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247Y1 -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247Y1
KR200392247Y1 KR20-2005-0014354U KR20050014354U KR200392247Y1 KR 200392247 Y1 KR200392247 Y1 KR 200392247Y1 KR 20050014354 U KR20050014354 U KR 20050014354U KR 200392247 Y1 KR200392247 Y1 KR 200392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petals
wire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화윤
Original Assignee
황화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화윤 filed Critical 황화윤
Priority to KR20-2005-0014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2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1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A41G1/005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luminous or luminesc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1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A41G1/002Animated or provided with mov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꽃잎과 잎 말단에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내부에 설치된 전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면서 발광작용을 하도록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꽃이나 잎에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발광 작용을 하는 조화를 제작하여 사람들에게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고, 지루하지 않은 장식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IMITATION FLOWER CONSISTED OF LED}
본 고안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꽃잎과 잎 말단에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내부에 설치된 전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면서 발광작용을 하도록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조화는 생화를 대신하여 장식용 내지 관상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조화는 천이나 합성수지,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소재에 색상을 칠하거나 염색을 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꽃잎이 중앙부에 연결되고, 중앙에 수술의 형상을 한 장식이 꽃잎의 중앙부와 함께 결합부를 이루고, 결합부는 다수개의 잎이 결합된 줄기와 결합하여 화분이나 벽체, 천장 등에 설치된다.
또한 집안이나 사무실 등에서 관상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꽃다발이나 화환 등의 형태로 제작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도모하기도 한다.
조화는 생화와 달리 시들거나 벌레가 생기지 않아서 자주 꽃을 교체하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조화는 살아있는 생물이 아니기 때문에 최초의 상태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므로 계속 동일한 형태를 반복적으로 보게 되면서 사람들이 싫증을 느끼거나 지루함을 느낄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조화의 배치나 색깔을 변경시키거나 화분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 동일한 꽃잎이나 줄기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여전히 신선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생물이 아니므로 꽃잎이 피거나 지는 등의 변화를 느낄 수 없으며, 항상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꽃이나 잎 내부에 전선을 연결하고, 전선의 말단에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발광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한 잎의 말단에 플러그를 설치하고, 줄기에 연결소켓을 설치하여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된 잎을 줄기에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꽃잎의 하단부에 꽃잎을 감쌀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고, 코일 스프링을 당기는 지지와이어를 설치하여 지지와이어의 동작에 따라 꽃잎이 피거나 오므라드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를 제공하는데, 상기 조화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내부에 전원연결선이 구비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꽃잎을 포함하며, 상기 꽃잎의 내부를 통해 꽃잎의 외부로 연장되는 전원연결선의 외부말단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꽃봉우리부와;
상기 꽃봉우리부를 지지하면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줄기부와;
상기 줄기부의 중공을 통해 연장되는 전원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꽃봉우리부 내부에 상기 다수의 꽃잎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과 연결되는 지지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지와이어가 상기 코일 스프링을 당기면 상기 꽃봉우리부의 꽃잎들이 오므라들면서 상기 꽃봉우리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줄기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연결소켓과;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 고정되는 플러그부를 포함하고, 말단에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전선이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나뭇잎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꽃잎 내부에는 굴절이 용이한 철사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이하, '조화'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2는 다이오드가 설치된 잎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조화(100)의 상부에 위치한 꽃봉우리는 다수의 꽃잎(102)으로 이루어진다.
꽃잎(102)은 합성수지나 종이 등으로 제작되며, 열이나 빛에 의하여 탈색되지 않고 잘 찢어지지 않을 정도로 강도가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제의 꽃모양과 유사한 모양의 꽃잎으로 제작함으로써 현실감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꽃잎(102)의 내부에는 전원연결선(120)이 관통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데, 실제 자연상태의 꽃이나 잎에 존재하는 잎맥(106)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하고, 그 내부로 전원연결선(120)을 관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원연결선(120)이 꽃잎(102)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말단에는 발광 다이오드(LED; 108))가 설치된다. 발광 다이오드는 전류의 공급으로 인하여 전자와 정공이 합쳐지면서 발광효과를 내는 발광소자로서, 적은 전류의 공급으로도 상당히 밝은 빛을 낼 수 있으며, 발열량이 필라멘트 전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어서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소자이다.
발광 다이오드(108)는 꽃잎(102)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부착되는데, 통상적으로 접착제 등으로 꽃잎(102)의 표면에 접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꽃봉우리에 연결되는 꽃잎(102)은 여러개가 될 수 있으므로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퍼져나가면서 전원연결선(120)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다이오드(108)의 표면에는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용 캡(도면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꽃봉우리 중심부의 하단에는 가운데 중공이 형성되는 줄기부(104)가 연결된다. 줄기부(104)는 실제 식물의 줄기와 같은 색깔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꽃봉우리의 무게를 지지하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12)이 관통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의 중공체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줄기부(104)의 표면은 실제 식물의 표면과 같은 무늬가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화분이나 병에 꽃아두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줄기부(104)가 긴 직선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화환이나 꽃다발 형태로 조화(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줄기부(104)의 길이가 짧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도에 따라 줄기부(10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결합구조로 줄기부(104)를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며, 직선 형태가 아닌 곡선형태 또는 덩굴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꽃봉우리의 중앙에는 식물의 수술과 동일한 형태로 된 수술부(110)가 구비된다. 수술부(110)는 꽃잎(102)의 하단부에 있는 결합부 상단에 고정되어 실제 꽃잎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 수술부(110)에는 구슬이나 유리 등의 장식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장식물 대신에 발광 다이오드(108)을 연결하여 수술부(110)에서도 발광효과를 내도록 할 수도 있다.
발광 다이오드(108)와 연결된 전원연결선(120)은 꽃잎(102)의 잎맥(106)을 따라 꽃봉우리 중심의 결합부까지 연장되며, 줄기부(104)의 가운데 중공을 따라 올라오는 전선(112)과 연결된다.
전선(112)의 타측단에는 전원공급부(114)가 설치된다. 전원공급부(114)에는 온오프 스위치와 강도조절스위치, 점등모드 절환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발광 다이오드(108)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 뿐만 아니라,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켜져있게 하거나 소정의 속도로 깜빡이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원공급부(114)에 타이머를 구비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점등하도록 하거나, 센서를 구비하여 사람의 동작이나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에 발광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108)의 점등 형태를 제어하는 것은 크리스마스 트리나 작동완구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에서와 같이, 줄기부(104)에 연결되는 나뭇잎 역시 실제와 같은 색깔과 구조로 제작되며, 나뭇잎에 형성되는 잎맥을 통해 전원연결선(120)이 발광 다이오드(108)와 연결된다.
나뭇잎과 줄기부(104)는 분리가능하게 제작되는데, 이를 위해 나뭇잎의 말단부에 플러그(122)가 형성되고, 줄기부(104)의 표면에는 연결소켓(124)이 구비된다.
플러그(122)는 나뭇잎 내부의 전원연결선(120)과 연결되며, 연결소켓(124)은 전선(112)을 통하여 전원공급부(114)와 연결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114)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전원연결선(120)을 통하여 말단의 발광 다이오드(108)에 연결되어 발광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플러그(122)와 연결소켓(124)을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방법은 꽃봉우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꽃봉우리 전체를 탈부착하여 꽃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에도 권리가 미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꽃이나 잎에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발광 작용을 하는 조화를 제작하여 사람들에게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고, 지루하지 않은 장식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부가하여 꽃잎이 벌어지거나 닫힐 수 있도록 하여, 마치 꽃잎이 개화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조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줄기에 붙은 잎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줄기와 잎의 말단에 연결소켓과 플러그를 각각 설치하여 수리나 교체가 용이한 조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다이오드가 설치된 잎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Claims (5)

