴레이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산업차량용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차량에는 지게차, 로우더, 굴삭기, 콘크리트믹서트럭, 덤프트럭 등의 건설장비류와 카고트럭, 트럭트레일러, 화물트럭 등의 운반장비류 등이 포함된다.
본 고안은 다양한 산업차량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지게차의 에어히터 릴레이를 예로 들어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통상적으로 릴레이는 각종 전장부품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융단 되면서 회로를 차단하는 휴즈 및, 입력되는 값이 일정 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작동되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산업차량인 지게차(Fork lift truck)용 엔진은 실린더 내에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할 때 고온의 압축열을 이용하여 분사된 연료를 착화 연소시키게 되므로, 겨울 철과 같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가 낮을 때에 엔진을 냉시동하는 경우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강제로 가열시킬 수 있는 에어히터가 흡기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산업차량인 지게차용 에어히터는 통상 엔진과 각종계기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ECU)에 의해 제어되도록 회로를 구성하게 되며, 에어 히터용 릴레이로 이루어진 통전수단을 매개로 한다.
기존의 산업차량인 지게차 에어히터용 릴레이는 휴즈와 배터리 단자간에 쇼트가 발생될 위험이 있고, 휴즈의 장착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단락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릴레이는 보호캡 내부에 설치되는 플런저의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릴레이는 보호캡과 바디간의 조립시, 정확한 조립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보호캡의 내측에 형성된 회전방지홈에 보빈의 회전방지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보호캡과 바디와의 결합시 상기 보빈의 조립 위치 조정 없이 용이한 조립을 할 수 있으며, 장착홀에 절연재질의 댐퍼를 부착하여 제1단자와 제2단자간의 쇼트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릴레이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는 산업차량용 릴레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플런저에 볼을 채용함으로써 전원 인가에 따른 릴레이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휴즈를 휴즈홈과 동일한 형상인 육각형상으로 형성하여 휴즈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휴즈의 불필요한 단락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산업차량용 릴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산업차량용 릴레이는 개방구를 갖는 케이스의 내측으로 회전방지홈을 형성한 보호캡과, 상기 회전방지홈과 결합되는 회전방지부를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으로 중공보스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코어의 중공부에는 플런저수단과 밀착되는 로드를 형성한 보빈과, 상기 보호캡과 결합되는 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2단자홈을 구성하고, 상기 제1, 2단자홈에 삽입되는 제1, 2단자를 구성하며, 상측으로는 장착홀을 형성한 바디과, 상기 바디에 형성된 장착홀에 결합되는 댐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용 릴레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산업차량용 릴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캡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산업차량용 릴레이의 댐퍼와 너트가 조립되기전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산업차량용 릴레이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디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댐퍼 와 너트가 조립되기 전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용 릴레이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작동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도로서 작동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00)는 보호캡(10)과, 보빈(20)과, 패킹(30)과, 플런저수단(40)과, 바디(70)와, 댐퍼(80)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캡(10)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구(11)를 갖는 케이스(12)의 내측으로 플런저수단홈(14)과 회전방지홈(1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보빈(20)은 도 2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캡(10)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보호캡(10)의 회전방지홈(15)과 결합되는 회전방지부(21)를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으로 한 쌍의 중공보스(22)를 돌출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보빈(20)의 내측으로는 중공형 내부코어(24)를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외부코어(25)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코어(24)의 중공부에는 전후 이송 가능하게 형성된 로드(23)가 삽입되어 진다.
