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111Y1 -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111Y1
KR200423111Y1 KR2020060014169U KR20060014169U KR200423111Y1 KR 200423111 Y1 KR200423111 Y1 KR 200423111Y1 KR 2020060014169 U KR2020060014169 U KR 2020060014169U KR 20060014169 U KR20060014169 U KR 20060014169U KR 200423111 Y1 KR200423111 Y1 KR 200423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crew
adjustment
cutting too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기
Original Assignee
박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기 filed Critical 박성기
Priority to KR2020060014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1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3Boring heads
    • B23B29/034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3Bor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가공물 공구 길이의 미세이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링 및 절삭공구에 고정되어 가공물을 가공하는 인서트를 조정 스크루와 결합 되는 인서트 조정 스크루의 미세조정으로 하여금 공구길이의 이동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물의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인서트의 길이 조정은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가공물의 면조도 종래보다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공구, 공구 길이, 공구 미세이동 조정

Description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The movement control system of a boring tool}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아버 11. 절삭공구
12. 몸체 13. 조정스크루
14. 미세조절부 15. 고정구
16. 고정 블럭 17. 체결부재
18. 나사부 19. 클램프 볼트
본 고안은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링 및 보링 등 회전력을 이용하는 절삭가공기에 조립하여 내경 가공을 하되, 공구의 미세치수 조절 수단을 형성하여 절삭공구의 위치를 매우 정밀하게 변화시켜 줄 수 있는 보링 공구길이의 미세이동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링 가공을 하기 위한 전용 공구로는 보링바를 들 수 있는데, 상기 보링바는 그 끝부분에 절삭팁을 착설하되, 경사지게 끼워진 나사축 끝에 붙이고, 상기 나사축을 공회전 되도록 유착한 너트의 작용으로 인해 중심축으로부터 가까이 또는 멀리 진퇴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링 공구는 그 조절수단으로 나사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마모로 인한 백레쉬와 비틀림이 발생하여 수명이 짧을 뿐만 아니라, 임의의 치수조절을 위해 손으로 돌려주는 과정에서 인위적인 수치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로 극히 정밀한 조절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보링 공구는 절삭직경에 따라 그 치수에 알맞은 적절한 것을 사용하고, 황삭용 절삭공구와 다듬질용 절삭공구를 각각 따로 구비한 후, 때에 따라 적절히 교체해 가며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 바 이들 공구는 절삭날 고정부분으로부터 몸체인 아버(arbor)부분까지 고가의 특수공구강으로 일체화시켜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보링머신에 형성된 공구 조절수단은 대부분 나사축에 의한 이동조절이기 때문에 자체 정밀도가 우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나사축의 백레쉬와 비틀림이 있는 한 미세한 조절은 불가능한 것이며, 특히 이러한 정밀 가공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절삭지름 및 절삭방법에 따라 절삭공구만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절삭날을 고정시키는 절삭공구를 아버(arbor)에 고정시키되, 상기 절삭공구는 조정 스크루와 일체 형성된 절삭공구 고정부에 결함 됨과 아울러 상기 조정 스크루는 고정구 내부에 수용된 미세 조절부의 나사부와 맞물려 상기 절삭공구 고정부의 이동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 몸체(12)는 기계의 헤드척에 물려 고정되는 아버(10)와, 상기 아버(10) 부분과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 블럭(16)과, 상기 고정 블럭(16)에 고정되는 절삭공구(11)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절삭공구(11)를 고정한 고정 블럭(16)은 나사부(18)를 갖는 조정스크루(13)와 일체로 결합되게 구성한다.
상기 조정스크루(13)는 미세조절부(14)와 서로 맞물려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미세조절부(14)의 작동에 의해 조정스크루(13)는 움직이게 되고, 상기 조정스크 루(13)의 작동에 의해 미세조절부(14)와 일체로 고정된 고정 블럭(16) 또한 좌,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미세조절부(14)의 나사부(18)는 아버(10) 일측에 형성된 고정구(15)에 수용되는 구조이며, 이때 미세조절부(14)는 육각 렌치 볼트 형태나 회전식 핸들의 형태로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가 고정 블럭(16)에 고정된 절삭공구(11)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육각 렌치 볼트나 회전식 핸들로 이루어진 미세조절부(14)를 작동하여 절삭공구(11) 부분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육각 렌치(미도시됨)와 핸들을 사용하여 상기 미세조절부(14)를 동작시키는 구성이며, 상기 미세조절부(14)의 나사부(18)와 조정스크루(13)에 형성된 나사부(18)는 서로 맞물림과 함께 고정 블럭(16) 부분을 미세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의 상황에서 조정스크루(13)와 미세조절부(14)는 별도의 나사부(18)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미세조절부(14)를 육각 렌치(미도시됨)를 사용하여 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정스크루(13)는 전진하게 되면서 고정 블럭(16)에 결합된 절삭공구(11) 또한 이동하게 되므로 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절식공구(11)에 고정된 절삭날의 거리 조정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작동하는 힘에 대해 살펴보면, 미세조절부(14) 부분이 M6 X 0.75(피치)일 경우 360°회전시(1회전) 0.75mm가 움직이므로 1°회전시 0.002mm가 움직이므로 충분히 2u 이내로 정밀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미세조절부(14)를 이용하여 조정스크루(13)의 백래시 방지 및 고정이 되기 때문에 절삭 가공시 발생하는 배분력(P)이 크더라도 절삭공구(11)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공구 몸체(12)는 기계의 헤드척에 물려 고정되는 아버(10)와, 상기 아버(10) 부분과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 블럭(16)과, 상기 고정 블럭(16)에 고정되는 절삭공구(11)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 블럭(16)은 클램프 볼트(19)의 결합에 의해 아버(10) 부분과 일체로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절삭공구(11)을 고정한 고정 블럭(16)에는 나사부(18)를 갖는 조정스크루(13)를 형성하는 한편, 도 1 및 도 2, 도 3과 같이 조정스크루(13)에는 미세조절부(14)의 나사부(18)를 결합하게 되고, 이때 상기 조정스크루(13)는 미세조절부(14)에 형성된 나사부(18) 부분과 일체로 맞물린 상태이어서 사용자는 육각 렌치(미도시됨) 및 핸들을 사용하여 미세조절부(14)를 회전시켜 절삭공구(11)를 고정한 고정 블럭(16)의 좌,우 길이 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미세조절부(14)와 일체로 맞물린 조정 스크루(13)를 회전시키게 되면서 고정 블럭(16)에 결합된 절삭공구(11)의 좌우이동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정 블럭(16)에 형성된 조정 스크루(13)는 육각 렌치를 사용하여 절삭공구(11)의 이동이 용이하게 한 다음, 미세조절부(14)를 회전시키면서 절삭공구(11)의 좌,우 이동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절삭공구(11)의 좌우 거리 조정이 끝난 다음 작업자는 클램프 볼트를 고정된 절삭날을 사용하여 공작기계 보링 및 절삭공구를 작동시켜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절삭날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절삭공구에 절삭날을 체결, 조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절삭공구를 공작기계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좌, 우측의 거리 조정이 가능한 특징과 아울러 가공물의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절삭공구의 거리 조정은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가공물의 면조 및 치수가공을 종래보다 우수하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기계의 헤드척에 물려 고정되는 아버를 형성시키되,
    상기 아버의 하부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는 절삭공구를 고정하는 고정 블럭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블럭 부분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나사부를 갖는 조정스크루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조정스크루는 핸들 및 육각 렌치 볼트로 형성된 미세조절부의 나사부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구성되어 작동함과 함께 상기 미세조절부의 회동에 의해 조정스크루의 이동거리와 절삭공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
KR2020060014169U 2006-05-26 2006-05-26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 KR200423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169U KR200423111Y1 (ko) 2006-05-26 2006-05-26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169U KR200423111Y1 (ko) 2006-05-26 2006-05-26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111Y1 true KR200423111Y1 (ko) 2006-08-02

