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811B1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811B1
KR101192811B1 KR1020110031849A KR20110031849A KR101192811B1 KR 101192811 B1 KR101192811 B1 KR 101192811B1 KR 1020110031849 A KR1020110031849 A KR 1020110031849A KR 20110031849 A KR20110031849 A KR 20110031849A KR 101192811 B1 KR101192811 B1 KR 101192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braking
fluid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085A (ko
Inventor
정호열
Original Assignee
(주) 태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두 filed Critical (주) 태두
Priority to KR1020110031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81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동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제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제동 해제는 전자적 제어에 의한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면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박스체로 형성되며, 상측의 양 측벽 간에는 힌지축이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개구된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측의 양 측벽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측 제동판; 상기 고정측 제동판과는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통과되도록 이격 설치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측 제동판을 향해 근접 이동되면서 상기 로프를 제동하는 이동측 제동판; 상기 고정 프레임의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고압의 유체를 제공받아 상기 회전 프레임을 강제 회전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공받은 유체가 배출되면 상기 회전 프레임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회전 조작부; 그리고, 상기 회전 조작부로 고압의 유체를 제공하는 유압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rope brake system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동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제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제동 해제는 전자적 제어에 의한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 등에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승객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엘리베이터는 모터로 견인되는 다수의 로우프에 연결되어 승,하강 된다.
특히,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비상 사고(예컨대, 미끄러짐이나 규정 속도를 초과한 하강 발생시 혹은, 규정 속도를 초과한 상승 발생시)에 대처하기 위한 제동장치가 구비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196205호 및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221960호에서는 전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한 쌍의 브레이크 라이닝이 로우프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향해 동작되면서 상기 로우프를 서로 가압하여 엘리베이터가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라이닝으로 상기 로우프를 제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라이닝에 매우 큰 가압력의 제공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두 브레이크 라이닝에 상기 로우프의 제동을 위한 충분한 가압력이 제공되지 못할 경우 엘리베이터의 무게로 인해 상기 로우프가 상기 두 브레이크 라이닝 사이로부터 미끌어져 안전 사고의 발생 원인이 된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이 인접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형 스프링의 크기가 더욱 커지거나 혹은, 코일 스프링의 수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동장치의 크기 역시 커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의 크기가 커진다면 로프의 제동 해제를 위해서 두 브레이크 라이닝 간을 이격시키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을 가지며, 특히 상기 두 브레이크 라이닝 간을 이격시키는 구성이 모터나 유공압 실린더일 경우 해당 구성의 용량이 더욱 커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단가의 상승이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제동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제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제동 해제는 전자적 제어에 의한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전면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박스체로 형성되며, 상측의 양 측벽 간에는 힌지축이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개구된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측의 양 측벽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측 제동판; 상기 고정측 제동판과는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통과되도록 이격 설치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측 제동판을 향해 근접 이동되면서 상기 로프를 제동하는 이동측 제동판; 상기 고정 프레임의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고압의 유체를 제공받아 상기 회전 프레임을 강제 회전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공받은 유체가 배출되면 상기 회전 프레임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회전 조작부; 그리고, 상기 회전 조작부로 고압의 유체를 제공하는 유압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프레임과 상기 이동측 제동판 간은 한 쌍의 동작 레버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각 동작 레버는 일단이 상기 이동측 제동판의 측면 외벽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측벽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각 동작 레버와 회전 프레임의 양 측벽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연결축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벽에는 상기 연결축이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절개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측 제동판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동작 레버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동작 레버의 상면 및 저면을 감싸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 레버와 상기 회전 프레임과의 연결 부위는 상기 회전 프레임 중 힌지축에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회전 조작부가 연결되는 부위 사이 중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는 부위에 더욱 인접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조작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내의 하단측에 설치되면서 유압 제공부로부터 고압의 유체를 제공받으며, 선단이 개구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로 고압 유체가 제공될 경우 상기 실린더의 개구된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실린더로드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양 측벽과 상기 실린더로드의 선단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동축과, 일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동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조작부를 이루는 실린더 및 실린더로드는 둘 이상의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연동축은 상기 복수의 실린더로드 선단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 