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910B1 - 부하 배치 가능한 전기 분배 버스 - Google Patents

부하 배치 가능한 전기 분배 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910B1
KR100637910B1 KR1020047014293A KR20047014293A KR100637910B1 KR 100637910 B1 KR100637910 B1 KR 100637910B1 KR 1020047014293 A KR1020047014293 A KR 1020047014293A KR 20047014293 A KR20047014293 A KR 20047014293A KR 100637910 B1 KR100637910 B1 KR 100637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oad
assembly
power
condu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1399A (ko
Inventor
리네한토마스
스크로에더프레드
존스톤토드
칼라프존
Original Assignee
디-엠-이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엠-이 컴퍼니 filed Critical 디-엠-이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4011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01R31/085Short circuiting bus-str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Fuse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전기 분배용 어셈블리는 6개 이상의 전도부를 포함하며, 분배부 및 전원 인가부를 형성하며, 상기 전도부의 부하 연결부는 상기 어셈블리의 분배부 내에 적층체로 배열된다. 각각의 전도부의 부하 연결부는 각각의 부하가 상기 어셈블리의 분배부에서 두 개의 전도부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적층체 너머로 돌출한다. 각각의 전도부의 상기 전원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전도부의 상기 전원 연결부는 모든 다른 전도부의 전원 연결부로부터 전기 절연된다. 상기 어셈블리는 3상 전원의 중성 기준점과의 연결을 위한 공통 전도부 및 전도부를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 스트랩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전도성 스트랩은 단상, 3상 Y 회로 및 3상 델타 회로 배치들 중의 하나에 따라 연결 부하를 전기적으로 배치한다.

Description

부하 배치 가능한 전기 분배 버스{LOAD CONFIGURABLE ELECTRICAL DISTRIBUTION BUS}
본 발명은 전기 설비의 전력 분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력을 전원 연결 말단으로부터 복수의 부하에 분배하는 전기 설비 내의 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적층된 도체 및 절연체를 구비하는 전기 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AC 및 DC 전원의 연결에 적합하게 단일 버스 구성의 선택된 도체 쌍들의 상호 연결을 허용하는 적층형 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지금까지, 버스 시스템에 부하를 연결하는 “Y 회로”, “델타 회로” 또는 단상과 같은 배치는 부하에 대한 특정한 연결 구성을 필요로 한다. 3상 “Y 회로”, 3상 “델타 회로” 및 단상 배치 중의 이미 연결된 부하의 배치를 개장하기 위한 수단이 종래기술에서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부하를 버스 시스템에 연결하는 것을 사전 설정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따라서, 적용된 전원이 요구하는 부하 전기 배치를 달성하도록 설비 설치 중에 부하를 전력 분배 버스 시스템에 연결할 필요가 있었다. 설비 설치 중에 부하를 버스 시스템에 연결해야 하므로, 전원 위상 중의 부하의 불균형이 발생하거나 부하가 원하는 동작을 위한 필요한 전력을 끌어내도록 연결되지 않는 연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 연결의 형상을 원하는 바와 같이 Y 회로 또는 델타 회로 형태 또는 단상으로 하면서 버스 시스템에 대한 부하의 오접(mis-connection) 가능성을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부하 연결용 전도부를 구비하는 전기 분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어셈블리는 전원 인가부를 구비하며, 전도부 사이의 상호 연결은 연결 스트랩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3상 “Y 회로”“델타 회로” 및 단상 배치들 중의 하나에 따라 연결 부하의 전기적 배치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전술한 목적에 따른 어셈블리는 분배부 및 전원 인가부를 형성하고, 적어도 6 개의 전도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전도부는 적어도 하나의 부하 연결부와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부하 연결부는 상기 어셈블리 내에 적층체로 배열된다. 