  1.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내부에 전원연결선이 구비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꽃잎을 포함하며, 상기 꽃잎의 내부를 통해 꽃잎의 외부로 연장되는 전원연결선의 외부말단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꽃봉우리부와;
    상기 꽃봉우리부를 지지하면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줄기부와;
    상기 줄기부의 중공을 통해 연장되는 전원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봉우리부 내부에 상기 다수의 꽃잎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과 연결되는 지지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지와이어가 상기 코일 스프링을 당기면 상기 꽃봉우리부의 꽃잎들이 오므라들면서 상기 꽃봉우리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연결소켓과;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 고정되는 플러그부를 포함하고, 말단에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전선이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나뭇잎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꽃잎 내부에는 굴절이 용이한 철사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뭇잎부 내부에는 굴절이 용이한 철사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KR20-2005-0014354U 2005-05-20 2005-05-20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KR200392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354U KR200392247Y1 (ko) 2005-05-20 2005-05-20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354U KR200392247Y1 (ko) 2005-05-20 2005-05-20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706A Division KR20060119652A (ko) 2005-06-21 2005-06-21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247Y1 true KR200392247Y1 (ko) 2005-08-19

Family

ID=4369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354U KR200392247Y1 (ko) 2005-05-20 2005-05-20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2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1047A (ko) 식물재배용 전등이 부착된 화분
KR20060119652A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KR200392247Y1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KR101628656B1 (ko) 식물재배장치
KR101130168B1 (ko) 발광조화
KR20080006233U (ko) 발광이 이루어지는 실내, 외용 화분
KR20100004465U (ko) 조명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KR101405648B1 (ko) 엘이디를 구비하는 장식용 조화
KR20110029463A (ko) 향 분사 화분
KR200216270Y1 (ko) 전구가 내장된 조화
KR10054553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꽃장식 포장지
JP3168388U (ja) 葬儀葬祭用蓮華灯
JP3208558U (ja) 模造樹木
CN203202997U (zh) 烛台
KR200216268Y1 (ko) 피고 지는 조화
JP3172679U (ja) 花器
KR19990035391U (ko) 램프기능을가지는화분
KR20040077350A (ko) 광섬유를 이용한 꽃장식구
KR200216267Y1 (ko) 물을 주면 꽃이 피는 조화
KR200486451Y1 (ko) 봉제 선인장 크리스마스트리
KR200438215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KR200210383Y1 (ko) 벽등화분받침대
KR200427546Y1 (ko) 대나무 조화
KR200212080Y1 (ko) 개화동작가능한 조화 및 조화장치
KR200353611Y1 (ko) 조명이 부가된 관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