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546Y1 - 대나무 조화 - Google Patents

대나무 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546Y1
KR200427546Y1 KR2020060019384U KR20060019384U KR200427546Y1 KR 200427546 Y1 KR200427546 Y1 KR 200427546Y1 KR 2020060019384 U KR2020060019384 U KR 2020060019384U KR 20060019384 U KR20060019384 U KR 20060019384U KR 200427546 Y1 KR200427546 Y1 KR 200427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fixed
harmony
flower po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KR2020060019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7Artificial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화와 조화를 균형있게 설치하여, 즉 대나무 몸체는 살아있는 생화로 구성하고 대나무잎은 조화로 구성하여 이들을 접착 고정하고 또한 흙이나 자갈 등이 담겨져 있는 화분대에 상기 대나무 몸체를 고정한 대나무 조화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나무, 생화, 조화, 대나무잎, 화분대

Description

대나무 조화{an artificial flower of bamboo}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나무 조화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대나무 몸체(10)와 화분대(18)의 조립상태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대나무 몸체(10)와 화분대(18)의 조립상태를 보이고 있는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대나무 몸체(10)와 화분대(18)의 조립상태를 보이고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대나무 몸체(10)와 화분대(18)의 조립상태를 보이고 있는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대나무 몸체 12: 구멍
14: 대나무잎 14a: 줄기
16, 26, 34: 고정부재 18: 화분대
20: 브라켓 24: 고정체
28: 충진물 30: 체결볼트
32: 관체 36: 체결나사
본 고안은 조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나무 몸체는 생화이고 대나무잎은 조화로 이루어져 대나무 생화와 동일한 느낌을 주는 장식 및 관상용 대나무 조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조화는 생화를 대신하여 장식용 내지 관상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상기 조화는 천이나 합성수지,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소재에 색상을 칠하거나 염색을 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꽃잎이 중앙부에 연결되고, 중앙에 수술의 형상을 한 장식이 꽃잎의 중앙부에 함께 결합부를 이루고, 상기 결합부는 다수개의 잎이 결합된 줄기와 결합하여 화분이나 벽체, 천장 등에 설치된다. 또한 집안이나 사무실 등에서 관상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꽃다발이나 화환 등의 형태로 제작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도모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조화는 생화와 달리 시들거나 벌레가 생기지 않아서 자주 꽃을 교체하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조화는 살아있는 생물이 아니기 때문에 최초의 상태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므로 계속 동일한 형태를 반복적으로 보게 되면서 사람들이 싫증을 느끼거나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조화의 배치나 색깔을 변경시키거나 화분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 동일한 꽃잎이나 줄기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여전히 신선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대나무 몸체는 생화로 하고 대나무잎은 조화로 구성하여 살아있는 대나무와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대나무 조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간이 지날수록 대나무 몸체의 색상이 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대나무 조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흙이나 자갈, 광석(진주암, 질석) 등이 담겨져 있는 화분대를 구성하고, 상기 화분대에는 살아있는 대나무 몸체가 각각 고정되며, 상기 대나무 몸체의 구멍에는 조화로 된 다수개의 대나무잎들이 접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한 개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대나무 조화의 개념을 살펴보면, 생화와 조화를 균형있게 설치하여, 즉 대나무 몸체는 살아있는 생화로 구성하고 대나무잎은 조화로 구성하여 이들을 접착 고정하고 또한 흙이나 자갈 또는 진주암, 질석 등이 담겨져 있는 화분대에 상기 대나무 몸체를 고정한 대나무 조화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앞에서 제안한 대나무 조화의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대나무 조화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박스 타입의 화분대(18)를 구성하며, 상기 화분대(18)의 내부에는 대나무 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20)이 나사(22)로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화분대(18)는 원형 또는 타원형 모양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충진물(28)이 담겨져 있다. 이때 충진물(28)로는 흙이나 자갈 등이 주로 사용되고, 또는 진주암이나 질석 등의 광물질이 충진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대나무 몸체(10)를 살아있는 생화로 사용하는데,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색상이 변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싫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고 신선한 느낌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대나무 몸체(10)에는 다수개의 구멍(12)들이 형성되며, 상기 각 구멍(12)에는 조화로 된 대나무잎(14)의 줄기(14a)가 삽입되고, 그 틈새에는 고정부재(16)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6)는 실리콘이나 핫 멜트 또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또 한편으로, 본 고안에서는 대나무 몸체(10)를 화분대(18)에 고정하기 위하여 브라켓(20)이 사용되는데, 상기 브라켓(20)의 중앙에는 로드 타입의 고정체(24) 가 부착되며, 상기 고정체(24)는 살아있는 대나무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부재(26) 또는 체결볼트(30)로 조립된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의 상세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체(24)는 대나무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체(26)가 삽입된 내부에는 고정부재(26)가 충진되어 상기 대나무 몸체(1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6)는 실리콘이나 핫 멜트 또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대나무 몸체(10)가 조립된 브라켓(20)은 다수개의 나사(22)에 의해 화분대(18)의 바닥면에 체결 고정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나무 몸체(10)와 브라켓(20)의 고정체(24)는 체결볼트(30)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대(18)에 나사(22)로 체결된 브라켓(20)의 상단 중앙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32)가 부착되고, 상기 관체(34)의 내부에는 대나무 몸체(10)가 삽입되고, 그 틈새에는 고정부재(34)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4)로는 실리콘이나 핫 멜트 또는 접착제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나무 몸체(10)는 화분대(18)의 바닥면에 직접 고정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체결나사(36)를 양쪽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생화와 조화를 균형있게 구성하여 대나무 조화를 제작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지루한 감을 없애고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대나무 몸체를 화분대에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화분대가 넘어져도 대나무가 손상되거나 파손될 염려가 없으며, 또한 항상 최초의 디자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충진물(28)이 담겨져 있는 화분대(18)와,
    상기 화분대(18)에는 살아있는 대나무 몸체(10)가 고정되며,
    상기 대나무 몸체(10)의 구멍(12)에는 조화로 된 대나무잎(14)의 줄기(14a)가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조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몸체(10)의 저면 내부에는 고정체(24)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24)는 브라켓(20)에 부착되며, 상기 브라켓(20)은 상기 화분대(18)의 바닥면에 체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조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4)와 대나무 몸체(10)는 실리콘이나 핫 멜트 또는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고정부재(26)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조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4)와 대나무 몸체(10)는 체결볼트(30)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조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대(18)의 바닥면에는 브라켓(20)이 체결 고정되며, 상기 브라켓(20)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32)가 부착되고, 상기 관체(32)의 내부에는 상기 대나무 몸체(10)가 삽입되어 고정부재(34)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조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4)는 실리콘 또는 핫 멜트 또는 접착제 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조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몸체(10)는 체결나사(36)로 대각선 방향으로 체결시켜 상기 화분대(18)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조화.
  8. 제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28)은 흙 또는 자갈 또는 광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조화.
KR2020060019384U 2006-07-19 2006-07-19 대나무 조화 KR200427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384U KR200427546Y1 (ko) 2006-07-19 2006-07-19 대나무 조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384U KR200427546Y1 (ko) 2006-07-19 2006-07-19 대나무 조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546Y1 true KR200427546Y1 (ko) 2006-09-28

