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225Y1 - 바스켓 밀 - Google Patents

바스켓 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225Y1
KR200425225Y1 KR2020060015833U KR20060015833U KR200425225Y1 KR 200425225 Y1 KR200425225 Y1 KR 200425225Y1 KR 2020060015833 U KR2020060015833 U KR 2020060015833U KR 20060015833 U KR20060015833 U KR 20060015833U KR 200425225 Y1 KR200425225 Y1 KR 200425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raw material
impeller
stirring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유니원기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원기연(주) filed Critical 유니원기연(주)
Priority to KR2020060015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2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2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3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3Mixing liquids with solids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perpendicular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 B01F27/80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with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tirrer, e.g.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pivoting the stirrer about a vertical axis in order to co-operate with differen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25Mixers with loose mixing elements, e.g. loose balls in a receptacle
    • B01F33/251Mixers with loose mixing elements, e.g. loose balls in a receptacle using balls as loose mix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1Mixing of ingredients for cosmetic or perfume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Mixing paints or paint ingredients, e.g. pigments, dyes, colours, lacquers or enam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에 충전된 액상의 원료를 보다 미세한 입자를 가진 원료로 만드는데 있어서, 교반바스켓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바스켓 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측에 구비된 모터(5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2)과, 이 회전축(32)의 하단부에 구비된 임펠러(34)와, 상기 임펠러(34)가 내장되도록 상기 회전축(32)의 둘레부에 지지수단(36)에 의해 고정된 교반바스켓(33)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반바스켓(33)에 밀볼(37)을 담아 액상의 원료를 교반하거나 입자를 미립화하는 바스켓 밀에 있어서, 상기 교반바스켓(33)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오목부(38)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38)의 측면에는 스크린(3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밀이 제공된다.
용기, 교반바스켓, 임펠러, 보조임펠러, 오목부

