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649B1 -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649B1
KR101581649B1 KR1020150136145A KR20150136145A KR101581649B1 KR 101581649 B1 KR101581649 B1 KR 101581649B1 KR 1020150136145 A KR1020150136145 A KR 1020150136145A KR 20150136145 A KR20150136145 A KR 20150136145A KR 101581649 B1 KR101581649 B1 KR 10158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dial
boring
boring b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재
Original Assignee
이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재 filed Critical 이헌재
Priority to KR102015013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2Bor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3Boring heads
    • B23B29/034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 B23B29/03403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radially adjustable before start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3Boring heads
    • B23B29/034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 B23B29/03403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radially adjustable before starting manufacturing
    • B23B29/03407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radially adjustable before starting manufacturing by means of screws and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9/00Details of boring bars or bor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의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생크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에 새들을 끼워 장착하고, 상기 새들에는 공작물을 절삭가공하기 위한 절삭팁이 체결된 보링헤드를 체결하되, 새들의 위치를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이며, 보링헤드와 절삭팁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어 공작물의 내경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고 다양한 내경을 가지는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링바를 이용한 가공방법이다.

Description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Method of moving saddle for boring bar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at}
본 발명은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의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생크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에 새들을 끼워 장착하고, 상기 새들에는 공작물을 절삭가공하기 위한 절삭팁이 체결된 보링헤드를 체결하되, 새들의 위치를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이며, 보링헤드와 절삭팁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어 공작물의 내경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고 다양한 내경을 가지는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링바를 이용한 가공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보링(boring)은 드릴로 뚫은 구멍을 크게 하거나 구멍의 내벽면이 매끄럽지 못한 경우 보링바(borning bar)를 이용해 절삭가공을 해줌으로써 구멍의 직경을 확장시키거나 내벽면의 조도를 높이는 절삭가공을 말한다.
이러한 보링은 주로 보링바를 이용해 행하게 되는데, 보링바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실용신안공고 제20-1996-0006482호에 제안되어 있는 보링바이트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에는 바이트본체의 선단부에 팁이 부착됨과 아울러, 이 팁의 경사면에 연속하는 칩포켓이 형성된 보링바이트에 있어서, 상기한 칩포켓은, 제1칩포켓과 제2칩포켓으로 이루어지고, 제1칩포켓은 바이트본체의 축선에 대하여 15°- 45°의 범위로 경사되어 상기한 바이트본체의 외주면에 개구됨과 아울러, 그 단면형상이 상기한 바이트본체의 저면과, 이 저면에 대하여 열림각의 관계로 형성된 측면과 이것을 원활하게 하는 곡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2칩포켓은 상기한 팁의 전방절삭날을 따라, 또한 바이트본체의 상기한 제1칩포켓이 개구된 측과 반대측의 외주면에 개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바이트가 제안되어 있는데, 보링바이트의 크기 즉, 절삭팁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부착됨으로써 내경이 변화되는 공작물의 가공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0621752호에 제안되어 있는 보링머신의 슬라이딩 타입 바이트 홀더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일단에 바이트가 고정되는 바디와; 이 바디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바디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클램프와; 상기 바디와 클램프 사이에 구비되면서 바디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머신의 슬라이딩 타입 바이트 홀더가 제안되어 있는데, 클램프를 따라 바디가 슬라이딩되어 이동됨으로써 바이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체결부재에 의해 바디를 고정해줌으로써 치수의 정밀도가 떨어진다.
