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368Y1 - 낙석방지용 철책 - Google Patents

낙석방지용 철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368Y1
KR200425368Y1 KR2020060015304U KR20060015304U KR200425368Y1 KR 200425368 Y1 KR200425368 Y1 KR 200425368Y1 KR 2020060015304 U KR2020060015304 U KR 2020060015304U KR 20060015304 U KR20060015304 U KR 20060015304U KR 200425368 Y1 KR200425368 Y1 KR 200425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fall
fence
fixed
suppor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두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15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3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3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용 철책은 옹벽에 일단부가 고정되게 직립설치되며 그 상단부가 절곡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된 지지간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와이어선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간의 높이로 울타리망이 설치된 낙석방지용 철책에 있어서, 상기 이격설치된 지지간하단의 옹벽에서부터 일정높이로 상부는 힌지고정되고 하부는 잠금수단을 갖는 개폐틀이 하부에 설치되어, 낙석의 발생시 낙석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어 신속하게 낙석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교통의 소통을 단시간에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소수의 낙석제거인력만으로도 낙석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낙석처리비용이 절감되며 낙석방지용 철책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낙석발생시에 발생된 파손부분을 용이하게 부분적으로 보수할 수 있게 되어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낙석방지용 철책 {An falling prevent iron fence}
도1은 종래의 낙석방지용 철책의 사시도
도2는 다른 형태의 종래의 낙석방지용 철책의 사시도
도3은 종래의 낙석방지용 철책에 낙석이 발생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된 낙석방지용 철책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된 낙석방지용 철책의 개방된 개폐틀의 일부가 도시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옹벽 2. 지지간 3. 와이어선
4. 울타리망 5. 개폐틀
본 고안은 낙석방지용 철책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낙석의 발생시 낙석의 제거가 용이하며 신속하게 낙석을 처리할 수 있게 되어 교통의 소통을 단시간에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낙석방지용 철책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낙석발생시에 발생된 파손부분을 용이하게 부분적으로 보수할 수 있게 되어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는 낙석방지용 철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산들은 장기간의 침식과 풍화작용으로 산악지방에 개설된 도로는 작은 낙석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낙석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도로가장자리에 낙석방지용 철책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낙석방지용 철책은 비교적 소규모 낙석의 도로유입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며 절개면 경사가 완만하여 낙석의 튀는 높이가 낙석방지용 철책보다 작을 것으로 되는 지역에 설치되며, 절개면의 경사가 급한 구간에는 낙석이 철책의 바깥 도로에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절개면을 덮는 낙석방지망과 동시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낙석방지용 철책(A)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에 일단부가 고정되게 직립설치되며 그 상단부가 절곡된 지지간(2)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와이어선(3)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간(2)의 높이로 울타리망(4)이 설치되는 구조로서, 이러한 종래의 낙석방지용 철책(A)은 낙석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이러한 작은 낙석을 일일이 도로안쪽으로 운반하여 제거하여야 하므 로 철책의 울타리망(4)을 우회하여 제거하여야 하므로 작은 낙석의 처리에도 많은 시간이 걸리며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러한 불편을 피하기 위하여는 낙석(S)이 떨어진 부분의 파손된 울타리망(4)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낙석을 처리한 후 울타리망(4)을 부분적으로 재설치하여야 하므로 낙석방지용 철책의 유지보수비용과 낙석처리에 대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다란 낙석(S)이 발생된 경우에는 와이어선(3)과 울타리망(4)이 크게 회손되므로 파손된 와이어선(3)과 울타리망(4)의 부분적인 