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215Y1 -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215Y1
KR200438215Y1 KR2020060028791U KR20060028791U KR200438215Y1 KR 200438215 Y1 KR200438215 Y1 KR 200438215Y1 KR 2020060028791 U KR2020060028791 U KR 2020060028791U KR 20060028791 U KR20060028791 U KR 20060028791U KR 200438215 Y1 KR200438215 Y1 KR 200438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connection line
power supply
pow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2020060028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화분이나 화단에서 재배되는 꽃 등의 식물에 화분이나 화단에 공급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섬유조각부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를 발광 또는 소광시킬 수 있는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는 토양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토양 내부에 매설되고, 수분함유의 유무에 따라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단락시키는 섬유조각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섬유조각부재를 연결하여 전류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연결선과; 상기 전원연결선에 양단자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의해 발광 및 소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토양 속에 공급되는 수분의 유무에 따라 상기 섬유조각부재에 의해 통전 또는 단락되면서 발광 및 소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분, 발광다이오드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Landscape Apparatus Composed Of LED And Flowerpot By LED}
도 1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조경장치 110: 전원공급부
111: 방수부재 112: 건전지
120: 섬유조각부재 130: 전원연결선
140: 발광다이오드 200: 화분
300: 화단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화분이나 화단에서 재배되는 꽃 등의 식물에 화분이나 화단에 공급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섬유조각부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를 발광 또는 소광시킬 수 있는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는 LED(light emitting diode)라고도 하는데, 이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를 적외선 또는 빛으로 변환시키는 소자로, 최근 들어 액정 패널의 백라이트용 광원이나 차세대 조명원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1968년 미국에서 적색 LED가 개발된 이후 황색, 녹색, 청색, 백색 LED가 우리 생활 곳곳에서 쓰이고 있다. 또한 고휘도 LED 등장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용 조명과 휴대폰의 액정표시장치(LCD)와 자동차 장식 조명도 LED로 교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광파장은 반도체에 첨가되는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특히 종래의 광원에 비해 소형이고, 수명은 길며,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들고 효율이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제품이 많이 안출되어 실용화되고 있으며, 이 중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가 있다.
상기 조화는 생화를 대신하여 장식용 내지 관상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이며, 이와 아울러 집안이나 사무실 등에서 관상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꽃다발이나 화환 등의 형태로 제작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도모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조화의 꽃이나 잎 내부에 전선을 연결하고, 전선의 말단에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발광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여, 사람들에게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고, 지루하지 않은 장식효과를 내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화는 근본적으로 살아있는 생물이 아니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내더라도, 관상용 및 장식용으로서의 신선미와 시각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살아있는 생화가 심어진 화분에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꽃의 시각미를 더욱 좋게 하고 생화의 신선미도 줄 수 있어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분 내부의 흙속에 섬유조각부재를 포함하는 조경장치를 구비하고, 화분에 제공되는 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본 고안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는 토양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토양 내부에 매설되고, 수분함유의 유무에 따라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단락시키는 섬유조각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섬유조각부재를 연결하여 전류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연결선과; 상기 전원연결선에 양단자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의해 발광 및 소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토양 속에 공급되는 수분의 유무에 따라 상기 섬유조각부재에 의해 통전 또는 단락되면서 발광 및 소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수분과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에 방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선은 상기 섬유조각부재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극단자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전원연결선과, 상기 전원공급부의 타극단자에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일단자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전원연결선, 및 상기 섬유조각부재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타단자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3전원연결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섬유조각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1전원연결선의 타단과 상기 제3전원연결선의 일단이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선은 상기 섬유조각부재에 결합하는 각 단부에 와이어부재가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선은 외기 또는 수분의 접촉에 의한 손상 및 전기적 단 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에 열수축튜브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분에 의하면, 자양분을 함유한 토양이 담긴 화분과; 상기 화분에 심어져 재배되는 식물과; 상기 토양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토양 내부에 매설되고, 수분함유의 유무에 따라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단락시키는 섬유조각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섬유조각부재를 연결하여 전류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연결선과; 상기 전원연결선에 양단자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의해 발광 및 소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토양 속에 공급되는 수분의 유무에 따라 상기 섬유조각부재에 의해 통전 또는 단락되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및 소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100)는 전원공급부(110)와, 섬유조각부재(120)와, 전원연결선(130), 및 발광다이오드(14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토양(A)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할 발광다이오드(140)의 발광을 위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건전지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한국전력에서 공급하는 상용전원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140)에 공급할 전압으로 감압시켜 줄 수 있는 장치, 일명 아답터(adaptor)를 연결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보통 