또한, 상기 패킹(3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보스(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돌출구멍(31)을 형성하고 있으며, 중앙으로는 상기 로드(23)의 전단부가 인출되는 인출구멍(32)을 형성하고, 전면 테두리에는 밀봉 및 체결안내 역활을 하는 밀봉단(33)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킹(30)은 상기 보빈(20)의 중공보스(22)와 결합되는 한 쌍의 돌출구멍(31)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수단(40)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캡(10)의 플런저수단홈(14)에 전, 후 이송가능하도록 안착되는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장착구(43)를 갖는 금속 플런저(44)와 상기 플런저(44)의 장착구(43)에 삽입되는 스프링(41)과 상기 스프링(41)의 앞쪽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로드(23)의 후단과 접촉되는 볼(4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7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캡(10)에 조립되는 부품으로써, 후술하는 여러 부품이 집약되는 몸체부(75)가 외관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75)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캡(10)에 장착된 패킹(30)과 밀착되며 장착되는 구조로서, 상기 몸체부(75)의 전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제1, 2단자홈(51, 5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단자홈(51)과 제2단자홈(52) 사이에는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장착홀(50)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홀(50)에는 도 6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인서트볼트(55)가 삽입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인서트볼트(55)의 앞단에는 콘볼트(56)가 체결되어 상기 중공형 인서트볼트(55)와 상기 보빈(20)의 중공보스(22)가 전후로 일치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하로 배열된 인서트볼트(55)에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구조를 지닌 러그(57)가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러그(57)는 스위치통전단(58)으로 서로 연결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스위치통전단(58)에는 스위치와 연결 된 커넥터(59)가 전기적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75)의 내부에는 도 6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단면의 그립(60)이 내설되며, 상기 그립(60)의 후면에는 도 2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30)의 인출구멍(32)을 통하여 돌출된 로드(23)의 전단부가 전후진 가능하게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60)의 전면 "ㄷ"자형 홈 내부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바 형상의 컨택트(61)가 배치되고, 상기 컨택트(61)의 양측단부에는 전면으로 볼록하게 된 제1, 2누름돌출부(62, 63)가 형성된다.
아울러,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트(61)의 전면으로는 리턴스프링(64)이 형성되어 있어 전원 차단시 상기 로드(23)의 후진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도 1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75)의 전면에 형성된 제1단자홈(51)에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봉 형태의 제1단자(71)가 삽입 장착되고, 제2단자홈(52)에는 에어히터쪽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최종 단자인 봉 형태의 제2단자(72)가 삽입 장착된다.
이때, 상기 컨택트(61)의 제1누름돌출부(62)는 도 4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자홈(51)에 삽입 장착되는 배터리 전원용 제1단자(71)의 후단면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컨택트(61)의 제2누름돌출부(63)는 상기 제2단자(72)의 후단면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댐퍼(8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자(71)와 제2 단자(72)간의 쇼트방지를 위하여 상기 장착홀(50)에 부착되는 것으로, 전면이 돌출된 차단판과 같은 절연재질 제작되어 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아 상기 장착홀(50)에 삽입 장착된 콘볼트(56)를 커버하면서 상기 제1단자(71)와 제2단자(72)를 차단하는 절연재질의 댐퍼(80)가 부착되어, 결국 상기 제1단자(71)와 제2단자(72)간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 1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릴레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히터 스위치를 온 시키면, 상기 커넥터(59)를 통하여 하단 인서트볼트(55)와 스위치통전단(58)과 상단 인서트볼트(55)쪽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연속해서 보빈(20)의 중공보스(22)를 통하여 외부코어(25)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보호캡(10)의 케이스(12)내에서 보빈(20)의 외경에 배치된 외부코어(25)에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장의 원리에 따라 내부코어(24)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44)가 내부코어(24)로 당겨지며 붙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44)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41)은 압축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그 앞의 형성된 볼(42)이 상기 로드(23)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로드(23)가 전방으로 전진 이송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로드(23)의 전단부가 그립(60)을 밀어내게 되고, 이와 동시에 그립(60)은 그 앞의 컨택트(61)를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택트(61)의 전면에 형성된 리턴스프링(64)이 압축되면서 상 기 컨택트(61)의 제1누름돌출부(62)가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제1단자(71)의 