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035Y1 -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 Google Patents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035Y1
KR200426035Y1 KR2020060014735U KR20060014735U KR200426035Y1 KR 200426035 Y1 KR200426035 Y1 KR 200426035Y1 KR 2020060014735 U KR2020060014735 U KR 2020060014735U KR 20060014735 U KR20060014735 U KR 20060014735U KR 200426035 Y1 KR200426035 Y1 KR 200426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tip
processing
attached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봉
Original Assignee
(주)신일석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석재산업 filed Critical (주)신일석재산업
Priority to KR2020060014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0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0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milling, e.g. channelling by means of mil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3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to form contours, i.e. curved surfaces, irrespective of the method of working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커터는, 석재 가공장치의 회전축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장착수단이 형성되어 있되 떨림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좌,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은 끝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몸체와; 몸체 중 테이퍼가 형성된 부분에 부착되어 있되 몸체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부착되어 있고, 인접된 것과 상, 하, 좌, 우에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석재 절삭용팁과; 상기 몸체 중 테이퍼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부착되어 있고, 인접된 것과 상, 하, 좌, 우에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석재 연마용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석재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는, 절삭용팁 및 연마용팁이 하나의 몸체에 구비되어 하나의 커터로 석재의 절삭과 연마를 함께 실시할 수 있어 가공속도가 빠르고 여러 개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떨림현상이 없어 비교적 매끄럽게 가공할 수 있으며, 수명이 긴 특징이 있다.
석재, 모서리, 가공, 절삭, 커터

Description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THE CYLINDER TYPE CUTTER FOR PROCESSING JAG OF STONE}
도 1은 본 고안의 석재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석재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를 사용하여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석재의 모서리를 곡면으로 가공하기 위해 본 고안의 석재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가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동시에 곡선을 그리면서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석재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의 구성요소인 장착수단과 연마용팁의 부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략도
A : 장착수단인 홀에 키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
B : 장착수단인 홀에 키홈이 형성된 상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석재 2. 회전축
10. 몸체 11. 절삭부
12. 연마부 13. 장착수단
13a. 홀 13b. 키홈
13c. 너트 14. 팁삽입홈
20. 절삭용팁 30. 연마용팁
40a. 40b. 간격
본 고안은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커터에 관한 것이다.
석재를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각종 커터가 사용되고 있는데, 석재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을 부드러운 곡면으로 가공할 때는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5-0019157호(도로경계석 테두리 커팅롤, 2005. 07. 01.출원)와 같이 곡면을 갖는 롤러형 커터가 사용된다.
물론, 롤러형 커터가 받는 응력을 줄이고 원활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원판 형태의 커터로 석재의 모서리를 완만하게 1차 가공한 후 곡면을 갖는 롤러형 커터를 사용하여 곡면으로 가공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석재 모서리 가공용 커터는 석재와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석재를 순간적으로 가공하는 것이고, 한 개의 롤러형 커터를 통과한 석재는 가공면이 거친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모서리를 비교적 매끄럽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석재 모서리 가공장치에 다수 개의 롤러형 커터를 구비하거나 여러 번 반복해서 가공하는 실정이었다.
그런데 다수 개의 롤러형 커터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의 구동수단을 구비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고, 여러 번 반복해서 가공할 경우 가공시간이 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커터의 절삭부는 사용할수록 마모가 발생되기 때문에 절삭부의 곡면 크기가 점점 커져 원활한 가공을 위해 커터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교체된 롤러형 커터는 다시 사용할 수 없어 그 수명이 비교적 짧은 단점이 있었다.
특히, 석재를 먼저 가공하는 전방의 롤러형 커터는 절삭부의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고, 후방의 롤러형 커터는 마모가 느리게 진행되기 때문에 한 개의 석재 모서리 가공장치에 다수 개의 롤러형 커터를 구비한 경우 모든 롤러형 커터를 동시에 교체해야 하는 실정이었고, 잦은 교체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석재를 절삭하는 절삭용팁 및 석재를 연마하는 연마용 팁이 하나의 몸체에 구비되어 석재의 절삭과 연마를 함께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가공을 위한 날을 형성하는 팁이 상당량 마모되더라도 사용이 가능하여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비교적 면적이 넓은 원통형 몸체의 외측에 석재를 절삭하는 절삭용팁과 석재를 연마하는 연마용팁을 함께 부착시켜 한 개의 커터를 사용하여 석재의 절삭과 연마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 절삭용팁이 부착되는 원통형 몸체의 일측은 끝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커터의 절삭부가 전체적으로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커터에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절삭용팁과 연마용팁이 상당량 마모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잦은 교체가 필요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석재 모서리 가공용 원통형 커터는, 석재 가공장치의 회전축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장착수단이 형성되어 있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모두 동일한 중심부에 형성되고 무게의 편심을 발생시키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회전될 때 떨림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좌,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은 끝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몸체;를 갖는다.
