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194Y1 -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194Y1
KR200423194Y1 KR2020060013502U KR20060013502U KR200423194Y1 KR 200423194 Y1 KR200423194 Y1 KR 200423194Y1 KR 2020060013502 U KR2020060013502 U KR 2020060013502U KR 20060013502 U KR20060013502 U KR 20060013502U KR 200423194 Y1 KR200423194 Y1 KR 200423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vator
braking
li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한
Original Assignee
윤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한 filed Critical 윤재한
Priority to KR2020060013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1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마주하는 가동플레이트가 스프링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각 플레이트의 마주하는 면에 설치된 라이닝이 밀착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고정토록 된 것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2절 링크로 되면서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의 양측에 연결 설치되고, 중간의 굴절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대의 일단에 링크절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의 링크절첩수단에 동력을 전달 또는 단락시키도록 된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로프를 협지하는 가동판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로프에 가압되는 가압력은 최대로 높일 수 있는 구동력 전달 링크기구를 활용하여 상기 로프를 협지하는 순간 동작은 최대한 빠르게 하고 로프를 제동하는 구동력을 최대한 높일 수 있어서 최대한 안정성 있게 로프를 협지하도록 함으로서 로프를 제동 작동에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생산 원가가 저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직접가압식 또는 간접가압식 모두를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엘리베이터, 로프, 플레이트, 구동수단, 링크기구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3b,3c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a,4b,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 제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a,11b,11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 따른 작동 대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2a,12b,12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 따른 비상 제동 작동시 완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3a,1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에 의한 제동 완료 상태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4a,1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동수단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5a,1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링크절절첩수단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6a,1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리미트스위칭 수단을 나타낸 요부개략측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수동조작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분해사시도.
도 18a,18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수동조작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요부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로프 2 ; 권상풀리
3 ; 엘리베이터 4 ; 균형추
5 ; 로프브레이크장치 6 ; 고정프레임
10 ; 가동플레이트 11 ; 가동라이닝
20 ; 고정플레이트 21 ; 고정라이닝
30 ; 제동스프링 31 ; 가이드 축
40 ; 구동수단 41 ; 유압실린더
50 ; 링크기구 51 ; 굴절부
52 ; 2절링크 53 ; 회전힌지부
54 ; 연결링크 60 ; 연결대
70 ; 링크절첩수단 71 ; 푸쉬로드
81,82 ; 래크기어 90 ; 기어드모터
91,92 ; 피니언기어 91a ; 피니언기어 축
93 ; 래칫 94 ; 일방향 구동기어
95 ; 인장스프링 96 ; 세팅홀
101 ; 솔레노이드 102 ; 로드
110 ; 당김레버 120 ; 리미트스위치
130 ; 센싱블럭 131 ; 경사면
140 수동조작장치 141 ; 수동조작고정판
142 ; 수동조작핸들 143 ; 수동조작볼트
144 ; 고정판 145 ; 코일스프링
146 ; 인장스프링 147 ; 래칫
148 ; 래칫기어 150 완충공간부
151 ; 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행할 때 작동되는 운행 제동장치와 함께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엘리베이터가 정지 상태에서 로프의 슬립 현상으로 서서히 미끄러지거나 또는, 엘리베이터가 정상 속도보다 빠르게 운행되는 돌발상승 및 돌발하강 등의 비상 상황시에 작동하여 순간적으로 로프를 협지하는데 있어서, 로프를 간접적으로 안정성 있게 협지함과 동시에 로프를 제동하기 위한 구동력은 직접 가압하는 구동력으로 로프를 제동하는 신뢰성을 확보하면서도 순간적인 로프 제동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내의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완충 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생산 원가가 저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에서 승객을 이동시키는 시스템장치로서, 고출력의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견인 로프에 연결되어 승,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탑승객이 원하는 층에 정지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수단으로서 운행제동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행제동장치의 제동력 저하와 견인로프(1)와 권상풀리(2)의 마찰력 저하 또는 엘리베이터(3)와 균형추(4)의 무게 차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3)가 목적층 에 정지한 후 승객이 타고 내리는 순간 미끄러짐이 발생되거나 규정속도를 초과하여 돌발 급상승 및 돌발 급하강하는 비상시에 로프(1)를 협지하여 제동시키기 위한 로프제동장치(5)가 고정프레임(6)과 고정플레이트(7)에 의해 설치되어 필수적으로 구비됨으로서 엘리베이터(3)의 운행 상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건축법에 의거 설치 의무화를 시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와 같이 비상시에 사용된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로프를 협지 가압하기 위한 라이닝을 가진 한 쌍의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로프를 가압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고, 평상시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를 감지하여 비상 운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센서장치를 포함한 콘트롤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로프제동장치는 로프를 협지 및 가압하여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기 위한 가동판의 배치 구조와 이 가동판에 가해지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직접가압식과 간접가압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직접가압식은 상기 로프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구동수단으로 부터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직접가압식이 적용된 선행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999-52147호와 특허공개 제2000-21522호가 있다.