각각의 상기 부하 연결부는 각각의 부하가 상기 분배부에서 두 개의 전도부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적층체 너머로 돌출한다. 각각의 전도부의 상기 전원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전도부의 상기 전원 연결부는 모든 다른 전도부의 전원 연결부로부터 전기 절연된다. 상기 어셈블리는 3상 전원의 중성 기준점과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서 세 개의 연결 요소를 갖는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는 공통 전도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전도성 스트랩은 단상, 3상 Y 회로 및 3상 델타 회로 배치들 중의 하나에 따라 연결 부하를 전기적으로 배치하도록 선택된 전원 연결부를 상호 연결하는 전도성 스트랩을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의 버스 바 어셈블리의 전도부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3c는 도 1의 버스 바 어셈블리에 연결된 선택적인 전기 배치를 나타내는 전기 회로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부하 전기 배치를 위한 상호 연결 스트랩의 용례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지만,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와 모든 균등물에 의해 정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배부(12)와 전원 인가부(14)를 절단한 상태의 버스 바 어셈블리(10)가 도시된다. 버스 바 어셈블리(10)는 6 개 이상의 전도부(20, 22, 24, 26, 28, 30)를 구비한다. 분배부(12)는 전도부(20)의 도면부호 32, 34, 36, 38, 40 및 42로 나타낸 부하 연결부를 포함하며, 이들은 부하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어셈블리 너머로 돌출한다. 전원 인가부(14)는 선택된 부하 배치(load configuration)에 따라 전도부의 상호 연결을 위한 전원 연결 요소(50, 52, 54, 56, 58, 60)를 구비하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 인가부(14)는 부하 배치를 위한 상호 연결에도 역시 채용되는 공통 연결 요소(64, 66, 68)를 갖는 공통 전도부(62)를 구비한다. 예컨대 주 전원으로부터의 전기 에너지원 전도부는 전원 인가부(14)에서 어셈블리(10)에 연결된다. 각각의 전도부(20-3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도체로 구성되며, 각각의 도체는 어셈블리(10) 내부의 각기 의도된 상대적 위치에 적합한 고유 형태를 갖는다. 전원 연결 요소(50-68)는 연결 요소와 전도부 사이가 전기 전도되도록 파스너(도시 생략)에 의해 각각의 전도부에 장착된다. 연결 요소와 부하 연결부의 연결 부위를 제외하면, 각각의 전도부는 어셈블리(10)에 장착된 전도부 사이의 전기 절연을 제공하도록 절연체로 피복되면 좋다. 절연 피복 이외에, 절연 시트(도시 생략)가 어셈블리(10)에 배열된 전도부 사이에 개재되면 유리하다. 절연 시트의 소재와 두께는 어셈블리(10)에 특정된 환경적인 동작 범위를 통해 전기 절연을 확보하도록 인가되는 전력의 특징에 따라 선택된다. 전도부(20-30)는 절연 시트가 있다면 그와 함께 어셈블리(10)에 결합되는데, 이들은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볼트(46, 48)( 및 도시 생략한 너트)와 같은 부도체 파스너에 의해 결합된다.
도 2a와 2b를 참조하면, 도 1의 전도부(22, 28)에 각기 해당하는 완전한 전 도부의 예가 사시도로 도시된다. 비록 {도 2a의 연결부(32) 및 도 2b의 연결부(40)인} 네 개의 부하 연결부를 수용하는 길이로 도시하였지만, 부하 연결부의 수효와 각각의 전도부의 길이는 전력이 분배될 설비에 따른 설계의 문제일 뿐이다. 전도부(20-24)의 부하 연결부 내의 돌출형 연결부는 모든 전도부에 대해 어셈블리(10) 너머의 돌출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도부(26-30)의 부하 연결부 내의 돌출형 연결부는 어셈블리(10) 너머의 돌출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비록 어셈블리(10)에 직각으로만 돌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연결부 또는 그 일부는 연결부에 연결되는 부하 전도부의 최종 만곡부 또는 굴곡부의 날카로움을 줄이기에 적절한 각도로 향하도록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전도부 및 전도부(20-30)의 부하 연결부 내의 연결부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적층 방식으로 어셈블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그 점에 있어서, 돌출부는 전도부 가장자리 위 또는 아래의 전도부의 평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전도부 평면으로부터 돌출부는 어셈블리 내의 전도부로부터 유극(遊隙)을 제공하도록 돌출하고 그 위아래에서 돌출 연결부가 연장된다. 