Description

바스켓 밀{A basket mill}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용기 32 : 회전축
33 : 교반바스켓 34 : 임펠러
37 : 밀볼 38 : 오목부
본 고안은 액상의 원료를 교반하거나 입자를 미립화하기 위한 바스켓 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충전된 액상의 원료를 보다 미세한 입자를 가진 원료로 만드는데 있어서, 교반바스켓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바스켓 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인트나 안료, 화장품과 같은 액상의 원료를 교반하거나 보다 미세한 입자를 가진 원료를 제공하기 위한 바스켓 밀 또는 링 밀은 원료가 충전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충전된 원료를 교반하는 임펠러가 구비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바스켓 밀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고정된 용기(11)와, 상기 용기(11)의 내부에서 회전되며 그 하단부에 보조임펠러(15)가 구비된 회전축(12)과, 상기 보조임펠러(15)의 상부에 위치되어 지지수단(18)에 의해 고정되며 그 측면에 스크린(16)이 구비된 교반바스켓(13)와, 상기 교반바스켓(13)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1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임펠러(1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교반바스켓(13) 내부에는 일정량의 밀볼(17)이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밀볼(17)은 세라믹이나 강 또는 유리와 같은 재료의 볼로서, 원료와 함께 회전되면서 원료를 더욱 미세한 입자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12)의 상단 에는 이를 구동하는 모터(20)가 구비되며, 또한 프레임(10)에 고정된 하우징(21)과 그 내부에 압설된 베어링(22)에 의해 상기 회전축(12)이 양단 지지되어 회전된다. 또한 상기 교반바스켓(13)의 상단에는 이를 고정하는 지지수단(16)이 하우징(21)에 볼트결합되어 있다. 상기 용기(11)에 원료가 충전되면 상기 교반바스켓(13)의 측면에 구비된 스크린(16)을 통하여 교반바스켓(13)의 내부로 원료가 유입되며 회전축(12)에 의해 보조임펠러(15)와 임펠러(14)가 회전되면서 용기(11)에 충전된 원료를 교반하거나 미립화하게 된다. 상기 보조임펠러(15)는 용기(11) 내부의 원료를 교반하며, 임펠러(14)는 교반바스켓(13) 내부에 충전된 밀볼(17)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린(16)을 통하여 유입된 원료의 입자를 미세하게 한다.
하지만, 상기 스크린(16)은 교반바스켓(13)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임펠러(14)의 회전에 의해 교반바스켓(13) 내부에 충전된 밀볼(17)은 원심력을 받아 교반바스켓(13)의 내측벽으로 쏠리게 되고, 이에 의해 스크린(16)과 부딪히게 되므로 스크린(16)이 손상될 수 있으며, 손상된 스크린(16)은 그 매쉬(mesh)가 커지게 되므로 이를 통하여 교반바스켓(13) 내부로 유입된 원료는 충분히 교반되지 못하고 다시 유출되므로 입자의 미립화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보다 미립화된 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 적은 용기으로부터 원료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스크린이 구비된 교반바스켓에 있어서, 그 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이에 구비된 스크린을 통하여 원료가 교반되거나 원료의 입자가 미립화되는 바스켓 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측에 구비된 모터(5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2)과, 이 회전축(32)의 하단부에 구비된 임펠러(34)와, 상기 임펠러(34)가 내장되도록 상기 회전축(32)의 둘레부에 지지수단(36)에 의해 고정된 교반바스켓(33)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반바스켓(33)에 밀볼(37)을 담아 액상의 원료를 교반하거나 입자를 미립화하는 바스켓 밀에 있어서, 상기 교반바스켓(33)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오목부(38)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38)의 측면에는 스크린(3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밀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38)에 대응된 위치의 회전축(32)에는 다수의 보조임펠러(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밀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실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에 고정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의 용기(31)과, 상기 용기(31)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보조임펠러(35) 및 임펠러(34)가 구비되며 상단에는 모터(53)가 구비된 회전축(32)과, 상기 임펠러(34)가 내장되도록 상기 회전축(32)에 그 중심부가 관통되며, 지지수단(36)에 의해 고정된 원통형상의 교반바스켓(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교반바스켓(33)의 하부면에는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는 지지수단(36)과 볼트결합된 상면커버(4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교반바스켓(33)의 내부에는 밀볼(37)이 일정량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38)에는 스크린(39)이 구비되어 원료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가 충전되는 용기(31)은 프레임(5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2)이 왕복기구(52)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50)에 수직설치된 왕복기구(52)에 의해 승하강되는 가로프레임(51)의 일측에 고정된 하우징(54)과 모터(53)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53)의 구동축에 회전축(32)의 상단이 결합되며 하우징(54) 내에 압설된 베어링(5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양단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4)의 하단에는 상기 교반바스켓(33)를 고정하는 지지수단(36)이 양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36)의 하단에는 교반바스켓(33)과 상면커버(40)가 볼트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2)의 하단에는 용기(31)에 충전된 원료를 교반시키는 보 조임펠러(35)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와 간격을 두고 임펠러(34)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교반바스켓(33)에 의해 내장되는 것으로 밀볼(37)을 회전시켜 스크린(39)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료를 미세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바스켓(33)의 하부면에는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교반바스켓(33)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임펠러(34)의 끝단은 하부로 절곡되어 오목부(38)에 형성된 스크린(39)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료를 교반시켜 입자를 미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표면에는 돌기(41)가 형성되어 원료의 혼합 또는 입자를 더 미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바스켓(33)의 상부에 구비된 상면커버(40)는 그 내부에 충전된 밀볼(37)이 임펠러(34)의 회전에 의해 교반바스켓(33)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것과 유사하다.
또한 상기 오목부(38)에는 그 측면에 스크린(39)이 구비되는데, 이는 교반바스켓(33) 내부에서 회전되는 밀볼(37)이 원심력에 의해 교반바스켓(33)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스크린(39)을 손상시킬 수 있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밀볼(37)과 접촉되지 않는 회전 중심측에 스크린(39)이 구비됨으로써 교반바스켓(33)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오목부(38)에 대응된 위치의 회전축(32)에는 다수의 보조임펠러(35)를 더 구비되어 용기(31)에 수용된 원료의 순환 또는 용기(31)와 교반바스켓(33) 사이에 이루어지는 원료의 순환을 더 원활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바스켓(33)의 외부에는 특수합금이나 세라믹 등과 같은 재료을 코팅 또는 도포하여 교반바스켓(33)의 수명연장 및 원료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바스켓(33)의 측면에도 스크린(39)이 구비되어 원료의 유입 또는 유출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으로부터 원료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스크린이 형성된 교반바스켓에 있어서, 저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되며 그 측면에 스크린이 구비됨으로써 원심력을 받아 내벽측으로 쏠리는 밀볼에 의한 스크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에 대응된 위치의 회전축에는 다수의 보조임펠러가 더 구비되어 단위시간당 유출입되는 원료의 양 또는 교반횟수를 증대시켜 원료의 혼합 또는 순환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보다 미세한 입자를 가진 원료를 제공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측에 구비된 모터(5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2)과, 이 회전축(32)의 하단부에 구비된 임펠러(34)와, 상기 임펠러(34)가 내장되도록 상기 회전축(32)의 둘레부에 지지수단(36)에 의해 고정된 교반바스켓(33)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반바스켓(33)에 밀볼(37)을 담아 액상의 원료를 교반하거나 입자를 미립화하는 바스켓 밀에 있어서, 상기 교반바스켓(33)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오목부(38)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38)의 측면에는 스크린(3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8)에 대응된 위치의 회전축(32)에는 다수의 보조임펠러(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밀.
KR2020060015833U 2006-06-13 2006-06-13 바스켓 밀 KR200425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33U KR200425225Y1 (ko) 2006-06-13 2006-06-13 바스켓 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33U KR200425225Y1 (ko) 2006-06-13 2006-06-13 바스켓 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225Y1 true KR200425225Y1 (ko) 2006-08-30