토양(A)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토양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또한 상기 토양(A)의 내부에 설치될 경우에는 화분에 공급되는 수분과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 단락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부재(111) 속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수처리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방수케이스내에 상기 전원공급부(110)인 건전지를 넣어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수케이스 내에 상기 건전지(112)를 넣은 다음, 하술한 전원연결선(130)이 방수케이스에 연결되는 부분의 공극부에는 실리콘(미도시)을 이용하여 봉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110)를 구성하는 건전지는 요구되는 발광다이오드(140)의 종류 및 수에 따라서, 수 개의 건전지가 직렬식 또는 병렬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섬유조각부재(120)는 화분(200)의 토양(A)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화분(200)에 공급되는 수분함유의 유무에 따라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단락시키는 부재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헝겊조각을 사용한다. 상기 섬유조각부재(120)는 물이 공급되면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에 흡수된 물 분 자에 의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고, 이 물이 시간이 지나서 마르게 되면 더 이상 전류를 흐르지 않게 함으로써, 전류의 유동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연결선(130)는 상기 전원공급부(110) 및 섬유조각부재(120)를 상호 연결하여 전류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외기 또는 수분의 접촉에 의한 손상 및 전기적 단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수축튜브부재(미도시)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수축튜브부재(미도시)는 방수의 역할뿐만 아니라 수분에의 노출에 의한 전기 누수를 방지(절연)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연결선(130)은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부(110)의 일극단자(-극)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전원연결선(131)과, 상기 전원공급부(110)의 타극단자(+극)에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140)의 일단자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전원연결선(132, 132'), 및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140)의 타단자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3전원연결선(133, 13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연결선(130)은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1전원연결선(131)의 타단과 상기 제3전원연결선(133, 133')의 일단이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에 물이 공급될 경우, 물 분자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상기 제1전원연결선(131)의 타단과 상기 제3전원연결선(133, 133')의 일단이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원연결선(130)의 제1전원연결선(131)의 타단과 상기 제3전원연결선(133, 133')의 일단에는 와이어(130a)가 물의 공급에 의해 전류가 더 잘 통할 수 있도록 낚시 바늘의 형상으로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에 각각 결합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40)는 LED(light emitting diode)라고도 하며, 이는 상기 전원연결선(130)에 양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10)의 전원 공급에 의해 발광하는 소재이다.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발광다이오드(140)는 일반적으로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를 적외선 또는 빛으로 변환시키는 소자이며, 최근 들어 액정 패널의 백라이트용 광원이나 차세대 조명원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140)의 구성은 빨간색(Red), 녹색(Green), 파란색(Blue)의 3색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반도체에 첨가되는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140)는 소형이고, 수명은 길며,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들고 효율이 좋아, 많은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40)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화분에 물을 주게 되면,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에 물이 스며들게 되고, 물 분자에 의해 상호 양단이 떨어져 있는 전원연결선(13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14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발광하게 되고,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에 스며든 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르게 되면, 상기 전원연결선(130)을 단락시켜 소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꽃 또는 기타 관상용 식물이 심어져 있는 화분에 적용하여 심미적인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고, 아울러 화분으로서의 상품적 가치를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경장치를 이용한 화분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화분에 적용한 것이며, 이하, 이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경장치를 이용한 화분은 자양분을 함유한 토양(A)이 담긴 화분(200)과, 상기 화분(200)에 심어져 재배되는 식물(210)과, 상기 토양(A)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110)와, 상기 토양(A) 내부에 매설되고, 수분함유의 유무에 따라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단락시키는 섬유조각부재(120)와, 상기 전원공급부(110) 및 섬유조각부재(120)를 연결하여 전류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연결선(130), 및 상기 전원연결선(130)에 양단자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의해 발광 및 소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물(210)은 줄기(211)를 갖는 꽃(212)이며, 이와 같이 줄기(211)가 있는 꽃(212)인 경우에는 꽃의 줄기에 상기 전원연결선(130)을 연장하여 감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하나의 줄기(211)에 구비되는 발광다이오드(140)의 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경장치를 이용한 화분(200)은 보통 선물용이나 분재용 등의 화분에 사용할 수 있으며, 화분으로서의 상품적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에는 발광다이오드(140)를 이용한 조화는 많이 나오고 있지만, 생화가 심겨진 화분에 상기 발광다이오드(140)를 이용한 조경장치(100)를 구비한 화분(200)은 없었다. 더욱이 상기 발광다이오드(140)가 상시 켜져 있는 상태가 아니라,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에 물이 흡수될 때에 비로소 상기 전원연결선(130)이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140)가 발광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40)가 발광하는 시간은 상기 토양(A) 속에 매설되는 섬유조각부재(120)의 재질에 따라 흡수되는 물의 양이 달라지고, 따라서 이러한 물의 양에 따라 발광다이오드(140)의 발광시간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는 줄기가 없는 식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전원연결선(130)을 결합할 수 있는 지지대(B)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B)에 전원연결선(130) 및 발광다이오드(140)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줄기를 가지는 꽃에 적용되는 조경장치(100)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조경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줄기를 갖는 꽃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는 가정 내의 화단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단(300)의 테두리 부분에 상기 조경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화단(300) 내에 재배되는 꽃들에 대해서 대응하여 각각 상기 조경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고, 상술한 화분(200)에 적용되는 조경장치(100)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가 있는 것이다.