또, 몸체 중 테이퍼가 형성된 부분에 부착되어 있되 몸체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부착되어 떨림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고, 석재 가공시 공급되는 물이 고르게 분산되고, 석재 가루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인접된 것과 상, 하, 좌, 우에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석재 절삭용팁;을 갖는다.
또, 몸체 중 테이퍼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부착되어 있되 몸체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부착되어 떨림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석재 가공시 공급되는 물이 고르게 분산되고, 석재 가루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인접된 것과 상, 하, 좌, 우에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석재 연마용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한 개의 커터를 사용하여 석재의 모서리를 비교적 매끄럽게 가공하면서도 가공속도가 비교적 빠르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는 석재가 순간적으로 커터를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의 커터를 통과하는 과정에 절삭과 연마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고안의 석재 모서리 가공용 원통형 커터는, 원통형의 몸체(10)에 다수 개의 절삭용팁(20)과 연마용팁(30)이 부착된 형상을 갖도록 한다.
즉, 도 1과 같이 원통형의 몸체(10)에 절삭용팁(20)과 연마용팁(30)이 부착 된 원통형 커터가 도 3과 같이 빠르게 회전되는 동시에 곡선을 그리면서 반복적으로 움직이고 석재(1)의 모서리가 원통형 커터를 통과하면서 곡면으로 가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절삭용팁(20)은 석재에 먼저 접촉되어 석재를 절삭하는 것이기 때문에 절삭면을 연마하는 연마용팁(30)보다 상대적으로 마모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단순히 원통형의 몸체(10)에 연마용팁(30)과 절삭용팁(20)을 부착시킨 형태가 될 경우 부착된 각각의 연마용팁(30)이나 절삭용팁(20)이 그 기능을 온전히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서도 커터의 교체가 요구된다.
이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커터를 자주 교체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원통형 몸체(10)의 좌,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은 끝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 절삭용팁(20)은 몸체(10) 중 테이퍼가 형성된 부분에 부착되도록 하고, 연마용팁(30)은 테이퍼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부착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원통형 커터는 절삭용팁(20)이 부착된 절삭부(11)와 연마용팁(30)이 부착된 연마부(12)가 형성되어 있되 절삭용팁(20)이 부착된 절삭부(11)는 전체적으로 테이퍼를 갖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석재의 모서리가 절삭용팁(20)이 부착된 절삭부(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서서히 절삭되므로 커터가 강한 응력을 받지 않게 된다.
또, 석재가 절삭부(11)를 통과한 후 연마용팁(30)이 부착된 연마부(12)에 의해서 연마된다.
또, 전방에 위치되어 석재에 먼저 접촉되는 절삭용팁(20) 및 연마용팁(30)이 후방에 위치되는 것보다 빠르게 마모되는데 전체적으로는 절삭부(11)와 연마부(12)가 각각 하나의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마모된다.
따라서 사용에 의해 마모가 진행된 정도에 해당하는 수치만큼 본 고안의 원통형 커터를 석재의 모서리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면 원활한 절삭 및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마용팁(30)이 1㎜ 마모되었을 경우 본 고안의 원통형 커터를 석재 모서리 방향으로 1㎜ 전진시켜 놓으면 석재 모서리의 원활한 절삭 및 연마가 가능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절삭용팁(20)이나 연마용팁(30)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상태 전까지는 석재 가공장치에 부착된 본 고안의 원통형 커터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소정의 석재 가공장치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석재 가공장치의 회전축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착수단(13)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장착수단(13)이 원통형의 몸체(10)에 형성된다.
그런데 본 고안의 원통형 커터가 회전될 때 떨림현상이 발생되면 석재의 가공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떨림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본 고안의 장착수단(13)은 원통형의 몸체(10) 중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모두 동일한 중심부에 형성된다.
또, 장착수단(13)이 원통형 몸체(10)의 중심부에 형성되더라도 무게의 편심 이 발생될 경우 떨림현상이 발생되므로 장착수단(13)은 무게의 편심을 발생시키지 않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무게의 편심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착수단(13)의 구조는 도 1 및 도 4의 A와 같이 석재 가공장치의 회전축(2)이 삽입될 수 있는 홀(13a)의 형태가 있다.
또, 도 4의 B와 같이 원통형 몸체(10)의 중심부에 홀(13a)이 형성되고, 이 홀(13a)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키홈(13b)을 갖는 형태도 있다.
상기와 같은 키홈(13b)을 갖는 구조는 동력의 전달이 확실하지만 키홈(13b)가 대칭으로 형성되지 않으면 무게의 편심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무게의 편심은 키홈(13b)의 크기가 클수록 커진다.