장점으로서, 상업적으로 공급되는 연결 탭(도시 생략)과 같은 특정한 연결 요소는 부하에 연결된 전도부에 부착되는 “누름 작동식 또는 푸시-온(push-on)” 러그와 같은 연결 요소와의 대응 연결을 위해 연결부 예컨대 연결부(32, 40)의 돌출단에 리벳 또는 다른 파스너에 의해 고정된다. 돌출형 연결부를 제외하면, 전도부(20-30)는 어셈블리(10)의 분배부(12)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평탄하면서 긴 형태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부(22)는 전원 연결부 위쪽의 후방 돌출형 연장부(도 1에 띠줄로 도시한 연장부)가 유리하게 형성된다. 전도부(22)와 연결 요소(70)가 서로 전기 전도되도록 연결 요소(70)가 이 연장부에 부착된다. 이 연장부가 형성되므로, 연결 요소(70)는 어셈블리(10) 내의 전도부(62) 후방에서 전도부(62)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의 전도부(20, 24)에는 후방 돌출형 연장부 및 연결 요소(도 1에 띠줄로 도시한 연장부)가 제공된다. 전도부(20, 24)의 대응하는 연결 요소와 함께 연결 요소(70)는 연결 요소(50-60, 64-68)에 대한 접근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 전원으로부터 어셈블리(10)로의 전원 전달 전도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전도부(62)와 전도부(20-30)의 전원 연결부에 의해, 연결 요소(50-60, 64-68)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도부(22)의 전원 연결부는 전원 연결 요소(50)용 베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있고 그로부터 전기 절연된 전원 연결 요소(52)용 베이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전도부(24)의 전원 연결부는 전원 연결 요소(52)용 베이스와 동일한 평면에 있고 그로부터 전기 절연된 전원 연결 요소(54)용 베이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부(28)의 전원 연결부는 전도부(26, 30)의 유사한 베이스로부터 전기 절연된 전원 연결 요소(58)용 베이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전원 연결 요소(56, 60)용 베이스들과 전원 연결 요소(58)용 베이스는 전원 연결 요소(50-54)용 베이스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도 1을 도 2b와 함께 살펴보면, 전도부(28)의 긴 본체로부터 지지 요소(58)용 베이스로 돌출한 부분은 전도부 어셈블리 내의 전도부(28)의 상대적인 위치에 좌우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전도부(26, 30)에 대해서, 긴 전도부의 본체로부터 연결 요소용 베이스로 돌출한 부분은 어셈블리(10) 내의 전도부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부하의 전기 배치는 3상 “Y 회로”, 3상 “델타 회로” 및 단상으로 각각 도시된다. 전기 회로도에서, 부하는 Z1, Z2 및 Z3으로 표시하며, 어셈블리(10)의 전도부(20-30)는 B1, B2, B3, B4, B5 및 B6과 동일하며(대응 관계가 표 1에 기재), 전원은 전도부(20, 22, 24)의 전원 연결부 내의 전원선(L1, L2, L3)용 연결부에 인가된다{예컨대 도 2a의 연결 요소(70)참조}. 도 3a( 3상 “Y 회로”)에서, 전원선(L1, L2, L3)에 추가하여 전원의 전기적 중성점(“N”)에 대한 연결이 제공된다. 전원 중성점을 어셈블리(10)에 연결하는 것은 부착된 연결 요소(72)에 의해 공통 전도부(62)에 이루어진다. 전원선(L1-L4) 중의 부하의 연결은 전도성 스트랩(S1, S2, S3)(3상 구성) 및 전도성 스트랩(S1, S2, S3, S4)(단상 배치)을 사용하여 전원 연결부에서 이루어진다. 각각의 Z1, Z2 및 Z3으로 표시되는 실제 부하는 통상 전도부(20-30)의 복수의 부하 연결부에 걸쳐 분배되는 복수의 장치이며, 전도부(20-30)의 실제 연결의 목적은 전원선(L1, L2, L3) 중의 부하 전류의 평형을 달성하는 것이다. 도 3a의 “Y 회로” 배치에서, 모든 부하의 일단은 전도부(B4, B5, B6)를 모두 함께 연결하는 스트랩(S1, S2, S3)에 의해 중성점 “N”에 연결되고, 전원 중성점에 연결된다. 도 3b의 “델타 회로”에서, 부하(Z1)는 전도성 스트랩(S2)에 의해 전원선(L1, L2) 사이에 연결되고, 부하(Z2)는 전도성 스트랩(S3)에 의해 전원선(L2, L3) 사이에 연결되며, 부하(Z3)는 전도성 스트랩(S1) 에 의해 전원선(L2, L3) 사이에 연결된다. 도 3c의 단상 배치에서, 전원선(L2, L3)은 스트랩(S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부하(Z1)는 스트랩(S4, S3)에 의해 전원선(L1, L2) 사이에 연결되며, 부하(Z2)는 스트랩(S2, S1)에 의해 전원선(L2, L1) 사이에 연결되며, 부하(Z3)는 스트랩(S3, S1)에 의해 전원선(L2, L1) 사이에 연결된다.
