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478Y1 - 해충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478Y1
KR200425478Y1 KR2020060014381U KR20060014381U KR200425478Y1 KR 200425478 Y1 KR200425478 Y1 KR 200425478Y1 KR 2020060014381 U KR2020060014381 U KR 2020060014381U KR 20060014381 U KR20060014381 U KR 20060014381U KR 200425478 Y1 KR200425478 Y1 KR 200425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ertical post
loop
collecting devi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명
Original Assignee
송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명 filed Critical 송종명
Priority to KR2020060014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4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4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충 포집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해충 포집장치는, 개방된 상면 입구측에 흡입팬이 설치되고 그 상측으로는 간격을 두고 루프가 설치되고 하측으로는 포집망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형상의 본체와, 상기 루프의 저면에 설치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 및 포집된 곤충과 빗물 등을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본체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해충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하측에 설치된 유인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측으로 투과될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판으로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포스트와 이들이 직립 유지될 수 있게 각 수직포스트를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수평연결체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수직포스트를 따라 승강될 수 있게 일측에 브라켓트로 연결되면서 수직포스트에 구름 접촉되는 베어링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포스트는 종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나사홀을 형성하고 이들 나사홀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고 그 일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해충 포집장치는, 투명판으로 된 루프를 통해 유인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부측으로 확산되므로 포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이동 및 보관시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풍이나 우천시 본체의 높이를 낮추도록 하여 파손의 위험성을 대폭 감 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해충, 포집, 장치, 지지체, 투명

Description

해충 포집장치{Harmful insect grasping equip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의 높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해충 포집장치 10 : 본체
15 : 포집망 20 : 루프
25 : 유인등 27 : 감지기
30 : 흡입팬 40 : 지지체
41 : 수직포스트 42 : 나사홀
43 : 수평연결체 45 : 나사부재
50 : 베어링부재 51 : 롤러
52 : 프레임 55 : 브라켓트
본 고안은 해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인등을 커버 하는 루프를 투명판으로 제공하여 유인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것에 의한 포집효율을 높이고 또한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해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은 이화명충, 밤나방, 멸구, 번개매미, 잔딧물, 하늘소, 깍지벌레, 노린재 등과 같은 농업해충과 파리나 모기 또는 바퀴벌레 등과 같이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해를 끼치는 위생충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서 각종 살충제가 개발되어 왔으나 그 사용상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러한, 살충제가 갖는 제약을 해소하고자 해충을 유인 포집하여 고사시키는 해충 포집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 해충 포집장치는 기본적으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등과, 이 유인등에 의해 군집되는 해충을 포집망으로 강제 포집하기 위한 축류식 흡입팬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해충 포집장치는 단순히 유인등에 의해 곤충을 유인하는 방식이므로 주간에는 그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축류식 흡입팬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포집망에 포집된 곤충이 외부로의 탈출이 용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일부 개선하고자 곤충을 흡입하는 축류 흡입팬의 하측에 깔때기 모양의 유도관을 구비시키고, 이 유도관이 포집망에 연결되게 한 해충 포집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유도관을 통한 해충의 탈출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여전히 유도관을 통해 외부로 탈출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 0037507호를 통해 개선된 해충 포집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해충 포집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측에 축류 흡입팬(130)이 설치되는 입구를 형성하고 그 내부 하측으로는 송풍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150)이 구성되며 하측으로는 포집망(160)이 연결되는 본체(100)를 구비하고, 이 본체(10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것으로 다리 역할을 하는 지지체가 본체(100)의 외측면에 등간격을 두고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루프(200)가 이격 설치되며, 이 루프(200)의 저면으로는 유인등(210)과 감지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외면 일측에는 제어기와 전원관리기가 수용 설치된 케이스(미도시)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의 해충 포집장치는 축류형 흡입팬(130)을 채용하여 구조의 간소화와 정비성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흡입팬(130)의 미동작시에는 개폐수단(150)이 본체(100)의 통로를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포집된 곤충이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 할 수 있어 포집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해충 포집장치는 유인등(210)과 흡입팬(130)을 포함한 각종 전장품을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루프(200)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루프(200)에 의해 유인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범위하게 퍼지지 못하고 해충 포집장치의 주변 특히, 루프(200)의 아래쪽 부분에만 제한적으로 비추게 됨에 따라 포집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리(300)가 