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211Y1 -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211Y1
KR200423211Y1 KR2020060013841U KR20060013841U KR200423211Y1 KR 200423211 Y1 KR200423211 Y1 KR 200423211Y1 KR 2020060013841 U KR2020060013841 U KR 2020060013841U KR 20060013841 U KR20060013841 U KR 20060013841U KR 200423211 Y1 KR200423211 Y1 KR 200423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long
trolley
suppor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한
Original Assignee
송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한 filed Critical 송재한
Priority to KR2020060013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2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0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는, 전동차용 전원공급 구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티바와, 티바의 하단에 트롤리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티바의 양측 하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롱이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라인에 트롤리선을 첨선하기 위해 장착되는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롱이어의 상단에 장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바에 형성된 지지롤러; 및 상기 롱이어에 장착시 지지롤러가 미끄러져 장착되도록 지지롤러의 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롤러는 상기 지지바를 관통하는 축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지지바에 각각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동차, 트롤리선, 지지롤러, 롱이어, 포설장치

Description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Installation apparatus trolley wire for improve electric motorca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전동차용 전원공급라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종래의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가 전원공급라인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의 지지롤러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 설장치의 베어링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공급라인 2 : 티바
3 : 롱이어 4 : 트롤리선
142, 242, 342 : 지지바 154, 254, 354 : 지지롤러
155 : 경사부 358 : 베어링
100, 200, 300 :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
본 고안은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트롤리선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철도는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신속성, 정확성, 안정성, 대량수송성, 쾌적성, 저공해성 등 많은 장점으로 인하여 도심교통뿐만 아니라 물류 등 산업 전반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철도에 사용되는 전동차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그 운행이 이루어지는데, 전동차가 운행되는 구간에는 티바(T-Bar)에 전차선(이하 '트롤리선'이라 한다)이 고정되어 전동차의 집전장치(Pantagraph)와의 접촉에 의해 전동차의 운행 중에도 지속적으로 전원을 인가받게 된다.
상기 트롤리선(trolley line)은 장기간 집전장치와 접촉됨으로 홈 또는 국부마모가 생기고, 트롤리선의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트롤리선이 늘어남으로써 트롤리선이 쳐지게 되거나 트롤리선에 단선이 생겨서 전력공급이 끊기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홈 또는 국부마모 현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면 이선현상에 의한 아크 등의 발생으로 트롤리선이 끊어지게 되는데, 이때 마모가 심한 트롤리선의 일부 구간을 잘라내고 새로운 트롤리선을 첨선(添線)하거나, 잘라내지 않고 트롤리선을 첨선하여 보강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트롤리선을 첨선하기 위한 장치로서 포설장치 및 정직기를 사용하여 첨선하였는 바,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공급라인(1)은, 전원공급구간의 천장에 설치된 티바(2)와, 티바(2)의 하단에 트롤리선(4)을 고정시키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롱이어(3) 및 롱이어(3)를 티바(2)와 체결시키는 체결부재(5)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동차(미도시)의 집전장치(미도시)와 맞닿는 트롤리선(4)은 롱이어(3)에 의해 티바(2)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 티바(2)의 하단 양측부에 트롤리선(4)을 고정시키기 위해 1m 간격으로 롱이어(3)가 설치된다. 즉, 롱이어(3)의 길이는 1m로 구성되며 각각의 롱이어(3)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되도록 연결되어 티바(2)의 하단 양측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티바(2) 및 티바(2)와 결합되는 롱이어(3)가 인접된 부분에 복수의 결합공(6)이 형성되어 체결부재(5) 예컨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즉, 트롤리선(4)의 교체작업시 볼트와 너트를 풀어 한 쌍의 롱이어(3)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한 후 트롤리선(4)을 교체하는 구조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포설장치(10)는, 한 쌍의 상부 가이드패널(42)로 이루어진 상부 가이드부(40)와, 한 쌍의 하부 가이드패널(62)로 이루어진 하부 가이드부(60)와, 상부 가이드부(40)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지지부(50) 및 하부 가이드부(60)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롤러(71),(75)를 구비하고, 상부와 하부 가이드부(40),(60)는 힌지결합(22) 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부(40)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지지부(50)는 전원공급라인(도 1의 '1'참조)의 롱이어(도 1의 '3'참조)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50)는 축(51)과, 축(51)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롤러(54)와, 지지롤러(54)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체(56) 및 축(51)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홀(57)과 걸림핀(58)을 구비한다. 상기 축(51)은 상부 가이드패널(42)을 관통하며 설치되고, 축(51)과 지지롤러(54) 사이에 탄성체(56)가 구비되어 관통방향을 따라 상부 가이드패널(42)의 내·외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지지롤러(54)에 탄성 바이어스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한 후 롱이어(3)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60)의 양측에 설치된 제1 및 제2 가이드롤러(71),(75)의 외주면을 따라 홈(72),(76)이 형성된다. 상기 홈(72),(76)은 트롤리선(4)이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한편, 상부 가이드부(40)는 하부 가이드부(60) 중심의 일방향으로 치우친 부분에 설치된다. 이는 하부 가이드(60)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포설장치(10)를 롱이어(3)에 장착한 후 트롤리선(4)을 교체하였다.
