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211Y1 -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211Y1
KR200281211Y1 KR2020020012201U KR20020012201U KR200281211Y1 KR 200281211 Y1 KR200281211 Y1 KR 200281211Y1 KR 2020020012201 U KR2020020012201 U KR 2020020012201U KR 20020012201 U KR20020012201 U KR 20020012201U KR 200281211 Y1 KR200281211 Y1 KR 200281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s
ampoule bottle
plants
decorative body
plant nutr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김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성 filed Critical 김태성
Priority to KR2020020012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211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곤충(해충)들의 보호색원리를 적용하여 곤충들이 싫어하는 과장된 색과 원색을 갖도록 구성하여 곤충들에게 불안감과 경계심을 불러 일으키게 하여 해충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토록 할 수 있으며,
화분을 더욱 아름답고 화려하게 장식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러한 장식효과에 의해 어른들은 물론이고 아이들까지도 식물에 관한 호기심과 관심을 증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식물영양제등이 충진된 앰플병을 거꾸로 삽입설치하여 화초에 앰플병의 입구로 부터 흘러나오는 식물영양제등을 과잉공급 또는 너무 적게 공급됨이 없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지속적으로 적당량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가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구성한 고품질 고품격의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를 제공하여 화초의 생장을 촉진하고, 장식효과를 더욱 높혀 줌은 물론 화초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관상용 화초가 심어져 있는 화분의 흙에 꽂아지도록 형성한 꽂음부와, 상기 꽂음부 상측에 곤충들의 보호색원리를 적용하여 곤충들이 싫어하는 과장된 색과 원색을 갖는 다양한 형상의 장식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과,
상기 꽂음부와 장식몸체부 사이에 구성되는 받침부의 일측면에 식물영양제등이 충진된 앰플병이 거꾸로 삽입설치되어 화초에 식물영양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앰플병삽입구멍을 구성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Flowerpot exclusive use multi-function St. Aksesari}
본 고안은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심어져 있는 화분의 흙에 꽂아지도록 만들어진 꽂음부 상측에 곤충들의 보호색원리를 적용하여 싫어하는 과장된 색과 원색을 갖는 여러가지 형상의 장식몸체부를 형성하여서된 악세사리를 만들고 이를 화초를 키울시 화분에 꽂아서 사용함으로서 곤충들에게 불안감과 경계심을 불러일으켜 해충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며, 아주 간편한 방법으로 화초등의 식물에 영양제 항상 적당한 양만큼씩만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도로 하며, 화분을 장식하여 어른들은 물론이고 아이들에게 식물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화초는 각양각색의 형상과 색상으로 인해 인간의 정서를 함양하여주는 것은 물론 실내외의 분위기를 화사하게 장식하여 주는 효과가 있으므로 화초를 전문적으로 키우는 매니아들은 물론이고 일반적인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많은 종류의 화초를 키우고 있는데 실제로 전세계적으로도 대부분 가정에는 몇개의 화초를 키우고 있는게 현실정이다.
이러한 화초를 실내에서 키우기 위해서는 주로 화분에 심어서 키우게되는바, 종래에는 단순히 화분에는 화초만 심어져 있을 뿐 곤충(해충)들이 화초에 근접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이나,
또는 화초를 더욱 아름답고 화려하게 보이도록 하여 장식효과를 극대화 시키거나 장식효과를 극대화시켜서 어른들은 물론이고 아이들까지도 식물에 관한 호기심과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기능은 물론,
화분에 심어져 있는 화초에 식물영양제등을 간편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토록 하는 등의 여러가지 기능중 어느 한가지라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안된 어떠한 형태의 보조물도 설치되어 있는 것이 없었다.
따라서, 단지 화분에 심어져 있는 화초만으로는 장식효과 및 화초에 대한 관심의 증대 그리고 손쉽고도 간편한 방법으로 병충해를 방지하고 영양제등을 공급하여 화초의 생장을 촉진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 곤충(해충)들의 보호색원리를 적용하여 곤충들이 싫어하는 과장된 색과 원색을 갖도록 구성하여 곤충들에게 불안감과 경계심을 불러 일으키게 하여 해충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토록 할 수 있으며,
화분을 더욱 아름답고 화려하게 장식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러한 장식효과에 의해 어른들은 물론이고 아이들까지도 식물에 관한 호기심과 관심을 증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식물영양제등이 충진된 앰플병을 거꾸로 삽입설치하여 화초에 앰플병의 입구로 부터 흘러나오는 식물영양제등을 간단하고 편리하며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식물영양제가 과인공급되거나 또는 너무 적게 공급되는 일이 없이 항상 적당한 량만큼씩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등의 여러가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구성한 고품질 고품격의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를 제공하여 화초의 생장을 촉진하고, 장식효과를 더욱 높혀 줌은 물론, 화초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상태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상태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 상태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으로서 앰플병이 결합된 요부 구성상태도.
