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121B1 -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121B1
KR102152121B1 KR1020180111096A KR20180111096A KR102152121B1 KR 102152121 B1 KR102152121 B1 KR 102152121B1 KR 1020180111096 A KR1020180111096 A KR 1020180111096A KR 20180111096 A KR20180111096 A KR 20180111096A KR 102152121 B1 KR102152121 B1 KR 10215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xperience
movement path
movement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1946A (ko
Inventor
곽정민
Original Assignee
곽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정민 filed Critical 곽정민
Priority to KR1020180111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1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4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providing simulation in a real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은,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자동차가 일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하 반전되고 상하 반전된 후 타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자동차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경로부; 자동차가 상기 이동경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자동차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경로부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고, 상하 180도 반전된 상태에서 자동차가 이동경로부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자동차의 하부와 상기 이동경로부에 각각 마련되는 슬라이드이동 지지부; 및 상기 이동경로부의 일측을 따라 자동차가 이동하도록 하고 상하 반전 후 다시 타측을 따라 자동차가 이동하도록 상기 자동차의 하부와 상기 이동경로부에 각각 마련되는 이동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에 탑승한 탑승자가 자동차 전복사고를 직접 체험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사고에 따른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안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나아가 탑승자 스스로가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차량사고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A system that enables the experience of car overturning and accident escap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현실감있는 안전사고를 체험하고 그 사고로부터 무사히 탈출할 수 있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가경제발전과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자동차는 우리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았으나,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교통사고, 교통혼잡, 주차난, 환경오염 등의 심각한 사회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교통사고의 경우 안전벨트 미착용으로 인해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무관심이나 불편함 등을 이유로 특히, 어린이들이나 차량 뒷자석에 탑승하는 사람들은 안전벨트를 거의 착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안전벨트의 착용이 모든 교통사고의 사상자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고,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 위험한 상황을 가져온다는 점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며, 안전벨트 미착용 사례와 관련하여 해마다 발표되고 있는 교통 사고의 통계를 보더라도 차량안에서 안전벨트가 생명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장치 중 하나라는 사실을 확고히 보여주고 있다.
보통 차량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에 대한 위험성은 잘 인식되지 않고 있지만, 안전벨트의 착용은 앞좌석의 탑승자와 마찬가지로 뒷좌석의 탑승자에게도 매우 유용한 것은 사실이며,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 차안의 운전자 뿐 아니라 앞, 뒷좌석 승객 모두 사망하거나 심한 부상을 입을 수 있다.
경미한 교통사고를 제외하고 자동차가 구르거나 전복되는 사고를 경험했던 운전자들은 사고의 충격으로 정신이 혼미한 상태지만 가장 먼저 걱정되는 것이 2차사고로부터 탈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차에서 나가고자 하는 마음은 간절한데 무엇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이성적 판단이 되질 않는다. 특히 낮이 아니고 밤에 사고가 발생했다거나 차가 호수나 강물에 빠진 경우 2차사고로 이어져 사망사고가 되기 쉽다. 이러한 경우, 비슷한 사고를 경험했던 운전자들은 사고발생 시 무엇이 가장 중요한 일이며 어떻게 탈출해야 하는지를 본 시스템 체험을 통해 알게 된다.
