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781Y1 -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781Y1
KR200426781Y1 KR2020060018033U KR20060018033U KR200426781Y1 KR 200426781 Y1 KR200426781 Y1 KR 200426781Y1 KR 2020060018033 U KR2020060018033 U KR 2020060018033U KR 20060018033 U KR20060018033 U KR 20060018033U KR 200426781 Y1 KR200426781 Y1 KR 200426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glass plate
glass
resin
ma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열
Original Assignee
고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형열 filed Critical 고형열
Priority to KR2020060018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03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38Moulds, cores or othe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1Producing wall or panel-like structures, e.g. for hulls, fuselages, or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성형완료 후 표면에서의 번쩍거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지문이나 손바닥 자욱 등의 흔적이 남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은 정해진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미세한 유리입자가 도포된 제1유리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합성수지재의 가스켓을 결속하고, 상기 제1유리판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정해진 두께로 주입하며, 상기 합성수지의 상부면에 또 다른 제2유리판을 덮은 후 집게로 결속하고, 내부에 합성수지가 주입된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결속체를 30∼50℃로 유지되는 수조에 투입한 후 합성수지의 두께에 따라 8시간∼5일간 유지시켜 경화시키는 한편, 합성수지가 경화된 후 내부에 수조의 온도를 90∼100℃의 온도까지 가열하면서 30∼60분 동안 열처리하여 합성수지의 강도를 강화시킴과 동시에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표면에 도포된 미세 유리입자가 합성수지의 표면에 균일하게 융착되도록 한 다음, 수조를 개방하여 합성수지를 냉각시킨 후 집게를 풀어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및 합성수지를 분리시키는 방식에 의하여 성형되며, 제조완료후 그 표면에 미세 유리입자가 균일하게 융착된 특징을 갖는다.
무광택, 아크릴판, 가스켓, 유리

Description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LUSTERLESS PLASTIC PANEL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순서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합성수지 패널의 예로서 무광택 아크릴판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미세 유리입자 14 : 제1유리판
16 : 가스켓 18 : 합성수지
20 : 제2유리판.
본 고안은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완료 후 표면에서의 번쩍거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지문이나 손바닥 자욱 등의 흔적이 남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현저하게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 선전을 위한 간판과 실내장식을 위한 인테리어 소품의 소재로서 아크릴판이나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부타디엔(Butadiene)·스티렌(Styrene)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질기고 단단하며 투명한 ABS패널이나 폴리카보네이트(PC)수지재의 패널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재의 패널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합성수지재의 패널은 투명 재질로 된 것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며, 성형과정에서 판재로 성형하기도 하는 한편, 곡면을 갖도록 성형하기도 하는 등 그 형태와 모양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성형하여 사용한다.
또, 이와 같은 합성수지 패널은 투명재질이 가장 보편적이나 미적 효과를 위해 성형과정에서 원하는 색상을 띠는 안료를 첨가하거나 또는 성형된 합성수지 패널의 표면에 원하는 색상의 안료를 코팅하는 방법으로 색상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합성수지 패널은 투명한 것이든 색상이 첨가된 것이든 성형완료후 번쩍거림이 발생되기 때문에 품질이 저급한 것처럼 느껴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간판을 제조하거나 인테리어를 위하여 성형하는 과정에서 합성수지 패널의 표면에 작업자의 지문이나 손자욱 등의 흔적이 남게 되어 깨끗하지 못한 느낌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성형완료 후 표면에서의 번쩍거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지문이나 손바닥 자욱 등의 흔적이 남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은 정해진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미세한 유리입자가 도포된 제1유리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합성수지재의 가스켓을 결속하고, 상기 제1유리판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정해진 두께로 주입하며, 상기 합성수지의 상부면에 또 다른 제2유리판을 덮은 후 집게로 결속하고, 내부에 합성수지가 주입된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결속체를 30∼50℃로 유지되는 수조에 투입한 후 합성수지의 두께에 따라 8시간∼5일간 유지시켜 경화시키는 한편, 합성수지가 경화된 후 내부에 수조의 온도를 90∼100℃의 온도까지 가열하면서 30∼60분 동안 열처리하여 합성수지의 강도를 강화시킴과 동시에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표면에 도포된 미세 유리입자가 합성수지의 표면에 균일하게 융착되도록 하고, 수조를 개방하여 합성수지를 냉각시킨 후 집게를 풀어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및 합성수지를 분리시키는 방식에 의하여 성형되며, 제조완료후 그 표면에 미세 유리입자가 균일하게 융착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합성수지와 접하는 제2유리판의 하부면에도 미세한 유리입자가 도포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상기 합성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에서 합성수지의 두께가 1.3∼10㎜인 경우 45∼48℃에서 8∼10시간 동안 경화시키고, 상기 합성수지의 두께가 12∼40㎜인 경우 30∼35℃에서 3∼5일 동안 경화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합성수지는 아크릴수지, ABS수지, 폴리카보네이 트(PC)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순서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합성수지 패널의 예로서 무광택 아크릴판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은 성형완료 후 표면에서의 번쩍거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지문이나 손바닥 자욱 등의 흔적이 남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방법에서는 먼저 정해진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미세한 유리입자(12)가 도포된 제1유리판(14)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기 제1유리판(14)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합성수지재, 예로서 PVC(PolyVinyl Chloride)재의 가스켓(16)을 결속한다(ST1 참조).
이 상태에서 가스켓(16)에 의하여 둘러싸인 상기 제1유리판(14)의 상부 표면에 합성수지(18)를 정해진 두께로 주입하고(ST2참조), 상기 합성수지(18)의 상부면 에 제2유리판(20)을 덮은 다음 집게(22)로 결속한다(ST3 및 ST4참조).
그런 다음, 내부에 합성수지(18)가 주입된 제1유리판(14)과 제2유리판(20) 결속체를 30∼50℃로 유지되는 수조(24)에 투입한 후 합성수지의 두께에 따라 8시간∼5일간 유지시켜 합성수지 경화시킨다(ST5 참조).
상기 합성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ST5)에서 합성수지의 두께가 1.3∼10㎜인 경우 45∼48℃에서 8∼10시간 동안 경화시키고, 상기 합성수지의 두께가 12∼40㎜인 경우 30∼35℃에서 3∼5일 동안 경화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합성수지(18)가 경화된 후에는 수조(24)의 온도를 90∼100℃의 온도까지 가열하면서 30∼60분 동안 열처리하여 합성수지(18)의 강도를 강화시키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유리판(14)과 제2유리판(20)의 표면에 도포된 미세 유리입자(12)가 합성수지(18)의 표면에 균일하게 융착되도록 한다(ST6 참조).
그런 다음, 수조(24)를 개방하여 합성수지(18)를 냉각시키고, 집게(22)를 풀어 제1유리판(14)과 제2유리판(20) 및 합성수지(18)를 분리시켜 본 고안에 따른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을 제조한다(ST7 및 ST8 참조).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합성수지(18)와 접하는 제2유리판(20)의 면에는 미세한 유리입자(12)가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제조된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의 표면에는 제1유리판(14)와 제2유리판(20)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던 미세 유리입자가 균일하게 융착된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번쩍거림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서 합성수지로는 아크릴수지나 ABS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아크릴수지를 사용하였다.
또, 간판이나 인테리어를 위한 성형시 작업자의 손자욱이나 지문 등이 남지 않게되어 매우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의 표면에는 운반이나 취급시 긁히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쉽게 떼어낼 수 있는 보호테잎을 부착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과정에서 합성수지가 주입되는 하부의 제1유리판과 합성수지의 상부에 덮여지는 제2유리판의 표면에 도포된 미세한 유리입자가 합성수지 패널의 표면에 융착되기 때문에 합성수지 패널에서 번쩍거림이 발생되지 않으며, 간판이나 인테리어를 위하여 합성수지 패널을 취급할 때, 합성수지 패널의 표면에 작업자의 손자욱이나 지문 등의 흔적이 남지 않음에 따라 제품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정해진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미세한 유리입자가 도포된 제1유리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합성수지재의 가스켓을 결속하고, 상기 제1유리판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정해진 두께로 주입하며, 상기 합성수지의 상부면에 또 다른 제2유리판을 덮은 후 집게로 결속하고, 내부에 합성수지가 주입된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결속체를 30∼50℃로 유지되는 수조에 투입한 후 합성수지의 두께에 따라 8시간∼5일간 유지시켜 경화시키는 한편, 합성수지가 경화된 후 내부에 수조의 온도를 90∼100℃의 온도까지 가열하면서 30∼60분 동안 열처리하여 합성수지의 강도를 강화시킴과 동시에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의 표면에 도포된 미세 유리입자가 합성수지의 표면에 균일하게 융착되도록 하고, 수조를 개방하여 합성수지를 냉각시킨 후 집게를 풀어 제1유리판과 제2유리판 및 합성수지를 분리시키는 방식에 의하여 성형되며, 제조완료후 그 표면에 미세 유리입자가 균일하게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아크릴수지, ABS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KR2020060018033U 2006-07-04 2006-07-04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26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033U KR200426781Y1 (ko) 2006-07-04 2006-07-04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033U KR200426781Y1 (ko) 2006-07-04 2006-07-04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718A Division KR100639191B1 (ko) 2006-06-21 2006-06-21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781Y1 true KR200426781Y1 (ko) 2006-09-20

