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509Y1 -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509Y1
KR200421509Y1 KR2020060010922U KR20060010922U KR200421509Y1 KR 200421509 Y1 KR200421509 Y1 KR 200421509Y1 KR 2020060010922 U KR2020060010922 U KR 2020060010922U KR 20060010922 U KR20060010922 U KR 20060010922U KR 200421509 Y1 KR200421509 Y1 KR 200421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experience
vehicle
car model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주
Original Assignee
이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주 filed Critical 이홍주
Priority to KR2020060010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5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4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providing simulation in a real vehi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4Traffic procedures, e.g. traffic regulation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사고의 예방차원에서 교육자들이 직접 차량 전복사고 등을 체험하고 안전벨트 착용의 필요성을 직접 느껴 차량 운전시나 탑승시 안전벨트의 착용을 의무화하게 함으로써, 차량사고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에 직접 탑승하여 탑승자가 차량사고시의 상황과 관련한 다양한 상황을 직접적으로 체험을 통해 느낄 수 있고, 그로 인한 안전의식의 고취를 통해 안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체험자 스스로가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를 제공한다.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차량사고, 안전벨트

Description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Simulation model for safety experien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의 운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 모형 11 : 회전 플레이트
12 : 축 13 : 프레임
14 : 조작장치 15 : 모터
16 : 스프로킷 17 : 체인
18 : 계단 19 : 유압 실린더
본 고안은 교통안전교육을 위한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사고의 예방차원에서 교육자들이 직접 차량 전복사고 등을 체험하고 안전벨트 착용의 필요성을 직접 느껴 차량 운전시나 탑승시 안전벨트의 착용을 의무화하게 함으로써, 차량사고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도 여전히 관계기관 및 국민들의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각종 대형사고의 피해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고, 특히 도로상에서의 차량사고들 또한 기본적인 안전운행 수칙을 지키지 않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사고의 경우 안전벨트 미착용으로 인해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무관심이나 불편함 등을 이유로 특히, 어린이들이나 차량 뒷좌석에 탑승하는 사람들은 안전벨트를 거의 착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안전벨트의 착용이 모든 교통사고의 사상자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고,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특히, 앞좌석에 탑승하였을 때) 위험한 상황을 가져 온다는 점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며, 안전벨트 미착용 사례와 관련하여 해마다 발표되고 있는 교통사고의 통계를 보더라도 차안에서 안전벨트가 생명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장치중 하나라는 사실을 확고히 보여주고 있다.
보통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에 대한 위험성은 잘 인식되지 않고 있지만, 안전 벨트의 착용은 앞좌석의 탑승자와 마찬가지로 뒷좌석의 탑승자에게도 매우 유용한 것은 사실이며,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 차안의 운전자 뿐 아니라 앞, 뒤좌석 승객 모두 사망하거나 심한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사고시 그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철저한 사전 교육 등이 필요하고,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여러 교육기관 등에서 사고예방 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단순히 주입식 교육에 그치고 있는 등 일정수준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즉, 아무리 교육을 시켜도 개개인이 사고의 가능성 및 위험성에 대해 직접 피부로 느끼지 않는 한 그 인식의 변화는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교통안전교육과 관련하여 현실감있는 체험학습이 가능한 교육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 보다 실효성있는 안전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에 직접 탑승하여 탑승자가 차량사고시의 상황과 관련한 다양한 상황을 직접적으로 체험을 통해 느낄 수 있고, 그로 인한 안전의식의 고취를 통해 안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체험자 스스로가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체험자의 탑승이 가능한 동시에 회전작동을 통해 뒤집거나 바로 세울 수 있는 자동차 모형을 이용하여 차량 전복시 등과 같은 다양한 상황을 재현함으로써 체험자 스스로가 교통안전수칙의 중요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 모형은 적어도 4인 이상이 탑승할 수 있는 형태로서 실제 차량의 내부 구조와 외형을 갖춘 차량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 모형의 회전작동을 위한 수단은 자동차 모형을 받쳐주면서 일체식으로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양쪽의 축을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하는 전후측 적어도 2개의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한쪽의 축을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조작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장치는 수동방식 또는 전동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방식의 조작장치는 구동수단으로 모터를 사용하고 전동수단으로 스프로킷과 체인을 사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험자를 위한 교통안전수칙과 관련한 체험은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에 대한 체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베이스에는 네모퉁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4개의 유압 실린더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는 회전하는 자동차 모형을 이용하여 안 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체험자가 실제 차량의 내부 구조와 외형을 갖춘 차량 구조물에 탑승한 후,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 전복사고 등과 같은 상황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실생활에서 안전벨트 착용을 습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는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떨어지거나, 아직까지 안전벨트 미착용시의 위험성에 대한 개념이 없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접 체험교육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교통안전규칙의 준수와 관련한 교육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체험자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동차 모형(10)을 제공한다.
