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324Y1 -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324Y1
KR200421324Y1 KR2020060005892U KR20060005892U KR200421324Y1 KR 200421324 Y1 KR200421324 Y1 KR 200421324Y1 KR 2020060005892 U KR2020060005892 U KR 2020060005892U KR 20060005892 U KR20060005892 U KR 20060005892U KR 200421324 Y1 KR200421324 Y1 KR 200421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tilt
support
wa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영
Original Assignee
이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영 filed Critical 이시영
Priority to KR2020060005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3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3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2/00Accessories for drill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z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2Control of the drilling operation;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for activation o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z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4Drilling rigs characteriz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having means for adapting to inclined terrain; having means for stabilizing the vehicle while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건설 공사에서 파일 또는 구멍을 시공하는 항타 또는 천공장비의 리다의 기울기를 조정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리다를 기계적으로 장비의 본체와 분리시킨 후, 지지대(H)나 붐대에 연장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판(C)과 장비(A)의 본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또 하나의 고정판(캣치후크)을 관통하는 자세로 거치시키고, 두 고정판 중의 하나에 장치된 전후좌우로 기우면서도 리다(D)의 중량을 지지하는 4방향 지지대(90)로는 리다를 받치고, 또 하나의 다른 고정판에 장치된, 수동 또는 콘트롤라의 지시에 따라 구동하는 회전장치에 의해 작동하고 캠이나 와이어가 장치된 회전축으로 리다를 전후 좌우로 변위시키는 4방향 기울기 조정장치(20)로는 리다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리다, 회전축, 지지대, 천공장비, 기울기