차량사고시 그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철저한 사전 교육 등이 필요하고,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여러 교육기관 등에서 사고예방 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단순히 주입식 교육에 그치고 있는 등 일정수준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즉, 아무리 교육을 시켜도 개개인이 사고의 가능성 및 위험성에 대해 직접 피부로 느끼지 않는 한 그 인식의 변화는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교통안전교육과 관련하여 현실감 있는 체험학습이 가능한 교육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 보다 실효성있는 안전교육과 사고 현장으로부터 탈출하여 안전을 보장받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교육자들이 직접 차량 전복사고 등을 체험하고 안전벨트 착용의 필요성을 직접 느껴 차량사고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체험 시뮬레이션 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체험 시뮬레이션 장치는 정지 상태의 자동차를 상하 반전시키는 것에 불과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여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는 단순한 체험장치이며, 현실감있는 안전사고 체험과 사고로부터 탈출하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509호(2006.07.06.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탑승한 탑승자가 자동차 전복사고를 직접 체험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사고에 따른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안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나아가 탑승자 스스로가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안전수칙을 준수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차량전복 사고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사고 차량으로부터 탈출을 유도할 수 있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자동차가 일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하 반전되고 상하 반전된 후 타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이 서로 상하 180도 반전되게 이루어지고 자동차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경로부; 자동차가 상기 이동경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자동차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경로부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고, 상하 180도 반전된 상태에서 자동차가 이동경로부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자동차의 하부와 상기 이동경로부에 각각 마련되는 슬라이드이동 지지부; 및 상기 이동경로부의 일측을 따라 자동차가 이동하도록 하고 상하 반전 후 다시 타측을 따라 자동차가 이동하도록 상기 자동차의 하부와 상기 이동경로부에 각각 마련되는 이동유도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경로부의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은 지면에 대해 높낮이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이동 지지부는, 상기 이동경로부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홈; 상기 자동차의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단부가 상기 지지홈 내측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브래킷; 및 상기 지지홈 내벽과 상기 연결브래킷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슬라이딩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라이딩 롤러는, 상기 지지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지지브래킷의 상하면과 지지홈 내벽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상하 슬라이딩 롤러; 및 상기 지지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지지브래킷의 측면과 지지홈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측방 슬라이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도부는, 상기 이동경로부의 외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진 형태를 이루면서 돌출되는 돌출돌기; 및 상기 자동차의 하부에 마련되어 자동차의 이동 동력을 제공하고, 일부가 상기 돌출돌기와 맞물림 결합되면서 돌출돌기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동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제공부는, 자동차의 하부에 지지브래킷을 통해 연결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돌출돌기와 맞물림되면서 이동 가능한 동력전달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돌기는, 상하 굴곡진 형상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하부와 상기 동력 제공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경로부를 따른 상기 자동차의 이동시 상기 돌출돌기와 상기 동력 제공부 간의 맞물림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보조부는, 일단은 상기 동력 제공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자동차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을 탄성적으로 회전 지지하도록 상기 자동차 하부와 상기 동력 제공부 사이를 연결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하부와 상기 동력 제공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이동경로부를 따른 상기 자동차의 이동시 자동차의 회전을 유도하는 자동차 회전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회전유도부는, 상기 동력 제공부에 고정되고 상기 자동차 하부를 회전시키는 자동차 회전부; 상기 동력 제공부에 고정되는 링 형상의 회전 가이드; 및 상기 자동차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복수의 자동차 회전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의 상하 반전이 이루어지는 상기 이동경로부의 일측 영역에는 이동경로부의 주변을 감싸도록 반전탈출체험룸이 더 마련되고, 상기 반전탈출체험룸 내부 공간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반전탈출체험룸 내부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노즐; 상기 반전탈출체험룸 내부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 및 상기 반전탈출체험룸 내부 공간의 물을 외부 배출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에 의하면, 자동차에 탑승한 탑승자가 자동차 전복사고를 직접 체험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사고에 따른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안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나아가 탑승자 스스로가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안전수칙을 준수하여야 하는 기본수칙 준수를 통념화하며, 차량전복 사고시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사고 차량으로부터 탈출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경로부를 따라 자동차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하 반전되도록 함으로써 한층 현실감있는 전복 상황을 체험하게 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자동차를 회전시킴으로써 빙판길 미끄럼에 의한 자동차의 횡방향 회전을 유도하여 더욱 현실감있는 안전사고 상황을 체험하게 해줄 수 있다.
또한 자동차가 최종적으로 전복되는 부분을 밀폐된 룸으로 만들고, 주간, 야간 및 우천시의 상황을 제공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각 상황별 탈출을 체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 전복사고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무사히 탈출하는 체험을 통해 2차 인사사고를 더욱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Ⅴ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에서 자동차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에서 자동차가 이동하여 상하 반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일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에 반전탈출체험룸이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은, 자동차에 탑승한 탑승자가 자동차 전복사고를 직접 체험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사고에 따른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안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나아가 탑승자 스스로가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차량사고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은, 이동경로부(100), 슬라이드이동 지지부(200) 및 이동유도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이동경로부(100)는,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자동차(10)가 일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하 반전되고 상하 반전된 후 타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자동차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동경로부(100)는 그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이 서로 상하 180도 반전되게 이루어지고 중앙부 영역은 이를 위해 트위스트된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경로부(100)의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은 지면에 대해 높낮이가 상이하게 마련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경로부(100)를 따라 점차 하강 이동하면서 전복되는 상태를 경험할 수 있으므로 더욱 현실감있고 극한 환경에서의 전복 체험을 통해 심각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경로부(100)는 H빔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1회 트위스트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H빔을 따라 자동차가 이동하면서 순차적인 180도 반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동경로부(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강의 좌우 양측을 절삭 가공하여 후술하는 지지홈을 형성함으로써 이를 대신할 수 있고, 또한 'H빔' 형상을 구현하도록 적어도 3개의 철판을 별도 제작한 후 이를 용접하여 일체로 연결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즉, 후술하는 지지홈이 양측에 마련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트위스트된다면 이동경로부(100)는 어떤 방식을 통해 제조되어도 무방하다.