즉, 체결부재의 경우 체결부재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바디의 위치가 미세하게 이동될 수 있고, 이로써 바디의 끝단에 형성된 바이트의 위치 역시 이동될 수 있으며, 사용중 진동에 의해 체결부재가 느슨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을 제공하되 몸체에 새들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새들에는 공작물을 절삭가공하기 위한 절삭팁이 고정 결합된 보링헤드를 체결하여, 새들의 위치를 다이얼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몸체의 회전중심축에 비해 절삭팁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공작물의 내경을 정밀한 치수로 가공할 수 있으며, 내경의 치수가 다른 다양한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링바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새들의 상부에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는 몸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 스토퍼핀을 끼워넣어 새들의 이동거리를 제한해줌으로써 새들의 분리를 방지한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새들의 저면에는 보링헤드가 끼워질 수 있는 보링헤드체결홈을 형성하고, 새들의 전면에는 가공범위를 늘리기 위해 어댑터를 체결함으로써 가공범위를 더욱 늘릴 수 있는 보링바을 이용한 가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은 공작물의 내경이나 외경을 가공하기 위한 보링바에 있어서, 상기 보링바는 공작기계의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생크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새들체결홈에 결합되며 공작물의 절삭가공을 위한 보링헤드가 체결되는 새들과, 상기 새들의 위치를 이동시켜주는 다이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링바의 새들은 다이얼에 의해 이동되되, 상기 다이얼은 보스부에 나사를 형성하고 새들의 축볼트에는 상기 보스부의 나사와 대응되는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축볼트와 보스부를 나사로 결합시켜, 상기 새들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해줌으로써 다이얼을 회전시키면 새들이 축볼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를 이용한 공작물 가공방법은 공작물의 내경이나 외경을 가공하기 위한 보링바에 있어서, 상기 보링바는 공작기계의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생크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새들체결홈에 결합되며 공작물의 절삭가공을 위한 보링헤드가 체결되는 새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새들의 저면에는 보링헤드가 끼워질 수 있는 보링헤드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새들의 전면에는 가공범위를 늘리기 위해 어댑터가 체결될 수 있어 내경이 다른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은 몸체에 새들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새들에는 공작물을 절삭가공하기 위한 절삭팁이 고정 결합된 보링헤드를 체결하여, 새들의 위치를 다이얼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몸체의 회전중심축에 비해 절삭팁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공작물의 내경을 정밀한 치수로 가공할 수 있으며, 내경의 치수가 다른 다양한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새들의 상부에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는 몸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 스토퍼핀을 끼워넣어 새들의 이동거리를 제한해줌으로써 새들의 분리를 방지한 효과가 있고, 새들의 저면에는 보링헤드가 끼워질 수 있는 보링헤드체결홈을 형성하고, 새들의 전면에는 가공범위를 늘리기 위해 어댑터를 체결함으로써 가공범위를 더욱 늘릴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전체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분리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일부분 분리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일부분 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일부분 구성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새들의 투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링헤드의 타실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의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생크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에 새들을 끼워 장착하고, 상기 새들에는 공작물을 절삭가공하기 위한 절삭팁이 체결된 보링헤드를 체결하되, 새들의 위치를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이며, 보링헤드와 절삭팁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어 공작물의 내경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고 다양한 내경을 가지는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링바를 이용한 가공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보링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전체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분리구성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일부분 분리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일부분 투시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일부분 구성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새들의 투시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는 공작물의 내경이나 외경을 가공하기 위한 보링바에 있어서, 상기 보링바는 공작기계의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생크(11)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새들체결홈(12)에 결합되며 공작물의 절삭가공을 위한 보링헤드(40)가 체결되는 새들(30)과, 상기 새들(30)의 위치를 이동시켜주는 다이얼(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생크(10)는 공작기계의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자루를 말하며, 상기 공구홀더는 공작기계의 공구대에 장착되는데, 상기 공구대는 공작기계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스핀들(주축)일 수도 있고, 공작물이 회전되는 경우에는 회전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일반적인 공구대이거나 터렛공구대일 수도 있다.
상기 몸체(10)는 생크(11)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경우에 따라 몸체(10)와 생크(11)를 각각 별도로 형성한 뒤 몸체(10)와 생크(11)에 각각 나사를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별도로 형성할 경우 몸체(10)나 생크(11) 중 어느 한쪽의 길이나 직경을 다르게 만들어 다양한 공구홀더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시리즈(series)로 만들 수 있다.
상기 몸체(10)에는 새들체결홈(12)이 형성되며, 도시된 새들체결홈(12)은 몸체의 일측에서 원통으로 일정깊이 들어간 형상으로써, 후술할 자리홈(18)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새들체결홈(12)에는 새들(30)이 체결되며, 상기 새들에는 공작물의 절삭가공을 위한 보링헤드(40)가 체결된다.
상기 새들(30)은 새들(30)의 일측에 형성된 축볼트(31)와 결합된 다이얼(20)에 의해 그 위치가 이동되게 된다.
