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651Y1 - 조류절단용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조류절단용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651Y1
KR200423651Y1 KR2020060013892U KR20060013892U KR200423651Y1 KR 200423651 Y1 KR200423651 Y1 KR 200423651Y1 KR 2020060013892 U KR2020060013892 U KR 2020060013892U KR 20060013892 U KR20060013892 U KR 20060013892U KR 200423651 Y1 KR200423651 Y1 KR 200423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eat
cutter
guid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구
Original Assignee
정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구 filed Critical 정병구
Priority to KR2020060013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6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23Dividing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46Suppor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류절단용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육류(1)를 상기 커터(17)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작업대(10)(30)에, 가이드(20)(40)가 구비되며, 이 가이드(20)(40)에는, 상기 커터(17)의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커터(17)에 의해 커팅된 육류(1)의 부스러기들이 낙하되도록 장공(23)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닭이나 오리, 칠면조 등의 육류를 가이드(20)(40)의 첨예부(22)(42)에 꽂은 후 가이드를 따라 밀면 육류(1)가 가이드(20)(40)를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되면서 커팅된다. 또한 커팅되는 육류(1)의 부스러기들은 가이드(20)(40)의 장홈 하측으로 원활히 배출되므로 커터의 커팅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커팅작업이 원활할 뿐 아니라 커팅 상태 및 커팅 속도가 증가된다.
육류, 작업대, 상판, 측판, 모터, 커터, 가이드, 몸체, 첨예부, 장공

Description

조류절단용 커팅장치{Cutting device for tide cutting}
도 1은 본 고안 조류절단용 커팅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육류가 절단되는 상태를 보인 개랴적 사시도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육류 10,30 : 작업대
11 : 상판 12,32 : 측판
15 : 모터 17 : 커터
20,40 : 가이드 21,41 : 몸체
22,42 : 첨예부 23 : 장공
본 고안은 조류절단용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류에 해당되는 닭이나 오리, 칠면조 등의 육류가 원활히 안내되고 육류의 커팅시 육류의 부스러기들이 커팅을 방해하지 않는 조류절단용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육류절단용 커팅장치는 작업대와, 이 작업대 상에 구비되고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작업대 상의 육류를 커팅하는 커터와, 이 커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육류절단용 커팅장치로 육류를 커팅하려면 먼저, 커터를 구동시키고, 작업대 상에 육류를 올려 놓은 후 이를 커터측으로 밀어서 커팅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육류절단용 커팅장치는 육류가 커팅장치의 커터로 안정적으로 안내되지 못하여 육류가 원하는 두께로 절단되지 못할 뿐 아니라 종종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러한 종래 육류절단용 커팅장치는 닭이나 오리 칠면조 등의 조류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면서 커팅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닭이나 오리, 칠면조 등의 육류가 커터측으로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한 조류절단용 커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육류가 상기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면서 커팅될시 상기 육류 부스러기들이 커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 조류절단용 커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조류절단용 커팅장치는, 작업대 상에 구비된 커터와, 상기 커터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조류절단용 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육류를 상기 커터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작업대에,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조류절단용 커팅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커터의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커터에 의해 커팅된 육류의 부스러기들이 낙하되도록 장공이 형성된다.
본 고안 조류절단용 커팅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이드는, 일단이 상기 작업대의 측판에 고정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첨예부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 조류절단용 커팅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이드는, 일단이 상기 작업대의 측판에 고정된 육각 기둥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첨예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닭이나 오리, 칠면조 등의 육류를 가이드의 첨예부에 꽂은 후 가이드를 따라 밀면 육류가 가이드를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되면서 커팅된다. 또한 커팅되는 육류의 부스러기들은 가이드의 장홈 하측으로 원활히 배출되므로 커터의 커팅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커팅작업이 원활할 뿐 아니라 커팅 상태 및 커팅 속도가 증가된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첨부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조류절단용 커팅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육류가 절단되는 상태를 보인 개랴적 사시도들로써, 이는, 작업대(10)와, 구동 모터(15), 커터(17), 가이드(20)로 대분된다.
작업대(10)는 조류가 안착되는 상판(11)과, 상판 일측에 구비된 측판(12)과, 상판(11)을 지지하는 지지다리(1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업대(10)의 측판(12)에는 모터케이스(14)가 설치되고 모터케이스(14) 내에 모터(15)에 내장된다. 이 모터(15)의 모터축(16)에는 커터(17)가 결합되어 있으며, 커터(17) 상측의 측판(12)에는 보호캡(18)이 설치되어 있어 커터(17)의 회전시 육류 부스러기나 물기가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커터(17) 하측의 측판(12)에는 본 고안의 특징인 가이드(20)가 설치된다.
이 가이드(20)는 측판(12)에 설치되고 육류가 안내되는 몸체(21)와, 이 몸체(21)의 자유단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조류가 몸체(21)에 꽂히도록 하는 첨예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20) 및 첨예부(22)는 원기둥 및 원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이드(20)의 첨예부(22)에 닭이나 오리, 칠면조 등의 조류 양측을 이에 밀어 끼우면 육류(1)가 첨예부(22)에 의해 안내되면서 몸체(21) 둘레에 꽂히게 되고 가이드(20)에 꽂힌 육류를 가이드를 따라 이송시키면 커터(17)에 의해 육류의 일부가 절개된다.
이러한 가이드(20)의 몸체(21) 둘레에는 측판(12)에 설치된 몸체(21) 둘레를 지지하도록 지지편(24)들이 더 구비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20)에는 장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23)은 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23)에 커터(17)의 하부가 진입되어 있 다. 이러한 장공(23)은 육류가 커팅될시 커팅되는 육류의 부스러기들을 가이드(20) 및 커터(17) 하측으로 원활히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조류절단용 커팅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15)를 온(on)시키면, 모터축(16)에 의해 커터(17)가 회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대(10)의 상판(11) 상에 절단할 닭이나 오리, 칠면조 등의 육류(1)를 위치시키고 이를 양손으로 파지한다. 그리고 절단할 부분을 가이드(20)의 첨예부(22)에 대향시킨 후 이에 밀어 끼우면 육류(1)의 대응 부위가 첨예부(22)에 의해 안내되면서 가이드(20)의 몸체(21) 측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20)에 꽂아진 육류(1)는 좌우, 상하 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이러한 상태의 육류를 가이드(20)의 축방향으로 밀면 이를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되면서 커팅된다.
여기서 조류 즉 육류(1)가 가이드(20)를 따라 이송되면서 커팅될시 뼈가루나 고기 부스러기가 발생되는데, 커팅되는 육류(1)의 부스러기들은 가이드(20)의 장공(23) 하측으로 원활히 배출된다. 따라서 커터(17)의 커팅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결국 커팅작업이 원활하며 커팅 상태 및 커팅 속도가 증가되는 부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로써, 이는 가이드(40)가 육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이드(40)는 일단이 작업대(30)의 측 판(32)에 고정된 육각 기둥 형상의 몸체(41)와, 몸체(41)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첨예부(4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 조류절단용 커팅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비교할 때, 가이드(40)가 육각기둥형태로 이루어진 점만 다를 뿐 그 외의 작용,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러한 가이드의 형태는 상술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원기둥이나 육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오각 기둥, 팔각 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닭이나 오리, 칠면조 등의 육류를 가이드(20)(40)의 첨예부(22)(42)에 꽂은 후 가이드를 따라 밀면 육류(1)가 가이드(20)(40)를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되면서 커팅된다. 또한 커팅되는 육류(1)의 부스러기들은 가이드(20)(40)의 장홈 하측으로 원활히 배출되므로 커터의 커팅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커팅작업이 원활할 뿐 아니라 커팅 상태 및 커팅 속도가 증가된다.