상기 자동차 모형(10)은 실제 차량의 내부 구조와 외형, 예를 들면 정상적인 차량의 시트 및 도어 등을 갖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체험자가 자동차 모형(10)에 탑승하게 되면 실제로 차량에 탑승한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동차 모형(10)의 내부 시트에는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안전벨트는 외부 충격시 정상적으로 록킹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벨트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차량 전복사고 등과 같은 상황과 비슷한 상황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 모형(10)을 회전시키는 방법, 즉 차체를 옆으로 돌려서 뒤집는 방법을 채용한다.
이를 위하여, 양쪽의 프레임(13)상에 그 양단 축(12)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회전 플레이트(11)가 구비되며, 이때의 회전 플레이트(11)상에 자동차 모형(10)이 똑바로 얹혀져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축 지지부위에는 베어링을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레이트 위에 자동차 모형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통상의 클램핑 수단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11)가 회전되면, 이와 일체식으로 고정되어 있는 자동차 모형(10)도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그 속에 탑승한 체험자의 경우 차량 전복사고 등과 같은 상황을 겪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3)은 자동차 모형(10)의 회전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를 갖게 되며, 따라서 체험자가 자동차 모형(10)에 탑승할 때에는 계단(18)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쪽과 뒷쪽에 각각 배치되는 프레임(13)은 하나의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이때의 베이스에는 네모퉁이에 유압 실린더(19)가 구비되어 있어서, 교육장소로 시뮬레이션장치를 이동하기 위해 차량 등에 탑재할 때 유압 실린더(19)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 실린더는 차량 등에 많이 적용되는 통상의 유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설치 방법이나 작동시키는 방법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모형(10) 및 회전 플레이트(11)의 회전작동을 위한 조작장치는 수동식이나 전동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수동식 조작장치(14)의 경우에는 자동차 모형(10)이 중량물인 관계로 별도의 기어감속장치 등과 조작레버를 연계적으로 조합한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며, 전동식 조작장치(14)의 경우에는 구동수단을 모터(15)로 하고 전동수단을 스프로킷(16)과 체인(17)으로 한 형태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로킷이나 체인을 대신하여 통상적인 전동수단인 풀리, 기어, 벨트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은 별도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스위치 조작에 따라 구동수단의 작동 및 정지를 임의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 및 자동차 모형의 회전 정도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스위치 조작과 관련한 구동수단의 작동을 통해 회전 플레이트 및 자동차 모형의 회전 정도를 조정하는 방법 등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모형(10)에는 적어도 4명의 체험자가 탑승 하게 되며, 이렇게 탑승한 각 체험자들은 자동차 모형(10) 내의 시트상에서 안전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렇게 체험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완료한 후, 교육자(책임자)가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이때부터 모터(15)가 작동하게 되고, 계속해서 회전 플레이트(11) 및 자동차 모형(10) 전체가 회전되면서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자동차 모형(10)의 기울어진 자세를 각 단계, 예를 들면, 45°, 90°, 135°등 임의의 자세에서 작동을 멈출 수 있고, 각 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자동차 모형(10)은 처음 상태에서 완전히 뒤집어진 180°까지 회전될 수 있고, 결국 그 안에 탑승하고 있는 체험자는 차량 전복사고시의 상황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의 탑승자들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이고, 또 자동차 모형(10)의 회전속도 또한 매우 낮기 때문에, 즉 자동차 모형이 서서히 회전되기 때문에 탑승자들의 안전에는 전혀 문제가 없게 된다.