본체(10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동 및 보관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태풍이 부는 경우에 본체(100)의 높이를 낮추면 무게중심이 아래쪽으로 이동되므로 바람에 의한 스러짐 및 파손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본체(100)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부득이 해충 포집장치를 철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유인등 및 본체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루프를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판으로 제작하여 유인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것에 의한 포집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해충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태풍등과 같이 강한 바람이 불거나 우천시에는 높이를 낮추도록 하여 파손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해충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는, 개방된 상면 입구측에 흡입팬이 설치되고 그 상측으로는 간격을 두고 루프가 설치되고 하측으로는 포집망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형상의 본체와, 상기 루프의 저면에 설치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 및 포집된 곤충과 빗물 등을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본체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해충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하측에 설치된 유인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측으로 투과될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판으로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포스트와 이들이 직립 유지될 수 있게 각 수직포스트를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수평연결체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수직포스트를 따라 승강될 수 있게 일측에 브라켓트로 연결되면서 수직포스트에 구름 접촉되는 베어링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포스트는 종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나사홀을 형성하고 이들 나사홀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고 그 일단이 돌출구비는 나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투명판은 강화유리 또는 플라스틱재로 성형되며, 상기 베어링부재는 수직포스트를 사이에 두고 양단에서 구름 접촉되는 한쌍의 롤러와, 이들 롤러가 회전되게 축지지하며 일단이 브라켓트에 결합 고정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의 높낮이 조절된 상태를 외관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충 포집장치(1)는 농경지등에 설치되어 작물에 해로운 곤충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하면이 개방된 관형상을 갖는 본체(10)를 구비하며, 이 본체(10)의 상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루프(20)가 설치되고, 본체(10)의 하측으로는 포집망(15)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면 입구측에는 흡입팬(30)이 설치되어 포집된 곤충을 본체(10)내부로 강제 흡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루프(20)의 저면에는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25)이 설치되는 구성이며, 그 일측으로는 포집된 곤충과 빗물 그리고 주야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 집합체로 구성된 감지기(27)가 설치된다. 끝으로 상기 본체(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다리로 구성되는 지지체(40)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구성이다.
본체(1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상면에는 소정크기의 입구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포집망(15)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포집망(15)은 금속재의 그물망을 원통형으로 가공한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 는 합성수지 원사 등을 그물형태로 직조한 그물형 포집망(15)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입구의 주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유인물질을 보관 할 수 있는 용기 형태의 보관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유인물질은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직관 형태로 제공되어도 상관없으나, 포집된 곤충이 포집망(15)으로 원활하게 낙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하향되면서 지름이 감소되는 원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체(10)는 그 상면 입구측에 흡입팬(30)이 설치되며 지지체(40)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되는 구조이다.
루프(20)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상술한 본체(10)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여 빗물 등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흡입팬(30)과 유인등(25)을 비롯한 전장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재의 일종이다.
이러한 루프(20)는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간격을 유인등(25)과 흡입팬(30)이 설치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루프(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포스트에 의해 본체(1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본체(10)뿐만 아니라 후술할 본체(10)측에 구성되는 케이스까지 커버 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팬(30)은 상술한 본체(10)의 상부 입구측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유인등(25)에 의해 포집된 해충을 흡입하여 본체(10) 내부로 강제 송풍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흡입팬(30)은 본체(10)의 입구측 공기를 본체(10) 내부로 흡입하는 것에 의해 유인등(25)에 의해 군집된 곤충을 본체(10) 내부로 강제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흡입팬(30)은 제어기의 제어신호를 받아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것에 의해 본체(10)의 상부에 군집된 해충을 본체(10) 내부로 강제 흡입하게 된다.
유인등(25)은 상술한 루프(2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본체(10)의 상부 입구측 주위로 해충이 유인되도록 하는 발광체로서, 상기 본체(10)의 입구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인등(25)은 통상의 전구식 형광등(삼파장 램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곳에서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램프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인등(25)은 제어기의 제어를 받아 주간에는 소등 상태를 유지하고 야간에만 제한적으로 점등되게 구성된다.