보수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일정구간의 와이어선(3)과 울타리망(4)을 모두 교체하여야 하므로 보수비용이 크게 소요되며 보수시간도 오래걸리게 되어 도로의 교통을 장시간 지체 또는 방해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낙석방지용 철책(A)을 집중호우와 같은 낙석발생요인전에 낙석방지용 철책(A)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철책을 우회하여 점검하여야 하며 우회도중에 장애물이 있을 시에는 점검을 위한 이동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낙석의 발생시 낙석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어 신속하게 낙석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교통의 소통을 단시간에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소수의 낙석제거인력만으로도 낙석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낙석처리비용이 절감되며 낙석방지용 철책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낙석발생시에 발생된 파손부분을 용이하게 부분적으로 보수할 수 있게 되어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는 낙석방지용 철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옹벽에 일단부가 고정되게 직립설치되며 그 상단부가 절곡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된 지지간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와이어선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간의 높이로 울타리망이 설치된 낙석방지용 철책에 있어서, 상기 이격설치된 지지간하단의 옹벽에서부터 일정높이로 상부는 힌지고정되고 하부는 잠금수단을 갖는 개폐틀이 하부에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용 철책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용 철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용 철책(A)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에 일단부가 고정되게 직립설치되며 그 상단부가 절곡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된 지지간(2)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와이어선(3)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간(2)의 높이로 울타리망(4)이 설치된 낙석방지용 철책(A)에 있어서, 상기 이격설치된 지지간(2)하단의 옹벽(1)에서부터 일정높이로 상부는 힌지고정되고 하부는 잠금개폐수단을 갖는 개폐틀(5)이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틀(5)은 장방형의 개폐틀프레임(50)의 상부에는 힌지고정되도록 고정축(51)이 부착되고 하부에는 개폐가능하게 잠금수단(5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틀프레임(50)은 외곽프레임(501)상에는 철판(502)이 설치되었으나, 단순하게 외곽프레임(501)상에 철망이 용접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축(51)은 지지간(2)에 고정되며 힌지홈(61)이 고정된 힌지브라켓(62)에의하여 힌지고정되며, 상기 잠금수단(52)은 지지간(2)에 고정되며 고정홈(63)이 형성된 고정브라켓(64)에 일단부가 삽입 및 이탈되게 좌우로 이동되는 고정대(521)와 상기 고정대(521)의 활주이동을 안내하는 중공의 안내대(52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521)의 측면에는 손잡이(5211)가 돌출되고 상기 안내대(522)의 중간에는 손잡이(5211)가 안내되는 안내홈(5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용 철책(A)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석(S)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개폐틀(5)의 잠금수단(5)을 열고 개폐틀(5)을 들어올리면 개폐틀(5)에 의하여 가려졌던 면적만큼 낙석(S)을 제거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므로 낙석(S)이 떨어진 위치에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낙석(S)의 제거가 완료되면 개폐틀(5)을 내리고 잠금수단(5)을 사용하여 개폐틀(5)을 지지간(2)에 고정시켜 닫게 되면 낙석(S)의 처리가 대단히 용이하게 수행되게 되는 것이다. 만일에 큰 크기의 낙석(S)이 떨어지게 되어 개폐틀(5)이 파손된 경우에는 힌지브라켓(62)과 고정브라켓(64)을 지지간(2)에서 분리시켜 개폐틀(5)을 분리하고 낙석(S)을 처리한 후에 개폐틀(5)을 수리하고 다시 부착시키면 되므로 낙석의 처리가 용이하게 됨은 물론이고 낙석방지용 철책의 훼손이 최소로 되며 보수나 수리가 간단하게 처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집중호우나 균열에 의하여 낙석이 예상되는 지점에서는 개폐틀(5)을 열고 작업자가 그 사이로 들어가서 낙석예상지점을 보수하거나 점검하고 다시 열린 개폐틀(5)사이로 빠져나오면 되므로 멀리까지 낙석 방지용 철책을 우회하여 다시 돌아올 필요가 없이 개폐틀(5)이 통로로 이용되므로 용이하게 낙석구간을 점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용 철책은 옹벽에 일단부가 고정되게 직립설치되며 그 상단부가 절곡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된 지지간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와이어선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간의 높이로 울타리망이 설치된 낙석방지용 철책에 있어서, 상기 이격설치된 지지간하단의 옹벽에서부터 일정높이로 상부는 힌지고정되고 하부는 잠금수단을 갖는 개폐틀이 하부에 