다만, 화단(300)에 적용되는 조경장치(100)의 발광다이오드(140)의 수가 많아 지기 때문에 상기 전원공급부(110)의 규모가 커지며, 이에 따른 전원공급부(110)를 구성하는 건전지의 수가 많이 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가정 내의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분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화분(200)에 토양(A)을 준비하고, 상기 토양(A) 내부에 전원공급부(110)를 매설한 후, 여기에 전원연결선(130) 및 섬유조각부재(120)를 연결 준비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전원연결선(130)의 일단에 발광다이오드(140)를 결합하고, 꽃의 줄기(211) 부분에 상기 전원연결선(130)을 감은 후, 본 고안인 조경장치(100)를 준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화분(200)에 물을 주게 되면,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에 물이 스며들게 되고, 물 분자에 의해 상호 양단이 떨어져 있는 전원연결선(13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14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발광하게 되고, 상기 섬유조각부재(120)에 스며든 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르게 되면, 상기 전원연결선(130)을 단락시켜 소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에 의하면 꽃의 시각미를 더욱 좋게 하고, 생화의 신선미도 줄 수 있어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화분 내부의 흙속에 섬유조각부재를 포함하는 조경장치를 구비하고, 화분에 제공되는 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건전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탁월한 효과를 낼 수 있다.

Claims (6)

  1. 토양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토양 내부에 매설되고, 수분함유의 유무에 따라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단락시키는 섬유조각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섬유조각부재를 연결하여 전류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연결선과;
    상기 전원연결선에 양단자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의해 발광 및 소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토양 속에 공급되는 수분의 유무에 따라 상기 섬유조각부재에 의해 통전 또는 단락되면서 발광 및 소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수분과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에 방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선은 상기 섬유조각부재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극단자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전원연결선과, 상기 전원공급부의 타극단자에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일단자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전원연결선, 및 상기 섬유조각부재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타단자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3전원연결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섬유조각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1전원연결선의 타단과 상기 제3전원연결선의 일단이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선은 상기 섬유조각부재에 결합하는 각 단부에 와이어부재가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선은 외기 또는 수분의 접촉에 의한 손상 및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에 열수축튜브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6. 자양분을 함유한 토양이 담긴 화분과;
    상기 화분에 심어져 재배되는 식물과;
    상기 토양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토양 내부에 매설되고, 수분함유의 유무에 따라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단락시키는 섬유조각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섬유조각부재를 연결하여 전류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연결선과;
    상기 전원연결선에 양단자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의해 발광 및 소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토양 속에 공급되는 수분의 유무에 따라 상기 섬유조각부재에 의해 통전 또는 단락되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및 소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장치를 구비한 화분.
KR2020060028791U 2006-10-31 2006-10-31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KR200438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791U KR200438215Y1 (ko) 2006-10-31 2006-10-31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791U KR200438215Y1 (ko) 2006-10-31 2006-10-31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215Y1 true KR200438215Y1 (ko) 2008-01-29

Family

ID=4133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791U KR200438215Y1 (ko) 2006-10-31 2006-10-31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2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4326B2 (en)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 sets
US20190191634A1 (en) Arrangement and device for improving plant productivity through enhancing insect pollination success in plant cultivation
KR200439280Y1 (ko) 화분용 조명대
CN204785626U (zh) 一种led植物生长补光灯
KR20100057849A (ko) 식물을 성장 시키기 위한 led 조명 장치
JP2011018626A (ja) Led照明付き鉢装飾器具
KR20080006233U (ko) 발광이 이루어지는 실내, 외용 화분
KR200467139Y1 (ko) 유에스비 전원을 이용한 식물재배용 엘이디 램프
JP2012019715A (ja) 植物の照明装置
KR200438215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CN207610137U (zh) 一种可调光植物生长灯
KR100751078B1 (ko) 조명용 조화
KR100939749B1 (ko) 무궁화형상의 경관조경장치
JP5286203B2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CN2932993Y (zh) 集鱼灯
CN207514683U (zh) 一种植物生长灯及雨林缸
CN202629663U (zh) 一种可调光谱的led养殖灯
KR20060119652A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화
CN205372205U (zh) 多功能台灯
KR101277053B1 (ko) 소규모 식물 재배용 발광다이오드형 조명기구
KR102604933B1 (ko) 식물생장조명장치
CN205001955U (zh) 一种用于户外广场灯光装饰的流星雨式led灯
CN216314164U (zh) 植物灯
KR20220075256A (ko) 가정용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CN216532743U (zh) 水冷式植物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