이 선행 기술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상기 로프를 협지하기 위해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한 쌍의 가동판과 일체로 연결되는 구동수단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와 가동판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력이 상기 가동판에 가압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가동판 사이에 개재된 상기 로프를 협지 및 가압하여 비상 상황 시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게 되며, 비상 상황 종료 후에는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판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켜 정상 운행을 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간접가압식의 경우에는 상기 로프를 협지하기 위한 가동판에 부여되는 가압력을 압축스프링로 대체하여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로프를 제동토록 구성하고, 상기 압축스프링을 상기 구동수단으로서 탄발 대기 상태로 압축시킨 후 록킹 수단으로 그 탄발 상태를 유지시켜 놓도록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이러한 간접가압식이 적용된 선행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995-7002502호와 특허공개 제1998-9084호 및 특허공개 제2003-83873호가 있다.
이러한 간접가압식의 로프제동장치 선행기술들의 특징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최대 압축되어 있는 압축스프링에 탄발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한 쌍의 가동판이 상기 록킹 수단의 록킹 해제 동작에 의해 압축시키고 있던 구동 수단의 동력 전달 상태가 해제되면서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가동판이 상기 로프를 협지 및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로프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는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이 단계적으로 가해지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가동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므로서 로프가 순간적으로 협지되어 그 충격으로 인해 급상승 또는 급하강 되는 엘리베이터를 급제동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로프의 급제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엘 리베이터 내에 타고 있는 승객에게 그대로 전달되므로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상당한 중량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제동하기 위해서는 로프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되는 큰 제동력이 로프에 가해져야 하기 때문에 직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장치 등의 구동수단은 고출력의 사양이 요구되며, 그에 따른 주변 제어 장치 및 콘트롤 회로 장치의 사양 또한 고출력 고가의 사양으로 구현 됨으로서 보조적인 로프제동장치의 규모 또한 운행제동장치 규모만큼 커지게 되는 문제로 인하여 생산원가가 매우 높아 비상용으로 사용되는 직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를 널리 보급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상기 간접가압식의 로프제동장치는 한 쌍의 가동판이 로프를 탄력적으로 협지 가압 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가동판이 안정적으로 작동을 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판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접히면서 협지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축에 의해 상기 가동판의 가장자리가 안정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압축스프링이 상기 로프를 탄력적으로 협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간접가압식에 사용되는 압축스프링은 상기 로프를 제동할만한 탄발력을 가지게 되므로 높은 탄발력을 갖는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데 사용되는 유압장치나 구동모터 및 감속기어 등의 구동수단 사양 또한 상기 직접가압식에 못지 않게 고출력 사양이 요구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직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와 같이 로프제동장치의 규모가 커지게 되고 그에 따른 생간 원가상승이 불가피한 구조적인 한계가 내재되어 있었다.
