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447Y1 - 점자블럭 - Google Patents

점자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447Y1
KR200426447Y1 KR2020060018046U KR20060018046U KR200426447Y1 KR 200426447 Y1 KR200426447 Y1 KR 200426447Y1 KR 2020060018046 U KR2020060018046 U KR 2020060018046U KR 20060018046 U KR20060018046 U KR 20060018046U KR 200426447 Y1 KR200426447 Y1 KR 200426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roove
braille block
light emit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선
Original Assignee
강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선 filed Critical 강정선
Priority to KR2020060018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4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4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약자나 시각 장애인 및 일반인의 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지면에 형성하는 점자블럭에 관한 것으로, 하측으로는 지면에 매입되는 매입축을 형성하며, 상측으로는 10∼15°의 각으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홈부와 상기 홈부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홈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걸림부에 결합하는 걸림홈을 형성한 발광체로 이루어진 점자블럭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점자블럭은 본체에 형성된 홈부의 각도를 10∼15°로 형성하고, 별도의 걸림홈을 홈부 내측면이나 바닥면에 형성하여, 결합이 용이하면서 삽입된 발광체의 탈착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발광체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지면에 매입되는 본체를 가격이 저렴한 알루미늄으로 형성하여, 파손 및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체의 색을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보행자나 장애인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점자블럭, 야광,

Description

점자블럭{DOT BLOCK}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점자블럭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점자블럭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점자블럭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점자블럭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10, 110 : 본체 11, 111 : 매입축
12, 112 : 홈부 13, 113 : 걸림홈
20, 120 : 발광체 23, 123 : 걸림부
본 고안은 점자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에 부착되는 발광체의 결합이 용이하면서, 외부의 압력에 의해 쉽게 탈착되지 않음과 동시에 식별이 용이한 점자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자블럭은 시각장애인이나 약시들을 위해 보행위치와 보행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진행방향을 따라 매입시켜 사용된다.
이러한 점자블럭 본체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시멘트나 합성수지재가 주류를 이루는데 이러한 본체는 파손의 우려가 농후하며, 또한 페인팅으로 발광체를 형성함으로써, 시약자나 시각장애인의 경우 페인트의 색이 벗겨졌을 경우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합성금속재로 형성한 본체에 발광체를 삽입하여 형성한 점자블럭이 제시되었지만, 이러한 점자블럭의 경우 발광체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홈부 외측에 테이퍼를 형성하여 제작되는데, 상기에서 형성되는 테이퍼의 각도가 과도하게 커서, 발광체의 삽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홈부의 테이퍼 각이 큰 본체에 삽입되는 발광체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망치와 같은 타격수단을 이용하여야만 했으며, 이러한 이유에 의해 발광체의 파손이 잦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에 형성된 홈부의 각도를 10∼15°로 형성하고, 별도의 걸림홈을 홈부 내측면이나 바닥면에 형성하여, 결합이 용이하면서 삽입된 발광체의 탈착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발광체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점자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면에 매입되는 본체를 가격이 저렴한 알루미늄으로 형성하여, 파손 및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는 점자블럭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체의 색을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보행자나 장애인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점자블럭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측으로는 지면에 매입되는 매입축을 형성하며, 상측으로는 10∼15°의 각으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홈부와 상기 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홈부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상기 본체의 걸림부에 결합하는 걸림홈을 형성한 발광체를 그 구성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하측으로는 지면에 매입되는 매입축을 형성하며, 상측으로는 10∼15°의 각으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홈부와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홈부에 결합되며, 하측으로 상기 본체의 걸림부에 결합하는 걸림홈을 형성한 발광체를 그 구성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점자블럭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는 지면에 매입되는 매입축(1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매입축(11)의 상측으로는 10∼15°의 각(θ)으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홈부(12)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홈부(12)가 형성된 내측면으로는 걸림홈(13)을 형성한 본체(10)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지만, 가격이 저렴하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알루미늄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홈부(12)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상기 본체(10)의 걸림홈(13)에 결합하는 걸림부(23)를 형성한 발광체(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10)의 걸림홈(13)과 발광체(20)의 걸림부(23)의 형상은 결합 시 부착이 용이하면서, 걸림홈(13)에 부착 후 외부의 압력에 의해 탈착되지 않도록 역삼각형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체(20)는 시약자나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식별이 용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의 야광물질과 파손이 적은 우레탄을 혼합하여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점자블럭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하측으로는 지면에 매입되는 매입축(111)을 형성하며, 상측으로는 10∼15°의 각으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홈부(112)와 상기 홈부(112)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홈(113)으로 이루어진 본체(120)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지만, 가격이 저렴하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알루미늄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20)의 홈부(112)에 결합되며, 하측으로 상기 본체(110)의 걸림홈(113)에 결합하는 걸림부(123)를 형성한 발광체(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110)의 걸림홈(113)과 발광체(120)의 걸림부(123)의 형상은 결합 시 부착이 용이하면서, 걸림홈(13)에 부착 후 외부의 압력에 의해 탈착되지 않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체(120)는 시약자나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식별이 용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의 야광물질과 파손이 적은 우레탄을 혼합하여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본체(10)(110)에 발광체(20)(120)를 삽입한다.
이때에 상기 본체(10)(110)와 발광체(20)(120)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홈(13)(113)에 의해 상기 발광체(20)(120)는 상기 본체(10)(110)에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외부의 압력에 의해 쉽사리 탈착되지 않으면서,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구성처럼 본체(10)(110)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홈부(12)(112)의 테이퍼 각(θ)이 과도하게 크지 않은 10∼15°로 형성되어 있어, 발광체(20)(120)를 삽입하기 위해 타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점자블럭(50)(150)은 본체(10)(110)에 형성된 매입축(11)(111)을 지면에 매설을 한 후, 콘크리트와 같은 매설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매설함으로써 설치가 마무리 된다.
이러한 점자블럭(50)(150)은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야광으로 되어 있어, 시약자나 장애인은 물론 일반인들도 쉽게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10)(110)의 재질이 단가가 저렴하면서 일정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어,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점자블럭은 본체에 형성된 홈부의 각도를 10∼15°로 형성하고, 별도의 걸림홈을 홈부 내측면이나 바닥면에 형성하여, 결합이 용이하면서 삽입된 발광체의 탈착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발광체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면에 매입되는 본체를 가격이 저렴한 알루미늄으로 형성하여, 파손 및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발광체의 색을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보행자나 장애인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8)