제공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내에 설치되면서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탱크와, 상기 유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회전 조작부로 제공하도록 안내하는 유체 이송관과, 상기 유체 이송관의 관로 상에 구비되면서 전자 제어에 의해 상기 유체 이송관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이동측 제동판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력이 상기 이동측 제동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지렛대의 원리와 같이 회전 프레임의 어느 일측을 회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측 제동판의 수평 이동을 위한 조작력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력에 의해서도 상기 이동측 제동판이 고정측 제동판을 원활히 가압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회전 프레임을 강제 회전시키는 구조가 대형의 코일 스프링 대신에 고압 유체를 이용한 실린더로드의 전후 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장치에 대한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제동 해제시에는 실린더 내의 고압 유체를 배출하는 과정에 의해 회전프레임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제동 해제를 위한 수동 조작이 필요치 않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제동 해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제동 해제시 상태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제동 해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제동 해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동작 레버에 대한 설치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구조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유압 제공부를 간략화시켜 나타낸 개략적인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제동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제동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이하, “제동장치”라 함)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크게 고정 프레임(100)과, 회전 프레임(200)과, 고정측 제동판(300)과, 이동측 제동판(400)과, 회전 조작부(500) 및 유압 제공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고정 프레임(100)은 제동장치의 몸체 역할을 수행하는 일련의 부위로써, 엘리베이터용 로프(10)가 경유하는 부위(예컨대, 기계실)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100)은 전면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박스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100)은 평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양측에는 측벽(110)이 각각 절곡 형성되면서 전방 및 상하부가 개구됨과 더불어 후방은 폐쇄된 형태의 박스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양 측벽(110) 중 상단측 부위에는 후술될 회전 프레임(200)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축(120)이 관통 설치되도록 힌지공(130)이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후술될 회전 프레임(200)의 연결축(220)이 관통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절개홈(140)이 각각 형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0)을 기계실에 고정하는 베이스 프레임(150)이 각각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20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0)과의 상대 동작에 의해 로프(10)의 제동 혹은, 제동 해제를 위한 조작력을 이동측 제동판(500)에 전달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회전 프레임(200) 역시 상기 고정 프레임(1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개구된 전면을 덮도록 구성되고, 양 측벽(21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양 측벽(110) 내로 요입된다.
또한, 상기 회전 프레임(200)을 이루는 두 측벽(210)의 상단 부위로는 힌지축(120)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120)의 끝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힌지공(130)을 관통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 프레임(200)은 상기 힌지축(12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10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측 제동판(300) 및 이동측 제동판(400)은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로프(10)를 강제 제동하는 한 쌍의 브레이크 라이닝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측 제동판(300)은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은 상기 고정측 제동판(300)과는 이격되면서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측 제동판(300)의 배면에는 엘리베이터용 로프(10)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한 복수의 안착홈(310)이 요입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은 한 쌍의 동작 레버(410)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200)과 서로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각 동작 레버(410)는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에 따른 이동력을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으로 제공하여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이 상기 고정측 제동판(30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일단은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의 측면 외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외측편에 위치된 상태로 연결축(220)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측벽(21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220)은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0)을 이루는 두 측벽(210)을 가로지르면서 양 끝단이 외향 돌출되도록 관통 설치되는 축이며, 기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00)의 측벽(110)에 형성된 절개홈(140)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동작 레버(410)와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작 레버(410)와 상기 회전 프레임(200)과의 연결 부위가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 중심(힌지축에 연결되는 부위)과 후술될 회전 조작부(500)가 연결되는 부위 사이 중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 중심에 더욱 인접되게 위치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첨부된 도 5의 개념도와 같이 상기 동작 레버(410)의 위치가 최대한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 중심에 인접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0)에 대한 하단측 부위가 고정 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 중심에 인접되게 위치된 동작 레버(410)의 이동을 위한 힘이 더욱 커짐에 따라 제동력의 증가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측 제동판(300)의 양측 끝단면에 상기 동작 레버(410)의 상면 및 저면을 감싸는 지지돌기(320)가 돌출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320)는 상기 동작 레버(410)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이 상기 고정측 제동판(300)에 대하여 정확히 대응되는 상태로 인접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로프(10)는 더욱 안정적으로 제동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조작부(500)는 상기 회전 프레임(200)을 강제 회전시키는 일련의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회전 조작부(500)가 고압의 유체를 제공받아 상기 회전 