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104Y1 -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104Y1
KR200399104Y1 KR20-2005-0022116U KR20050022116U KR200399104Y1 KR 200399104 Y1 KR200399104 Y1 KR 200399104Y1 KR 20050022116 U KR20050022116 U KR 20050022116U KR 200399104 Y1 KR200399104 Y1 KR 200399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protrusion
buried
buried portion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찬
Original Assignee
유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찬 filed Critical 유영찬
Priority to KR20-2005-0022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점자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점형돌기부(10) 또는 선형돌기부(210)의 하부에 매입부(20)가 형성되어 바닥면(300)의 매입공(310)에 상기 매입부(20)가 삽입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돌기에 있어서, 상기 점형돌기부(10) 또는 선형돌기부(210)와 매입부(20)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및 합금 중 어느 한 가지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점형돌기부(10) 또는 선형돌기부(210)의 중앙 상단에는 내주면과 수평면이 60°내지 70°정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요입부(11,211)가 구비되고, 상기 요입부(11,211)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합성수지재 유색부(30,230)가 상기 요입부(11,21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며, 스테인리스 또는 합금을 재료로 돌기부 및 매입부를 형성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내구성이 강하며, 이와 동시에 약시인들이 잘 식별할 수 있도록 노랑색을 구현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 유색부를 구비하고, 요입부의 내주면을 경사지게 구성하여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유색부가 요입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A RAISED BLOCK FOR FINISHING OF BOARD WITH THE INTENTION OF VISUAL HANDICAPPED PERSONS}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점자블럭의 돌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기부 및 매입부를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및 합금 중 어느 한가지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하여 돌기부와 매입부의 연결부위가 부러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돌기부의 중앙상단에 합성수지재 유색부를 구비하여 약시를 가진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유도를 위하여 합성수지 또는 황동, 청동 등의 합금이나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점형돌기 또는 선형돌기 등이 제작되고 있었으며, 돌기의 고정과 관련하여 매입부를 구비하고 시공위치에 매입공을 형성하여 고정하는 방식과, 매입부 없이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시공위치에 고정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접착방식은 접착부위로 습기, 빗물 등이 침투할 경우 접착력이 약해지고,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돌기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매입방식이 보다 많이 이용되는 추세이다.
또한, 매입방식을 택할 경우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돌기는 매입부와 돌기부의 연결부위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부러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시각장애인들 중 약시인 사람들의 비중이 약 30%를 차지할 정도로 많고, 이러한 약시 장애인들은 노랑색을 가장 잘 볼 수 있으므로 장애인 관련 법률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유도돌기를 노랑색으로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합성수지의 경우 색소를 함유시켜 얼마든지 노랑색을 구현할 수 있지만, 합금이나 스테인리스의 경우 완벽한 노랑색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외부 표면에 도색을 하거나 코팅을 하는 방식을 취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마찰이 심한 표면의 칠이나 코팅이 벗겨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들어 지하철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라 비상시 일반 승객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야광체가 삽입된 형태의 돌기도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319423호 및 제338698호 등에서 제시된 바 있으나, 전자의 경우 돌기의 중앙에 내주면이 수직인 요입부를 형성하고 야광체를 삽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야광체 등이 쉽게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 덮개틀, 형광필름, 강화유리, 삽입턱 및 내장재 등 다수의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효율이 저감되고,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돌기부와 매입부의 연결부위가 쉽게 부러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완벽한 노랑색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 유색부를 돌기 중앙상단에 결합시키고, 아울러 상기 유색부가 돌기부에서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은, 점형돌기부(10) 또는 선형돌기부(210)의 하부에 매입부(20)가 형성되어 바닥면(300)의 매입공(310)에 상기 매입부(20)가 삽입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돌기에 있어서, 상기 점형돌기부(10) 또는 선형돌기부(210)와 매입부(20)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및 합금 중 어느 한 가지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점형돌기부(10) 또는 선형돌기부(210)의 중앙 상단에는 내주면과 수평면이 60°내지 70°정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요입부(11,211)가 구비되고, 상기 요입부(11,211)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합성수지재 유색부(30,230)가 상기 요입부(11,21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형돌기(100)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또는 합금 재질의 점형돌기부(10)는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점형돌기부(10)의 중앙 상단에는 약 2 ~ 2.5 mm 정도의 깊이로 요입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11)의 내주면은 수평면과 약 60°~70°정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11)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유색부(30)는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노랑색 색소를 함유한 상태로 사출성형 되며, 상기 요입부(1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요입부(11)의 내주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너무 작게 되면 합성수지재질의 유색부(30)를 요입부(11)로 삽입하기가 곤란하며, 각도가 너무 크게 되면 유색부(30)가 쉽게 이탈될 수 있으므로 약 60°~70°정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형돌기부(10)의 하부 중앙에는 매입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입부(20)의 중앙 부분에는 접착제의 수용량을 증가시켜 매입부(20)와 매입공(31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접착제 수용부(2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형돌기부(10)의 하단면에는 요홈(12)을 구비하여 매입공(310)에 주입한 접착제가 밖으로 넘치더라도 상기 요홈(12) 내부에 포집되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요홈(12) 내부에 포집된 접착제는 돌기부를 바닥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점형돌기(100)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종단면도로서, 바닥면(300)에 매입공(310)을 타공한 후 접착제를 주입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형돌기(100)의 매입부(20)를 매입공(310)에 삽입하여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형돌기(20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전술한 점형돌기(100)에서와 유사하게, 선형돌기부(210)의 외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앙 상단에는 요입부(211)가 형성되어 유색부(230)가 삽입된다.
상기 선형돌기부(210)의 하부에는 선형돌기부(210)의 중심축 상에서 셋 이상의 매입부(20)가 구비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매입부(20)에는 접착제 수용부(21)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선형돌기부(210)의 하단면에는 접착제의 누설을 방지하고, 결합을 견고하게 해주는 요홈(21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재 유색부(30)에는 축광물질을 함유시켜 비상시 일반인의 대피유도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스테인리스 또는 합금을 재료로 돌기부 및 매입부를 형성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내구성이 강하며, 이와 동시에 약시인들이 잘 식별할 수 있도록 노랑색을 구현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 유색부를 구비하고, 요입부의 내주면을 경사지게 구성하여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유색부가 요입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형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점형돌기부 11 : 요입부
12 : 요홈 20 : 매입부
21 : 접착제 수용부 30 : 유색부
100 : 점형돌기
200 : 선형돌기
210 : 선형돌기부 212 : 요홈
300 : 바닥면 310 : 매입공