Family

ID=4177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033U KR200426781Y1 (ko) 2006-07-04 2006-07-04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7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104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성신아크릴 장식용 목재가 내장된 아크릴판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104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성신아크릴 장식용 목재가 내장된 아크릴판 제조방법
KR101875138B1 (ko) * 2016-08-12 2018-08-02 주식회사 성신아크릴 장식용 목재가 내장된 아크릴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0567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 molded article, plastic molded article and mold
KR101196530B1 (ko) 사출 성형 동시 장식용 시트 및 장식 수지 성형품
US10377069B2 (en) Injection molded window and method
KR101960208B1 (ko) 플라스틱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JP6761048B2 (ja) プラスチック乗物付設部材の製造方法
US7494559B2 (en) Surface ornamentation method of composite material
KR101761755B1 (ko)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KR200426781Y1 (ko)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8722A (ko) 곡면형 커버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100639191B1 (ko) 무광택 합성수지 패널 및 그 제조방법
EP1747877A1 (en) Moulded article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m
KR101270797B1 (ko) 홀로그램 구현이 가능한 인몰드 사출물 제조 방법
KR101332533B1 (ko) 인몰드 장식 필름을 이용한 인서트 사출방법
JP4338512B2 (ja) 転写箔及びその製造方法、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20082280A (ko) 입체 사출물 표면장식용 데코레이션 시트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출물 표면장식 방법
JP2000153587A (ja) 絵付け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絵付け成形品
KR102363856B1 (ko) 차량용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제조방법
KR101516939B1 (ko) 버튼부를 갖는 인서트 패널의 제조방법
JP4459610B2 (ja) 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734800B1 (ko) 열경화성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20240008437A (ko) 컬러 복합시트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KR20240007835A (ko) 분할 디자인 패턴이 구현된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JP2010149314A (ja) 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
JP5246720B2 (ja) 被覆硬化成形体の製造方法、被覆硬化成形体製造用の被覆成形体の製造装置及び、該製造装置を含む被覆硬化成形体の製造システム
CN111805838A (zh) 制造一体化汽车中控显示屏面板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