프레임(200)을 강제 회전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공받은 고압 유체가 배출되면 상기 회전 프레임(2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작부(500)는 종래 기술과 같은 코일형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체 압력에 의해 동작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락킹을 위한 구조를 생략함과 더불어 락킹 해제 동작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전체적인 로프 제동장치에 대한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작부(500)는 크게 실린더(510)와, 실린더로드(520)와, 연동축(530) 및 복원부재(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510)는 후술될 유압 제공부(600)로부터 고압의 유체를 제공받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선단을 제외한 내부가 폐쇄된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의 수용 공간 중 상기 힌지축(120)이 설치된 측(도면상 상부측)과는 반대 측(도면상 하부측)에 위치된 상태로 선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내벽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로드(520)는 상기 실린더(510) 내로 고압의 유체가 제공될 경우 상기 고압 유체의 유체(流體) 압력(壓力)에 의해 실린더(510)의 개구된 선단으로부터 돌출 이동되는 구성으로써, 일부가 상기 실린더(510) 내에 수용된 상태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실린더로드(520)의 선단은 상기 실린더(5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내벽면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축(530)은 상기 실린더로드(520)와 상기 회전 프레임(200) 간을 연동시키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양 측벽(210) 및 상기 실린더로드(520)의 선단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실린더로드(520)와 상기 회전 프레임(200)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원부재(540)는 상기 실린더(510) 내의 고압 유체가 배출될 경우 상기 실린더로드(520)가 상기 실린더(510) 내로 요입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일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측벽(110)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연동축(530)의 끝단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540)는 단순히 상기 회전 프레임(200)이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유동만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복원력만 제공하면 됨에 따라 그 크기가 크지 않아도 상관없다. 즉, 상기 회전 프레임(200)은 실린더(510) 내의 고압 유체가 배출될 경우 그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복원부재(540)는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이 좀더 빨리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 및 상기 회전 프레임(200)이 원위치로 복귀되었을 경우 원치않게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복원력만 제공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회전 조작부(500)를 이루는 실린더(510) 및 실린더로드(520)가 복수로 제공됨을 제시한다.
즉, 고정 프레임(100) 내의 설치 공간에서 연동축(530)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성함으로써, 회전 프레임(200)의 강제 회전을 위한 힘의 제공이 더욱 커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유압 제공부(600)는 상기 회전 조작부(500)로 고압의 유체를 제공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유압 제공부(600)는 유체 저장탱크(610)와, 유체 이송관(620) 및 개폐밸브(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 저장탱크(610)는 고압의 유체(예컨대, 공기)가 저장되는 탱크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체 저장탱크(610)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소켓(611)을 통해 첨부된 도 6 및 도 7과 같은 별도의 공기 압축 펌프(612)로부터 압축된 고압의 공기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 이송관(620)은 상기 유체 저장탱크(610) 내에 저장된 고압의 유체를 상기 회전 조작부(500)의 실린더(510) 내로 제공하도록 안내하는 호스(hose)로써, 일단은 상기 유체 저장탱크(610)로부터 고압 유체를 제공받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510)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630)는 상기 유체 이송관(620)의 관로 상에 구비되면서 전자 제어에 의해 상기 유체 이송관(620)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개폐밸브(630)가 방향 제어밸브로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러한 방향 제어밸브는 전원의 공급시 상기 유체 저장탱크(610)와 상기 실린더(510) 간을 서로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실린더(510) 내부는 외부 공간(예컨대, 대기)과 연통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전원의 공급 중단시에는 상기 유체 저장탱크(610)와 상기 실린더(510) 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동작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첨부된 도 4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정상적인 운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유압 제공부(600)를 이루는 개폐밸브(630)로의 계속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개폐밸브(630)가 유체 이송관(620)의 관로를 외부 공간과 연통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실린더(510) 내부에는 고압 유체가 배출된 대기압의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실린더로드(520)는 복원부재(5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510) 내부로 요입된 상태로 회전 프레임(200)의 하단이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를 이루며, 이로 인해 상기 회전 프레임(200)과 연결축(220)에 의해 연결된 이동측 제동판(400)은 고정측 제동판(30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과 상기 고정측 제동판(300) 사이를 통과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10)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될 경우 혹은, 비상 제동이 필요시 되는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는 유압 제공부(600)를 이루는 개폐밸브(630)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이로 인해, 첨부된 도 7과 같이 유체 저장탱크(610)와 실린더(510) 내부 간의 공간이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서 상기 유체 저장탱크(610) 내에 저장된 고압의 유체(예컨대, 고압 공기)가 유체 이송관(620)을 통해 상기 실린더(510) 내부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실린더(510) 내부로의 고압 유체가 제공될 경우에는 상기한 고압 유체의 유압에 의해 실린더로드(520)의 외향 돌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실린더로드(520)의 외향 돌출로 인해 회전 프레임(200)은 힌지축(12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하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강하게 회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상단에 연결축(220)에 의해 연결된 동작 레버(410) 역시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 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동측 제동판(400)을 고정측 제동판(300)에 근접시킨다. 이때, 상기 동작 레버(410)는 상기 고정측 제동판(300)의 양측 끝단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320)의 안내를 받아 수평 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은 상기 고정측 제동판(300)과 정확히 일치되도록 밀착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로프(10)를 제동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다.