후단면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누름돌출부(63)가 상기 제2단자(72)의 후단면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1단자(71)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이 컨택트(61)를 통하여 제2단자(72)로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에어히터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물론, 상기 커넥터(59)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플런저(44)는 상기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하여 내부코어(24)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플런저(44)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 이송된 상기 로드(23)도 리턴스프링(64)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후진 이송되어, 상기 컨택트(61)와 제1, 2단자(71, 72)와의 접촉이 떨어짐으로써 배터리 전원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용 릴레이(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00')는 대용량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호캡(10)과, 보빈(20)과, 패킹(30)과, 플런저수단(40)과, 바디(70)와, 댐퍼(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캡(10)과, 보빈(20)과, 패킹(30)과, 플런저수단(40)과, 댐퍼(80)는 상기에서 기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바디(70)는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기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에 제3단자홈(53)과 제3단자(73)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 으로, 몸체부(75)의 전면에 형성된 제1단자홈(51)에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된 봉 형태의 제1단자(71)가 삽입 장착되고, 제2단자홈(52)에는 봉 형태의 제2단자(72)가 삽입 장착되며, 제3단자홈(53)에는 에어히터쪽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최종 단자인 봉 형태의 제2단자(73)가 삽입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단자홈(52)과 제3단자홈(53)의 상측으로는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감홈 형상의 휴즈홈(54)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휴즈홈(54)에는 상기 제2, 3단자홈(52, 53)에 삽입된 제2단자(72)와 제3단자(73)를 연결하는 휴즈(90)가 안착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휴즈(90)를 통해 상기 제2단자(72)와 에어히터쪽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최종단자인 제3단자(73)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휴즈(90)는 상기 제2, 3단자홈(52, 53)의 상측에 형성된 휴즈홈(54)에 안착되는 육각형단자부(91)와 상기 육각형단자부(91)를 연결하는 연결단(92)으로 구성함으로써, 육각형단자부(91)에 의해 상기 휴즈(90)가 회전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70)의 몸체부(75) 전면에 형성된 육각형의 휴즈홈(54)에 상기 휴즈(90)의 육각형단자부(91)가 안착됨에 따라, 휴즈(90)의 회전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 2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릴레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히터 스위치를 온 시키면, 상기 커넥터(59)를 통하여 하단 인서트 볼트(55)와 스위치통전단(58)과 상단 인서트볼트(55)쪽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연속해서 보빈(20)의 중공보스(22)를 통하여 외부코어(25)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보호캡(10)의 케이스(12)내에서 보빈(20)의 외경에 배치된 외부코어(25)에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장의 원리에 따라 내부코어(24)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44)가 내부코어(24)로 당겨지며 붙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44)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41)은 압축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그 앞의 형성된 볼(42)이 상기 로드(23)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로드(23)가 전방으로 전진 이송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로드(23)의 전단부가 그립(60)을 밀어내게 되고, 이와 동시에 그립(60)은 그 앞의 컨택트(61)를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택트(61)의 전면에 형성된 리턴스프링(64)이 압축되면서 상기 컨택트(61)의 제1누름돌출부(62)가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제1단자(71)의 후단면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누름돌출부(63)가 상기 제2단자(72)의 후단면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1단자(71)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이 컨택트(61)를 통하여 제2단자(72)로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제2단자(72)와 제3단자(73)는 휴즈(90)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제2단자(72)로 공급된 배터리 전원이 휴즈(90)를 통하여 제3단자(73)로 흐르게 되고, 결국 제3단자(73)와 연결되는 에어히터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커넥터(59)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플런저(44)는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하여 내부코어(24)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플런저(44)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 이송된 상기 로드(23)도 리턴스프링(64)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후진 이송되어, 상기 컨택트(61)와 제1, 2단자(71, 72)와의 접촉이 떨어짐으로써 배터리 