즉, 상기 새들(30)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축볼트(3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축볼트(31)는 다이얼(20)의 보스부(22)와 나사로 결합되며, 상기 보스부(22)는 베어링(23)에 의해 회전만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다이얼(2)이 회전되면 보스부(22) 역시 회전되고 이로써 몸체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회전되지 못하는 새들(30)은 축볼트(31)의 회전중심축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새들(30)과 축볼트(31)는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역시 경우에 따라 각각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축볼트(31)는 새들(30)의 중심부에서 일정한 직경을 가지도록 돌출되어 있고 외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볼트(31)의 나사와 치합되는 나사가 다이얼(20)의 보스부(22)에 형성되어 축볼트(31)와 다이얼의 보스부(22)는 서로 나사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보스부(22)가 회전하게 되면 새들(30)에 대해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새들(30) 역시 회전되어야 하지만, 상기 새들(30)은 새들체결홈(12)에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결국 축볼트(31)는 보스부(22)의 회전에 따라 보스부(22)의 나사산을 따라 축볼트(31)의 회전중심축 방향대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다이얼(20)과 몸체(10)의 결합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몸체(10)의 일측 즉, 새들체결홈(12)이 형성된 쪽의 반대쪽에는 일정한 깊이로 자리홈(18)이 형성되고, 상기 자리홈(18)에는 베어링(23)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고, 다이얼(20)의 보스부(22)는 베어링(23)의 내륜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다. 즉, 베어링(23)의 외륜은 자리홈(18)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고, 내륜은 다이얼의 보스부(2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어 결국 다이얼(20)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몸체(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다이얼(20)이 회전하면 보스부(22) 역시 회전되고 이로써 보스부(22)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어 있는 새들(30)의 축볼트(31)가 이동되게 된다.
상기 다이얼(20)은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21)와 내부원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보스부(22)로 구성되며, 자리홈(18)의 상부에는 몸체의 외면 일부를 면취하고 면취된 부분에 다이얼의 한 눈금당 이동되는 새들의 거리를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는 새들의 이동거리에 대해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새들(30)이 다이얼(20)에 의해 이동되어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면, 몸체(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나사로 결합된 세트스크류(24)를 이용해 새들(30)의 위치를 고정해줄 수 있으며, 이때 세트스크류(24)의 끝 단면과 만나는 새들(30)의 외부면은 적절한 넓이의 평면으로 면취된 면취부(36)로써 세트스크류(24)의 끝 단면과의 밀착면적이 넓어져 새들(30)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상기 새들(3)은 새들체결홈(12)에서 바깥쪽으로 나오는 상태가 계속되면, 축볼트(31)와 보스부(22) 사이의 나사결합이 해제되어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핀(16)이 몸체에 고정 결합되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새들(30)은 보링헤드체결홈(35)이 시작된 쪽의 반대쪽인 상부에 요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2)에는 스토퍼핀(16)이 끼워져 있어 새들(30)의 이동거리에 대해 제한해주게 되며, 상기 스토퍼핀(16)의 일면은 요홈(32)의 외면과 항상 접촉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새들(30)이 새들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핀(16)과는 별도로 몸체의 일측에는 가이드핀(17)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가이드핀(17)의 일부는 새들(30)에 형성된 장공홈(33)에 끼워져 있어 새들(30)의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새들(30)의 이동에 대해 안내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새들(30)의 저면에는 보링헤드(40)가 끼워질 수 있는 보링헤드체결홈(35)이 형성되는데, 도시된 보링헤드체결홈(35)은 원통 형상이며, 상기 보링헤드체결홈(35)에는 보링헤드(40)가 체결되게 된다.
상기 보링헤드(40)는 보링헤드체결홈(35)의 형상과 치합되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는 생크부(41)와 육면체 블록 형상의 헤드부(42)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42)에는 절삭팁체결홈(43)이 형성되며, 상기 절삭팁체결홈(43)에는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절삭팁(44)이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어 절삭팁은 사용중 교체가 필요할 시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보링헤드(40)는 보링헤드체결홈(35)에 끼워진 뒤 고정볼트(39)에 의해 새들(30)과 완전히 고정되는데, 상기 보링헤드(40)의 생크부(41)에는 생크부(41)의 일부가 경사지도록 면취된 경사면취부(45)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볼트(39)에 의해 보링헤드(40)가 고정될 때 생크부(41)가 보링헤드체결홈(35)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도록 하여 생크부(41)의 단면과 보링헤드체결홈(35)의 끝단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하여 보링헤드(40)의 체결력을 높이며, 보링헤드(40)의 체결위치를 일정하게 가져갈 수 있다.
