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954Y1 - 도금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954Y1
KR200424954Y1 KR2020060014388U KR20060014388U KR200424954Y1 KR 200424954 Y1 KR200424954 Y1 KR 200424954Y1 KR 2020060014388 U KR2020060014388 U KR 2020060014388U KR 20060014388 U KR20060014388 U KR 20060014388U KR 200424954 Y1 KR200424954 Y1 KR 200424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mounting portion
mounting
angle adjust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이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섭 filed Critical 이종섭
Priority to KR2020060014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9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9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도조정수단을 구비하여 도금대상물의 거치각도를 조정하여 도금을 용이하게 하는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도금장치는, 용액이 수용되는 도금조(100)와,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도금대상물(M)을 거치시켜 도금대상물(M)의 하중을 지지하고, 거치된 도금대상물(M)과 함께 상기 도금조(100) 내부에 수용되는 랙어셈블리(300)와, 상기 도금조(100)의 상측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랙어셈블리(300)가 현수(懸垂)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마운팅부(200)와, 상기 도금조(100)의 상측에서 유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마운팅부(200)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일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마운팅부(200)를 이송하는 이송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랙어셈블리(300)와 마운팅부(200)에는 도금대상물(M)의 거치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도금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기포가 생기는 것이 방지되어 도금 대상물이 용이하게 전착(電着)되는 이점이 있다.
도금, 전착, 랙, 각도조정, 도금조, 호이스트, 이송장치, 마운팅부

Description

도금장치{An equipment for gilding}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금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종래기술에 의한 도금장치의 일구성인 랙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요부구성인 마운팅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요부구성인 마운팅부의 부분확대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 도금장치의 마운팅부의 구성을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요부구성인 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마운팅부에 랙어셈블리가 현수되어 도금조 내부에 수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9a 및 도 9b 는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요부구성인 랙어셈블리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도금조 120 ..... 거치부
200 ..... 마운팅부 210 ..... 안착단
220 ..... 중앙지지대 222 ..... 연결프레임
240 ..... 보조지지대 242 ..... 보조판넬
260 ..... 결합부 270 ..... 슬라이딩 가이드
272 ..... 안내홈 274 ..... 연결구
280 ..... 이송단 300 ..... 랙어셈블리
320 ..... 장착부 322 ..... 안내고리
340 ..... 행거부 342 ..... 거치고리
360 ..... 각도조정부 362 ..... 메인프레임
364 ..... 보조프레임 366 ..... 각도조정봉
400 ..... 이송장치 420 ..... 호이스트
440 ..... 이송프레임 460 ..... 접촉부
M ....... 도금대상물
본 고안은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조 내부에서 마운팅부와 랙어셈블리의 구조에 의해 도금대상물의 거치각도가 조정되어, 도금대상물 의 함몰형성부위 내부를 용이하게 도금할 수 있는 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도금 공정은 산처리, 수세, 도금, 수세, 후처리, 수세, 탈수 및 건조의 공정으로 수행되며, 이 중 산처리공정은 도금 전에 도금대상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녹이나 기름 등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 작업이 완벽하게 수행되지 않으면 만족할 만한 도금물을 생산해 낼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아연도금(Galvanizing)은 철이나 강철에 아연을 도금함으로써 대기에 노출되어 생기는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으로, 크게 용융도금(Hot dip galvanizing)과 전기도금(Electroplat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용융도금은 침지도금이라고도 불리며, 피도금물보다 용융점이 낮은 금속 또는 합금을 용융시켜 피도금물에 얇은 층을 형성하도록 입히는 도금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전기도금은 피도금물을 금속의 이온을 함유한 용액속에 전극과 함께 수용하여 전류를 통하게 함으로써, 음극에서 금속이온이 방전에 의해 석출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음극과 함께 수용된 피도금물의 표면에 얇은 금속의 막을 만드는 도금방법이다.