도 3a-3c의 전기 회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Z1, Z2, Z3)로 나타낸 실제 부하는 3상 “Y 회로”, 3상 “델타 회로” 또는 단상으로 전기적으로 배치되는 가의 여부와 무관하게 전도부(B1-B6)에 연결된다. 연결된 부하의 실제 수효와 무관하게, 어셈블리(10)에 대한 부하 연결은 적용된 전원에 제공되는 바와 같이 부하의 전기적인 균형(부하에 전달된 전류의 대략적인 균등화)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연결은 적용된 전원에 의해 부하에 요구되는 전기적 배치와 관계없이 설비 내의 부하 및 전력 분배 전도부 사이에 이루어진다. 전원에 의해 요구되는 전기적 배치에 부하를 맞추는 것은 전도부 스트랩(S1-S4)을 사용하면 용이하며 어셈블리(10)의 부하와 전도부 사이의 연결을 재배열할 필요가 없다.
전도부(도 1) 연결 요소 전도부(도 3a-3c) 전원선
20 50 B2 L2
22 52 B3 L3
24 54 B1 L1
26 56 B4
28 58 B5
30 60 B6
도 1의 어셈블리(10)에 적용되는 바와 같이, 도 3a-3c의 전도부(B1-B6), 부 하(Z1-Z3) 및 전도성 스트랩(S1-S4)의 물리적인 배열은 도 4a-4c에 각각 도시된다. 도 4a에서, 전도성 스트랩(S1)이 연결 요소(56, 54) 사이에 장착되며, 전도성 스트랩(S3)은 연결 요소(60, 68) 사이에 장착된다. 모든 연결 요소(64, 66)가 전도부(62)에 연결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와 같이, 모든 전도부(B4, B5, B6)는 전도성 스트랩(S1, S2, S3)에 의해 서로 그리고 전기적 중성점(도 3a에 도시)에 연결된다. 도 4b에서, (모두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트랩(S1)은 전도부(B1, B6)를 연결하는 연결 요소(54, 60) 사이에 장착되고, 스트랩(S2)은 전도부(B2, B4)를 연결하는 연결 요소(50, 56) 사이에 장착되며, 스트랩(S3)은 전도부(B3, B5)를 연결하는 연결 요소(52, 58) 사이에 장착된다. 도 4c에서, 전도성 스트랩(S1)은 연결 요소(54, 60) 사이에 장착되고, 전도성 스트랩(S2)은 연결 요소(60, 58) 사이에 장착되며, 전도성 스트랩(S1, S2)은 전도부(B1, B6, B5)를 상호 연결하며; 전도성 스트랩(S3)은 연결 요소(50, 52) 사이에 장착되고, 전도성 스트랩(S4)은 연결 요소(50, 56) 사이에 장착되며, 전도성 스트랩(S3, S4)은 전도부(B2, B3, B4)를 상호 연결한다(도 3c에 도시). 도 4a-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부(B1-B6)의 전원 인가부 및 공통 전도부(62)의 연결 요소는 3열 3행의 행렬에 공간적으로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서 돌출하여 전도성 스트랩(S1-S4)의 적용을 용이하게 한다. 장점으로서, 행렬 내의 연결 요소의 공간적 배치는 전도성 스트랩이 치수와 형태가 물리적으로 균일하게 되도록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어떠한 전도성 스트랩이라도 인접한 열 또는 행의 연결 요소 사이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주 전원의 전기 에너지를 분배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분배부 및 전원 인가부를 형성하고, 적어도 6 개의 전도부, 공통 전도부 및 복수의 전도성 스트랩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전도부는 적어도 하나의 부하 연결부와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부하 연결부는 적층체로 배치되고, 상기 전도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각각의 상기 부하 연결부는 각각의 부하가 상기 분배부에서 두 개의 전도부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기 적층체 너머로 돌출하며, 각각의 상기 전원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전도부의 상기 전원 연결부는 모든 다른 전도부의 전원 연결부로부터 전기 절연되며,
    상기 공통 전도부는 세 개의 연결 요소를 갖는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고, 3상 전원의 중성 기준점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며,
    상기 전도성 스트랩은 단상, 3상 Y 회로 및 3상 델타 회로 배치들 중의 하나에 따라 연결 부하를 전기적으로 배치하도록 선택된 전원 연결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전도부의 상기 부하 연결부는 적층체 너머의 돌출 거리가 모든 전도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전도부는 전원 연결부 및 부하 연결부의 연결 부위를 제외하고는 절연층으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하 연결부는 부하에 연결된 전도부의 연결 요소와의 대응 맞물림을 위해 배치된 특정 연결 요소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연결 요소는 상기 부하 연결부에 고정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도부의 세 개의 연결 요소 및 상기 전도부의 전원 연결부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요소는 3열 3행의 정방형 행렬에 공간적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스트랩은 상기 행렬의 열 또는 행에 놓인 두 개의 인접 연결 요소 사이의 거리만큼의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 중의 세 개의 전도부의 전원 연결부는 상기 어셈블리의 전원 인가부 위쪽 후방으로 돌출한 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연장부는 주 전원의 전도부의 연결을 위해 부착된 연결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도부는 상기 주 전원의 중성 기준점 전도부의 연결을 위해 부착된 제4 연결 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KR1020047014293A 2003-01-10 2003-07-25 부하 배치 가능한 전기 분배 버스 KR100637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39,846 US6674006B1 (en) 2003-01-10 2003-01-10 Load configurable electrical distribution bus