부연하면, 보링헤드(40)의 생크부(41)에 생크부(41)의 중심축면과 평행한 면으로 면취할 경우 헤드부(42)를 밀어서 생크부(41)의 단면에 보링헤드체결홈(35)의 끝단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볼트(39)를 죄어야만 체결력이 높아짐과 동시에 항상 일정한 위치로 보링헤드가 체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보링헤드(40)의 고정작업은 매우 불편하고 그 정밀성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생크부(41)의 일부가 경사지도록 면취된 경사면취부(45)는 그 자체의 경사면으로 인해 고정볼트(39)를 죌수록 생크부(41)가 보링헤드체결홈(35)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 보링헤드(40)를 고정해줄 수 있으며, 그 체결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 즉, 보링헤드(40)의 높은 체결력은 보링헤드(40)의 떨림을 방지하여 공작물의 표면조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링헤드(40)는 새들(30)의 전면에 형성된 볼트홀(37)에 체결되는 고정볼트(39)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볼트홀(37)과 보링헤드체결홈(35)은 새들(30)의 중심축에서 일정량 편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보링헤드(40)에 체결되는 절삭팁(44)의 두께를 두껍게 가져갈 수 있다(도 7에서는 새들의 전면에서 볼 때 바로 보이는 구성의 경우 실선으로 지시선을 표시하였고, 바로 보이지 않고 내부에 숨어있는 구성의 경우 은선으로 지시선을 표시하였다).
즉, 보링바의 경우 절삭팁(44)이 체결될 때 절삭팁(44)의 상면 즉, 절삭팁(44)이 공작물의 절삭가공을 위해 최초로 접촉되는 면은 보링바의 수평 또는 수직중심축과 같거나 일정범위 이내에 있어야 하므로, 보링헤드체결홈(35)을 보링바의 수평 또는 수직중심축과 동일한 위치가 중심이 되도록 형성하게 되면 절삭팁(44)의 두께를 두껍게 가져갈 수 없으며, 만약 절삭팁(44)의 두께를 두껍게 가져가게 되면 상대적으로 두꺼운 절삭팁을 수용하기 위해 헤드부(42)에 형성된 절삭팁체결홈(43)의 깊이가 깊어져야 하므로 상기 헤드부(42)의 절삭팁체결홈(43)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얇아질 수밖에 없어 강도가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보링헤드체결홈(35)을 새들(30)의 중심축에서 일정량 편심된 상태로 형성하여, 절삭팁(44)의 두께를 두껍게 가져가더라도 헤드부(42)의 두께를 두껍게 가져갈 수 있어 결국 보링헤드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데, 상기 중심축은 새들의 수평중심축(CH)와 수평중심축(CV)를 말하며, 경우에 따라 둘 중 하나의 중심축만 벗어나도록 보링헤드체결홈(35)과 체결볼트홀(37)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새들(30)의 전면에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가공범위를 늘리기 위해 어댑터(5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50)는 새들(30)에 체결볼트(51)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새들(30)에 형성된 위치안내홈(38)에는 어댑터(5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위치안내핀(54)이 끼워짐으로써 어댑터(50)의 체결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가져갈 수 있다.
즉, 어댑터(50)는 새들의 전면 쪽에 체결볼트(51)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몸체의 중심축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되고 이로써 내경이 상대적으로 큰 공작물의 가공에 사용할 수 있으며, 어댑터(5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필요 시에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새들(30)에 형성된 위치안내홈(38)에 어댑터(50)의 위치안내핀(54)이 끼워지도록 형성하여, 어댑터(50)를 분리한 뒤 재사용할 경우 항상 일정한 위치로 어댑터(50)를 새들(30)에 결합할 수 있어 가공물에 대한 가공정밀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새들(30)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전면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50)의 결합면은 상기 새들(30)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새들(30)과 어댑터(50)는 같은 곡률을 가지는 면 끼리 결합되어 체결력이 높아지게 된다.