이러한 전기도금은 배럴(Barrel)방식과 랙(Rack)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배럴(Barrel)방식은 와셔, 너트, 볼트 및 나사못과 같이 크기가 작은 부품들을 회전 배럴(Barrel)내에 채워 넣고 도금조 내에서 배럴을 회전시키면서 도금시키는 방식이고, 상기 랙(Rack)방식은 다소 크기가 큰 부품을 랙(rack)에 걸어 도금탱크 내부에 수용하여 전착(電着)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배럴방식은 대량 가공방식으로 가공비가 저렴한 장점은 있으 나, 도금액의 전류밀도가 낮고 배럴내에서 피도금물이 서로 접촉하면서 도금되기 때문에 비교적 도금품질이 떨어져 랙(Rack)을 이용한 랙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금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 는 종래기술에 의한 도금장치의 일구성인 랙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도금장치는,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도금걸이(1)와, 상기 도금걸이(1)에 현수되며, 다수개의 도금대상물을 거치시키는 랙(10)과, 상기 도금걸이(1)에 현수된 랙(10)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미도시)와, 상기 이송장치(미도시)에 의해 이동된 도금걸이(1)가 수용되는 도금조(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장치와 도금조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금걸이(1)는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2)과, 상기 메인프레임(2)의 가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랙(10)이 현수(懸垂)되는 거치대(3)와, 상기 거치대(3)와 메인프레임(2)에 결합되어,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프레임(4)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3)는 아래에서 설명할 랙(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2)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프레임(4)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3)와 메인프레임(2)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도금걸이(1)는 전류가 흐르는 도금조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전 체적으로 절연코팅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랙(10)은 상기 거치대(3)에 현수되고, 골격을 형성하는 행거부(11)와, 다수개의 도금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부(15)로 구성되며, 상기 도금걸이(1)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녹색 졸(Green sol)로 절연코팅 처리된다.
상기 행거부(11)는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걸이(1) 상에 탈착가능 하도록 상단이 절곡되어 걸고리를 형성하며, 행거부(11)의 몸체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리벳(14)이 장착되도록 홀이 형성된다.
상기 리벳(14)은 상기 거치부(15)를 상기 행거부(11)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거치부(15)의 후단을 고정시키면서 상기 행거부(11)에 고정된다.
상기 거치부(15)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2 에 도시된 거와 같이 환형 고리나, 몸체에 홀이 형성된 도금대상물(P)을 거치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기술을 이용한 도금장치는, 우선 도 2 의 확대부 처럼 상기 랙(10)의 거치부(15) 상에 도금처리를 실시하는 도금대상물(P)이 현수된다. 상기 도금대상물(P)이 현수되면, 상기 거치부(15)는 상기 도금걸이(1)의 거치대(3)에 현수되고, 상기 도금걸이(1)가 호이스트(Hoist, 미도시)와 같은 수단에 의해 상기 도금조(미도시) 내부로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된 도금걸이(1)는 내부에 수용된 도금대상물(P)이 다수개의 도금조를 거치도록 이송되는 도금공정을 수행하여 도금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금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도금장치를 이용하여 전술한 공정, 특히 산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도금하게 되면, 도금대상물의 거치 각도에 따라 도금 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공기가 차게 되어 공기막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금대상물에 형성된 홀의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거치되어 전술한 도금공정을 거치게 되면, 상기와 같이 공기막이 형성된 부분에 녹과 기름의 제거가 완전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녹과 기름의 제거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에는 전해용액이 불균일하게 전착되거나 전착되지 않는 부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도금대상물에 전착이 일어나지 않은 부분은 공기중에 쉽게 부식될 우려가 있고, 이러한 부식부위는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형성되므로 부식된 부분을 발견하지 못할 시 부분파손에 의한 사고의 위험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분부식으로 인하여 제품의 수명이 줄어들어 사용자의 제품만족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처리공정 이후에 별도의 브러쉬 공정을 추가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작업공정과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금조 내부에 수용되는 도금대상물의 거치각도를 조정하여 도금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기 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조정수단이 구비된 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정수단은 별도의 제어부를 필요치 않고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마운팅부와 마운팅부에 현수되는 랙어셈블리에 의해 구조적으로 조정되는 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도금장치는, 용액이 수용되는 도금조와,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도금대상물을 거치시켜 도금대상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거치된 도금대상물과 함께 상기 도금조 내부에 수용되는 랙어셈블리와, 상기 도금조의 상측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랙어셈블리가 현수(懸垂)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마운팅부와, 상기 도금조의 상측에서 유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마운팅부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일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마운팅부를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랙어셈블리와 마운팅부에는 도금대상물의 거치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금조는 도금공정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도금조의 양측 상단에는 상기 마운팅부가 거치되는 거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랙어셈블리는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마운팅부의 일측에 현수되도록 상단이 절곡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좌/우 