Claims (3)

  1. 작업대(10) 상에 구비된 커터(17)와, 상기 커터(17)에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와 육류(1)를 상기 커터(17)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작업대(10)(30)에, 가이드(20)(40)로 이루어진 조류절단용 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기 가이드(20)(40)에는 커터(17)의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커터(17)에 의해 커팅된 육류(1)의 부스러기들이 낙하되도록 장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절단용 커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0)는,
    일단이 상기 작업대(10)의 측판(12)에 고정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첨예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절단용 커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40)는,
    일단이 상기 작업대(30)의 측판(32)에 고정된 육각 기둥 형상의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첨예부(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절단용 커팅장치.
KR2020060013892U 2006-05-24 2006-05-24 조류절단용 커팅장치 KR200423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92U KR200423651Y1 (ko) 2006-05-24 2006-05-24 조류절단용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92U KR200423651Y1 (ko) 2006-05-24 2006-05-24 조류절단용 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651Y1 true KR200423651Y1 (ko) 2006-08-09

Family

ID=4177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892U KR200423651Y1 (ko) 2006-05-24 2006-05-24 조류절단용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6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172B1 (ko) 2018-08-07 2018-11-08 명재정 닭고기의 가공포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172B1 (ko) 2018-08-07 2018-11-08 명재정 닭고기의 가공포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64575B (zh) 带有切割配件的手持式可携带切割装置
ATE404326T1 (de) Werkzeug zum ein- und/oder ausbauen eines zapfenlosen drahtgewindeeinsatzes
EP2284354A3 (en) Method of drilling out a reaming tool
KR900001451A (ko) 다방향 절삭공구(Multidirectional cutting tool) 및 절삭방법
SE521638C2 (sv) Metod för bearbetning av ett objekt, maskin och verktygsenhet för utförande av metoden
KR200423651Y1 (ko) 조류절단용 커팅장치
ATE405384T1 (de) Handstichsägemaschine
CN207521724U (zh) 一种新型车刀
EP2497589B1 (de) Kalibrier- und Anfaswerkzeug für rohrförmige Werkstücke
EP2236230A3 (en) System for making circular holes
CN202565811U (zh) 一种树木电动刮皮机刀具
KR101485417B1 (ko) 원형구멍 천공기
WO2007082530A3 (de) Werkzeug zum entgraten von bohrungen
CN203621617U (zh) 便携式切割机
JP4623263B2 (ja) 金属缶用トリマー装置
JP2005144649A (ja) 壁孔穿孔器
CN1284905A (zh) 一种工具和钻孔螺钉
CN201211102Y (zh) 一种两用水果刀
CN221010956U (zh) 一种茶树修剪设备
CN214815154U (zh) 一种用于带缺槽的轴孔去毛刺装置
JPH02243206A (ja) 裏座グリ加工用工具
CN205870889U (zh) 一种石材切割机
WO2008021615A3 (en) Tube stub removal apparatus
CN203340908U (zh) 一种扇贝开壳取贝柱装置
CN203805545U (zh) 铅笔芯剥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