특히, 상기한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회전 조작부(500)를 이루는 실린더(510)의 내부로는 고압의 유체가 계속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에 의한 가압력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로프(10)는 안정적인 제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제동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제동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개폐밸브(630)로 전원을 공급하면 된다.
즉, 개폐밸브로(630)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면 상기 개폐밸브(630)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유체 이송관(620)의 관로가 외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동작되고, 이로 인해 실린더(510) 내부에 존재하던 고압 유체는 상기 유체 이송관(6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실린더(510) 내부는 대기압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린더(510) 내부가 대기압 상태가 되면 실린더로드(520)가 복원부재(5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510) 내부로 점차 요입되도록 이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하단은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로 점차 수용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회전 프레임(200)과 연결축(220)으로 연결되어 있던 동작 레버(410)가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 방향으로 점차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동작 레버(410)와 결합된 이동측 제동판(400)은 고정측 제동판(300)으로부터 점차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과 상기 고정측 제동판(300) 사이에 위치된 엘리베이터용 로프(10)의 제동이 해제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용 로프(10)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구조에 따르면 회전 프레임(200)을 강제 회전시키는 대형의 코일 스프링 대신에 고압 유체를 이용한 실린더로드(520)의 전후 이동에 의해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이 강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장치에 대한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동 해제시에는 실린더(510) 내의 고압 유체를 배출하는 과정을 통해 상대적으로 복원력이 약하면서도 작은 복원부재(540) 만으로도 원활한 제동 해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이동측 제동판(400)은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인접된 위치에 연결된 동작 레버(410)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회전 프레임(200)의 작은 회전력으로도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을 이동시키는 힘의 증폭을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이동측 제동판(400)과 고정측 제동판(300) 사이를 통과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10)의 제동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0. 고정 프레임 110. 측벽
120. 힌지축 130. 힌지공
140. 절개홈 150. 베이스 프레임
200. 회전 프레임 210. 측벽
220. 연결축 300. 고정측 제동판
310. 안착홈 320. 지지돌기
400. 이동측 제동판 410. 동작 레버
500. 회전 조작부 510. 실린더
520. 실린더로드 530. 연동축
540. 복워부재 600. 유압제공부
610. 유체 저장탱크 611. 소켓
612. 공기 압축펌프 620. 유체 이송관
630. 개폐밸브

Claims (7)

  1. 전면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박스체로 형성되며, 상측의 양 측벽 간에는 힌지축이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개구된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측의 양 측벽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측 제동판;
    상기 고정측 제동판과는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통과되도록 이격 설치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측 제동판을 향해 근접 이동되면서 상기 로프를 제동하는 이동측 제동판;
    상기 고정 프레임의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고압의 유체를 제공받아 상기 회전 프레임을 강제 회전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공받은 유체가 배출되면 상기 회전 프레임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회전 조작부; 그리고,
    상기 회전 조작부로 고압의 유체를 제공하는 유압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과 상기 이동측 제동판 간은 한 쌍의 동작 레버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각 동작 레버는 일단이 상기 이동측 제동판의 측면 외벽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측벽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각 동작 레버와 회전 프레임의 양 측벽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연결축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벽에는 상기 연결축이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절개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제동판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동작 레버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동작 레버의 상면 및 저면을 감싸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레버와 상기 회전 프레임과의 연결 부위는