양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도금대상물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거치되도록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행거부와, 상기 각도조정수단의 일구성으로, 상기 장착부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상기 장착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장착부와 평행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각도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거치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단과, 상기 장착부가 현수되는 중앙지지대와, 상기 각도조정부가 현수되는 보조지지대와, 상기 안착단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지지대와 보조지지대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장치와 접촉하는 이송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지지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는 측면이 상기 보조지지대와 연결되고, 전면(前面)이 상기 결합부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하는 보조판넬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판넬과 연결되어 상기 보조판넬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보조판넬과 결합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판넬의 슬라이딩 경로를 형성하는 안내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각도조정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장착부의 상/하단에 형성된 안내고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정부는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지지대에 현수되고, 상기 안내고리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와 평행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 양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행거부의 상하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행거부에 거치된 도금대상물과 접촉하여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절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각도조정수단의 일구성으로,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정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정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보조판넬과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정수단은 상기 각도조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보조판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마운팅부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각도조정부가 유동하여 도금대상물의 거치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다수개의 도르레가 구비된 호이스트와, 상기 호이스트와 연결되며, 상기 도금조의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양 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단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도금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기포발생 이 방지되어 도금전착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산성아연도금장치에는, 도금공정에 따라 다양한 용액이 수용되며, 대략 상면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직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도금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도금조(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금조(100)의 양측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마운팅부(200)가 상면에 올려져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120)가 더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120)는 상기 도금조(100)의 폭 방향을 따라, 환봉형태의 바(Bar)가 상기 도금조(100)의 상단보다 조금 높은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마운팅부(200)의 안착단(210)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요부구성인 마운팅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요부구성인 마운팅부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 도금장치의 마운팅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마운팅부(200)는 상기 도금조(100)의 상측에 거치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랙어셈블리(도 3 에서 도면부호 300)가 현수(懸垂)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골격을 형성하는 중앙지지대(220)와, 상기 중앙지지대(220)의 후측에 구비되는 보조지지대(240)와, 상기 중앙지지대(220)와 보조지지대(240)를 연결하는 결합부(260)와, 상기 결합부(260)의 상측에 구비되는 이송 단(280)과, 상기 결합부(260)의 하측에 구비되는 안착단(2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지지대(220)는 대략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도금조(100)의 가로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랙어셈블리(300)의 장착부(320)가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지지대(220)의 좌우 양측 후면에는, 상기 중앙지지대(2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중앙지지대(220)와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26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지지대(220)를 상기 결합부(260)와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222)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보조지지대(240)는 상기 중앙지지대(220)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랙어셈블리(300)의 각도조정부(360)가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대(240)는 이하 설명할 결합부(260)의 일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270)와 연결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이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부(260)는 상방(도 5 에서)에서 바라볼 때 대략“
