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575A -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 Google Patents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575A
KR20090010575A KR1020070073807A KR20070073807A KR20090010575A KR 20090010575 A KR20090010575 A KR 20090010575A KR 1020070073807 A KR1020070073807 A KR 1020070073807A KR 20070073807 A KR20070073807 A KR 20070073807A KR 20090010575 A KR20090010575 A KR 20090010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ixed
closing
fence
stee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안상
Original Assignee
장안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안상 filed Critical 장안상
Priority to KR102007007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575A/ko
Publication of KR20090010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의 절개지에 설치하여 절개지의 낙석이 도로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석방지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개지의 낙석이 도로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존의 낙석방지울타리에 개폐구간, 즉 탈부착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개폐문을 구현함으로써, 유지관리 중 낙석발생으로 인한 보수작업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개폐문 구조는 탈부착이 용이하여 유지관리 측면에서 경제적인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를 제공한다.
절개지, 낙석방지울타리, 개폐문, 고정강봉, 고정걸쇠, U-볼트, 턴버클

Description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Opening-closing type falling rock f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에서 개폐문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에서 개폐문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단부지주, 중간지주) 11 : 와이어
12a,12b : 울타리망 13 : 개폐문
14 : 개폐문 본체 15 : 고정걸쇠
17 : 고정강봉 18 : 턴버클
19 : U-볼트 20a,20b : ㄷ-플레이트
21 : 홈
본 발명은 도로변의 절개지에 설치하여 절개지의 낙석이 도로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석방지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낙석 발생시 인접한 개폐부(개폐문)를 통해 낙석의 제거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특히 개폐문의 구조가 간단하고 탈부착이 용이하여 낙석 및 토사에 대한 유지보수가 간편한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산들은 장기간의 침식과 풍화작용으로 산악지방에 개설된 도로는 작은 낙석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보통 고개 또는 산능선을 따라 도로 또는 건물을 건설할 경우 지면의 일부를 절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일정한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은 인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그 표면이 불안정하여 우수 및 해빙에 의해 쉽게 붕괴되거나, 암벽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낙하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낙석들이 주행차량이나 사람이 상주하는 건물을 덮칠 경우에는 엄청난 인적/물적 피해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낙석방지망으로 경사면을 덮거나, 식생대 조성을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 등을 활용하여 낙석 및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들은 경사면의 표면을 직접 덮어 낙석 및 토사의 흘러내 림 자체를 저지하는 것으로서, 주변환경 또는 경사면의 특성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이 적용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일 예로 암벽으로 이루어진 경사면 또는 식생대가 형성된 비탈면 등이 그러하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서는 도로 또는 건물과 경사면 사이에 낙석방지망을 입설하여 낙석 또는 흘러내리는 토사를 차단시키고, 이로 인해 낙석 및 토사로부터 주행차량 또는 건물과 이 건물에 상주하는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낙석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도로변에 낙석방지울타리를 설치하고 있고, 이러한 낙석방지울타리는 비교적 소규모 낙석의 도로유입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낙석방지울타리는 옹벽에 하단이 고정되게 직립 설치되는 빔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 배치되고, 상기 빔의 높이로 울타리 망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낙석방지울타리의 경우 소량의 낙석 발생시에도 울타리를 우회하여 낙석을 인력의 형태로 처리해야 하므로, 낙석의 처리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낙석 발생으로 인해 와이어와 울타리 망이 크게 회손된 경우에는 파손된 와이어와 울타리 망의 부분적인 보수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일정구간의 와이어와 울타리 망을 모두 교체해야 하고, 결국 이로 인해 소량의 낙석 발생시에도 장시간 도로의 교통이 마비되고, 낙석방지울타리의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 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낙석방지울타리에 개폐가능한 문을 설치하여 이곳을 통해 낙석을 처리하는 방법이 일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방법은 울타리를 우회하는 등의 불편함은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으나, 그 구조가 한쪽의 힌지부를 통해 회전식으로 열고 닫는 동시에 다른 한쪽의 잠금부를 통해 문을 잠궈놓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제작이 까다로울 뿐 아니라 설치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커다란 낙석이 발생되어 문 자체가 파손되거나 뒤틀어진 경우에는 문을 정상적으로 열 수 없고 강제철거작업을 통해 이를 제거해야 하는 등 비용적인 측면이나 작업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절개지의 