이를 위해 간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에 있어서, 특히 특허공개 제 2003-83873호의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간접가압식 구성을 가지면서도 상기와 같이 고출력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감속기어에 의한 한 쌍의 구동기어 축에 볼스크류축을 채용함으로서 상기 압축스프링을 저출력의 모터의 힘으로 압축시킨 후 압축시킨 상태를 별도의 록킹 수단으로 록킹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록킹 상태를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회로적 감지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와 감속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서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가동판이 상기 로프를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볼스크류는 역회전 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로프를 제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으로 가동판이 로프를 협지시키는 동작에 의해 볼스크류 축과 가이드 축을 따라 가동판이 평행 이동하는 동작의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볼스크류의 축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판의 협지하는 속도가 협지 동작에 신속성면에서 제대로 대응해 주지 못하는 구성이므로 순간 동작을 요구하는 비상 제동장치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가동판이 로프를 협지 가압하는 시간적 속도는 비상 상황 시 엘리베이터가 급상승 또는 급하강 되는 속도 및 거리에 대해 비례하기 때문에 비상제동거리가 직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보다는 매우 비효율적이어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급제동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등 심각한 문제가 내재되어 있어서 실제 제동장치에 적용하게 되는 경우 제품 설계 및 제작상 결점이 많은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직접 및 간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들은 최초 설치 및 초기모드로 세팅할 때나 비상 동작 된 이후에 다시 초기 복귀 모드로 전환시키려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만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결국, 전원 공급이 안되는 상황에서 수동으로 조작할 만한 부가적인 구성 이 전혀 구비되지 않았으며, 특히 구동수단을 모터 구동에 의한 감속기어 및 구동기어로 이루어진 로프제동장치의 경우에는 감속기어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구성이어서 그 상태를 수동 조작에 의해 해제하기가 어려워 결국 제동장치를 분해하거나 전원 공급이 재개되는 때까지 기다렸다가 해야 하는 등 초기 설치 및 관리 유지하는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가 비상 상황 시에 순간적으로 로프를 협지 함에 있어서, 로프를 협지하는 가동판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로프에 가압되는 가압력은 최대로 높일 수 있는 구동력 전달 링크기구를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로프를 협지하는 순간 동작이 최대한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로프를 제동하는 구동력을 최대한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협지 가압 동작은 다단계적으로 로프에 전달되도록 하여 최대한 안정성 있게 로프를 협지하도록 함으로서 로프의 제동에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순간적인 로프 제동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내의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완충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며, 생산 원가가 저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직접가압식 또는 간접가압식 모두를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가동판의 초기 모드로 복귀하는 작업을 전원 공급이 필요 없이 수동 조작으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마주하는 가동플레이트가 스프링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각 플레이트의 마주하는 면에 설치된 라이닝이 밀착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고정토록 된 것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2절 링크로 되면서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의 양측에 연결 설치되고, 중간의 굴절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대의 일단에 링크절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의 링크절첩수단에 동력을 전달 또는 단락시키도록 된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펌프 및 이와 연동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절첩수단은 그 일단이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와 연결되는 푸쉬로드가 구비되어서, 상기 실린더로드의 왕복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대가 상기 링크기구를 절첩시킴으로서 상기 가동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간격을 두고 벌어져 있다가 상기 스프링의 압축 작용에 의해 탄발적으로 상기 로프를 협지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링크절첩수단은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래크기어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그 외측이 상기 래크기어에 각각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맞물려 연동 회전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공지의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그 일단부가 어느 한쪽의 상기 피니언기어의 축에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로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당김레버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일방향 구동기어를 가진 기어드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피니언기어와 동일 회전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세팅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핀을 가진 원반형의 수동조작고정판과; 일단이 상기 수동조작고정판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탄발되게 조립되며 그 외측에 스프링으로 탄발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래칫에 걸려 역방 향방지되도록 설치되는 래칫기어를 가진 수동조작핸들과; 상기 수동조작핸들 중앙으로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나사 조립되고 타단은 상기 수동조작핸들의 내부 일단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수동조작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동조작장치가 더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서 상기 수동조작핸들 및 상기 수동조작고정판을 함께 탄력적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 측으로 밀착하여 상기 고정핀과 세팅홀을 일치시켜 상기 피니언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무전원 상태에서도 최초 모드로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어느 한쪽의 상기 플레이트와 라이닝 사이에는 완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 공간부 내에 복수의 완충부재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로프를 협지 가압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a)(b)(c)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 (a)(b)(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 제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 (a)(b)(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3)가 규정속도를 초과하여 돌발 급상승 및 돌발 급하강하는 비상시에 로프(1)를 협지하여 제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프레임(6)상에 고정플레이트(7)에 의해 설치된다.