Figure 112006037682477-utm00001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지대(220)와 상기 보조지지대(240)를 연결하고, 상기 이송단(280)과 상기 안착단(210)이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결합부(260)의 도금조(100) 내측을 바라보는 면에는 상기 중앙지지대(220)와 연결된 연결프레임(222)이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프레임(222)이 고정되는 방법은 용접에 의한 고정이 가능할 것이 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부(260)의 측면으로 상기 연결프레임(222)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프레임(222)을 삽입시킨 후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60)의 상측으로는 상기 이송단(28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송단(280)은 아래에서 설명할 이송장치(400)의 접촉부(460)와 접촉하여 상기 마운팅부(20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260)의 상측으로 대략 알파벳“V”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에 대략 알파벳“H”와 같은 형상의 프레임의 하측이 고정되어 상측(도 5 에서)에서 바라보면 전체적으로“
Figure 112006037682477-utm00002
”와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260)의 하측으로는 상기 안착단(21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10)은 하나의 판넬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대략 종단면이“
Figure 112006037682477-utm00003
”와 같이 형성되며, 이러한 안착단(210)의 형상은 상기 거치부(120)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거치부(120)에 안착되어 상기 마운팅부(200)의 좌우 유동 및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260)에는 슬라이딩 가이드(27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70)는 상기 결합부(260)의 전면(前面)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된 안내홈(272)과, 상기 안내홈(272)에 삽입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판넬(242)과 연결되는 연결구(274)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274)는 상기 안내홈(272)에 삽입되는 볼트(Bolt)로 이러한 볼트는 하단부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판넬(242)과 회전에 의해 결합가능하게 되며, 상기 안내홈(272)과 맞닿는 부분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안내홈(272)과의 접촉면적을 넓게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272)과 상기 연결구(274)는 안정적인 슬라이딩 유동을 위해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보조판넬(242)은 대략 사각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판넬(242)의 측면에 상기 보조지지대(240)가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판넬(242)의 전면(前面)에는 상기 연결구(274)에 형성된 나사선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274)가 회전에 의해 장창된다. 그리고, 이러한 형상의 보조판넬(242)은 상기 마운팅부(200)가 상기 도금조(100)의 상측에 안착될 때, 상기 연결홈(272)의 상측과 상기 연결구(274)가 접촉할 때 까지 하방으로 이동하며, 이와 반대로 상기 마운팅부(200)가 상기 도금조(100)의 상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연결구(274)와 상기 연결홈(272)의 하측이 접촉한 후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요부구성인 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랙어셈블리(300)는 상기 중앙지지대(220)에 현수(懸垂)되며, 골격을 형성하는 장착부(320)와, 상기 장착부(320)의 좌/우 양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행거부(340)와, 상기 보조지지대(240)에 현수되며 상기 장착부(32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장착부(320)와 평행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각도조정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320)는 상단부가 좌측으로 완만하게 절곡되어 걸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걸고리 형상의 상단부는 상기 중앙지지대(220)에 현수되어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중앙지지대(220) 높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단부의 하측은 대략 높이가 높은 직사각 형상에 중앙 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320)에는 상기 각도조정부(36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고리(322)가 더 형성된다.
상기 안내고리(322)는 상기 각도조정부(360)가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부(320)의 좌우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 형성된 고리로, 상기 장착부(320) 좌우 중앙과 하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삽입된 각도조정부(360)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장착부(320)의 좌우 양측에는 가로방향으로 행거부(340)가 형성되어, 대략“
Figure 112006037682477-utm00004
”와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행거부(340)는 도금대상물(M)이 거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장착부(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거치되는 도금대상물(M)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행거부(340)에는 전/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고리형상의 거치고리(342)가 더 구비되어 도금대상물(M)을 상기 행거부(340)에서 전후방으로 이격시켜 거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도조정부(360)는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지지대(240)에 현수되는 메인프레임(362)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보조프레임(364)과, 상기 보조프레임(364)의 전/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각도조정 봉(3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62)은 상기 장착부(32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측 일부분이 우측(도 6에서)으로 절곡되어 상기 장착부(320)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절곡된 메인프레임(362)의 끝단 중앙에는 상측으로 프레임이 연장형성되고, 연장된 프레임의 상단부가 우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보조지지대(240)에 현수되는 걸림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보조프레임(364)은 상기 행거부(340)와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상기 메인프레임(362)의 가로방향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프레임(364)의 전/후방에는 상기 거치고리(342)에 거치된 도금대상물(도 3 에서 M)과 접촉하여 도금대상물(M)의 거치각도를 조정하도록 전/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각도조정봉(366)이 더 구비된다.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마운팅부에 랙어셈블리가 현수되어 도금조 내부에 수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중앙지지대(220)에는 상기 장착부(320)가 현수되고, 상기 보조지지대(240)에는 상기 각도조정부(360)가 현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대(240)는 상기 결합부(260)의 후측에서 상기 보조판넬(242)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260)에 장착된다.