다음, 슬라이드이동 지지부(200)는, 자동차가 이동경로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자동차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경로부(100)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이와 더불어 자동차가 최종 상하 180도 반전된 상태에서 이동경로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자동차의 하부와 이동경로부(100)에 각각 마련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동차는 슬라이드이동 지지부(200)에 의해 이동경로부(10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동하면서 점차 회전하여 상하 반전되더라도 이동경로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이동 지지부(200)는, 한 쌍의 지지홈(210), 한 쌍의 연결브래킷(220) 및 복수의 슬라이딩롤러(230)를 포함한다.
지지홈(210)은 이동경로부(10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이동경로부(100)가 H빔으로 적용될 경우 H빔의 좌우 양측 채널홈 부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지지홈(210)은 이동경로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돌출돌기(310) 또한 이동경로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지지홈(210)과 돌출돌기(310)는 서로 간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연결브래킷(220)은 자동차의 하부에 그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단부가 지지홈(210) 내측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브래킷(220)은 자동차 차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지지브래킷(330)을 개재한 상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브래킷(220)은 자동차 하부 및 지지브래킷(330)에 일정 이상 탄성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연결브래킷(220)과 자동차 하부, 지지브래킷(330)의 연결 부위에는 힌지축과 탄성적인 틸팅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롤러(230)는 지지홈(210) 내벽과 연결브래킷(220)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자동차의 슬라이드 이동, 구체적으로 연결브래킷(220)이 이동경로부(100)의 지지홈(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슬라이딩롤러(230)는, 연결브래킷(22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연결브래킷(220)의 상하면과 지지홈(210) 내벽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상하 슬라이딩 롤러(231)와, 연결브래킷(22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연결브래킷(220)의 측면과 지지홈(210)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측방 슬라이딩 롤러(232)를 포함한다. 즉, 슬라이딩롤러(230)는 연결브래킷(220)의 최소 3면을 슬라이드 지지하여 연결브래킷(220)이 원활하게 이동경로부(100)를 따라 이동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슬라이딩롤러(230)는 각각 금속재질의 메인 롤러와, 메인 롤러의 외면에 도포되거나 커버된 폴리우레탄, 에폭시, 실리콘 재질의 외측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우레탄 또는 에폭시 또는 실리콘은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가지므로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을 더욱 유도할 수 있다.
다음,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유도부(300)는, 이동경로부(100)의 일측을 따라 자동차가 전진 이동하도록 하고 상하 반전 후 다시 타측을 따라 자동차가 후진 이동하여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하부와 이동경로부(100)에 각각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이동유도부(300)는 돌출돌기(310)와 동력 제공부(320)를 포함한다.
먼저. 돌출돌기(310)는 상하 굴곡진 형상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이동경로부(100)의 외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진 형태(이동경로부의 트위스트와 대응하도록 트위스트)를 이루면서 돌출되며, 전술한 한 쌍의 지지홈(210)과는 서로 간에 평행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돌출돌기(310)는 기어 이빨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일종의 래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돌출돌기(31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 가능한데 일 예로 일정 길이의 강판을 다수회 절곡 벤딩하여 기어 이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 고강도 플라스틱 레진을 이용하여 사출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제공부(320)는, 자동차의 하부에 마련되어 자동차의 이동 동력을 제공하고, 일부가 돌출돌기(310)와 맞물림 결합되면서 돌출돌기(3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동력 제공부(320)는 자동차의 하부에 지지브래킷(330)을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그 구동을 온오프 조절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정역 회전 제어가 가능한 구동모터(321), 구동모터(32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돌출돌기(310)와 맞물림되면서 이동 가능하며 기어 이빨이 구비된 동력전달바퀴(322)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구동모터(321)의 구동에 의해 동력전달바퀴(322)가 회전하여 돌출돌기(3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자동차의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돌기(310)가 굴곡진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자동차의 상하 반전 및 상하 반전된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의 복원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돌출돌기(310)는 일종의 래크로 기능하고 동력전달바퀴(322)는 일종의 피니언으로 기능하여 래크-피니언 동력전달 구조를 통해 자동차의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자동차가 초기 직립하여 정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점차 회전하는 순간 그 회전과 자동차의 고중량으로 인해 동력전달바퀴(322)의 기어 이빨과 돌출돌기(310)의 기어 이빨 사이에 정확한 이 맞물림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경우 자동차의 원활한 전후진 이동이 힘들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바퀴(322)와 돌출돌기(310)의 마모를 급속도로 유발하여 내구성이 급격히 히락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보완하도록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원활한 회전 이동을 보완하기 위한 이동 보조부(400)를 더 포함한다.