설치되어, 낙석의 발생시 낙석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어 신속하게 낙석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교통의 소통을 단시간에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소수의 낙석제거인력만으로도 낙석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낙석처리비용이 절감되며 낙석방지용 철책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낙석발생시에 발생된 파손부분을 용이하게 부분적으로 보수할 수 있게 되어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옹벽(1)에 일단부가 고정되게 직립설치되며 그 상단부가 절곡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된 지지간(2)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와이어선(3)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간(2)의 높이로 울타리망(4)이 설치된 낙석방지용 철책(A)에 있어서,
    상기 이격설치된 지지간(2)하단의 옹벽(1)에서부터 일정높이로 상부는 힌지고정되고 하부는 잠금개폐수단을 갖는 개폐틀(5)이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용 철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틀(5)은 장방형의 개폐틀프레임(50)의 상부에는 힌지고정되도록 고정축(51)이 부착되고 하부에는 개폐가능하게 잠금수단(52)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51)은 지지간(2)에 고정되며 힌지홈(61)이 고정된 힌지브라켓(62)에 의하여 힌지고정되며, 상기 잠금수단(52)은 지지간(2)에 고정되며 고정홈(63)이 형성된 고정브라켓(64)에 일단부가 삽입 및 이탈되게 좌우로 이동되는 고정대(521)와 상기 고정대(521)의 활주이동을 안내하는 중공의 안내대(522)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521)의 측면에는 손잡이(5211)가 돌출되고 상기 안내대(522)의 중간에는 손잡이(5211)가 안내되는 안내홈(52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용 철책
KR2020060015304U 2006-06-08 2006-06-08 낙석방지용 철책 KR200425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304U KR200425368Y1 (ko) 2006-06-08 2006-06-08 낙석방지용 철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304U KR200425368Y1 (ko) 2006-06-08 2006-06-08 낙석방지용 철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368Y1 true KR200425368Y1 (ko) 2006-09-01

Family

ID=4177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304U KR200425368Y1 (ko) 2006-06-08 2006-06-08 낙석방지용 철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3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68B1 (ko) 2006-12-11 2008-05-22 장안상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20230019320A (ko) * 2021-07-29 2023-02-08 유한회사 정원에스텍 낙석방지책 유지보수 시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68B1 (ko) 2006-12-11 2008-05-22 장안상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20230019320A (ko) * 2021-07-29 2023-02-08 유한회사 정원에스텍 낙석방지책 유지보수 시설 장치
KR102531110B1 (ko) * 2021-07-29 2023-05-11 유한회사 정원에스텍 낙석방지책 유지보수 시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696B2 (en) Active wedge barrier
KR100611058B1 (ko) 도로의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동물의침입방지장치
KR200480751Y1 (ko) 맨홀 추락 방지장치
KR101295818B1 (ko) 잡물 유입방지용 맨홀덮개
KR200425368Y1 (ko) 낙석방지용 철책
KR102027469B1 (ko) 교량 선 배수 시스템
KR101431519B1 (ko)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US8816877B2 (en) Road gantry
KR101198753B1 (ko) 도로의 가드레일용 동물진입 차단장치
KR20060135586A (ko) 개폐형 낙석방지 울타리
KR102448671B1 (ko) 맨홀뚜껑 이탈시 추락방지 기능과 맨홀내 점검시 출입이 용이한 다용도 안전손잡이
US3744185A (en) Cattle gate
KR100555871B1 (ko) 수평개폐식 낙석붕괴 방지장치
KR20120011567A (ko) 양개식 낙석방지책
CN212534224U (zh) 一种市政道路用安全井盖
US20220356692A1 (en) Trash collector for drainage channels
JP5424689B2 (ja) 吊り足場
ES2409742T3 (es) Aparato de criba vibradora para conglomerados
KR20080001191U (ko) 가드레일용 동물 보호망
KR20090010575A (ko)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KR200388939Y1 (ko) 교량 점검로용 사다리
KR20130056073A (ko) 맨홀뚜껑의 이탈제한 및 복원장치
KR102039099B1 (ko) 비산방지 장치
KR101147130B1 (ko) 수문용 이물질 선별장치
GB2346642A (en) Removable lockable security pos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