Description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Inclination control Equipments of Long Leader}
도 1은 피비디작업 중인 지지대가 설치된 천공장비의 모습이다.
도 2는 고정판에 리다가 얹혀있는 부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캠과 와이어를 이용한 4방향 기울기 조정장치의 구성 예이고,
도 4는 회전축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와이어를 이용한 4방향 기울기 조정장치의 구성 예이고,
도 6은 회전축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4방향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리다가 분리되는 부위를 연결한 그림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장비 C. 고정판
D. 리다 H. 지지대
20.4방향 기울기 조정장치 90.4방향 지지대
건설 공사의 기초 공사를 위한 천공 및 항타 공사에서 천공용 케이싱이나 항타용 파일의 수직도 유지는 아주 중요한 조건이나, 공사의 특성상 건설 초기에 시행되는 공사인 관계로 작업 여건은 지극히 나쁘다. 장비의 자세가 좋으면 자연적으로 리다도 수직을 유지하겠으나 지형관계로 장비의 수평유지에 많은 시간과 품이 든다.
장비의 자세에 관계없이 리다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대책으로 유압실린다로 리다를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정하는 것이 현상이다. 리다에 아무런 장치 없이 밀고 당기는 만큼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 큼의 변위를 줄 것인가의 정량제어가 안 되어 원하는 각도가 넘으면 뒤로 가고, 뒤로 넘으면 다시 조금 앞으로 가는 조정방법이다.
공법의 발달과 공사규모의 대형화로 장비의 크기는 점점 더 길고 무거워 지는 추세이므로 리다의 조정의 난이도는 점점 더 높아지고 그에 따라 장비는 점점 더 고가의 대형화된 장비가 소요된다.
리다에 변위를 주는 방법은 치차나 실린다 등 다양한 방법이 있겠으나 단시간에 확실하게 필요한 기울기를 확보하고 매번 똑같은 변위를 줄 때 똑같은 결과를 기대하려면 리다의 움직임에 중심이 있어야 하고 움직임을 주는 작동 영역이 동일 평면상이어야 정확한 제어가 된다. 무겁고 길이가 긴 리다를 가장 안정적으로 다루는 방법은 장비의 본체에 직접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이나 기울기의 조정이 안 된다.
표제의 고안은 리다를 장비에는 직접적인 결합을 피하여 얹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장비의 자세와는 관계없이 리다의 자세를 조정하고, 장비를 경량화하여 장비의 능률을 극대화 시킨다.
삭제
삭제
건설 공사에서 파일 또는 구멍을 시공하는 항타 또는 천공장비의 리다 중에서 특히 중 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구멍을 파는 케이싱 또는 항타되는 파일의 자세를 잡아주고 항타 또는 천공작업을 수행하는 리다에서, 그 기울기를 임의의 방향의 임의의 각도로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고 그 각도를 계속하여 유지하며, 안정감 있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리다를 장비 본체의 기울기와 관계없이 독립적인 자세를 취하게 하면서 리다를 받쳐 주는 4방향 지지대와, 4방향 지지대를 중심으로 하여 리다를 변위시켜 리다의 기울기를 전후좌우의 사방으로 조정하는 4방향 기울기 조정장치이다.
기울기 조정방법은 리다를 기계적으로 장비의 본체와 분리시킨 후, 지지대(H)나 붐대에 연장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판(C)과 장비(A)의 본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또 하나의 고정판인 캣치후크를 관통하는 자세로 거치시키고, 두 고정판 중의 하나에 장치된 전후좌우로 기우면서도 한 점에서 리다(D)의 중량을 지지하는 4방향 지지대(90)로는 리다를 받치고, 또 하나의 다른 고정판에 장치된, 4방향 지지대를 중심으로 하고 콘트롤라의 지시나 수동에 따라 구동하는 회전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캠이나 와이어가 장치된 회전축을 이용하여 리다를 전후 좌우로 변위 시키는 4방향 기울기 조정장치(20)로는 리다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공 전이나 시공 중에나 수동이나 자동으로 조정가능한 방법으로써 각 구성 요소들의 역할과 작동 원리는 아래와 같다.
도 1은 피비디 시공장비(A)가 리다(D)를 차고 있는 정면도와 측면도로써, 지지대(H)나 붐대에서 뻗쳐 나온 고정판(C)과 장비(A)의 본체에서 뻗쳐 나온 고정판(C) 위에 설치된 전방향 지지대(90)와 전방향 기울기 조정장치(20)로 리다의 중량을 지지하고 기울기를 조정한다.
도 2는 고정판을 관통하는 리다가 고정판에 얹혀있는 상태에서 전후좌우로 기울임과 움직임을 수행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고정판에 리다를 걸쳐 주기 위해서 리다의 4면에 용접된 일종의 브라켓인 날개판(25)의 밑에는 쇠구슬(84)이나 롤라를 장치하면 날개판이 고정판 위에서 원활히 움직이면서도 리다의 하중을 고정판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리다의 4면에 날개판(25) 대신 환봉(31)을 용접하고 그 환봉을 내부의 구형 금속이 상하좌우로 회전하면서 하중을 받쳐주는 베아링(32)으로 지지하는 4방향 지지대의 그림이다.
도 4,5는 4방향 기울기 조정장치(20)의 구성 예로써 도시되어 있지는 않은 콘트롤라의 지시에 따르는 회전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회전축(21)과 회전축에 장치된 캠(22)이나 와이어(28)를 이용하여 리다를 전후 좌우로 변위시키는 기울기 조정장치의 구성예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캠이 달린 회전축에 와이어를 감고 와이어의 일단 을 롤라(22)와 와이어 고리(29)를 통해 리다와 연결하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캠이 리다를 밀때는 와이어도 풀리고, 반대로 회전축이 회전하면 와이어가 땡겨지면서 리다를 끌고 캠은 리다의 끌림에 방해가 안되는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리다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도 5는 회전축(21)에 캠(23)이 장치되고 와이어(28)가 감겨 있는 모습이다.
도 6은 도 4의 캠 대신 와이어만으로 조정하는 예이다.
리다가 내부에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유동판(24) 위에 설치된 회전축(21)에 와이어(28)를 감고, 와이어의 일단은 와이어 고리(29)를 통해 리다의 한 면에 연결하고 다른 일단은 맞은 편의 리다에 연결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리다가 유동판의 내부에서 이동이 되면서 좌우 기울기를 조정한다.
이 유동판은 고정판 위(C)에서 유동판이 내부에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고정판 위에 설치된 회전축에 와이어를 감고, 와이어의 일단은 롤라와 와이어 고리를 통해 유동판의 한 면에 연결하고 다른 일단은 맞은 편 유동판의 면에 연결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유동판이 고정판의 내부에서 이동이 되면서 전후 기울기를 조정한다.
작업과정 중의 기울기 조정은 기울기를 입력받아 회전장치의 회전수를 연산하여 회전장치를 구동시키는 콘트롤라로 회전축의 회전각도를 원격제어 하여 자동으로 정밀 조정을 할 수 있다.
도 7은 회전축(21)에 양 방향 와이어(28)가 감겨 있는 모습이다.
도 8은 전후좌우로 기울어 지는 리다의 중량을 지지하는 4방향 지지대의 구 성 예이다.
리다의 날개판(25)의 하변과 유동판(24)의 밑 면이 원호의 모양이거나 롤라나 철구가 장치된 구조로써 리다는 유동판 위에서 흔들의자처럼 앞 뒤로 흔들릴 수 있고,유동판은 고정판 위에서 좌우로 흔들릴 수 있다.
즉 리다는 제자리에서 전후좌우로 흔들릴 수가 있게 된다.
유니버샬 조인트형의 지지방법보다 리다를 장비 본체에 가깝게 안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리다의 기울기를 임의의 방향의 임의의 각도로 일정 범위내에서 조정할 수 있고 그 각도를 계속하여 유지하며,자동제어에 의한 수직을 유지할 수 있고, 안정감 있게 작업할 수 있도록 리다의 중량을 분산시킨다.