이동 보조부(400)는 자동차의 하부와 동력 제공부(320) 사이에 마련되어 이동경로부(100)를 따른 자동차의 이동시 돌출돌기(310)와 동력 제공부(320), 즉 동력전달바퀴(322) 간의 맞물림을 보조하는 것으로서, 연결봉(410)과 토션 스프링(420)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봉(410)은, 그 일단은 동력 제공부(320), 즉 지지브래킷(330)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자동차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봉(410)의 타단은 베어링(미도시) 등을 개재하여 자동차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420)은 연결봉(410)을 탄성적으로 회전 지지하는 것으로서 연결봉(410)의 외면에 강제 압입 등의 방식을 통해 결합 가능하며, 이에 따라 연결봉(410)의 일측 방향 회전시에는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하고 타측 방향 회전시에는 탄성적으로 팽창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토션 스프링(420)의 일단은 절곡되어 자동차 하부에 관통 삽입되고 타단은 마찬가지로 절곡되어 지지브래킷(330)에 관통 삽입되어 지지브래킷(330)에 대한 자동차의 순간적인 좌우 회전, 자동차에 대한 지지브래킷(330)의 순간적인 좌우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중량의 자동차가 이동경로부(1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점차 회전할때 순간적으로 돌출돌기(310)와 동력전달바퀴(322) 간의 정확한 이 맞물림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자동차에 대한 지지브래킷(330), 동력 제공부(320), 즉 동력전달바퀴(322)의 순간적인 회전을 발생하고 토션 스프링(420)에 의해 초기 복원 가능함으로써 돌출돌기(310)와 동력전달바퀴(322) 간의 원활한 이맞물림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조는, 자동차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pitch, roll, yaw 회전 중 roll 회전)하면서 상하 반전되는 전복 상태의 체험을 가능하게 해주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roll 회전 이외에 자동차에 인위적으로 yaw 회전을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실감나는 차량 전복 상황을 체험하게 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하부와 동력 제공부(320) 사이에 개재되며, 이동경로부(100)를 따른 자동차의 이동 진행방향(x방향)과 교차하는 가상의 축(z방향)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회전(yaw 회전)을 유도하는 자동차 회전유도부(50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자동차 회전유도부(500)는, 동력 제공부(320), 구체적으로 지지브래킷(330)에 고정되고 자동차 하부를 회전시키는 자동차 회전부(510), 동력 제공부(320)에 고정되는 링 형상의 회전 가이드(520), 자동차 하부에 연결되고 회전 가이드(5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복수의 자동차 회전가이드롤러(530)를 포함한다.
자동차 회전부(510)는 모터(511), 감속기(512)를 포함하고 감속기(512)의 출력축은 자동차의 하부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 가능하며, 이러한 동력전달구조를 통해 모터(511)의 구동시 자동차의 yaw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모터(511)의 구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회전 가이드(520)는 지지브래킷(330) 상부에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내부에는 자동차 회전가이드롤러(530)가 배치되도록 슬라이드홈이 마련된다. 자동차 회전가이드롤러(530)는 별도의 지지봉(540)에 의해 회전지지되고 상기 지지봉(540)은 자동차 하부에 고정된다. 자동차 회전가이드롤러(530)는 회전 가이드(520)의 양측 내벽에 구름 접촉하면서 자동차의 yaw 회전을 유도하게 되고, 이러한 자동차의 yaw 회전 발생을 통해 더욱 현실감있는 전복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동차의 상하 반전이 이루어지는 이동경로부(100)의 일측 영역에는 이동경로부(100)의 주변을 감싸도록 반전탈출체험룸(700)이 더 마련된다.