부연하면, 새들(30)의 전면은 몸체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어댑터(50)의 결합면 즉, 위치안내핀(54)이 끼워져 있는 면 역시 상기 새들의 전면과 같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곡면과 곡면끼리 접촉되도록 하여 접촉면적을 늘려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링헤드의 타실시 예시도로써, 보링헤드(60)의 헤드부(62) 길이를 전술한 보링헤드(40)보다 길게 형성하여 보다 큰 내경을 갖는 공작물의 보링가공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보링헤드의 헤드부(62) 끝 부분이 생크부(61)의 중심축에서 보다 멀리 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보링헤드는 내경이 더욱 큰 공작물의 가공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개의 보링헤드 즉,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보링헤드(40), 도 8에 도시된 보링헤드(60) 및 도 4에 도시된 어댑터(50)를 번갈아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내경을 가지는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 9와 같이 새들(30)과 함께 보링헤드(40)가 도면의 화살표 방향대로 왕복 이동됨으로써 절삭가공할 수 있는 내경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은 공작물의 내경이나 외경을 가공하기 위한 보링바에 있어서, 상기 보링바는 공작기계의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생크(11)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새들체결홈(12)에 결합되며 공작물의 절삭가공을 위한 보링헤드(40)가 체결되는 새들(30)과, 상기 새들(30)의 위치를 이동시켜주는 다이얼(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링바의 새들(30)은 다이얼(20)에 의해 이동되되, 상기 다이얼(20)은 보스부(22)에 나사를 형성하고 새들(30)의 축볼트(31)에는 상기 보스부(22)의 나사와 대응되는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축볼트(31)와 보스부(22)를 나사로 결합시켜, 상기 새들(30)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해줌으로써 다이얼(20)을 회전시키면 새들(30)이 축볼트(31)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새들(30)에는 축볼트(31) 대신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보스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이얼(20)에는 보스부(22) 대신 외부에 나사가 형성된 축볼트를 형성하여, 새들(30)의 보스부와 다이얼(20)의 축볼트가 나사로 결합되도록 하여 다이얼(20)의 회전에 따라 새들(30)이 축볼트의 축방향대로 이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새들(30)에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보스부를 형성하고, 다이얼(20)에는 상기 보스부에 치합되는 나사가 형성된 축볼트를 형성하여 상기 보스부와 축볼트를 나사로 결합시킨 뒤 다이얼(20)을 돌리면 새들(30)이 축볼트의 축방향대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일정한 깊이로 자리홈(18)이 형성되고, 상기 자리홈(18)에는 베어링(23)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다이얼(20)의 보스부(22)는 베어링(23)의 내륜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어, 상기 다이얼(20)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몸체(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다이얼(20)은 회전에 대한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새들(30)의 이동을 위해 다이얼(20)을 돌리는 일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즉, 베어링(23)의 외륜은 몸체의 자리홈(18)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되어 있고, 보스부(22)의 원주면은 베어링(23)의 내륜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되어 있는 방식인데, 이러한 구성의 경우 가공정밀성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경우에 따라 베어링이 빠지지 않도록 멈춤링(스냅링)을 보스부(22)가 시작하는 부분 즉, 보스부(22)와 헤드부(21)가 만나는 부분의 보스부 일측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멈춤링을 끼워 베어링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베어링(23) 대신 보스부(22)가 끼워지는 구멍에 DU부시나 오일리스베어링 등을 끼워서 다이얼(20)의 회전에 대한 마찰력을 줄이며, 보스부(22)의 일측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멈춤링을 끼워 다이얼(20)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새들(30)의 상부에는 요홈(32)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32)에는 몸체(10)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된 스토퍼핀(16)의 일부가 끼워져 있어 새들(30)의 이동거리에 대한 제한을 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즉, 요홈(32)이 끝나는 지점까지 새들(30)이 이동되면 몸체(10)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핀(16)에 의해 새들(30)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를 이용한 공작물 가공방법은 공작물의 내경이나 외경을 가공하기 위한 보링바에 있어서, 상기 보링바는 공작기계의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생크(11)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새들체결홈(12)에 결합되며 공작물의 절삭가공을 위한 보링헤드(40)가 체결되는 새들(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새들(30)의 저면에는 보링헤드(40)가 끼워질 수 있는 보링헤드체결홈(35)이 형성되고, 상기 새들(30)의 전면에는 가공범위를 늘리기 위해 어댑터(50)가 체결될 수 있어 내경이 