낙석이 도로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석방지울타리에 간단하게 거치하여 고정이 가능하고 손쉽게 탈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착탈식 개폐문을 구현함으로써, 낙석 발생시 개폐문을 탈착시켜 중장비의 작업 형하공간을 확보하여 신속하게 낙석을 처리할 수 있고, 다량의 낙석이 일부 구간에 집중되더라도 지주가 훼손되지 않는 한 기존의 개폐부(고정걸쇠)에 개폐문을 재설치함으로 기본의 낙석방지울타리보다 유지관리 비용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는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는 옹벽에 하단이 고정되게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횡방향으로 걸쳐지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 배치되는 와이어와, 상기 지주의 높이로 설치되는 울타리망, 울타리의 하단 일부 구간에 설치되는 개폐부(개폐문)을 포함하는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사각의 형태를 갖고 울타리망을 포함하는 개폐문 본체와, 상기 개폐문 본체를 지주에 거치(고정)하기 위한 홈이 있는 고정걸쇠와, 상기 고정걸쇠에 고정되면서 개폐부를 지지하는 ㄱ자형의 고정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강봉은 2개의 ㄱ자형의 강봉을 중간에 턴버클을 이용 연결하는 조합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턴버클은 고정걸쇠의 홈에 고정된 강봉과 고정걸쇠측에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개폐문 본체의 틀부재에 설치된 여러 개의 U-볼트에 의해 고정강봉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걸쇠는 2개의 ㄷ-플레이트가 지주의 양쪽 개구부를 마감하는 형태로 서로 마주보며 용접 고정되면서 지주에 일체식으로 되며, 어느 한개의 ㄷ-플레이트에는 ㄱ자형 강봉을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면의 아래쪽 기초 콘크리트 옹벽의 외측 양 끝단에는 ㅁ자형 지주(beam)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H형 지주(beam)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지주(10)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11)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 배치되며, 상기 지주(10)의 전면에는 빔 높이로 전체 면적에 걸쳐 울타리 망(12a)이 설치된다.
이때의 와이어(11)는 지주(10)상에 U-볼트 등을 통해 길이 중간 부분들이 지지되는 형태 및 양쪽 끝 부분에서 용접이 또는 체결구조로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와이어(11)와 울타리 망(12a)은 공지의 방식으로 서로 결속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에서 개폐문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에서 개폐문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석방지울타리에서 개폐문(13)이 포함되는 개폐부는 중간 지주(10)와 중간 지주(10) 사이를 1경간으로 보고 2경간에 1개소, 혹은 3경간에 1개소 등 여러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즉, 낙석 발생시 낙석 처리를 위한 개폐부(개폐문)는 현장 여건에 따라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개폐문(13)은 대략 지주(10) 사이의 거리에 맞는 좌우 길이와 중장비의 작업 형하조건을 확보할 수 있는 사각형태의 개폐문 본체(14), 즉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사각틀 모양으로 짜 맞춘 형태의 개폐문 본체(14)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개폐문 본체(14)에는 전체 면적에 걸쳐 울타리 망(12b)으로 덮혀져 마감된다.
이러한 개폐문(13)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하여 개폐문 본체(14)에는 이 개폐문 본체(14)의 전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강봉(17)이 고정 설치된다.
즉, 양단부에 90°의 절곡을 갖는 ㄱ자형으로 일정직경으로 이루어진 고정강봉(17)이 다수 곳에 체결되므로서 개폐문 본체(14)와 고정강봉(17)이 일체식으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문(13)을 해체하는 경우, 턴버클을 이용 고정걸쇠의 홈에 고정된 강봉과 고정걸쇠측에 긴장력을 해제한 후 거치된 개폐부(개폐문)을 이동시킨다.
즉, 낙석 발생시 턴버클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개폐문을 탈착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이 완료된 후 다시 거치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문(13)을 거치하기 위하여 지주(10)측에는 고정걸쇠(15)가 마련되며, 이때의 고정걸쇠(15)는 ㄷ-플레이트(20a),(20b)가 지주(10)측에 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즉 2개의 ㄷ-플레이트가 지주(10)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으로 ㄱ자형 고정강봉(17)의 단부쪽을 삽입한 후 장부측을 ㄷ-플레이트의 홈(21)에 거치 고정한다.
따라서, 집중 호우, 지반 약화, 자연 풍화 등으로 인해 낙석이 발생하면, 작업자가 간단한 턴버클 조작으로 고정걸쇠와 고정강봉의 긴장력을 완화시킨 다음 거치된 고정강봉을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 손쉽게 개폐문을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낙석처리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많은 양의 토사와 낙석으로 개폐문이 심한 외부의 외력을 받아 고정강봉의 변형으로 인해 턴버클의 사용이 곤란한 경우 개폐문은 다수의 U-볼트에 의해 고정강봉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체결된 U-볼트를 풀어줌으로써 쉽게 개폐문을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낙석 처리 작업을 모두 완료한 후, 재차 개폐문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양옆에 있는 고정강봉 훅을 지주에 있는 고정걸쇠에 그대로 걸어 끼운 후, 턴버클만 조이면 되므로, 개폐문 설치작업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낙석의 영향으로 개폐문이 파손되어 교체해야 되는 경우에도 망을 가지는 개폐문 본체와 고정강봉만으로 간단하게 개폐문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교체를 할 수 있는 등 유지보수 등과 관련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낙석방지울타리의 빔 구조물에 간단하게 걸어서 설치하거나 손쉽게 해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개폐문을 포함하는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를 제공함으로써,
첫째, 낙석 발생시 개폐문을 쉽게 탈착시켜 신속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 다.