감지기(27)는 제어회로인 마이콤(미도시)을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본체(10)의 입구측에 군집한 해충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주야간 판별을 위한 빛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 그리고 우천시 빗물을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이들 각 감지센서의 센싱을 통해 유인등(25) 및 흡입팬(30)의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이하, 상기 감지기(27)의 제어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감지센서는 유인등(25)과 유인물질에 의해 본체(10)의 상측으로 유인된 해충을 감지하면 이 감지정보를 기초로 후술할 축류 흡입팬(30)을 동작시켜 본체(10)의 입구측에 군집된 해충을 본체(10) 내부를 통해 포집망(15)으로 흡입되게 한다.
이러한 제1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감지센서는 빛을 감지한 감지정보를 기초로 하여 유인등(25)의 점등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2감지센서는 낮과 밤을 감지하여 유인등(25)이 밤에만 제한적으로 동작될 수 있게 하여 효율적인 포집을 실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CdS 셀 센서, 광전관, 포토트랜지스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끝으로, 상기 제3감지센서는 빗물을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기초로 모든 전장품에 대한 전원을 단속하여 동작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4감지센서는 우천시 빗물에 의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며 통상의 빗물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해충 포집장치(1)는 종전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고안에서 해충 포집장치(1)는 루프(20)를 투명판으로 제공하여 유인등(25)에서 조사되는 빛이 루프(20)를 통과하여 그 상측 부분까지 확산되도록 하면서 본체(10)의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루프(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강화유리 또는 합성수지(플 라스틱)를 사출 성형하여 된 투명판으로 제공된다. 즉, 상기 루프(2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포스트에 의해 본체(10)의 입구 상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데, 이때의 상기 포스트는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그 하단부가 본체(10)의 입구측 테두리를 외측으로 확장한 형태의 플랜지에 나사부재(45) 또는 용접 등으로 통해 고정되고, 상단부는 투명판인 루프(20)에 구멍을 형성하여 나사부재(45)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루프(20)는 그 저면으로 유인등(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유인등(25)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하여 루프(20)의 상측으로 확산시킴으로써 포집효율을 높이게 된다.
한편, 지지체(4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직포스트(41)와, 이들 수직포스트(41)가 직립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그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수평연결체(4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포스트(41)는 본체(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 제조원가가 최소화될 수 있게 4개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연결체(43)는 양단이 인접한 각각의 수직포스트(41)에 용접으로 접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체(40)는 상기 수평연결체(43)가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포스트의 하단부에서만 연결되어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승강 구간을 제외한 위치에서 수직포스트(41) 들을 연결시키는 것이며, 이는 본체(10)의 크기나 중량 및 지지강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수직포스트(41)는 종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나사 홀(42)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러한 나사홀(42)들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볼트 형태의 나사부재(45)가 나사체결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나사부재(45)는 일단이 나사홀(42)에 나사체결된 상태에서 타단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후술할 베어링 부재(50)의 저부가 걸림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 부재(50)는 본체(10)가 수직포스트(4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게 하는 부재로서, 상기 본체(10)에 대해 브라켓트(55)로 연결 구성된다. 이러한 베어링 부재(50)는 수직포스트(41)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포스트(41)에 구름접촉되는 것에 의해 양호한 승강성을 보장하게 된다.