한편, 자동차 모형(10)이 완전히 뒤집어진 상태에서 스위치 조작에 따른 모터(16)의 역방향 작동에 의해 자동차 모형(10)은 초기의 바로 세워져 있는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험자가 자동차 모형 내에 탑승한 상태에서 각종 차량 사고시의 상황을 직접 체험할 수 있으므로, 즉 자동차 모형의 자세에 따른 각 상황에서의 위험성을 몸으로 느낄 수 있으므로, 안전벨트 착용과 관련하여 그 중요성에 대한 인 식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의 운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는 여러 교육장소로 옮겨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차량을 이용한 운반시 유압 실린더(19)를 이용하여 장치의 전체 높이를 올린 다음, 그 밑으로 차량을 진입시키면, 장치를 차량의 적재함에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는 체험자 스스로가 차량사고시의 위험성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차량사고에 따른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안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따라서 체험자 스스로가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차량사고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체험자의 탑승이 가능한 동시에 회전작동을 통해 뒤집거나 바로 세울 수 있는 자동차 모형을 이용하여 차량 전복시 등과 같은 다양한 상황을 재현함으로써 체험자 스스로가 교통안전수칙의 중요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모형은 적어도 4인 이상이 탑승할 수 있는 형태로서 실제 차량의 내부 구조와 외형을 갖춘 차량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모형의 회전작동을 위한 수단은 자동차 모형을 받쳐주면서 일체식으로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양쪽의 축을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하는 전후측 적어도 2개의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한쪽의 축을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조작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수동방식 또는 전동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동방식의 조작장치는 구동수단으로 모터를 사용하고 전동수단으로 스프로킷과 체인을 사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험자를 위한 교통안전수칙과 관련한 체험은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에 대한 체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베이스에는 네모퉁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4개의 유압 실린더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KR2020060010922U 2006-04-24 2006-04-24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KR200421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922U KR200421509Y1 (ko) 2006-04-24 2006-04-24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922U KR200421509Y1 (ko) 2006-04-24 2006-04-24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509Y1 true KR200421509Y1 (ko) 2006-07-14

Family

ID=4177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922U KR200421509Y1 (ko) 2006-04-24 2006-04-24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509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23Y1 (ko) * 2008-06-04 2010-06-30 윤용선 전동 그림 연극틀
KR101081690B1 (ko) 2009-04-27 2011-11-09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자동차 전복사고 체험장치
KR101325652B1 (ko) * 2012-04-12 2013-11-05 세화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안전교육용 전복 시뮬레이터
KR101641036B1 (ko) 2016-02-11 2016-07-29 이홍주 차량안전체험용 시뮬레이션장치
KR20160139529A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모션 시뮬레이터
KR20200031946A (ko) 2018-09-17 2020-03-25 곽정민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USD900216S1 (en) 2019-03-30 2020-10-27 Robert Harrison Rollover simulator
USD900217S1 (en) 2019-10-07 2020-10-27 Robert Harrison Rollover simulator
KR102361271B1 (ko) * 2021-07-05 2022-02-14 박명구 차량 사고 연출 시스템
US11455904B2 (en) 2019-10-11 2022-09-27 Robert Harrison Vehicle rollover simulator stabilizer and method of use
KR102463061B1 (ko) * 2022-08-08 2022-11-03 최형인 자동차 전복 체험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23Y1 (ko) * 2008-06-04 2010-06-30 윤용선 전동 그림 연극틀
KR101081690B1 (ko) 2009-04-27 2011-11-09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자동차 전복사고 체험장치
KR101325652B1 (ko) * 2012-04-12 2013-11-05 세화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안전교육용 전복 시뮬레이터
KR20160139529A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모션 시뮬레이터
KR101695947B1 (ko) * 2015-05-28 2017-01-13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모션 시뮬레이터
KR101641036B1 (ko) 2016-02-11 2016-07-29 이홍주 차량안전체험용 시뮬레이션장치
KR20200031946A (ko) 2018-09-17 2020-03-25 곽정민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USD900216S1 (en) 2019-03-30 2020-10-27 Robert Harrison Rollover simulator
USD900217S1 (en) 2019-10-07 2020-10-27 Robert Harrison Rollover simulator
US11455904B2 (en) 2019-10-11 2022-09-27 Robert Harrison Vehicle rollover simulator stabilizer and method of use
KR102361271B1 (ko) * 2021-07-05 2022-02-14 박명구 차량 사고 연출 시스템
KR102463061B1 (ko) * 2022-08-08 2022-11-03 최형인 자동차 전복 체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1509Y1 (ko)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JP2012501897A (ja) 地下鉄乗り場の安全足場
KR101487228B1 (ko) 장애인용 운전시뮬레이터
KR101081690B1 (ko) 자동차 전복사고 체험장치
US20150279228A1 (en) Real motorbike-riding simulator
KR101641036B1 (ko) 차량안전체험용 시뮬레이션장치
KR101325652B1 (ko) 자동차의 안전교육용 전복 시뮬레이터
Russell et al. Neurologic injuries associated with all-terrain vehicles and recommendations for protective measures for the pediatric population
Strauch et al. Fatal accidents due to train surfing in Berlin
KR102152121B1 (ko)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KR101908130B1 (ko) 복합 회전형 안전띠 체험장치
KR200280947Y1 (ko) 회전식 놀이기구의 구조
JP4669461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着用効果擬似体験装置
KR200296764Y1 (ko)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McDonald et al. Escape from a submersible vehicle simulator wearing different thermoprotective flotation clothing
KR200347798Y1 (ko) 안전 자전거
JP3041543U (ja) 車両転倒装置
KR20240017572A (ko) 자동차 전복 체험 장치 및 시스템
WO20141493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imulating a transportation emergency
CN202049630U (zh) 车辆翻转体验装置
JP2002189407A (ja) 傾斜車両脱出体験装置
Dols Towards a safer fitness to drive and driving ability assessment procedure with joystick
Yamaguchi The need for building role models for motorcycle riders' education in the kingdom of Cambodia
CN212447486U (zh) 一种新型地铁站台防跌入装置
CN210271316U (zh) 一种汽车安全驾驶教育模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