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183Y1 - 적층전원분배패널 - Google Patents

적층전원분배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183Y1
KR200425183Y1 KR2020060011436U KR20060011436U KR200425183Y1 KR 200425183 Y1 KR200425183 Y1 KR 200425183Y1 KR 2020060011436 U KR2020060011436 U KR 2020060011436U KR 20060011436 U KR20060011436 U KR 20060011436U KR 200425183 Y1 KR200425183 Y1 KR 200425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ranch
main
straight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현
Original Assignee
안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현 filed Critical 안광현
Priority to KR2020060011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18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전원분배패널에 관한 것으로, 한 개의 입력전원을 다수개의 출력전원으로 분배하는 전원분배패널에 있어, 다수개의 메인선로와 직선과 곡선형상의 분기선로와 메인회로차단기와 분기회로차단기와 메인선로의 재료규격과 동일한 재료규격을 갖는 직선과 곡선형상의 커넥터와 요홈이 형성된 수직형 메인선로지지대와 다수 층 선로의 수직일직선상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나사볼트구멍을 사용하여, 메인선로에 메인회로차단기를 연결할 때 직선과 곡선커넥터를 사용하여 결합하고 메인선로에 분기회로차단기를 연결할 때 직선과 곡선분기선로를 결합하여 적층선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전원분배패널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전원분배패널을 설치할 때 선로를 층상으로 배치하여 점프배선을 하지 않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메인선로와 분기선로를 직결하는 경우의 전원분배내용과 동등한 조건으로 메인선로상의 분기선로 체결방법이 용이함으로서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
직선분기선로, 곡선분기선로, 직선커넥터, 곡선커넥터, 수직형 메인선로지지대