도 1의 장착수단(13)은, 석재 가공장치의 회전축(2)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홀(13a)이 원통형 몸체(10)에 형성된 구조인데 이는 회전축(2)에 나선결합되어 원통형 몸체(10)의 측면을 가압하는 너트(13c)에 의해 완전하게 결합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석재 가공장치의 회전축(2)이 원통형 몸체(10)의 홀(13a)에 삽입됨에 있어 헐거운끼워맞춤이나 중간끼워맞춤의 공차(회전축(2)과 원통형 몸체(10)의 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차가 너무 크면 편심의 발생량도 너무 커질 수 있다.
또, 공차가 없거나 너무 작은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할 경우에는 커터의 교체가 어렵다.
따라서 원통형 몸체(10)와 석재 가공장치의 회전축(2)이 헐거운끼워맞춤이나 중간끼워맞춤 정도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헐거운끼워맞춤이나 중간끼워맞춤에 대하여는 기준구멍 및 축의 종류와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이미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원통형 몸체(10)의 중심부에 편심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착수단(13)을 구비하더라도 절삭용팁(20)이나 연마용팁(30)의 위치에 따라 석재의 가공시 떨림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절삭용팁(20) 및 연마용팁(30)은 원통형 몸체(10)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부착된다.
즉, 절삭용팁(20) 및 연마용팁(30)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되지 않으면 석재의 가공시 본 고안의 원통형 커터에 떨림현상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칭으로 위치되는 절삭용팁(20) 및 연마용팁(30)은 상, 하, 좌, 우에 소정의 간격(40a, 40b)을 두고 위치되어야 한다.
이는 석재 가공시 공급되는 물이 고르게 분산되고, 발생되는 석재 가루가 원활하게 배출되어야 원활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커터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절삭용팁(20) 및 연마용팁(30) 간의 상, 하, 좌, 우로의 간격은 1 ∼ 10㎝인 것이 물의 고른 분산 및 석재 가루의 원활한 분산이 원활하여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원통형 몸체(10)의 가장자리 중 절삭용팁(20)과 연 마용팁(30)이 부착되는 부분에 팁삽입홈(14)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팁삽입홈(14)에 각각의 절삭용팁(20) 및 연마용팁(3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절삭용팁(20) 및 연마용팁(30)의 더욱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팁삽입홈(14)을 갖는 방식은 절삭용팁(20)이나 연마용팁(30)이 대칭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여 절삭용팁(20)이나 연마용팁(30)을 부착시키는 작업이 용이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절삭용팁(20) 중 몸체(10)의 끝단부에 가장 인접된 끝단부 즉, 석재에 가장 먼저 접촉되는 절삭용팁의 끝단부는 돌출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석재가 이동되어 최초로 접촉되는 절삭용팁(20)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이고, 절삭용팁(20)이 마모됨에 있어 몸체(10)의 끝단부에 가장 인접된 부분이 가장 빠르게 마모되어 전체적으로는 모든 절삭용팁(20)의 마모가 하나의 직선을 그리면서 마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석재가 다수 개의 절삭용팁(20)에 접촉되어 가공됨에 있어 석재가 최초로 접촉되는 지점이 가장 끝단부에 위치된 절삭용팁의 끝단부가 아닐 경우 마모가 진행됨에 있어 전체적인 하나의 직선을 그리면서 마모되지 못하고 특정 지점이 함몰되는 형태로 마모가 진행된다.
이러한 상태로 마모가 진행되면 본 고안의 원통형 커터 교체 시기가 빨라지 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원통형 몸체(10)의 외측에 팁삽입홈(14)이 길게 형성되고 이 팁삽입홈(14)에 절삭용팁(20) 및 연마용팁(30)이 부착된 본 고안의 석재 모서리 가공용 원통형 커터 사시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석재 모서리 가공용 원통형 커터가 석재 가공장치의 회전축(2)에 장착되어 석재를 가공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석재(1)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본 고안의 석재 모서리 가공용 원통형 커터를 통과하면서 가공된다.
이때 테이퍼가 형성된 부분에 부착된 절삭용팁(20)에 의해 1차 가공된 후 테이퍼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부착된 연마용팁(30)에 의해 2차 가공된다.
본 고안의 원통형 커터가 석재 가공장치의 회전축(2)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동시에 도 3과 같이 하나의 곡선을 그리면서 반복적으로 이동되면 석재의 모서리가 둥근 곡면으로 가공된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절삭용팁(20)은 석재를 연마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된 통상의 절삭용팁(20) 즉, 입자가 크고 절삭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또, 연마용팁(30)은 석재를 연마하기 위하여 용도로 제작된 통상의 연마용팁(30) 즉, 입자가 작고 연마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본 고안의 석재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는, 절삭용팁 및 연마용팁이 하나의 몸체에 구비되어 하나의 커터로 석재의 절삭과 연마를 함께 실시할 수 있어 가공속도가 빠르고 여러 개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 사용에 의해 마모가 될 때 절삭용팁 및 연마용팁이 각각 전체적으로 하나의 직선을 그리면서 마모가 진행되므로 절삭용팁 및 연마용팁이 상당량 마모되더라도 마모된 수치만큼 석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원활한 가공이 가능하므로 교체 주기가 길다.