Family

ID=4177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384U KR200427546Y1 (ko) 2006-07-19 2006-07-19 대나무 조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5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546Y1 (ko) 대나무 조화
JP3416765B2 (ja) 生花器、植木鉢、造花篭を備えた容器と巻上げ装置
KR200438549Y1 (ko)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100879055B1 (ko) 장식용 이중 화분
JP3827680B2 (ja) 花卉植栽構造
KR20060119652A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JP3755138B2 (ja) 花卉植栽構造
CN2891644Y (zh) 组合花盆
KR200470278Y1 (ko) 그래스 외피 화분
CN205611353U (zh) 一种可悬挂式盆栽
KR20080051243A (ko) 복합 수족관.
CN204687707U (zh) 一种盆景
KR200392247Y1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JP2005171739A (ja) 透視防止具
JPH0443359Y2 (ko)
KR970000767Y1 (ko) 화병에 부착된 꽃대
KR101332855B1 (ko) 동전 조화 및 이를 이용한 장식물
KR20090020209A (ko) 실물감이 향상된 인공 식물이 식재된 화분
KR200448599Y1 (ko) 꽃병의 꽃꽂이 고정캡
KR200394798Y1 (ko) 원목 실내 벽장식 액자
KR20000019822U (ko) 숯을 이용한 분재
KR20130002620A (ko) 비닐섬유화분
KR200281211Y1 (ko)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KR200360471Y1 (ko) 꽃장식나무화분
CN207370433U (zh) 一种园林内植物观赏展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