US10/339,846 2003-01-10
PCT/US2003/023208 WO2004064199A1 (en) 2003-01-10 2003-07-25 Load configurable electrical distribution b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399A KR20040111399A (ko) 2004-12-31
KR100637910B1 true KR100637910B1 (ko) 2006-10-24

Family

ID=2973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293A KR100637910B1 (ko) 2003-01-10 2003-07-25 부하 배치 가능한 전기 분배 버스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674006B1 (ko)
EP (1) EP1581983B1 (ko)
JP (1) JP2006506040A (ko)
KR (1) KR100637910B1 (ko)
CN (1) CN100347909C (ko)
AT (1) ATE408254T1 (ko)
AU (1) AU2003261243B2 (ko)
BR (1) BR0307238A (ko)
CA (1) CA2471901C (ko)
DE (1) DE60323539D1 (ko)
DK (1) DK1581983T3 (ko)
MX (1) MXPA04008423A (ko)
TW (1) TWI221349B (ko)
WO (1) WO20040641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2639C1 (de) * 2000-04-28 2001-10-04 Siemens Ag Verbinder für Stromschienen
TWM257568U (en) * 2004-02-18 2005-02-21 Acbel Polytech Inc A switching device for the single-phase/three-phase power supply
DE102007061311B4 (de) * 2006-12-22 2022-08-11 Mold-Masters (2007) Limited Spritzgießsystem
US7558053B2 (en) * 2007-11-07 2009-07-07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enclosure and electrical bus assembly therefor
US7808775B2 (en) * 2008-03-07 2010-10-05 Deere & Company Modular power distribution system having a sealing arrangement for use in a work machine
JP5465968B2 (ja) * 2009-09-30 201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及び電気接続箱
US20110141666A1 (en) * 2009-12-16 2011-06-16 Lineage Power Corporation Stack of bus bars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JP2012249472A (ja) * 2011-05-30 2012-12-13 Fujitsu Ltd 電子装置
US8587950B2 (en) 2011-05-31 2013-11-19 Server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input power distribution to adjacent outputs
US9177723B2 (en) * 2013-03-15 2015-11-03 Bae Systems Land & Armaments L.P. High voltage high current transmission line
DE202013008747U1 (de) * 2013-10-01 2013-10-23 Abb Technology Ag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für explosionsgeschützte elektronische Funktionseinheiten
US11218080B2 (en) * 2015-08-31 2022-01-04 Faraday & Future Inc. Inverter AC bus bar assembly
CN107887185B (zh) * 2016-09-29 2021-01-29 西门子公司 桥接排及转换开关组件
DE102017222427A1 (de) * 2016-12-16 2018-06-21 Yazaki Corporation Verdrahtungselement,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Verdrahtungselement und Verdrahtungselementverbindungsstruktur
EP3555978A1 (en) * 2016-12-19 2019-10-23 ABB Schweiz AG Multi-phase layered busbar for conducting electric energy wherein the layers are glued together, method of manufactoring the same and switchboard cabinet including such a busbar
JP6881264B2 (ja) * 2017-12-01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平型電線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2117A (en) 1957-12-23 1958-11-25 Gen Electric Bus bar distribution system
US3264403A (en) 1963-10-15 1966-08-02 Eldre Components Electrical bus bar with non-adhering plastic inserts
US3322878A (en) 1964-12-24 1967-05-30 Cutler Hammer Inc System of three-phase supply bus to single-phase branch bus cross connections
US3400303A (en) 1967-05-15 1968-09-03 Ellison George Ltd Laminated bus arrangement for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US3730971A (en) 1971-04-28 1973-05-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Bus duct convertible from a.c. use to d.c. use
US3995103A (en) 1975-12-11 1976-11-30 Zinsco Electrical Products Electrical bussing and jumper assembly
DK463487A (da) 1987-09-04 1989-03-05 Loegstrup Steel Kvistgaard A S Stroemtilkoblingsorgan til store stroemstyrker, isaer til brug i pladekapslede elektriske anlaeg.
