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125Y1 - 관상용 다단화분 - Google Patents

관상용 다단화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125Y1
KR0120125Y1 KR2019950021566U KR19950021566U KR0120125Y1 KR 0120125 Y1 KR0120125 Y1 KR 0120125Y1 KR 2019950021566 U KR2019950021566 U KR 2019950021566U KR 19950021566 U KR19950021566 U KR 19950021566U KR 0120125 Y1 KR0120125 Y1 KR 0120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stage
ornamental
hook holes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732U (ko
Inventor
윤진영
Original Assignee
윤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영 filed Critical 윤진영
Priority to KR2019950021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125Y1/ko
Publication of KR970007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1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당 관상식물에 맞게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꽃, 열매 및 잎을 보고 즐기거나 향기를 맡을 수 있도록 여러단으로 쌓여지는 몸통부와 밑받이부 및 물받이부 등을 이용하여 미려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관상용 다단화분에 관한 것으로, 비워있는 원통형으로 상단에 바깥턱이 있는 원형테두리(2)와 2개 또는 4개의 걸이구멍(3)이, 하단에 다수의

Description

관상용 다단화분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관상용 다단화분을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관상용 다단화분을 결합시켜 놓은 상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관상용 다단화분을 실내에 설치해 놓은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통부2 ---- 원형테두리부
3 ---- 걸이구멍4 ---- 요철결합부
5 ---- 개구부6 ---- 밑받이부
7 ---- 돌출부8 ---- 배출구
9 ---- 물받이부10 ---- 요홈
본 고안은 예컨대 해당 관상식물에 맞게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관상용 다단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꽃, 열매 및 잎을 보고 즐기거나 향기를 맡을 수 있도록 여러단으로 쌓여지는 몸통부와 밑받이부 및 물받이부 등을 이용하여 미려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관상용 다단화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생활환경이 급진적으로 변천해 가는 시대에 맞게 인간생활의 의식주중 주거환경도 다양하게 변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주거 환경을 자연 그대로 가꾸기 위해서는 정원이나 야외 꽃밭 등에서 재배되고 자라나는 화초나 꽃 등을 화분이나 분재 및 기타 수단을 통해 실내로 들여 놓아 취미 생활이나 실내장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화훼원예로서 꽃, 열매 및 잎을 보고 즐기거나 향기를 맡기 위하여 가꾸는 관상식물은, 보통 실내조건에 맞고 자연 그대로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화분, 분재 또는 꽃병 그리고 기타 다른수단을 이용하여 계절이나 개인의 취미에 맞게 미려하고 아름답게 잘 자라날 수 있게 정성껏 가꾸게 된다.
즉, 해당 화분, 분재 또는 꽃병 등에서 자라나게 되는 관상식물들은 개인 취향이나 실내분위기와 자연스럽게 조화시켜 주고, 이들을 가꾸면서 복잡한 생활에서 생활의 활력소와 자연내음을 만끽할 수 있도록 여러 보조 수단 등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 등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종래의 화분과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는 여러단으로 쌓여지는 몸통부와 밑받이부 및 물받이부가 구성되어 해당 관상식물에 맞게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걸이용으로써 각 단에서 잘 자라도록 조성해 줄 뿐만 아니라 실내 분위기와도 잘 조화시킬 수 있는 관상용 다단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상용 다단화분은, 비워있는 원통형으로 상단에 바깥턱이 있는 원형테두리(2)와 2개 또는 4개의 걸이구멍(3)이, 하단에 다수의 t1 형 요철결합부(4)와 결합시 내외부가 관통되는 개구부(5)가 각기 형성되는 몸통부(1), 상단에 바깥턱이 있는 원형테두리(2'), 2 개 또는 4개의 걸이구멍(3') 및 돌출부(7)가, 바닥이 밀폐되고 배출구(8)가 각기 형성되는 밑받이부(6) 및, 안쪽으로 요홈(10)이 형성되고 상기 밑받이부(6)와 결합되는 물받이부(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관상용 다단화분을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관상용 다단화분은 해당 관상식물에 맞게 몸통부(1)의 갯수로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꽃, 열매 및 잎을 보고 즐기거나 향기를 맡을 수 있도록 여러단으로 쌓여지는 상기 몸통부(1)와 밑받이부(6) 및 물받이부(9) 등을 이용하여 미려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즉, 흙과 더불어 관상식물이 담겨지는 몸통부(1)는 내부가 비워있는 원통형으로 상단에 바깥턱이 있는 원형테두리(2)와 2개 또는 4개의 걸이구멍(3)이 형성되고, 하단에 다수의 t1 형 요철결합부(4)와 결합시 내외부가 관통되는 개구부(5)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구멍(3)은 밀폐 및 개구되어 있고 밀폐시는 일정 힘으로 구멍을 낼 수 있어, 일정 길이의 걸이용 끈이나 줄을 간단히 끼울 수 있다.
상기 몸통부(1)의 t1 형 요철결합부(4)는 원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몸통부(1)가 여러단으로 쌓여질 때 다른 몸통부(1)의 원형테두리(2)안쪽으로 결합되면서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개구부(5)가 형성되므로 이를 통해 어느 정도로 자란 관상식물을 나오게 하고 물이 밖으로 넘치지 않게 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쌓여지는 몸통부(1)는 일정길이로 조정할 수 있는 바, 이는 몸통부(1)의 갯수에 따라 상하 길이를 조정하면서 각 단의 개구부(5)로 관상식물이 나오게 되고 맨 밑부분으로 밑받이부(6)가 결합된다. 상기 밑받이부(6)는 상단에 바깥턱이 있는 원형테두리(2'), 2 개 또는 4개의 걸이구멍(3') 및 돌출부(7)가 형성되고, 바닥이 밀폐되고 배출구(8)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단의 몸통부(1)와 밑받이부(6)가 결합되어 해당 관상식물에 맞게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본 고안의 관상용 다단화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단의 몸통부(1)와 밑받이부(6)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관상용 다단화분은 제 3 도와 같이 실내에 걸이용으로 설치할 경우 흘러 내리는 물을 받기 위해 물받이부(9)를 설치하게 된다.
이 물받이부(9)는 안쪽으로 요홈(10)이 형성되고 상기 밑받이부(6)의 돌출부(7)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밑받이부(6)와 물받이부(9)는 사용자에 의해 간단히 끼고 뺄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관상용 다단화분은 상기와 같이 몸통부(1)의 갯수로 상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각 단의 다수 개구부(5)로 관상식물이 뻗어나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장소에서 외관상 미려하게 재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화분과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는 여러단으로 쌓여지는 몸통부와 밑받이부 및 물받이부가 구성되어 해당 관상식물에 맞게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걸이용으로써 각 단에서 잘 자라도록 조성해 줄 뿐만 아니라 실내 분위기와도 잘 조화시킬 수 있는 관상용 다단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몸통부를 원통형을 일례로 설명했지만, 그 기술의 요지가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사각 및 삼각 그리고 기타 다른 형태로 변형해서 사용해도 좋다.