한편, 이렇게 랙어셈블리(300)가 현수되어 상기 도금조(100) 내부에 수용된 마운팅부(200)는 상기 이송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며, 이러한 이송장치(400)는 일반적으로 무거운 물체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이송시키는 호이스트(Hoist, 도 3 에서 420)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호이스트(420)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호이스트(42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도금조(100) 상측에서 이송가능하도록 천정에 구비된 궤도(미도시)를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도금조(100)의 가로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이송프레임(440)의 중앙부분이 상기 호이스트(420)와 결합되고, 상기 이송프레임(440)의 좌우 양측단에는 상기 이송단(280)과 접하도록 접촉부(46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도금조(100)의 상측에 거치된 마운팅부(20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이송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부(460)는 대략 사각형상의 판넬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단(28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즉, 알파벳“H”의 상부와 같이 형성된 이송단(280)의 상부 프레임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 홈이 상기 이송단(280)의 상부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60)는 외주면은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이송단(280)이 외부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금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도금장치는, 다수개의 도금조(100)에 수용된 전해용액 속에 도금대상물(M)을 침지(浸漬)시켜 도금대상물(M)에 도금 피막을 형성하는 금속이 전착(電着)되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도금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금조(100)의 상측에는 도금대상물(M)과 함께 상기 랙어셈블리(300)가 현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마운팅부(200)가 거치되고, 상기 마운팅부(200)가 상기 도금조(100)의 상측에 안착될 때와, 상방으로 들어올려 질 때, 상기 랙어셈블리(300)와 상기 마운팅부(200)의 구조에 따라 거치된 도금대상물(M)의 거치각도가 변화하게 된다.
도 9a 및 도 9b 는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인 산성아연도금장치의 요부구성인 랙어셈블리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랙어셈블리(300)에 거치되어 상기 도금조(100) 내부에 수용되는 도금대상물(M)은, 상기 보조지지대(240)에 현수되는 각도조정부(360)에 의해 하방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거치된다.
즉, 상기 거치고리(342)에 거치된 도금대상물(M)이 상기 도금조(100) 내부에 수용될 때, 상기 보조지지대(240)에 의해 상기 각도조정부(36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가 되고, 상기 각도조정봉(366)이 도금대상물(M)의 후측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도금대상물(M)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마운팅부(200)가 상기 도금조(100)의 상측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연결구(274)는 상기 보조판넬(242)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보조지지대(240)는 상기 보조판넬(242)의 하부 측면에 장착되므로, 상기 마운팅부(200)가 상기 도금조(100)에 안착될 때, 상기 보조판넬(242)과 연결된 연결구(274)가 상기 안내홈(272)의 상측과 접촉할 때까지 상기 보조지지대(240)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보조지지대(240)는 상기 중앙지지대(220)보다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어, 상기 중앙지지대(220)와 상기 보조지지대(240)가 높이 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높이 차는 상기 보조지지대(240)와 연결된 상기 각도조정부(360)에 반영되어 상기 각도조정봉(366)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각도조정봉(366)은 거치된 도금대상물(M)과 이격된다. 따라서, 전방 하측으로 경사를 가지고 있던 도금대상물(M)의 후측에 대한 구속이 해지되어 도금대상물(M)이 도 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기울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기울기는 상기 도금조(100) 내부에 도금대상물(M)이 수용될 때, 도금대상물(M)에 형성된 홀에 도금조(100) 내부에 수용된 용액이 기포 없이 충진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상기 이송단(280)과 상기 이송장치(400)의 접촉부(460)가 접하여 마운팅부(20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안내홈(272)의 상측에 위치해 있던 연결구(274)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보조판넬(242)과 연결된 연결구(274)가 상기 안내홈(272)의 하단과 접하게 되었을 때, 상기 보조지지대(24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지지대(240)에 의해 상기 각도조정부(36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가 되고, 상기 각도조정봉(366)이 도금대상물(M)의 후측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도금대상물(M)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초기위치로 돌아가게 되어 도금대상물(M)의 홀에 수용된 용액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금공정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금대상물은 용이하게 도금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도금장치는, 각도조정수단에 의해 거치되는 도금대상물의 각도를 조정하여 도금조 내부에 도금대상물을 침지시킬 때, 도금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도금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금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남아있는 유분 및 녹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금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유분 및 녹을 완전하게 제거하게 됨으로써, 도금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도금금속의 전착이 용이하게 되어 도금대상물의 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금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유분 및 녹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치 않게 되어 도금공정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의한 도금장치의 각도조정수단은 별도의 제어부를 필요치 않고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마운팅부와 마운팅부에 현수되는 랙어셈블리에 의해 구조적으로 거치된 도금대상물의 거치각도를 조정하여 설비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용액이 수용되는 도금조와;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도금대상물을 거치시켜 도금대상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거치된 도금대상물과 함께 상기 도금조 내부에 수용되는 랙어셈블리와;