도5a,도5b는 본 고안으로서 연결체를 달리한 일실시 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꽂음부 20:장식몸체부
21:스프링 22:강선
30:받침부 31:앰플병삽입구멍
100:앰플병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b에 의거 설명한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양한 종류의 관상용 화초가 심어져 있는 화분의 흙에 꽂아지도록 만들어진 꽂음부(10)와,
상기 꽂음부(10) 상측에 곤충들의 보호색원리를 적용하여 곤충들이 싫어하는 과장된 색과 원색을 갖는 여러가지 형상의 장식몸체부(20)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꽂음부(10)와 장식몸체부(20) 사이에 흙표면에 안착되어 장식몸체부(20)의 무게에 의해 꽂음부(10)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주는 받침부(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꽂음부(10)와 장식몸체부(20) 사이에 구성되는 받침부(30)의 일측면에 식물영양제등이 충진된 앰플병(100)이 거꾸로 삽입되어 고정설치되는 앰플병삽입구멍(31)을 형성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3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앰플병삽입구멍(31)은 거꾸로 삽입설치되는 앰플병(100)에 충진된 식물영양제등이 비교적 일정량씩 지속적으로외부로 배출되도록 첨부도면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약15~20˚정도 경사지게 형성하여 앰플병(100)이 기울어지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데, 앰플병(100)이 손쉽고 견고히 삽입설치되도록 상광하협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상기 본 고안은 상기한 일실시예들에 의해 결코 한정되는 것이 아닌것으로 그 재질에 한정을 받지 않으며, 꽂음부(10)는 물론 장식몸체부(20) 그리고 받침부(30)의 형상들은 물론 색상 그리고 연결상태등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면 상기 장식몸체부(20)는 첨부도면 도5a 내지 도5b에 도시된 바와같이 꽂음부(10) 또는 받침부(30) 상측에 스프링(21)이나 강선(22) 등의 탄성력이 있는 연결체로 연결설치하여 장식몸체부(20)가 외부의 조그마한 힘에도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이도록 하거나 또는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후렉시블한 연결체(도시하지 않음)등으로 다양하게 연결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악세사리 전체 또는 일부 특히 장식몸체부(20)를 해충들이 근접하지 못하도록 저항력이 있는 재질로 만들거나 또는 안료등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병충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화분전용 기능성 악세사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분에 심어져 있는 화초의 줄기나 뿌리등에 손상이 없는 위치의 흙에 악세사리의 꽂음부(10)를 꽂아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하면 곤충들의 보호색원리를 적용하여 곤충들이 싫어하는 과장된 색과 원색을 갖는 여러가지 형상의 장식몸체부(20)에 의해 곤충들이 불안감과 경계심갖게 되어 해충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려하고 원색적이며 다양한 형상의 장식몸체부(20)에 의해 화분이 장식되며, 장식효과가 뛰어나 어른들은 물론이고 아이들까지도 호기심과 식물에 관한 관심이 증대된다.
이때, 도2와 같이 악세사리에 받침부(30)가 구성된 경우에는 받침부(30)저면이 흙의 상면에 안착되므로 악세사리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된다.
또한 도3 내지 도4에 도시한 상기 받침부(30)의 일측면에 앰플병삽입구멍(31)을 형성한 경우에는 식물영양제등이 충진된 앰플병(100)의 입구가 흙속에 파묻히도록 앰플병(100)을 앰플병삽입구멍(31)에 거꾸로 삽입설치함으로써 앰플병(100)의 입구로 부터 흘러나오는 식물영양제등이 화초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데, 여기서 상기 앰플병삽입구멍(31)을 약15~20˚정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경우에는 이에 같은 각도로 삽입설치된 앰플병(100)에 충진된 식물영양제등이 식물영양제등이 화초에 한꺼번에 너무 많이 과잉공급되어 화초가 오히려 죽게 되는 등의 역효과를 일으키거나 또는 너무 적게 공급되어 생장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하는 등의 여러가지 부작용이 전혀 없이 적당한 기울기 각도에 의해 식물영양제가 필요한 만큼씩만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화초가 더욱 싱싱하고 아름답게 생장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화초를 키울시 화초가 심어져 있는 화분의 흙에 꽂아서 사용하게 되면, 곤충(해충)들의 보호색원리를 적용하여 곤충들이 싫어하는 과장된 색과 원색을 갖는 장식몸체부에 의해 곤충들이 불안감과 경계심을 일으키게 되어 해충의 피해가 미연에 방지된다.