Claims (1)

  1. 비워있는 원통형으로 상단에 바깥턱이 있는 원형테두리(2)와 2개 또는 4개의 걸이구멍(3)이, 하단에 다수의 t1 형 요철결합부(4)와 결합시 내외부가 관통되는 개구부(5)가 각기 형성되는 몸통부(1), 상단에 바깥턱이 있는 원형테두리(2'), 2 개 또는 4개의 걸이구멍(3') 및 돌출부(7)가, 바닥이 밀폐되고 배출구(8)가 각기 형성되는 밑받이부(6) 및, 안쪽으로 요홈(10)이 형성되고 상기 밑받이부(6)와 결합되는 물받이부(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다단화분.
KR2019950021566U 1995-08-21 1995-08-21 관상용 다단화분 KR0120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566U KR0120125Y1 (ko) 1995-08-21 1995-08-21 관상용 다단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566U KR0120125Y1 (ko) 1995-08-21 1995-08-21 관상용 다단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732U KR970007732U (ko) 1997-03-27
KR0120125Y1 true KR0120125Y1 (ko) 1998-06-01

Family

ID=1942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566U KR0120125Y1 (ko) 1995-08-21 1995-08-21 관상용 다단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1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952Y1 (ko) * 2022-09-28 2023-06-20 주식회사 파미 다단의 재배베드가 구비된 스마트 수경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732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0125Y1 (ko) 관상용 다단화분
KR200390125Y1 (ko) 관상용 식물 배양의 장식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관상용식물 배양용기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20120074429A (ko) 식물재배용기
CN2427963Y (zh) 组合式储水透气花盆
KR0120126Y1 (ko) 회전가능한 화분
KR200274703Y1 (ko) 통풍과 미관을 고려한 이중벽 화분
KR200210383Y1 (ko) 벽등화분받침대
KR200288931Y1 (ko) 휴대용 선인장 재배기
KR200182370Y1 (ko) 다방향 식재가 가능한 장식용 화분
CN215872787U (zh) 一种改进型陶瓷花盆
KR200404327Y1 (ko) 인공 흙을 이용한 식물 재배용 투명 화분
KR200251271Y1 (ko) 액자형 조형 장식대
KR200339586Y1 (ko) 착생란 재배용 아파트형 화분
CN217445954U (zh) 一种组合式陶装饰性花盆
CN211745598U (zh) 一种可观易管理的新型蔬菜组合花盆
KR870000179Y1 (ko) 조립식 화분
KR200216268Y1 (ko) 피고 지는 조화
KR100383214B1 (ko) 다단 화분구조체
KR200313531Y1 (ko) 풍란재배 화병
KR970000767Y1 (ko) 화병에 부착된 꽃대
JP3076746U (ja) 園芸用トレー
KR200285243Y1 (ko) 화분
JP3011489U (ja) 洋蘭鉢受け具
KR200214100Y1 (ko) 버섯재배겸용 분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