그러나,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설장치의 지지롤러(54)를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벌린 후 삽설하는 불편함과 롱이어(3)의 상단에 장착되는 지지롤러의 두께(t')가 작아서 롱이어에 설치된 볼트가 소정범위 이상 풀어져 생기는 공간(s)에 지지롤러가 상기 공간(s)으로 떨어져 끼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지지롤러와 연결된 축(51)은 걸림핀에 의한 지지로 밀접하게 설치되지 않아 작업시 흔들려 정밀한 시공을 방해받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동차의 전원을 공급하는 트롤리선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베어링을 구비하여 흔들림없이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는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는, 전동차용 전원공급 구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티바와, 티바의 하단에 트롤리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티바의 양측 하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롱이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라인에 트롤리선을 첨선하기 위해 장착되는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롱이어의 상단에 장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바에 형성된 지지롤러; 및 상기 롱이어에 장착시 지지롤러가 미끄러져 장착되도록 지지롤러의 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롤러는 상기 지지바를 관통하는 축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지지바에 각각 복수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동차용 전원공급 구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티바와, 티바의 하단에 트롤리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티바의 양측 하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롱이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라인에 트롤리선을 첨선하기 위해 장착되는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롱이어에 상단에 장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바에 형성된 지지롤러의 두께는 상기 롱이어의 볼트와 너트를 풀어 형성된 티바와 롱이어 사이의 최대허용 공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동차용 전원공급 구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티바와, 티바의 하단에 트롤리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티바의 양측 하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롱이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라인에 트롤리선을 첨선하기 위해 장착되는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롱이어에 장착되는 지지롤러를 한 쌍의 지지바에 연결하는 축의 타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에 연결된 축이 흔들림이 없도록 축이 연결된 지지바에 베어링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고안의 포설장치는 종래의 포설장치를 개선한 것으로서 종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다만 종래의 지지부가 변형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한 쌍의 상부 가이드 패널은 본 고안의 한 쌍의 지지바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지지부가 개선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가 전원공급라인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100)는, 한 쌍의 롱이어(3)의 상단에 장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바(142)에 형성된 지지롤러(154) 및 지지롤러(154)의 일면에 형성된 경사부(155)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롤러(154)는 상기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바(142)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지지롤러(154)의 일면은 테이퍼 형상의 경사부(155)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롤러(154)의 일면은 지름이 점차적으로 줄어들어 끝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롤러(154)는 지지바(142)를 관통하는 축(151)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지지바(142)에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라안(1)에 형성된 볼트와 너트를 풀어 소정 간격으로 벌어진 롱이어(3)에 포설장치의 지지롤러(154)를 밀면 롱이어(3)의 하단부가 지지롤러(154)의 경사부(155)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롤러(154)의 경사부(155)에 의해 미끌어져 지지롤러(154)가 지지바(142)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지지롤러(154)를 상방으로 끝까지 밀어주면 지지롤러(154)와 지지바(142) 사이의 탄성체(156)에 의해 지지롤러(154)가 탄성 바이어스되어 롱이어(3)의 상단에 장착하게 된다. 즉, 지지롤러(154)의 일면에 형성된 경사부(155)에 의해 포설장치(100)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탈착시 포설장치를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지지롤러(154)의 경사부(155)를 따라 미끄러져 탈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포설장치(100)를 롱이어(3)에 장착 및 탈착시 인위적으로 지지롤러(도 4의 '54'참조)에 힘을 가하여 설치하는 종래와는 달리 지지롤러(154)의 경사부(155)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포설장치(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의 지지롤러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200)는, 한 쌍의 롱이어(3)의 상단에 장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바(242)에 형성된 지지롤러(254)는 소정의 두께(t)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롤러(254)의 두께(t)는 롱이어(3)의 볼트와 너트를 소정범위 이상 풀 경우 형성되는 공간(s)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소정범위 이상의 공간(s)은 볼트와 너트를 풀어 롱이어(3)가 티바(2)와 분해되지 않을 정도의 공간(s)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또한 상기 소정 두께(t)라 함은 전술된 바와 같이 롱이어(3)와 티바(2) 사이에 형성된 공간(s)보다 크며, 지지롤러(254)를 장착시 롱이어(3)에 의해 포설장치(200)의 장착 작업이 지장받지 않을 정도의 두께(t)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즉, 종래의 지지롤러의 두께(도 5의 t' 참조)보다 큰 두께(t)를 의미하며, 덧붙여, 롱이어(3)와 티바(2) 사이에 형성된 최대허용 공간(s)에 지지롤러(254)가 빠지지않게 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의 베어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300)는, 한 쌍의 롱이어(3)에 장착되는 지지롤러(354)를 한 쌍의 지지바(342)에 연결하는 축(351)의 타단부에 돌출부(35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342)에 연결된 축(351)이 흔들림이 없도록 축(351)이 연결된 지지바(342)에 베어링(358)을 구비한다.
상기 베어링(358)은 지지바(342)에 설치되고, 지지롤러(354)와 연결되는 축(351)이 베어링(358)에 설치된다. 이는, 지지롤러(354)와 연결된 축(351)이 트롤리선(4) 첨선 작업시 흔들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축(351)이 밀착 고정되어 트롤리선(4) 교체 작업시 흔들림없이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어링(358)은 볼베이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351)의 타단부에는 돌출부(352)가 형성되어 지지롤 러(354)가 일정범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로서 사용가능하다. 예컨대, 지지롤러(154)의 일면에 형성된 경사부(155) 및 소정의 두께(t)를 가진 지지롤러(254)가 동시에 채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이와 같이 각 실시예들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술된 각 실시예들 및 이를 조합한 실시예들을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지지롤러의 일면에 테이퍼 형상의 소정의 경사부가 형성되어 포설장치를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다.
둘째, 지지롤러의 두께는 롱이어와 티바 사이의 최대허용 공간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롱이어와 티바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빠지지 않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여 작업시의 흔들림을 제거 함으로써 정밀한 작업을 할 수 있다.