Claims (3)

  1. 건설 공사에서 파일 또는 구멍을 시공하는 항타 또는 천공장비의 지지대(H)나 붐대에 연장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판(C)과 장비(A)의 본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또 하나의 고정판을 관통하는 자세로 거치된 리다에서, 두 고정판 중의 하나에 장치된 전후좌우로 기우면서도 리다(D)의 중량을 지지하는 4방향 지지대(90)와, 또 하나의 다른 고정판에 장치된, 4방향 지지대를 중심으로 하고 회전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캠이나 와이어가 장치된 회전축을 이용하여 리다를 전후 좌우로 변위시키는 4방향 기울기 조정장치(20)로 구성된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
  2. 청구항 1에서 4방향 지지대는, 내부의 구형 금속이 상하좌우로 회전하면서 하중을 받쳐주는 베아링(27)으로 리다의 4면에 부착된 환봉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
  3. 청구항 1에서 4방향 지지대는, 리다의 날개판의 하변과 유동판의 밑 면이 원호의 모양이거나 롤라나 철구가 장치된 구조로 리다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리다를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
KR2020060005892U 2006-03-05 2006-03-05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 KR200421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892U KR200421324Y1 (ko) 2006-03-05 2006-03-05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892U KR200421324Y1 (ko) 2006-03-05 2006-03-05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324Y1 true KR200421324Y1 (ko) 2006-07-12

Family

ID=4176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892U KR200421324Y1 (ko) 2006-03-05 2006-03-05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3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6757B2 (en) 2005-03-11 2010-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pickup for an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n actuator forming a predetermined angel with respect to the pickup b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6757B2 (en) 2005-03-11 2010-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pickup for an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n actuator forming a predetermined angel with respect to the pickup b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3116C (en) Leveling apparatus for excavator and forestry machine equipment
CN100453746C (zh) 一种土壤作业的切割器及其方法
KR200421324Y1 (ko)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
JPH1046620A (ja) パワーショベル
JP3856814B1 (ja) オーガースクリューホルダー装置
JPH07233691A (ja) 傾斜面用穿孔機
KR200407427Y1 (ko) 사방 기울기가 조정되는 리다
JP2008255611A (ja) 建設機械
JP5134649B2 (ja) 掘削軸の振れ止めの落下防止装置
JP5615598B2 (ja) 杭打機
EP2806098A2 (en) Drilling rig
JP2022114865A (ja) 建設機械
JP2003041614A (ja) バケット式掘削機
JP2015078541A (ja) 重心可変装置
CN113790063B (zh) 定位试验台
JP4230396B2 (ja) 回転圧入装置と走行式作業機との連結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70075919A (ko)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방법과 그 구성장치
US20240110356A1 (en) Screw Pile Driving Apparatus
KR20070077235A (ko) 중장대한 리다의 기울기 조정장치
JP2021161721A (ja) スロットドリルマシン
JPH07139282A (ja) 法面の削孔装置
JPH11270267A (ja) 杭打機
JP3366602B2 (ja) 地盤掘削機に於けるフロントアタッチメント支持装置
JP2021147777A (ja) ロッドハンドリング装置
US5209001A (en) Trenching machine with longitudinally stabilized main frame for stabilizing digging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