    상기 회전 프레임 중 힌지축에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회전 조작부가 연결되는 부위 사이 중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는 부위에 더욱 인접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작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내의 하단측에 설치되면서 유압 제공부로부터 고압의 유체를 제공받으며, 선단이 개구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로 고압 유체가 제공될 경우 상기 실린더의 개구된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실린더로드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양 측벽과 상기 실린더로드의 선단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동축과,
    일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동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작부를 이루는 실린더 및 실린더로드는 둘 이상의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연동축은 상기 복수의 실린더로드 선단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제공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내에 설치되면서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탱크와,
    상기 유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회전 조작부로 제공하도록 안내하는 유체 이송관과,
    상기 유체 이송관의 관로 상에 구비되면서 전자 제어에 의해 상기 유체 이송관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1020110031849A 2011-04-06 2011-04-06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101192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49A KR101192811B1 (ko) 2011-04-06 2011-04-06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49A KR101192811B1 (ko) 2011-04-06 2011-04-06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085A KR20120114085A (ko) 2012-10-16
KR101192811B1 true KR101192811B1 (ko) 2012-10-18

Family

ID=4728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849A KR101192811B1 (ko) 2011-04-06 2011-04-06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6225A (zh) * 2012-12-11 2013-05-08 杭州奥立达电梯有限公司 电梯防溜车保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132Y1 (ko) 2004-06-09 2004-09-07 (주)디 앤드 디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
KR200383076Y1 (ko) 2005-01-24 2005-04-29 (주)금영제너럴 엘리베이터의 안전제동장치용 유압발생장치
KR200398484Y1 (ko) 2005-07-22 2005-10-12 기산정보시스템주식회사 스프링 포켓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KR200423194Y1 (ko) 2006-05-19 2006-08-03 윤재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132Y1 (ko) 2004-06-09 2004-09-07 (주)디 앤드 디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
KR200383076Y1 (ko) 2005-01-24 2005-04-29 (주)금영제너럴 엘리베이터의 안전제동장치용 유압발생장치
KR200398484Y1 (ko) 2005-07-22 2005-10-12 기산정보시스템주식회사 스프링 포켓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KR200423194Y1 (ko) 2006-05-19 2006-08-03 윤재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6225A (zh) * 2012-12-11 2013-05-08 杭州奥立达电梯有限公司 电梯防溜车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085A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9014B2 (en) Fitting
TWI512222B (zh) 無滑動型閘閥
KR100774147B1 (ko) 기계식 밸브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벽면 등반 로봇
KR101234710B1 (ko) 게이트 밸브
US8397929B2 (en) Integral buffe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low rate of fluid and flat rack container including the integral buffering apparatus
CN109070780B (zh) 头枕折叠装置
KR101192811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20130070499A (ko) 자동 나사못 이송장치
CN108974026B (zh) 滑动式防火门
CN106795731A (zh) 用于窗或门的、作为推拉翼扇或可移动的提升‑推拉翼扇的可移动的翼扇的端部位置拉入与端部位置缓冲装置
CN106103265B (zh) 具有整体移动的船尾舱口盖的船
CN102645076A (zh) 冰箱自动取物装置与冰箱门
CN102596767A (zh) 停止装置
CN102530010A (zh) 铁路车辆制动风管自动接解器
KR102439230B1 (ko)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
KR101289670B1 (ko) 진공타입의 듀얼 밸브를 적용한 피스톤 타입의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KR102284195B1 (ko)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JP4291335B2 (ja) ハンドリフトトラック
CN114148358B (zh) 车辆车门开闭装置及车辆
JP2005145268A (ja) 鉄道車両用床下カバーの開閉支持装置
CN101802315B (zh) 用于蓄水箱放出阀的气动按钮组件
JP6578248B2 (ja) 乗りかごドア気密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ITMO20140333A1 (it)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ella frenatura di un rimorchio
KR101036576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20080091650A (ko) 이동바퀴 장치 및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