이러한 로프제동장치는 상기 로프(1)를 협지하는 가압력은 직접가압식과 같이 확실한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협지 가압 동작은 신속하고 안정성 있게 동작하는 간접가압식의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종래와 같이 로프를 협지 가압하기 위한 각각의 라이닝을 가진 한 쌍의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로프를 가압하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플레이트에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제동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동스프링을 압착하여 탄발 대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상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 운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수단을 동작 및 정지시키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포함한 콘트롤 장치(미도시)가 부가적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고정플레이트(10)와 가동플레이트(20)로 구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하단부에는 고정브라켓(B)이 구비되어서 상기 고정프레임(6)에 상기 로프(1)와 일직선상으로 위치되어 상기 로프(1)를 평행하게 협지하도록 각도 조절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동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에는 두 쌍의 가이드축(31)이 나란하게 조립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그 타단부에 소정 탄성력을 갖는 복수의 상기 제동스프링(30)이 각각 끼워져 탄발되게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플레이트(1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해 가이드축(31)을 따라 평행하게 이동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동스프링(30)이 압축 상태가 되면 그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0)가 일정 간격으로 벌어져 있다가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 측으로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고정플레이트(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하기 위한 가동라이닝(11)과 고정라이닝(21),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상기 고정라이닝(21)은 장기간 사용 후 에 교체 가능하도록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이와 같은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 로프제동장치는 상기 로프(1)를 협지하는 방식이 간접가압식을 따르는 구성이므로 상기 로프(1)가 소정 간격으로 벌어진 상태의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고정플레이트(20) 사이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으로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하도록 구성되므로서 초기에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고정플레이트(20)를 소정 간격으로 벌리기 위한 구동수단(40)과 링크기구(5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링크기구(50)는 중간 부분이 힌지 조립되어 굴절부(51)를 갖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2절 링크(52)로 구성되며, 그 양단부는 각각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양측에 회전힌지부(53)에 의한 결합으로 각각 연결 설치되고, 그 끝단부는 다시 연결링크(54)로 힌지 조립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굴절부(51)의 굴절되는 동작에 의해 한 쌍의 상기 2절 링크(52)가 서로 동시에 연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2절링크(52)의 굴절부(51)에는 연결대(60)가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2절 링크(52)가 동시에 절첩되도록 구성되는데, 이 연결대(60)의 일측에는 상기 2절링크(52)를 절첩시키기 위한 링크절첩수단(7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0)은 그 일실시예로서 공지의 유압펌프(미도시) 및 유압실린더(41)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절첩수단(70)은 상기 연결대(60)에 그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41)의 실린더로드(42)와 연결되는 푸쉬로드(71)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로드(71)가 상기 유압실린더(41)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면 상기 연결대(60)가 동시에 승강 동작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링크기구(50)의 상기 2절링크(52)가 절첩하는 동작을 하게 되어 상기 굴절부(51)에 의해 절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2절링크(52)의 한쪽은 상기 고정플레이크(20)에 회전힌지부(53)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은 상기 가동플레이트(10)에 회전힌지부(53)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대(60)가 당김 동작을 하게 되면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상기 연결대(60)가 상기 유압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42)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상기 2절링크(52)가 펼쳐지면서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로부터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첩 동작을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링크기구(50)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고정플레이트(20)는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링크기구는 링크의 조합 구성 방식 및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저출력의 구동 수단이 힘으로도 상기 제동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압축시킬 수 있고 그 동작에 대한 신뢰성 또한 상당히 높아 로프제동장치에 본 고안에 따른 링크기구를 적용하면 생산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른 유지 관리도 용이해지는 등 매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로프제동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는 먼저, 상기 링크기구(50)를 활용한 초기 모드 상태가 간접가압식 형태로 설정되어야 한다.