Family

ID=4177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833U KR200425225Y1 (ko) 2006-06-13 2006-06-13 바스켓 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2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28B1 (ko) 2009-06-01 2011-04-22 김경호 바스켓 밀
KR101267980B1 (ko) 2011-11-15 2013-05-27 유니원기연(주) 교반밀
KR102396306B1 (ko) * 2022-01-21 2022-05-11 주식회사 혜성지테크 도료 연속 분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28B1 (ko) 2009-06-01 2011-04-22 김경호 바스켓 밀
KR101267980B1 (ko) 2011-11-15 2013-05-27 유니원기연(주) 교반밀
KR102396306B1 (ko) * 2022-01-21 2022-05-11 주식회사 혜성지테크 도료 연속 분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828B1 (ko) 바스켓 밀
KR101313725B1 (ko) 바스켓 밀
KR101030987B1 (ko) 교반밀
KR20090087688A (ko) 바스켓 밀
KR200425225Y1 (ko) 바스켓 밀
JPH07789A (ja) 無菌液の攪拌用のインペラ
KR101179201B1 (ko) 교반기
US7815135B2 (en) Ice shaving machine
JP2008100197A (ja) 攪拌装置および残原料の排出方法
KR101612616B1 (ko) 비드밀
CN106378075B (zh) 一种浮球定位除泡的反应釜
JPH0673620B2 (ja) 分散装置
CN204816310U (zh) 一种搅拌釜
KR101258207B1 (ko) 교반장치
KR100375296B1 (ko) 분산장치
CN209564912U (zh) 一种新型配料搅拌罐
KR20140133300A (ko) 비드밀
CN210159550U (zh) 一种高速混合机
JP2011110205A (ja) 洗米装置
CN214438709U (zh) 电池材料搅拌机的桶口刮料结构
CN108854749A (zh) 一种噻嗪酮配料装置
CN107930467A (zh) 一种隧道砖混料装置
CN211487528U (zh) 一种水处理药剂加药装置
CN209284918U (zh) 一种物料清洗装置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3239193B2 (ja) 媒体分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