Claims (3)

  1. 전동차용 전원공급 구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티바와, 티바의 하단에 트롤리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티바의 양측 하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롱이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라인에 트롤리선을 첨선하기 위해 장착되는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롱이어의 상단에 장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바에 형성된 지지롤러; 및
    상기 롱이어에 장착시 지지롤러가 미끄러져 장착되도록 지지롤러의 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롤러는 상기 지지바를 관통하는 축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지지바에 각각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
  2. 전동차용 전원공급 구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티바와, 티바의 하단에 트롤리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티바의 양측 하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롱이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라인에 트롤리선을 첨선하기 위해 장착되는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롱이어에 상단에 장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지지바에 형성된 지지롤러의 두께는 상기 롱이어의 볼트와 너트를 풀어 형성된 티바와 롱이어 사이의 최대허용 공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전동차용 트 롤리선 포설장치.
  3. 전동차용 전원공급 구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티바와, 티바의 하단에 트롤리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티바의 양측 하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롱이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라인에 트롤리선을 첨선하기 위해 장착되는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롱이어에 장착되는 지지롤러를 한 쌍의 지지바에 연결하는 축의 타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에 연결된 축이 흔들림이 없도록 축이 연결된 지지바에 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
KR2020060013841U 2006-05-23 2006-05-23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 KR200423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41U KR200423211Y1 (ko) 2006-05-23 2006-05-23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41U KR200423211Y1 (ko) 2006-05-23 2006-05-23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211Y1 true KR200423211Y1 (ko) 2006-08-03

Family

ID=4177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841U KR200423211Y1 (ko) 2006-05-23 2006-05-23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2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63385U (zh) 一种用于安装驱鸟装置的近电作业工具
CN116345370B (zh) 一种用于机电工程的电缆架设桥架结构
KR200423211Y1 (ko) 개선된 전동차용 트롤리선 포설장치
CN107419655A (zh) 一种跨座式单轨交通轨道梁防落梁伸缩装置
KR100934895B1 (ko) 파워레일 지지대
CN203958193U (zh) 锁闭杆限位器
KR200386180Y1 (ko) 전차선 연결 장치
JP2003260962A (ja) 隧道内の電車線関連部材の支持装置
KR101316676B1 (ko) 전차선 보수용 클램핑장치
CN106252987A (zh) 浮动式多芯电气连接器
CN204372335U (zh) 一种管线固定装置
CN208565215U (zh) 一种预埋槽道用t型螺栓
JP3680415B2 (ja) カテナリ式剛体電車線
CN113954699A (zh) 一种变截面汇流排的刚柔过渡系统
KR20080001631U (ko) 전차선 교체용 포설기
CN114808564B (zh) 一种适用于中低速磁浮列车的轨道结构及其安装方法
KR102043649B1 (ko) 철도차량용 볼트 캐리어
CN201895585U (zh) 三相交流供电接触轨膨胀接头
CN110792034A (zh) 一种耐久加强型双层止水伸缩装置
CN207278303U (zh) 牵引网悬挂结构、供电回路牵引装置以及盾构隧道系统
CN215705812U (zh) 轨道交通刚性接触网多维度定位线夹
CN100333949C (zh) 电气化铁道刚性接触网的悬挂装置及方法
CN215904350U (zh) 城市轨道交通刚性接触网多维度定位线夹
CN215883387U (zh) 城市轨道交通刚性接触网多维度定位线夹
KR200358382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