즉, 상기 가동플레이트(10)와 고정플레이트(20)가 평상시 서로 간격을 두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에 따른 상기 로프(1)를 가압하기 위해 제동스프링(30)은 반대로 압축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로프제동장치는 상기 제동스프링(30)를 상기 링크기구(50)의 절첩 동작으로 압축하기 위한 구동수단(40)으로서 유압실린더(41)를 채용한 것이며, 그 실린더로드(42)에 연결된 상기 링크절첩수단의 푸쉬로드(71)에 상기 연결대(60)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로프 제동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 모드 상태는 도 3a,도3b,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기구(50)가 펼쳐진 상태가 되어야 한다.
즉, 유압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42)가 상승하면 상기 연결대(60)가 상승 하게 되므로 접혀져 있던 링크기구(50)의 2절링크(52)는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플레이트(1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로부터 점차적으로 간격을 벌리며 상기 가이드 축(31)을 따라 평행하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축(31)에 끼워져 있는 제동스프링(30)은 점차적으로 압축된다.
상기 제동스프링(30)의 압축 완료 상태에서는 상기 유압실린더(41)의 유압회로가 폐쇠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링크기구(50)가 접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동스프링(30)의 최대 압축 상태는 유압회로의 제어 및 상기 유압실린더(41)의 승강 행정에 의한 이동 거리에 의해 결정되므로 별도의 부가적인 감지장치 등이 불필요하다.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3)의 운행 중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도 4a, 4b,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3) 콘트롤제어부(미도시)의 신호 동작에 의해 유압펌프의 유압회로가 폐쇄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실린더로드(42), 상기 링크절첩수단(70)의 푸쉬로드(71) 및 연결대(60)는 하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동플레이트(1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측으로 평행하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대(60)에 의해 상기 링크기구(50)의 2절링크(52)는 펼쳐진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접히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고정라이닝(21) 및 상기 가동플레이트(10)의 가동라이닝(11)이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하게 되므로서 엘리베이터(3)를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수단의 구성이 기구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구성을 갖는 로프제동장치가 제공되는 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좌측면도,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a,1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동수단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5a, 1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링크절첩수단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는 대부분의 기본 구성 및 링크기구의 구성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대부분 따르므로 그에 대한 상술한 구성 설명에 의해 생략하기로 하며, 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링크절첩수단(70) 및 구동수단(40)은 유압식 구성보다 더 로프 제동에 대한 동작 신뢰성이 높은 기구 구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링크절첩수단(70)은 상기 연결대(60)의 일측에 한 쌍의 래크기어(81),(8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래크기어(81)(82)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전면에 나란히 맞물리도록 한 쌍의 피니언 기어(91)(92)가 맞물려 연동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느 일측의 상기 피니언기어(92)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다른쪽의 상기 피니언기어(91)가 맞물려 회전됨으로서 상기 래크기어(81)(82)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2절 링크(52)를 절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91)(9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구동수단(40)으로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공지의 솔레노이드(10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일단부가 어느 한쪽의 상기 피니언 기어(91)의 축(91a)에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솔레노이드(101) 로드부(102)에 힌지 결합되는 당김레버(110)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92)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래칫(93)에 의한 일방향 구동기어(94)를 가진 기어드모터(9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어드모터(90)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고정된 인장스프링(95)에 의해 회동되는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엘레베이터(3)의 비상 상황 시 콘트롤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101)가 동작을 하면 상기 당김레버(110)가 반대로 상승되면서 상기 기어드모터(90)가 상기 피니언기어(91) 축(91a)을 회전 중심점으로 하여 반대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일방향 구동기어(94)가 상기 피니언 기어(92)로부터 