FR2727796B1 (fr) * 1994-12-05 1997-01-17 Schneider Electric Sa Repartiteur pour l'alimentation electrique d'une serie d'appareils
FR2754946B1 (fr) * 1996-10-18 1998-11-27 Schneider Electric Sa Dispositif de support et d'alimentation electrique pour appareillage electrique
US5831812A (en) * 1997-08-06 1998-11-03 Livingston; Rodney W. Meter center tap duct
FR2787238B1 (fr) * 1998-12-15 2001-03-16 Schneider Electric Ind Sa Appareil electrique modulaire tel un disjoncteur
US6433999B1 (en) * 2000-03-14 2002-08-13 General Electric Company Bus connection access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08254T1 (de) 2008-09-15
MXPA04008423A (es) 2004-11-26
BR0307238A (pt) 2004-12-07
CA2471901C (en) 2007-03-06
CN100347909C (zh) 2007-11-07
CN1643735A (zh) 2005-07-20
TW200412699A (en) 2004-07-16
US6674006B1 (en) 2004-01-06
WO2004064199A1 (en) 2004-07-29
AU2003261243B2 (en) 2005-09-15
TWI221349B (en) 2004-09-21
EP1581983A1 (en) 2005-10-05
AU2003261243A1 (en) 2004-08-10
EP1581983B1 (en) 2008-09-10
KR20040111399A (ko) 2004-12-31
JP2006506040A (ja) 2006-02-16
DE60323539D1 (de) 2008-10-23
CA2471901A1 (en) 2004-07-10
DK1581983T3 (da)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910B1 (ko) 부하 배치 가능한 전기 분배 버스
US8547684B2 (en) Panelboard having a parallel feeder bars distribution
US7239502B1 (en) Meter center and multi-phase multiple meter socket assembly therefor
WO2013067086A1 (en) Switchgear bus assembly having reduced power loss, material and temperature
WO2013166562A1 (en) Lamellar electrical switch board
US3551585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US11935717B2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circuit breaker to a conducting layer of a laminated busbar and switchgear comprising such an arrangement
US4739441A (en) Switchgear assembly
US6473294B1 (en) System for distributing energy and data in energy distributing facilities
US20180261990A1 (en) Stacked bus assembly with stepped profile
RU2408963C2 (ru) Система сборных шин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вухсторонне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RU2398329C2 (ru) Система сборных шин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10263674A (ja) 単相3線式分電盤
US11139641B1 (en) Group meter stack with disconnect switch
JP4348051B2 (ja) 支線分岐装置
KR200425183Y1 (ko) 적층전원분배패널
KR200259419Y1 (ko) 지중 저압 분전함
CN204517323U (zh) 电流输出铜排结构
CA1262183A (en) Switchgear assembly
JP2003164017A (ja) 閉鎖配電盤
IE20020600A1 (en) An improved modular busbar
JPH03226215A (ja) 床下配線システム
JP2001352617A (ja) 船舶の発電機用配電盤
JPH0787655A (ja) 床配線システム
JPH06113415A (ja) 配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