즉, 상기 베어링 부재(50)는 수직포스트(41)를 사이에 두고 양단에서 구름 접촉되는 한쌍의 롤러(51)를 구비하고, 이들 롤러(51)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며 일단이 브라켓트(55)에 결합 고정되는 프레임(5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롤러(51)는 수직포스트(41)가 원형 파이프 형태인 경우에는 그에 대응되는 형상 즉,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절국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직포스트(41)가 사각 파이프 형태인 경우에는 원통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52)은 상기 한쌍의 롤러(51) 일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마련되면서 상기 롤러(51)가 회전될 수 있게 롤러(51)축이 고정된다. 이러한 프레임(52)은 그 일단이 본체(10)에 용접으로 접합되어 있는 브라켓트(55)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한편, 본 고안은 베어링 부재(50)를 한쌍의 롤러(51)와 프레임(52)으로 구성한 것을 제안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수직포스트(41)에 구름 접촉되는 것에 의해 안정된 승강력을 보장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베어링 부재(5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베어링 부재(50)는 저부에 상술한 나사부재(45)가 위치하는 경우 걸림되는 것에 의해 하강이 방지되며, 상기 나사부재(45)를 나사홀(42)에서 분리시키면 결과적으로 상기 베어링 부재(50)에 작용하는 걸림력이 해제되므로 본체(1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거나 또는 작업자가 본체(1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10)를 원하는 높이로 위치 이동시킨 후, 해당 위치에서 베어링 부재(50)의 하측에 마련된 수직포스트(41)의 나사홀(42)에 나사부재(45)를 체결시키면 베어링 부재(50)가 나사부재(45)에 걸림되어 하향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결과적으로 본체(1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해충 포집장치는, 투명판으로 된 루프를 통 해 유인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부측으로 확산되므로 포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이동 및 보관시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풍이나 우천시 본체의 높이를 낮추도록 하여 파손의 위험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개방된 상면 입구측에 흡입팬(30)이 설치되고 그 상측으로는 간격을 두고 루프(20)가 설치되고 하측으로는 포집망(15)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루프(20)의 저면에 설치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25) 및 포집된 곤충과 빗물 등을 감지하는 감지기(27)와, 상기 본체(1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체(40)를 포함하는 해충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루프(20)는 하측에 설치된 유인등(25)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측으로 투과될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판으로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40)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포스트(41)와 이들이 직립 유지될 수 있게 각 수직포스트(41)를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수평연결체(43)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는 수직포스트(41)를 따라 승강될 수 있게 일측에 브라켓트(55)로 연결되면서 수직포스트(41)에 구름 접촉되는 베어링 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포스트(41)는 종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나사홀(42)을 형성하고 이들 나사홀(42)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고 그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는 나사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은,
    강화유리 또는 플라스틱재로 성형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50)는 수직포스트(41)를 사이에 두고 양단에서 구름 접촉되는 한쌍의 롤러(51)와, 이들 롤러(51) 가 회전되게 축지지하며 일단이 브라켓트(55)에 결합 고정되는 프레임(5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집장치.
KR2020060014381U 2006-05-29 2006-05-29 해충 포집장치 KR200425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381U KR200425478Y1 (ko) 2006-05-29 2006-05-29 해충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381U KR200425478Y1 (ko) 2006-05-29 2006-05-29 해충 포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014A Division KR100791645B1 (ko) 2006-05-29 2006-05-29 해충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478Y1 true KR200425478Y1 (ko) 2006-09-19

Family

ID=4177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381U KR200425478Y1 (ko) 2006-05-29 2006-05-29 해충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4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2971B2 (en) * 2016-02-11 2021-08-31 Seoul Viosys Co., Ltd. Slim insect trap using UV L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2971B2 (en) * 2016-02-11 2021-08-31 Seoul Viosys Co., Ltd. Slim insect trap using UV L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645B1 (ko) 해충 포집장치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100753435B1 (ko) 해충 포집장치
US20100229459A1 (en) Devices for trapping insects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US20200404897A1 (en) Device for trapping damaging flying insects and method for counting insects trapped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KR200425859Y1 (ko) 해충포획장치
KR101825680B1 (ko)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KR200425478Y1 (ko) 해충 포집장치
KR102310622B1 (ko) 해충 포획용 유아등
KR200421269Y1 (ko) 해충 포집장치
KR20100008217U (ko) 단파장 엘이디를 이용한 산림 해충 방제용 친환경 포획장치
CN113303302A (zh) 一种自动捕虫器
JP3139542U (ja) 害虫捕獲器
KR20090005532U (ko) 해충 포획기
CN210519875U (zh) 一种简易式昆虫诱捕器
CA2861794A1 (en) Insect traps and methods of trapping insects
JPH076778Y2 (ja) 間欠駆動する大型のファンを利用した捕虫器
KR102603570B1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KR200221535Y1 (ko) 포충기
KR102402878B1 (ko) 해충 유인포집장치
CN210382338U (zh) 一种多功能昆虫诱捕器
CN209251482U (zh) 一种农业害虫诱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