해제되므로서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 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고정라이닝(21) 사이에 있는 상기 로프(1)를 협지하여 가압하여 제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는 도 16a,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해 간격을 벌리는 행정과, 이와 동시에 제동스프링(30)이 압축되는 최대 압축 행정 거리를 제한하여 센싱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1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축(31)에 선단부에 구비된 브라켓(32)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20)의 프로브(121)가 접촉되어 상기 제동스프링(30)의 압축 완료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경사면(131)을 가진 센싱블럭(13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로프 제동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 모드 상태는 도 11a,11b,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기구(50)가 펼쳐진 상태가 되어야 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101)의 당김레버(102)에 의해 상기 기어드모터(90)가 상기 피니언기어(91)의 축(91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92)에 밀착되면 일방향 구동기어(94)와 상기 피니언 기어(92)가 맞물려 회전되며, 이에 인접된 또 다른 피니언 기어(9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91)(92)가 맞물려 회전되면 이에 연결된 한 쌍의 래크기어(81)(82)가 동시에 상승되므로서 상기 연결대(60)가 함께 상승된다.
상기 연결대(60)의 상승 동작에 의해 상기 링크기구(50)의 한 쌍의 2절링크(52)는 동시에 펼쳐지게 되므로서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해 간격을 벌리면서 평행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동스프링(30)이 점차적으로 압축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플레이트(10)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동스프링(30)의 압축 완료 위치까지를 의미하므로 상기 리미트스위치(120)의 프로브(121)가 상기 센싱블럭(130)의 수평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다가 상기 경사면(131)에 위치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12)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기어드모터(90)를 멈추게 한다.
상기 기어드모터(90)가 멈춘 후에는 상기 일방향 구동기어(94)가 래칫(93)에 걸려 역회전 되지 않으므로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0)는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상기 고정라이닝(21) 사이에 상기 로프(1)가 위치된 상태에서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제동스프링(30)의 압축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는 초기 모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초기 모드 상태 즉 엘리베이터(3)의 정상운행 상태로 유지되다가 엘리베이터(3)가 돌발적으로 급상승하거나 급하강하는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도 12a,12b,12c 및 도 13a,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3) 자체의 콘트롤부에 동작에 의해 그 감지 신호가 상기 솔레노이드(101)에 인가되므로서 상기 솔레노이드(101)의 로드(102)에 연결되어 당겨지고 있던 힘이 해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드모터(9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이에 연결된 인장스프링(95)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91) 축(91a)을 중심으로 반대로 일정 각도 회전되므로서 상기 일방향 구동기어(94)가 상기 피니언기어(92)와 맞물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92)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최대로 압축되어 있던 상기 제동스프링(30)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해 지지된 상태에서 탄발하게 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10)는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20) 측으로 평행 이동하게 되어 각 내측에 있는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상기 고정라이닝(21)이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함으로서 엘리베이터(3)를 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제동 동작은 상기 솔레노이드(102)에 신호가 인가된 시점으로 부터 동시적으로 순간 동작을 하게 되어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하여 제동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로프제동장치의 최초 설치를 할때나 엘리베이터 비상 상황 조치 후에 전원공급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기어드모터(90)가 상기 피니언기어(92)에 동력을 전달하지 못한 상황 등 수동 조작으로 초기 모드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수동조작장치(14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동조작장치(140)는 도 17 내지 도 18a,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조작 고정판(141)과, 수동조작핸들(142), 수동조작고정볼트(14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동조작고정판(141)은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92)와 동일 회전 중심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피니언기어(92)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세팅홀(96)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핀(144)을 가진 구성이다.