둘째, 낙석 처리시 중장비의 작업공간 확보로 신속한 낙석처리를 할 수 있어 복구작업시 신속한 교통의 회복 등 경제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낙석 발생으로 인해 파손된 부분을 용이하게 교체 및 보수할 수 있다.
넷째, 문틀과 고정수단만으로 개폐문을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쉽고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다섯째, 고정강봉을 고정걸쇠에 거는 방식, 턴버클 조작으로 푸는 방식 등을 채용하여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등 유지 및 보수가 쉽고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옹벽에 하단이 고정되게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횡방향으로 걸쳐지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 배치되는 와이어와, 상기 지주의 높이로 설치되는 울타리망, 울타리의 하단 일부 구간에 설치되는 개폐부(개폐문)을 포함하는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사각의 형태를 갖고 울타리망을 포함하는 개폐문 본체와, 상기 개폐문 본체를 지주에 거치(고정)하기 위한 홈이 있는 고정걸쇠와, 상기 고정걸쇠에 고정되면서 개폐부를 지지하는 ㄱ자형의 고정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강봉은 2개의 ㄱ자형의 강봉을 중간에 턴버클을 이용 연결하는 조합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턴버클은 고정걸쇠의 홈에 고정된 강봉과 고정걸쇠측에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개폐문 본체의 틀부재에 설치된 여러 개의 U-볼트에 의해 고정강봉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형 낙석방지울타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쇠는 2개의 ㄷ-플레이트가 지주의 양쪽 개구부를 마감하는 형태로 서로 마주보며 용접 고정되면서 지주에 일체식으로 되며, 어느 한개의 ㄷ-플레이트에는 ㄱ자형 강봉을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KR1020070073807A 2007-07-24 2007-07-24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KR20090010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807A KR20090010575A (ko) 2007-07-24 2007-07-24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807A KR20090010575A (ko) 2007-07-24 2007-07-24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575A true KR20090010575A (ko) 2009-01-30

Family

ID=4048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807A KR20090010575A (ko) 2007-07-24 2007-07-24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5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8313A (zh) * 2013-08-02 2013-11-13 天津市交通建筑设计院 一种防风网
CN111734174A (zh) * 2020-07-02 2020-10-02 西安科技大学 防范山区旅游景区落石的可拆装仿古景观走廊及拆装方法
KR20220040561A (ko)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극동 터닝 휀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8313A (zh) * 2013-08-02 2013-11-13 天津市交通建筑设计院 一种防风网
CN111734174A (zh) * 2020-07-02 2020-10-02 西安科技大学 防范山区旅游景区落石的可拆装仿古景观走廊及拆装方法
KR20220040561A (ko)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극동 터닝 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418B2 (en) Removable and re-useable construction safety barrier
JP2018204341A (ja) 連続柵の立設・撤去構造及び連続柵の立設・撤去方法
KR20090010575A (ko)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KR102458257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낙석방지 구조물
KR20060135586A (ko) 개폐형 낙석방지 울타리
KR100537352B1 (ko) 강재를 이용한 2-아치형 도로 낙석방지시설
KR101572504B1 (ko) 개폐형 낙석방지책
KR100992055B1 (ko) 동물 안전 유도형 휀스
JP2015101948A (ja) 雪崩予防施設
KR20060135582A (ko) 분리형 와이어 로프를 가지는 낙석방지망
KR20120011567A (ko) 양개식 낙석방지책
JP2002115213A (ja) 防護柵
CN209179016U (zh) 一种便于安装的基坑桩间防护结构
KR200387013Y1 (ko) 낙석방지책
JP5795831B1 (ja) 金網柵用吊設扉および金網柵用吊設扉の設置方法
KR101399322B1 (ko) 동물과 식물의 도로침입을 차단하는 가드레일 보완 철제 구조물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200407047Y1 (ko) 방음벽 겸용 낙하방지책
JP6153187B1 (ja) 道路橋地覆拡幅ユニット
KR200256137Y1 (ko) 낙석 방지책
KR200281831Y1 (ko) 낙석 방지책 조립식 지주
KR200376547Y1 (ko)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JP2009084864A (ja) 落石防護兼雪崩予防施設
KR100629909B1 (ko) 도로용 이단 보조시설구조를 갖는 낙석 방지장치
KR101620592B1 (ko) 가드레일과 동물유도울타리 겸용 파워방형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