반전탈출체험룸(700)의 일측에는 이동경로부(100)의 타측으로부터 자동차가 내부로 진입하도록 진입구(7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로 관리자 등이 출입 가능하도록 출입도어(미도시)가 마련되며 외부에서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 상황을 육안 확인 가능하도록 윈도우(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반전탈출체험룸(700)의 내벽에는 차량 탑승자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확인하도록 주행속도가 디스플레이되는 속도 디스플레이(705)가 마련된다.
제어부(미도시)는 구동모터(321)의 회전속도를 전달받아 이를 자동차 이동속도로 환산하여 속도 디스플레이(705)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여기서 구동모터(32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도록 별도의 홀 센서(미도시)가 마련되며 제어부는 홀 센서의 감지값을 통해 이동속도를 환산 가능하다.
또한,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 공간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별도의 광원(710)이 마련되고, 광원(710)의 구동을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 공간을 밝거나 어둡게 조성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낮, 밤 상황에서의 탈출을 체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물 분사노즐(730)이 마련되며 물 분사노즐(730)은 후술하는 물탱크(740)과 연결되어 룸 내부로 물을 분사하여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 공간을 우천시와 유사한 환경으로 조성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우천시 탈출을 체험하도록 할 수 있다. 물 분사노즐과 물 탱크를 연결하는 배관에는 펌프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탑승자로 하여금 수중침수 상황을 체험하도록 하는 별도의 구성이 추가된다.
구체적으로,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750)와 급수펌프(750)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물 탱크(740)와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 공간의 물을 외부 배출하는 배수펌프(770)가 마련된다.
급수펌프(750)의 구동에 의해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에는 진입구(701) 하단까지 수위가 상승하게 되며 탑승자는 이를 통해 수중침수 상황을 체험할 수 있으며 배수펌프(770) 구동을 통해 외부로 배수 가능하다. 한편 반전탈출체험룸(700)에는 내부에 수용된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누수방지구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모서리 부분이나 바닥과 연결되는 반전탈출체험룸(700)의 바닥부분에는 별도의 누수방지구조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탈출체험룸(700)의 바닥면과 차량 진행방향상 전방부에는 완충재(900)가 추가 마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 탑승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한층 완화시키고 반전체험 후 차량으로부터 탈출하는 사용자의 하방 낙하에 의한 부상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경우 전술한 반전탈출체험룸 내부로의 물 공급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이동경로부 200: 슬라이드이동 지지부
210: 지지홈 220: 연결브래킷
230: 슬라이딩롤러 300: 이동유도부
310: 돌출돌기 320: 동력 제공부
330: 지지브래킷 400: 이동 보조부
410: 연결봉 420: 토션 스프링
500: 자동차 회전유도부 510: 자동차 회전부
520: 회전 가이드 530: 자동차 회전가이드롤러
700: 반전탈출체험룸 900: 완충재

Claims (11)

  1. 일정 길이를 가지며 자동차(10)가 일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하 반전되고 상하 반전된 후 타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이 서로 상하 180도 반전되게 이루어지고 자동차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경로부(100);
    자동차가 상기 이동경로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자동차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경로부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고, 상하 반전된 상태에서 자동차가 이동경로부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자동차의 하부와 상기 이동경로부에 각각 마련되는 슬라이드이동 지지부(200); 및
    상기 이동경로부(100)의 일측을 따라 자동차가 이동하도록 하고 상하 반전 후 다시 타측을 따라 자동차가 이동하도록 상기 자동차의 하부와 상기 이동경로부에 각각 마련되는 이동유도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이동 지지부(200)는,
    상기 이동경로부(10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홈(210);
    상기 자동차의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단부가 상기 지지홈(210) 내측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브래킷(220); 및
    상기 지지홈(210) 내벽과 상기 연결브래킷(220)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슬라이딩롤러(23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도부(300)는,
    상기 이동경로부(100)의 외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진 형태를 이루면서 돌출되는 돌출돌기(310); 및
    상기 자동차의 하부에 마련되어 자동차의 이동 동력을 제공하고, 일부가 상기 돌출돌기(310)와 맞물림 결합되면서 돌출돌기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동력 제공부(320)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부(100)의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은 지면에 대해 높낮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딩 롤러(230)는,
    상기 연결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연결브래킷의 상하면과 지지홈 내벽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상하 슬라이딩 롤러(231); 및
    상기 연결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연결브래킷의 측면과 지지홈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측방 슬라이딩 롤러(2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제공부(320)는,