상기 수동조작핸들(142)은 그 일단이 상기 수동조작고정판(141)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45)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해 탄발되게 조립되며, 그 외측에 인장스프링(146)으로 탄발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래칫(147)에 걸려 역방향 회전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래칫기어(148)를 가진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수동조작볼트(143)는 상기 수동조작핸들(142) 중앙으로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나사 조립되고, 타단은 상기 수동조작핸들(142)의 내부 일단에 걸려 조여지게 함으로서 상기 수동조작고정판(141)이 상기 피니언기어(92)와 일체로 체결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동조작장치(140)는 수동 조작을 하는 경우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조작 하기 전 상태에서 상기 수동조작핸들(142) 및 상기 수동조작고정판(141)을 밀어 상기 고정핀(144)과 상기 피니언기어(92)의 세팅홀(96)을 일치시켜 끼워 연결한 뒤 상기 수동조작고정볼트(143)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나사 조립시키면 상기 수동조작핸들(142) 및 상기 수동조작고정판(141)이 상기 피니언 기어(92)와 일체로 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동조작핸들(142)의 너트부(142a)에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상기 피니언 기어(91)(92)가 서로 맞물려 회전되면서 상기 래크기어(81)(82) 및 2절링크(52)를 동작시켜 상기 링크기구(50)의 절첩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와 벌어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 축(31)에 끼워진 상기 제동스프링(30)을 압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동조작핸들(142)이 회전되면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반대로 회전되려고 하지만 상기 래칫기어(148)가 상기 래칫(147)에 의해 걸리게 되어 상기 피니언기어(92)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로프제동장치를 최초의 초기 모드 상태 즉, 상기 로프(10)를 협지 가압하기 위한 탄발 대기 상태로 전원 공급 없이도 작업자가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복귀된 이후에는 전원 공급을 재개하여 정상적인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로프제동장치에는 비상시 급제동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안정적인 구성의 보조적인 제동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플레이트(20)와 고정라이닝(21)는 사이에는 완충공간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부(150) 내에는완충부재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재는 복수의 코일스프링(151)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일스프링(151) 외에도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상기 코일스프링(151)은 상기 고정라이닝(21)의 전면에 걸쳐에 고르게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분산시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상기 로프(1)를 급제동하면서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상기 고정라이닝(21)이 안정적으로 협지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엘리베이터(3)의 비상 상황에 따른 급제동시 상기와 같이 상기 가동플레이트(11)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1)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이 상기 로프(1)에 한번에 전달되면 급제동이 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고정라이닝(21)에 상기 로프(1)가 닿는 순간 상기 완충공간부(150)에 있는 코일스프링(151)이 일차적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상기 로프(1)를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협지 가압하게 되어 빠른 속도로 진행하는 상기 로프의 속도를 순간적으로 늦춰주게 된다.