Family

ID=4177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169U KR200423111Y1 (ko) 2006-05-26 2006-05-26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1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49B1 (ko) * 2015-09-25 2015-12-31 이헌재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49B1 (ko) * 2015-09-25 2015-12-31 이헌재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0146B1 (en) Cutting edge-replaceable cutting tool with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KR20160038731A (ko) 기계 공구들에서 절삭 인서트 카트리지들의 향상된 양방향의 미세 조정을 위한 메카니즘
US6558087B1 (en) Machining tool for high-speed machining
KR102053298B1 (ko) 가공물 센터 맞춤 지그 장치
CN211248460U (zh) 一种可调节钻床
KR101713687B1 (ko) 박막두께 금속 블레이드 가공용 cnc 자석지그
US7128501B1 (en) Lathe tool assembly
KR20160072390A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공작기계용 척
KR200423111Y1 (ko)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
WO2021223309A1 (zh) 一种车床弧面加工的靠模组件
KR100363187B1 (ko) 공작기계용 작업지그
KR100599568B1 (ko) 선반 가공물 가공 기준 위치 지그 유니트
CN210010506U (zh) 一种钻镗倒角组合刀具
JP2003127026A (ja) 切削工具、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切削加工方法
KR200420649Y1 (ko) 금속가공물 공구 길이의 미세이동 조절장치
CN216463066U (zh) 一种适用于钻床加工斜孔的工装夹具
JP5902901B2 (ja) 工作機械用の主軸
JP2007144598A (ja) 切削工具
JP4851153B2 (ja) ノズル固定構造
JP2016159404A (ja) ノズル付チャック装置
CN217452156U (zh) 适用于数控机床上的固定加工件的顶针尾座
US3691884A (en) Tool post
JP4813052B2 (ja) 被加工物倣い用スタイラス
CN214489892U (zh) 一种便于校准固定的cnc机床
KR200446895Y1 (ko) 공구홀더의 편심량 조절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