다른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보링헤드(40)를 체결한 상태에서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고,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공작물을 가공하고자 한다면 보링헤드(40)를 분리하고 어댑터(50)를 새들(30)의 전면에 부착하여 공작물의 절삭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링바의 새들(30)은 다이얼(20)에 의해 이동되되, 상기 다이얼(20)은 보스부(22)에 나사를 형성하고 새들(30)의 축볼트(31)에는 상기 보스부(22)의 나사와 대응되는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축볼트(31)와 보스부(22)를 나사로 결합시켜, 상기 새들(30)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해줌으로써 다이얼(20)을 회전시키면 새들(30)이 축볼트(31)의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내경이 다른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어댑터(50)는 새들(30)에 체결볼트(51)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새들(30)에 형성된 위치안내홈(38)에는 어댑터(5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위치안내핀(54)이 끼워짐으로써 어댑터(50)의 체결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가져갈 수 있어 공구의 세팅시간이 줄어드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어댑터(5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새들(30)에 고정시킬 경우 상기 위치안내핀(54)이 위치안내홈(38)에 자연스럽게 끼워지게 되어 이 상태에서 체결볼트(51)를 이용해 어댑터(50)를 새들(30)에 고정시켜주면 항상 일정한 위치로 어댑터(50)가 새들(30)에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세팅작업이 필요치 않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은 몸체에 새들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새들에는 공작물을 절삭가공하기 위한 절삭팁이 고정 결합된 보링헤드를 체결하여, 새들의 위치를 다이얼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몸체의 회전중심축에 비해 절삭팁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공작물의 내경을 정밀한 치수로 가공할 수 있으며, 내경의 치수가 다른 다양한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새들의 상부에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는 몸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 스토퍼핀을 끼워넣어 새들의 이동거리를 제한해줌으로써 새들의 분리를 방지한 효과가 있고, 새들의 저면에는 보링헤드가 끼워질 수 있는 보링헤드체결홈을 형성하고, 새들의 전면에는 가공범위를 늘리기 위해 어댑터를 체결함으로써 가공범위를 더욱 늘릴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몸체
11. 생크 12. 새들체결홈 13, 14. 핀홀
15. 면삭부 16. 스토퍼핀 17. 가이드핀
20; 다이얼
21. 헤드부 22. 보스부
23. 베어링 24. 세트스크류
30; 새들
31. 축볼트 32. 요홈 33. 장공홈
34. 볼트홀 35. 보링헤드체결홈 36. 면취부
37. 체결볼트홀 38. 위치안내홈 39. 고정볼트
40; 보링헤드
41. 생크부 42. 헤드부 43. 절삭팁체결홈
44. 절삭팁 45. 경사면취부
50; 어댑터
51. 체결볼트 52. 절삭팁체결홈 53. 절삭팁
54. 위치안내핀
60; 보링헤드
61. 생크부 62. 헤드부 63. 절삭팁체결홈
64. 절삭팁 65. 경사면취부

Claims (7)

  1. 공작물의 내경이나 외경을 가공하기 위한 보링바에 있어서,
    상기 보링바는 공작기계의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생크(11)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새들체결홈(12)에 결합되며 공작물의 절삭가공을 위한 보링헤드(40)가 체결되는 새들(30)과, 상기 새들(30)의 위치를 이동시켜주는 다이얼(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링바의 새들(30)은 다이얼(20)에 의해 이동되되, 상기 다이얼(20)은 보스부(22)에 나사를 형성하고 새들(30)의 축볼트(31)에는 상기 보스부(22)의 나사와 대응되는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축볼트(31)와 보스부(22)를 나사로 결합시켜, 상기 새들(30)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해줌으로써 다이얼(20)을 회전시키면 새들(30)이 축볼트(31)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새들(30)의 상부에는 요홈(32)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32)에는 몸체(10)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된 스토퍼핀(16)의 일부가 끼워져 있어 새들(30)의 이동거리에 대한 제한을 해주는 것이 특징인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30)에는 축볼트(31) 대신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보스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이얼(20)에는 보스부(22) 대신 외부에 나사가 형성된 축볼트를 형성하여, 새들(30)의 보스부와 다이얼(20)의 축볼트가 나사로 결합되도록 하여 다이얼(20)의 회전에 따라 새들(30)이 축볼트의 축방향대로 이동되는 것이 특징인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일정한 깊이로 자리홈(18)이 형성되고, 상기 자리홈(18)에는 베어링(23)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다이얼(20)의 보스부(22)는 베어링(23)의 내륜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어, 상기 다이얼(20)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몸체(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다이얼(20)은 회전에 대한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새들(30)의 이동을 위해 다이얼(20)을 돌리는 일이 용이한 것이 특징인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4. 삭제
  5. 공작물의 내경이나 외경을 가공하기 위한 보링바에 있어서,