그리고, 이차적으로 지속적으로 가압되는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고정플레이트(20)의 가압 작용에 의해 양측의 라이닝(11)(21)이 상기 로프(1)를 추가적으로 더 밀착시키는 일련의 다단계 완충 제동 작용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로프(1)를 급격하게 순간적으로 제동하는 로프제동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치명적인 인명 사고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로프를 협지하는 가동판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로프에 가압되는 가압력은 최대로 높일 수 있는 구동력 전달 링크기구를 활용하여 상기 로프를 협지하는 순간 동작은 최대한 빠르게 하고 로프를 제동하는 구동력을 최대한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협지 가압 동작은 다단계적으로 로프에 전달되도록 하여 최대한 안정성 있게 로프를 협지하도록 함으로 서 로프를 제동 작동에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순간적인 로프 제동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내의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완충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며, 생산 원가가 저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직, 간접가압 방식 모두를 수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가동판의 초기 모드로 복귀하는 작업을 전원 공급이 필요 없이 수동 조작으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외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마주하는 가동플레이트가 스프링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각 플레이트의 마주하는 면에 설치된 라이닝이 밀착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고정토록 된 것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2절 링크로 되면서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의 양측에 연결 설치되고, 중간의 굴절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대의 일단에 링크절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의 링크절첩수단에 동력을 전달 또는 단락시키도록 된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펌프 및 이와 연동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절첩수단은 그 일단이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와 연결되는 푸쉬로드가 구비되어서, 상기 실린더로드의 왕복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대가 상기 링크기구를 절첩시킴으로서 상기 가동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간격을 두고 벌어져 있다가 상기 스프링의 압축 작용에 의해 탄발적으로 상기 로프를 협지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절첩수단은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래크기어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그 외측이 상기 래크기어에 각각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연동 회전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공지의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그 일단부가 어느 한쪽의 상기 피니언기어의 축에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로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당김레버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일방향 구동기어를 가진 기어드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와 동일 회전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세팅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핀을 가진 원반형의 수동조작고정판과;
    일단이 상기 수동조작고정판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탄발되게 조립되며 그 외측에 스프링으로 탄발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래칫에 걸려 역방향방지되도록 설치되는 래칫기어를 가진 수동조작핸들과;
    상기 수동조작핸들 중앙으로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나사 조립되고 타단은 상기 수동조작핸들의 내부 일단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수동조작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동조작장치가 더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서 상기 수동조작핸들 및 상기 수동조작고정판을 함께 탄력적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 측으로 밀착하여 상기 고정핀과 세팅홀을 일치시켜 상기 피니언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무전원 상태에서도 최초 모드로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어느 한쪽의 상기 플레이트와 라이닝 사이에는 완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부 내에 복수의 완충부재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로프를 협지 가압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KR2020060013502U 2006-05-19 2006-05-19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KR200423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502U KR200423194Y1 (ko) 2006-05-19 2006-05-19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502U KR200423194Y1 (ko) 2006-05-19 2006-05-19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179A Division KR100763830B1 (ko) 2006-05-19 2006-05-19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194Y1 true KR200423194Y1 (ko) 2006-08-03

Family

ID=4177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502U KR200423194Y1 (ko) 2006-05-19 2006-05-19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1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811B1 (ko) 2011-04-06 2012-10-18 (주) 태두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US11661314B2 (en) * 2016-11-10 2023-05-30 Inventio Ag Cable brake,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811B1 (ko) 2011-04-06 2012-10-18 (주) 태두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US11661314B2 (en) * 2016-11-10 2023-05-30 Inventio Ag Cable brake,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03802B (zh) 垂直升降门的断绳保护装置
EP2112115B1 (en) 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coupled to gear drive assembly
CN108408530B (zh) 一种直线电机直驱电梯双向超速保护装置
CN104781175A (zh) 具有安全制动器的电梯
CN101759076B (zh) 电梯缓冲器
CN102196986A (zh) 用于电梯的速度限制器
CN102897633A (zh) 具制动功能的电梯滚动导靴
CN1789102B (zh) 电梯超速保护装置
CN103434912A (zh) 电梯钢丝绳夹绳器
CN100460307C (zh) 一种电梯双向超速保护装置
KR200423194Y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CN101190766B (zh) 制动力矩可调的辅助制动器以及自动扶梯和自动人行道
KR100763830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CN105197717B (zh) 设有速度监控部件的单制动压板双向自动防溜车限速系统
KR100506789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
CN116946838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电梯安全保护装置
EP3842372B1 (en) Counterweight safety brake test device and method
CN2793028Y (zh) 电梯轿厢上行超速保护夹绳机构
CN110092315B (zh) 具有安全报警功能的货物升降装置
CN2693725Y (zh) 双向动作限速器
CN206798897U (zh) 无机房双向限速器
TWM550730U (zh) 電梯移動保護裝置
KR100682039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CN101264846B (zh) 锻造起重机过载随动保护装置
JP2001002342A (ja) エレベーター用非常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