Claims (1)

  1. 점형돌기부(10) 또는 선형돌기부(210)의 하부에 매입부(20)가 형성되어 바닥면(300)의 매입공(310)에 상기 매입부(20)가 삽입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돌기에 있어서,
    상기 점형돌기부(10) 또는 선형돌기부(210)와 매입부(20)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및 합금 중 어느 한 가지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점형돌기부(10) 또는 선형돌기부(210)의 중앙 상단에는 내주면과 수평면이 60°내지 70°정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요입부(11,211)가 구비되고, 상기 요입부(11,211)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합성수지재 유색부(30,230)가 상기 요입부(11,21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돌기구조.
KR20-2005-0022116U 2005-07-29 2005-07-29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 KR200399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116U KR200399104Y1 (ko) 2005-07-29 2005-07-29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116U KR200399104Y1 (ko) 2005-07-29 2005-07-29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104Y1 true KR200399104Y1 (ko) 2005-10-20

Family

ID=4370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116U KR200399104Y1 (ko) 2005-07-29 2005-07-29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1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832B1 (ko) 2006-12-29 2007-07-06 유영근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럭
KR101081714B1 (ko) 2008-10-24 2011-11-08 윤봉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점자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832B1 (ko) 2006-12-29 2007-07-06 유영근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럭
KR101081714B1 (ko) 2008-10-24 2011-11-08 윤봉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점자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90612A1 (en) Socket specification identification
AU2003256274A1 (en) Lens with colored portion and coated surface
KR200399104Y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
KR20080008006A (ko) 축광소재를 이용한 논슬립
KR200436484Y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바닥마감용 점자블럭의 돌기구조
JP4420355B2 (ja) 点字ブロック
JP2009127302A (ja) 点字部材及び誘導ブロック
US6834649B1 (en) One-way valve on diving mask
KR200423595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CN206826811U (zh) 一种自行车的识别标志固定结构
NZ540765A (en) Product dispenser
KR20120111470A (ko) 점자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426447Y1 (ko) 점자블럭
JP3936916B2 (ja) 視覚障害者誘導用マーカー
KR20090011927U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유도용 점자블럭
KR200479880Y1 (ko)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장치
KR200185668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200200933Y1 (ko) 시각 장애자 유도용 안내구
CN109733714A (zh) 一种带图案显现的瓶装饮料
JPH0868019A (ja) 視覚障害者用歩行誘導鋲
CN217285186U (zh) 一种肤感哑光封边条
KR19990035014U (ko) 시각장애자유도용안내구
KR200427788Y1 (ko) 점자블럭
KR200444868Y1 (ko) 맹인 유도구
KR200201289Y1 (ko) 건축용 바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711

Effective date: 200811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