    상기 보링바는 공작기계의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생크(11)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새들체결홈(12)에 결합되며 공작물의 절삭가공을 위한 보링헤드(40)가 체결되는 새들(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새들(30)의 저면에는 보링헤드(40)가 끼워질 수 있는 보링헤드체결홈(35)이 형성되고, 상기 새들(30)의 전면에는 가공범위를 늘리기 위해 어댑터(50)가 체결될 수 있어 내경이 다른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보링바를 이용한 공작물 가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링바의 새들(30)은 다이얼(20)에 의해 이동되되, 상기 다이얼(20)은 보스부(22)에 나사를 형성하고 새들(30)의 축볼트(31)에는 상기 보스부(22)의 나사와 대응되는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축볼트(31)와 보스부(22)를 나사로 결합시켜, 상기 새들(30)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해줌으로써 다이얼(20)을 회전시키면 새들(30)이 축볼트(31)의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내경이 다른 공작물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보링바를 이용한 공작물 가공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50)는 새들(30)에 체결볼트(51)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새들(30)에 형성된 위치안내홈(38)에는 어댑터(5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위치안내핀(54)이 끼워짐으로써 어댑터(50)의 체결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가져갈 수 있어 공구의 세팅시간이 줄어드는 것이 특징인 보링바를 이용한 공작물 가공방법.
KR1020150136145A 2015-09-25 2015-09-25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158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45A KR101581649B1 (ko) 2015-09-25 2015-09-25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45A KR101581649B1 (ko) 2015-09-25 2015-09-25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649B1 true KR101581649B1 (ko) 2015-12-31

Family

ID=5512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145A KR101581649B1 (ko) 2015-09-25 2015-09-25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6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444B1 (ko) * 2016-03-18 2016-10-06 이헌재 정밀성이 향상된 보링바
CN111673100A (zh) * 2020-06-03 2020-09-18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中国职业培训指导教师进修中心) 一种具有定位和锁芯功能的内冷精镗刀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111Y1 (ko) * 2006-05-26 2006-08-02 박성기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
JP2007152453A (ja) * 2005-12-01 2007-06-21 Kuroda Precision Ind Ltd ボーリングヘッ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2453A (ja) * 2005-12-01 2007-06-21 Kuroda Precision Ind Ltd ボーリングヘッド
KR200423111Y1 (ko) * 2006-05-26 2006-08-02 박성기 보링 공구의 조정거리 미세이동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444B1 (ko) * 2016-03-18 2016-10-06 이헌재 정밀성이 향상된 보링바
CN111673100A (zh) * 2020-06-03 2020-09-18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中国职业培训指导教师进修中心) 一种具有定位和锁芯功能的内冷精镗刀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7150B2 (en) Detachable insert-type cutting tool
US8690500B2 (en) Tool interface
US7374376B2 (en) Cutting tool
US8550755B2 (en) Tap driver for rigid/synchronous tapping
EP1986808B1 (en) Cutting tool and method of assembling a cutting tool
US6241433B1 (en) Tool and cutting head for cutting machining
US8342066B2 (en) Cutting tool for machining inner surface of hole, and method for cutting the same
US11135657B2 (en) Interface between a collet holder and a tool adapter
US9387542B2 (en) Integrated clamping system for machine tools
CN110325306A (zh) 孔加工工具和用于孔加工工具的引导垫调节机构
JP2012518548A (ja) 調整機構を有する切削工具
KR101575567B1 (ko) 가공범위를 확장시킨 보링바
KR101560856B1 (ko) 양방향 조정 기구를 가진 절삭 공구
KR101581649B1 (ko) 보링바의 새들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US8556551B2 (en) Cutting tool having a shank-mounted adjustment ring
JP2018140482A (ja) ポリゴン加工用工具
JP2010240817A (ja) ボーリングバイト用ホルダー&スリーブ
US7128501B1 (en) Lathe tool assembly
JP3337215B2 (ja) 切削機械加工用工具
KR101578330B1 (ko) 절삭팁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보링바
KR101663444B1 (ko) 정밀성이 향상된 보링바
KR101635462B1 (ko) 보링바용 연결대
CN110497029B (zh) 正反倒角装置及通孔的正反面孔口倒角加工方法
KR101628015B1 (ko) 가공범위 조절이 가능한 보링바
US11883888B2 (en) Modular drill with enhanced bump-off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