  1. 보행통로나 안전선을 유도하기 위해 바닥면에 형성하는 점자블럭에 있어서,
    하측으로는 지면에 매입되는 매입축(11)을 형성하며, 상측으로는 10∼15°의 각(θ)으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홈부(12)와 상기 홈부(12)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3)으로 이루어진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홈부(12)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상기 본체(10)의 걸림홈(13)에 결합하는 걸림부(23)를 형성한 발광체(20)에 특징이 있는 점자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점자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걸림홈(13)과 발광체(20)의 걸림부(23)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점자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20)는 다양한 색의 야광물질과 우레탄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점자블럭.
  5. 보행통로나 안전선을 유도하기 위해 바닥면에 형성하는 점자블럭에 있어서,
    하측으로는 지면에 매입되는 매입축(111)을 형성하며, 상측으로는 10∼15° 의 각으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홈부(112)와 상기 홈부(112)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홈(113)으로 이루어진 본체(120);
    상기 본체(120)의 홈부(112)에 결합되며, 하측으로 상기 본체(110)의 걸림홈(113)에 결합하는 걸림부(123)를 형성한 발광체(120)에 특징이 있는 점자블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점자블럭.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113)과 발광체의 걸림부(123)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점자블럭.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120)는 다양한 색의 야광물질과 우레탄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점자블럭.
KR2020060018046U 2006-07-04 2006-07-04 점자블럭 KR200426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046U KR200426447Y1 (ko) 2006-07-04 2006-07-04 점자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046U KR200426447Y1 (ko) 2006-07-04 2006-07-04 점자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447Y1 true KR200426447Y1 (ko) 2006-09-13

Family

ID=4177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046U KR200426447Y1 (ko) 2006-07-04 2006-07-04 점자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4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04270A1 (en) Barrier cover
US20080209829A1 (en) Anchor plug
KR20060005296A (ko) 미끄럼 방지 타일
KR20080008006A (ko) 축광소재를 이용한 논슬립
AU2006201654A1 (en) Tactile indicator with visually contrasting features
KR200426447Y1 (ko) 점자블럭
KR200427788Y1 (ko) 점자블럭
AU2006101003A4 (en) Tactile Ground Surface Indicator
JP4339742B2 (ja) 誘導鋲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34179Y1 (ko) 마모 및 미끄럼 방지용 목재패널
KR101958657B1 (ko) 도로표지병
KR200399104Y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
JP3936916B2 (ja) 視覚障害者誘導用マーカー
JP3128270U (ja)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
KR200405364Y1 (ko) 복합 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용 못
KR200268193Y1 (ko) 계단용 논슬립
KR20080000573U (ko) 미끄럼방지 타일
KR19990025973U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CN214884974U (zh) 一种有防滑及视觉、触觉导行功能的楼梯踏步及楼梯
KR200311172Y1 (ko) 시각 장애자용 점자유도블럭
KR200423595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KR20000019414U (ko) 도로 안내 표시바
KR20090003989U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유도용 블럭
JP3115575U (ja) 視覚障害者誘導用シート
KR200195724Y1 (ko) 보행 안내 우레탄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509

Effective date: 20090331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