그리고, 화려하고 원색적이며 다양한 형상의 장식몸체부에 의해 화분이 더욱 아름답고 화려하게 장식되므로 장식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이러한 장식효과에 의해 어른들은 물론이고 아이들까지도 식물에 관한 호기심과 관심이 증대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기능 이외에 악세사리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되도록 꽂음부와 장식몸체부사이에 형성한 받침부의 일측면에 앰플병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이에 식물영양제등이 충진된 앰플병을 거꾸로 삽입설치함으로써 화초에 앰플병의 입구로 부터 흘러나오는 식물영양제등을 간단하고 편리하며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앰플병을 적당한 기울기 각도인 약15~20˚로 기울어 지도록 삽입설치하여서 적당한 기울기 각도에 의해 앰플병에 충진된 식물영양제등이 화초의 생장에 알맞은 적당한 양만큼씩만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써 화초가 더욱 싱싱하고 아름답게 생장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가지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화초의 생장을 촉진하고, 장식효과를 더욱 높혀 줌은 물론, 화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다양한 종류의 관상용 화초가 심어져 있는 화분의 흙에 꽂아지도록 형성한 꽂음부(10)와,
    상기 꽂음부(10) 상측에 곤충들의 보호색원리를 적용하여 곤충들이 싫어하는 과장된 색과 원색을 갖는 다양한 형상의 장식몸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꽂음부(10)와 장식몸체부(20) 사이에 장식몸체부(20)의 무게에 의해 흙에 박혀있는 꽂음부(10)가 쓰러지지 않고 지지되도록 흙표면에 안착되는 받침부(30)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꽂음부(10)와 장식몸체부(20) 사이에 구성되는 받침부(30)의 일측면에 식물영양제등이 충진된 앰플병(100)이 거꾸로 삽입설치되어 화초에 식물영양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앰플병삽입구멍(31)을 구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앰플병삽입구멍(31)은 거꾸로 삽입설치되는 앰플병(100)에 충진된 식물영양제등이 비교적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15~20˚정도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앰플병이 기울어지게 결합되도록 구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KR2020020012201U 2002-04-22 2002-04-22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KR200281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201U KR200281211Y1 (ko) 2002-04-22 2002-04-22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201U KR200281211Y1 (ko) 2002-04-22 2002-04-22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019A Division KR20030083834A (ko) 2002-04-22 2002-04-22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211Y1 true KR200281211Y1 (ko) 2002-07-13

Family

ID=7312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201U KR200281211Y1 (ko) 2002-04-22 2002-04-22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2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03583A1 (en) Hanging garden planter
US20150027047A1 (en) Plant Shape Template
KR200281211Y1 (ko)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KR20030083834A (ko) 화분전용 다기능성 악세사리
KR200484187Y1 (ko) 식물생육용기
KR200288931Y1 (ko) 휴대용 선인장 재배기
KR950008641Y1 (ko) 급수통과 받침판이 연결된 다식재 화분
KR970000767Y1 (ko) 화병에 부착된 꽃대
KR200339556Y1 (ko)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KR950005161Y1 (ko) 화분 장식편
JP3069514U (ja) 花植ポットの飾り台
CN2474360Y (zh) 一种石头形仿真陶瓷花盆
JP3125736U (ja) 観賞用植物セット
KR200423909Y1 (ko) 장식용 화분
KR200251271Y1 (ko) 액자형 조형 장식대
KR200463419Y1 (ko) 옹부작
WO2007026417A1 (ja) 花卉植栽構造
JP2000270678A (ja) 植物育成,観賞用電気スタンド兼装飾器具
KR20060124814A (ko) 관상용 이끼식물 석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174616Y1 (ko) 화분
KR200210383Y1 (ko) 벽등화분받침대
KR0120125Y1 (ko) 관상용 다단화분
KR100638742B1 (ko) 조경용 화분
KR200216268Y1 (ko) 피고 지는 조화
CN2496683Y (zh) 一种仿真树头陶瓷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