즉, 커터의 수명이 긴 특징이 있다.

Claims (5)

  1.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커터에 있어서,
    석재 가공장치의 회전축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장착수단이 형성되어 있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모두 동일한 중심부에 형성되고 무게의 편심을 발생시키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회전될 때 떨림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좌,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은 끝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중 테이퍼가 형성된 부분에 부착되어 있되 몸체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부착되어 떨림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고, 석재 가공시 공급되는 물이 고르게 분산되고, 석재 가루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인접된 것과 상, 하, 좌, 우에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석재 절삭용팁과;
    상기 몸체 중 테이퍼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부착되어 있되 몸체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부착되어 떨림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고, 석재 가공시 공급되는 물이 고르게 분산되고, 석재 가루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인접된 것과 상, 하, 좌, 우에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석재 연마용팁;을 포함하여 구성된,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 중 절삭용팁과 연마용팁이 부착되는 부분에 팁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팁삽입홈에 각각의 절삭용팁 및 연마용팁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용팁 중 몸체의 끝단부에 가장 인접된 끝단부는 돌출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석재 가공장치의 회전축이 헐거운끼워맞춤이나 중간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공차를 갖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용팁 및 연마용팁 간의 상, 하, 좌, 우로의 간격은 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KR2020060014735U 2006-06-01 2006-06-01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KR200426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735U KR200426035Y1 (ko) 2006-06-01 2006-06-01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735U KR200426035Y1 (ko) 2006-06-01 2006-06-01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035Y1 true KR200426035Y1 (ko) 2006-09-18

Family

ID=4177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735U KR200426035Y1 (ko) 2006-06-01 2006-06-01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0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58B1 (ko) 2006-11-02 2007-02-02 (주)신일석재산업 도로 안전기능을 갖는 빛 반사 도로경계석의 가공장치
KR101003085B1 (ko) * 2008-09-25 2010-12-24 박재민 평판부재의 표면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기 위한 밀링커터
KR20230057009A (ko) * 2021-10-21 2023-04-28 (주) 비엔비 섬유적층체의 모서리 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58B1 (ko) 2006-11-02 2007-02-02 (주)신일석재산업 도로 안전기능을 갖는 빛 반사 도로경계석의 가공장치
KR101003085B1 (ko) * 2008-09-25 2010-12-24 박재민 평판부재의 표면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기 위한 밀링커터
KR20230057009A (ko) * 2021-10-21 2023-04-28 (주) 비엔비 섬유적층체의 모서리 가공장치
KR102568198B1 (ko) 2021-10-21 2023-08-18 (주) 비엔비 섬유적층체의 모서리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1127A (en) Rotative cutting tool of tip dresser
JP2001503683A (ja) 切粉を除去する機械加工用の工具
CN100460172C (zh) 高速铣刀和刀片
JP6006829B2 (ja) 面取りブレードおよび面取りカッター
KR20040016419A (ko) 드릴링 또는 밀링 툴 및 그 제작공정
KR20100103359A (ko) 드릴
KR20080025204A (ko) 크랭크샤프트의 기계가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KR200426035Y1 (ko) 석재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커터
WO2005102587A1 (en) Milling cutter for sharpening electrodes.
US10323366B2 (en) Sawing tool having a plurality of diamond saw blades for forming a surface structure on a road surface
EP13303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cutting tool having a plurality of margins
KR101419493B1 (ko) 회전형 화장지 커팅장치
ITRM990322A1 (it) Utensile rotativo ad azione combinata abrasiva e a frammentazione perla esecuzione di profili o di tagli su lastre di materiale fragile qua
CN208743778U (zh) 一种带有斜弧分布刀片的铣刀盘
JP2005319544A (ja) 穴加工用工具とその工具の外周研削方法
KR100645004B1 (ko) 원통형 커터를 사용하여 석재의 모서리를 곡면으로가공하는 장치
RU2263212C1 (ru) Резец для горных машин
CN211029663U (zh) 一种高强度砂轮片
GB2456357A (en) Router cutter with first and second oppositely angled cutting edges
WO2007017724A1 (en) Method of grinding a tipped-tooth disk cutter
CN209998981U (zh) 一种金刚石成型刀
JP3306443B2 (ja) ダイヤモンドコアードリル
DE102004003757B4 (de) Schneidkopf für ein Profil-Drehwerkzeug,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nkav eingesenkten Spanfläche
CN208427767U (zh) 一种开孔贯通刀具
JP3591148B2 (ja) 回転切削工具の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