    상기 도금조의 상측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랙어셈블리가 현수(懸垂)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마운팅부와;
    상기 도금조의 상측에서 유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마운팅부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일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마운팅부를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랙어셈블리와 마운팅부에는,
    도금대상물의 거치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는,
    도금공정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도금조의 양측 상단에는 상기 마운팅부가 거치되는 거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어셈블리는,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마운팅부의 일측에 현수되도록 상단이 절곡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좌/우 양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도금대상물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거치되도록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행거부와;
    상기 각도조정수단의 일구성으로, 상기 장착부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상기 장착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장착부와 평행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각도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거치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단과;
    상기 장착부가 현수되는 중앙지지대와;
    상기 각도조정부가 현수되는 보조지지대와;
    상기 안착단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지지대와 보조지지대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장치와 접촉하는 이송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는,
    측면이 상기 보조지지대와 연결되고, 전면(前面)이 상기 결합부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하는 보조판넬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판넬과 연결되어 상기 보조판넬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보조판넬과 결합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판넬의 슬라이딩 경로를 형성하는 안내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각도조정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장착부의 상/하단에 형성된 안내고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정부는,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지지대에 현수되고, 상기 안내고리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와 평행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 양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행거부의 상하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행거부에 거치된 도금대상물과 접 촉하여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절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각도조정수단의 일구성으로,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정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정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보조판넬과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정수단은,
    상기 각도조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보조판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마운팅부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각도조정부가 유동하여 도금대상물의 거치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다수개의 도르레가 구비된 호이스트와;
    상기 호이스트와 연결되며, 상기 도금조의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양 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단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KR2020060014388U 2006-05-29 2006-05-29 도금장치 KR200424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388U KR200424954Y1 (ko) 2006-05-29 2006-05-29 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388U KR200424954Y1 (ko) 2006-05-29 2006-05-29 도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067A Division KR100778129B1 (ko) 2006-05-29 2006-05-29 도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954Y1 true KR200424954Y1 (ko) 2006-08-29

Family

ID=4177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388U KR200424954Y1 (ko) 2006-05-29 2006-05-29 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9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294B1 (ko) 2019-03-21 2019-10-17 박제수 금형 내외경 도금용 랙
KR102203190B1 (ko) * 2020-09-04 2021-01-14 (주)선우하이테크 가변형 기판표면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294B1 (ko) 2019-03-21 2019-10-17 박제수 금형 내외경 도금용 랙
KR102203190B1 (ko) * 2020-09-04 2021-01-14 (주)선우하이테크 가변형 기판표면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642B2 (ja) めっき処理用ワーク保持治具
CN107893255B (zh) 表面处理装置及工件保持夹具
JP4711805B2 (ja) めっき槽
KR102014306B1 (ko) 표면처리장치 및 도금탱크
US9409730B2 (en) Tilting multiplier
US78508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cking articles for surface treatment
JP2009503263A (ja) 基板を処理する、特に基板を電気メッキする装置
CN1769542A (zh) 电镀装置中的工件吊架
KR20170003370U (ko) 자동 도금장치
KR20160053661A (ko) 틸트 기능을 가진 피도금물 캐리어 이송장치
KR200424954Y1 (ko) 도금장치
JP2014198909A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KR100778129B1 (ko) 도금장치
KR20140114631A (ko) 내부에 홀이 형성된 도금대상물용 거치대 분리형 도금프레임
JP5047763B2 (ja) めっき装置における給電装置
JP6117891B2 (ja) 表面処理装置
KR20190014207A (ko) 기판용 클램프 행거의 지지구조
JP4712008B2 (ja) 電極板搬送装置のフック構造
KR20060025361A (ko) 도금장치의 행거구조
JP2021143383A (ja) 電着塗装装置と電着塗装方法
JP4755729B1 (ja) 電気メッキ装置
JP6342538B2 (ja) 表面処理装置
JP2721006B2 (ja) 電気機器ケースの電着塗装装置
JPH07252696A (ja) メッキ装置
CN220079241U (zh) 一种陶瓷载板用电镀挂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