    자동차의 하부에 지지브래킷(330)을 통해 연결되는 구동모터(321);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돌출돌기(310)와 맞물림되면서 이동 가능한 동력전달바퀴(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기(310)는, 상하 굴곡진 형상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하부와 상기 동력 제공부(3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경로부(100)를 따른 상기 자동차의 이동시 상기 돌출돌기와 상기 동력 제공부 간의 맞물림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보조부(400)는,
    일단은 상기 동력 제공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자동차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봉(410); 및
    상기 연결봉(410)을 탄성적으로 회전 지지하도록 상기 자동차 하부와 상기 동력 제공부(320) 사이를 연결하는 토션 스프링(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하부와 상기 동력 제공부(32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이동경로부(100)를 따른 상기 자동차의 이동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회전을 유도하는 자동차 회전유도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회전유도부(500)는,
    상기 동력 제공부(320)에 고정되고 상기 자동차 하부를 회전시키는 자동차 회전부(510);
    상기 동력 제공부에 고정되는 링 형상의 회전 가이드(520); 및
    상기 자동차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가이드(5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복수의 자동차 회전가이드롤러(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상하 반전이 이루어지는 상기 이동경로부(100)의 일측 영역에는 이동경로부(100)의 주변을 감싸도록 반전탈출체험룸(700)이 더 마련되고,
    상기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 공간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710);
    상기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노즐(730);
    상기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750); 및
    상기 반전탈출체험룸(700) 내부 공간의 물을 외부 배출하는 배수펌프(7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KR1020180111096A 2018-09-17 2018-09-17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KR10215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096A KR102152121B1 (ko) 2018-09-17 2018-09-17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096A KR102152121B1 (ko) 2018-09-17 2018-09-17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946A KR20200031946A (ko) 2020-03-25
KR102152121B1 true KR102152121B1 (ko) 2020-09-04

Family

ID=7000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096A KR102152121B1 (ko) 2018-09-17 2018-09-17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8914B (zh) * 2022-11-23 2023-03-14 湖南视觉伟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驾车训练时倒车入位用训练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6120B2 (ja) * 1991-01-08 1999-10-25 飛島建設株式会社 コースター装置
KR101778015B1 (ko) * 2016-11-30 2017-09-13 대한민국 침수된 차량의 탈출을 위한 체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09Y1 (ko) 2006-04-24 2006-07-14 이홍주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KR101106980B1 (ko) * 2009-03-19 2012-01-20 안동준 레일 바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6120B2 (ja) * 1991-01-08 1999-10-25 飛島建設株式会社 コースター装置
KR101778015B1 (ko) * 2016-11-30 2017-09-13 대한민국 침수된 차량의 탈출을 위한 체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946A (ko)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1509Y1 (ko)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AT511217B1 (de) Dummy-objekt, insbesondere zur funktionsüberprüfung von fahrerassistenzsystemen in kraftfahrzeugen
KR102152121B1 (ko) 자동차 전복체험과 사고 탈출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KR101081690B1 (ko) 자동차 전복사고 체험장치
EP2980004B1 (de) Absenkbares Fahrerschutzdach
DE102007023283A1 (de) Seitlich neigbarer Kraftfahrzeugsitz
KR101641036B1 (ko) 차량안전체험용 시뮬레이션장치
DE1178724B (de) Lenk- und Steuerdeichsel fuer Flurfoerderfahrzeuge
KR20240017572A (ko) 자동차 전복 체험 장치 및 시스템
DE10201110263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einer Rangierhilfe in einem Fahrzeug
AT518817A1 (de) Transportfahrzeug
CN214463811U (zh) 一种轨道式齿轮传动门结构
JP2006122641A (ja) 車椅子昇降装置
CN202925974U (zh) 停车场车轮定位装置
KR101908130B1 (ko) 복합 회전형 안전띠 체험장치
CN211669864U (zh) 一种汽车碰撞体验装置
CN210027621U (zh) 发动机盖总成、车身结构、车辆及自启动发动机盖的系统
CN220474177U (zh) 一种公交车驾驶模拟器侧倾感发生装置
CN103046498A (zh) 能自动避免乘客插队现象的公交车始发站
CN202049630U (zh) 车辆翻转体验装置
Brown Can ergonomics improve primary safety in road transport systems?
DE10359654A1 (de) Armaturenbrett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Bildschirm
DE4318847C2 (de) Vorrichtung zum Üben des richtigen Verhaltens der Insassen eines Kraftfahrzeuges bei Eintauchen in Wasser
DE4230905C1 (ko)
DE102016007170A1 (de) Gummiradwalz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