Description

적층전원분배패널{Power Distribution Panel of Layer-built}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을 예시한 구성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을 예시한 구성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을 예시한 구성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을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의 커넥터를 예시한 커넥터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의 분기선로를 예시한 분기선로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바닥판 20; 볼트 30; 너트 40; 수직형 메인선로지지대
41; 지지대 요홈 50; 나사볼트 51; 나사볼트구멍
110; 메인선로 131; 직선분기선로 133; 곡선분기선로
210; 메인회로차단기 230; 분기회로차단기 311; 직선커넥터
313; 곡선커넥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전원분배패널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은 메인선로와 분기선로를 평면으로 배치할 때 다수개의 선로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점프배선하고 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층상수직으로 배치할 때 분기선로가 체결되는 메인선로의 위치가 층별로 수직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수평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메인선로상의 나사볼트구멍을 형성할 때 다수개의 메인선로를 중첩하여 1회에 천공하지 못하고 메인선로의 층별로 1개씩 서로 다른 위치에 천공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클립형태의 분기선로는 가공이 어려우며 메인선로와 분기선로를 연결할 때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 커넥터재료의 용량과 재질과 화학성분과 도전율 등의 재료규격이 동등하지 않아 두 선로를 직결하는 경우의 전원분배내용과 상이한 조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로를 층상으로 배치하고 메인선로상의 분기선로 체결위치를 수직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과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 두 선로를 직결하는 경우의 전원분배내용과 동등한 조건으로 연결하는 것과 연결기구로서 제 3의 이질재료가 소요되지 않고 부스바로만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을 예시한 구성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을 예시한 구성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을 예시한 구성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을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의 커넥터를 예시한 커넥터상세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로서 적층전원분배패널의 분기선로를 예시한 분기선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개의 입력전원을 다수개의 출력전원으로 분배하는 전원분배패널에 있어, 다수개의 메인선로(110)와 직선형상의 직선분기선로(131)와 직선형상과 수평곡선형상과 수직곡선형상이 조합된 곡선분기선로(133)와 1개의 메인회로차단기(210)와 다수개의 분기회로차단기(230)와 메인선로의 용량과 재질과 화학성분과 도전율 등의 재료규격이 동등 이상의 재료규격을 갖는 직선형상의 직선커넥터(311)와 메인선로의 용량과 재질과 화학성분과 도전율 등의 재료규격이 동등 이상의 재료규격을 갖는 직선형상과 수평곡선형상과 수직곡선형상이 조합된 곡선커넥터(313)와 바닥판(10)과 볼트(20)와 너트(30)와 지지대 요홈(41)이 형성된 수직형 메인선로지지대(40)와 다수 층 선로(110, 131, 133)의 수직일직선상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나사볼트구멍(51)과 나사볼트(50)로 구성하여, 메인선로(110)에 메인회로차단기(210)를 연결할 때 상기 직선커넥터(311)와 곡선커넥터(313)를 사용하여 결합하고 메인선로(110)에 분기회로차단기(230)를 연결할 때 상기 직선분기선로(131)와 곡선분기선로(133)를 결합하여 적층선로를 구성한다.
상기 바닥판(10)의 2개소 이상의 위치에 4개 이상의 볼트(20)를 설치하고 너트(30)를 체결한 후 2개 이상의 수직형 메인선로지지대(40)를 상기 볼트(20)에 삽입하고, 종 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볼트구멍(51)이 형성된 한 개의 메인선로(110)를 상기 수직형 메인선로지지대(40)의 지지대 요홈(41)에 삽입한 후 상기 볼트(20)에 차 상층의 수직형 메인선로지지대(40)를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메인선로(110)의 일측 단부에 커넥터(311, 313))의 일측 단부를 체결하고 상기 커넥터(311, 313)의 다른 일측 단부를 메인회로차단기(210)에 체결한 후, 한 개의 분기선로(131, 133)의 중앙지점에 위치한 나사볼트구멍(51)을 메인선로(110) 나사볼트구멍(51)과 일치시켜 나사볼트(50)를 체결하고, 분기선로(131, 133)의 양단부에 분기회로차단기(230)를 설치하는 순서대로 상기 1개 층의 메인선로(110)에 다수개의 분기선로(130)를 병렬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1개 층을 완성한 후에 반복하여서 상기와 동일한 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수개의 커넥터(311, 313)와 선로(110, 131, 133)와 회로차단기(210, 230)를 연결하는 공정을 3회 이상 반복하여서 결합하고, 최상위층 메인선로(110) 위의 돌출된 볼트(20)에 너트(30)를 체결하여 구성한다.
상기의 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하면, 메인선로(110)에 메인회로차단기(210)를 연결할 때 상기 직선커넥터(311)와 곡선커넥터(313)를 사용하여 결합하고 메인선로(110)에 분기회로차단기(230)를 연결할 때 상기 직선분기선로(131)와 곡선분기선로(133)를 결합하여 적층선로를 구성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선로(110)에 분기회로차단기(230)를 연결할 때 상기 메인선로(110)와 상기 분기회로차단기(230) 사이에 단수개의 분기회로차단기(230)용 직선분기선로(131)와 곡선분기선로(133)를 결합하여 적층선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선로(110)에 분기회로차단기(230)를 연결할 때 상기 분기회로차단기(230)와 상기 직선분기선로(131) 사이에 직선커넥터(311)와 곡선커넥터(313)를 결합하여 적층선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여, 전원분배패널을 설치할 때 선로를 층상으로 배치하여 점프배선을 하지 않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메인선로와 분기선로를 직결하는 경우의 전원분배내용과 동등한 조건으로 메인선로상의 분기선로 체결방법이 용이함으로서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한 개의 입력전원을 다수개의 출력전원으로 분배하는 전원분배패널에 있어,
    메인선로(110)와;
    직선형상의 직선분기선로(131)와;
    직선형상과 수평곡선형상과 수직곡선형상이 조합된 곡선분기선로(133)와;
    메인회로차단기(210)와;
    분기회로차단기(230)와;
    메인선로의 용량과 재질과 화학성분과 도전율의 재료규격이 동일한 재료규격을 갖는 직선형상의 직선커넥터(311)와;
    메인선로의 용량과 재질과 화학성분과 도전율의 재료규격이 동일한 재료규격을 갖는 직선형상과 수평곡선형상과 수직곡선형상이 조합된 곡선커넥터(313)와;
    바닥판(10)과;
    볼트(20)와; 너트(30)와;
    지지대 요홈(41)이 형성된 수직형 메인선로지지대(40)와;
    다수 층 선로(110, 131, 133)의 수직일직선상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나사볼트구멍(51)과;
    나사볼트(50)와; 로 구성하여,
    메인선로(110)에 메인회로차단기(210)를 연결할 때 상기 직선커넥터(311)와 곡선커넥터(313)를 사용하여 결합하고
    메인선로(110)에 분기회로차단기(230)를 연결할 때 상기 직선분기선로(131)와 곡선분기선로(133)를 결합하여 적층선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전원분배패널
  2. 제 1항에 있어, 메인선로(110)에 분기회로차단기(230)를 연결할 때 상기 메인선로(110)와 상기 분기회로차단기(230) 사이에 단수개의 분기회로차단기(230)용 직선분기선로(131)와 곡선분기선로(133)를 결합하여 적층선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전원분배패널
  3. 제 1항에 있어, 상기 메인선로(110)에 분기회로차단기(230)를 연결할 때 상기 분기회로차단기(230)와 상기 직선분기선로(131) 사이에 직선커넥터(311)와 곡선커넥터(313)를 결합하여 적층선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전원분배패널
KR2020060011436U 2006-04-28 2006-04-28 적층전원분배패널 Expired - Fee Related KR200425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436U KR200425183Y1 (ko) 2006-04-28 2006-04-28 적층전원분배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436U KR200425183Y1 (ko) 2006-04-28 2006-04-28 적층전원분배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431A Division KR20070106054A (ko) 2006-04-28 2006-04-28 적층전원분배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183Y1 true KR200425183Y1 (ko) 2006-09-01

Family

ID=4177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43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25183Y1 (ko) 2006-04-28 2006-04-28 적층전원분배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1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4436B2 (en) Plug-in circuit breaker assembly
CN102844947A (zh) 具有并联馈电线分布的配电板
US9166312B2 (en) Terminal block assemblies an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including same
US8039997B2 (en) Power supply strip for electronic equipment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WO2013166562A1 (en) Lamellar electrical switch board
KR100637910B1 (ko) 부하 배치 가능한 전기 분배 버스
KR101506670B1 (ko) 레일식 전원 분배장치
KR20070106054A (ko) 적층전원분배패널
KR20130005426U (ko)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KR100761484B1 (ko)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KR20100009432A (ko) 분전반용 차단기 받침대
KR20140049687A (ko)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을 위한 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
CN101257192B (zh) 低压配电柜主母线夹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101256157B1 (ko)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의 결합장치 및 결합방법
KR200425183Y1 (ko) 적층전원분배패널
CN202019055U (zh) 连接在开关末端的分线端子
KR200415388Y1 (ko)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KR200419745Y1 (ko) 적층전원분배패널
CN102549864B (zh) 垂直电母线排支承系统
KR101448160B1 (ko)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장치
JP2010044931A (ja) 電気機器間の接続構造
KR102039142B1 (ko) 분전기능을 갖는 저압부싱 및 이를 포함하는 주상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8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5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