전원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산업차량용 릴레이는 보호캡의 내측에 형성된 회전방지홈에 보빈의 회전방지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보호캡과 바디와의 결합시 상기 보빈의 조립 위치 조정 없이 용이한 조립을 할 수 있으며, 장착홀에 절연재질의 댐퍼를 부착하여 제1단자와 제2단자간의 쇼트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릴레이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플런저에 볼을 채용함으로써 전원 인가에 따른 릴레이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휴즈를 휴즈홈과 동일한 형상인 육각형상으로 형성하여 휴즈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휴즈의 불필요한 단락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내부코어와 외부코어를 형성한 보빈을 삽입하는 보호캡과 상기 보빈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보빈의 자화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플런저수단과 상기 보빈이 삽입된 보호캡과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보호캡과 바디 사이에 삽입되는 패킹으로 구성되어, 커넥터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볼트와 스위치통전단과 컨택트와 단자를 통하여 공급받아 작동되는 릴레이에 있어서,
    개방구(11)를 갖는 케이스(12)의 내측으로 회전방지홈(15)을 형성한 보호캡(10);
    상기 회전방지홈(15)과 결합되는 회전방지부(21)를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으로 중공보스(22)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코어(24)의 중공부에는 플런저수단(40)과 밀착되는 로드(23)를 형성한 보빈(20);
    상기 보호캡(10)과 결합되는 몸체부(75)의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2단자홈(54, 56)을 구성하고, 상기 제1, 2단자홈(51, 52)에 삽입되는 제1, 2단자를 구성(71, 72)하며, 상측으로는 장착홀(50)을 형성한 바디(70);
    상기 바디(70)에 형성된 장착홀(50)에 결합되는 댐퍼(8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산업차량용 릴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수단(40)은 전면이 개방된 장착구(43)를 갖는 플런저(44)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41)과 상기 스프링(41)과 로드(23) 사이에 접촉되는 볼(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용 릴레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70)에는 제2단자홈(52)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단자홈(53)과 상기 제3단자홈(53)에 삽입되는 제3단자(7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산업차량용 릴레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70)에 형성된 제2, 3단자홈(52, 53)의 상측으로는 육각홈 형상의 휴즈홈(54)을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산업차량용 릴레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70)에는 상기 휴즈홈(54)에 안착되어지는 제2단자(72)와 제3단자(73)를 연결하는 휴즈(9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산업차량용 릴레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즈(90)는 상기 휴즈홈(54)에 안착되는 육각형단자부(91)와 상기 육각형단자부(91)를 연결하는 연결단(92)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산업차량용 릴레이.
KR2020060020500U 2006-07-29 2006-07-29 산업차량용 릴레이 KR200428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00U KR200428551Y1 (ko) 2006-07-29 2006-07-29 산업차량용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00U KR200428551Y1 (ko) 2006-07-29 2006-07-29 산업차량용 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551Y1 true KR200428551Y1 (ko) 2006-10-16

Family

ID=4177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500U KR200428551Y1 (ko) 2006-07-29 2006-07-29 산업차량용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5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76216B (zh) 烟火式断路器
CN102369586B (zh) 内燃机起动装置的起动继电器
US7116196B1 (en) Starter electromagnetic switch
KR102159887B1 (ko) 전자기 릴레이
JPH10308152A (ja) 電気コンタクタ
CN112655062A (zh) 在触头之间具有稳定的接合的机电开关
EP0290734B1 (en) Magnet switch for a starter
JP6751206B2 (ja) 電力接触器及び電力接触器用ハウジング体の製造方法
KR200428551Y1 (ko) 산업차량용 릴레이
US8362858B2 (en) Electromagnetic switch
US5801607A (en) Starter contactor having improved fixed contacts, and a motor vehicle starter having such a contactor
US5315221A (en) Motor control with contact weld sensor and interrupter
EP3005394B1 (en)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switch element, in particular a contactor or relay, and electrical switch element having a control module between the yoke member and coil
KR100306784B1 (ko) 자동차용 시가라이터의 전류차단 장치
KR100261779B1 (ko) 시동전동기용 마그네트스위치의 콘택터와 터미널단자 조립구조
KR100825934B1 (ko)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서 블랭킹 바이메탈 구조
JP4748727B2 (ja) 電磁継電器
JP4132067B2 (ja) 通電スイッチ
CN219497668U (zh) 继电器及车辆
JP363819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377639Y1 (ko) 자동차 브레이크 페달스위치
JP2004355844A (ja) 電磁継電器
KR100459474B1 (ko)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및 코어 조립구조
JP3695326B2 (ja) 電磁継電器
US10049844B2 (en) Electrical disconnect device for a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