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162Y1 - 무동력식 컵 배출기 - Google Patents

무동력식 컵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162Y1
KR200421162Y1 KR2020060003628U KR20060003628U KR200421162Y1 KR 200421162 Y1 KR200421162 Y1 KR 200421162Y1 KR 2020060003628 U KR2020060003628 U KR 2020060003628U KR 20060003628 U KR20060003628 U KR 20060003628U KR 200421162 Y1 KR200421162 Y1 KR 200421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driven
operation button
p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승호
임도선
Original Assignee
차승호
고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승호, 고광일 filed Critical 차승호
Priority to KR2020060003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1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1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10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having mechanical dispensing means, e.g. with button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미숫가루, 전통차 또는 커피 원료 등의 음용원료를 물에 타 먹기 위하여 버튼을 가압시 홀더(holder)에 적재수용된 컵을 낱개로 배출하는 컵 배출수단 구동이 전원을 이용하지않는 순수한 기구적인 메카니즘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무동력식 컵 배출기는, 컵이 적재수용되는 홀더가 상면에 형성되고 조작 버튼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본체와,
경사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조작 버튼 가압시 본체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핀에 의해 지지되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더와,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 구동시 경사홈에 결합되어 캠운동하는 회동핀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형성되고 조작 버튼 가압으로 회전축 회전시 홀더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제1로커를 포함한다.
무동력식 컵 배출기, 버튼

Description

무동력식 컵 배출기{a cup distributor of using non- pow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무동력식 컵 배출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무동력식 컵 배출기에서 컵의 배출수단의 요부발췌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 배출수단의 작동도,
도 4(a,b)는 본 고안에 의한 컵 배출기에서 컵을 낱개로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무동력식 컵 배출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컵
2; 홀더
3; 조작 버튼
4; 본체
5; 경사홈
6; 가이드핀
7; 슬라이더
8; 회동핀
9; 회전축
10; 제1로커
11; 제2로커
12; 탄성부재
13; 구동기어
14; 피동축
15; 피동기어
16; 제1돌기부
17; 제2돌기부
18; 호퍼
본 고안은 전통차 또는 커피(이하, "음용원료" 라고 한다) 등을 물에 타 먹기 위하여 버튼을 조작시 컵(일예로서, 일회용 컵을 말함)이 적재수용된 홀더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하는 배출수단 구동시 전원시스템을 배제시킨 무동력식 컵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미숫가루, 전통차 또는 커피 원료 등의 음용원료를 물에 타 먹기 위하여 버튼을 가압시 홀더(holder)에 적재수용된 컵을 낱개로 배출하는 컵 배출수단 구동이 전원을 이용하지않는 순수한 기구적인 메카니즘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도록 한 무동력식 컵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율무 등과 같은 기호식품을 일반 소비자들의 취향 또는 기호도에 맞추어 판매하는 커피 자동판매기는 그 편리성 및 간편함으로 인해 공공장소, 사무실 등에 설치되어 많은 사람들이 거의 매일 애용하고 있다. 커피 자판기는 저장탱크로 부터 토출되는 정수를 히터장치에 의해 가열하여 더운 커피를 마시거나, 또는 정수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시켜 냉커피를 마시게 된다.
이로 인해, 커피 자판기 내부에 커피 원료(커피, 프림, 설탕 등을 말함)를 따로 따로 보관하는 저장호퍼, 정수용 저장탱크, 냉/온수용 저장탱크 및 히팅장치 등을 장착해야 되므로 해당 부품수 증가로 원가비용이 증가되고, 외형 사이즈가 커져 자판기를 실내의 비좁은 공간(일예로서, 자판기 설치위치가 식당 등의 협소한 공간인 경우를 말함)에 설치할 경우 장소와 공간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커피 자판기는 커피 원료 등을 물에 타 먹을 수 있도록 홀더로부터 일회용 컵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구동시 전기회로 또는 전자시스템을 활용하므로 전력 소비로 인한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커피 자판기는 음용원료에 혼합되는 온수 또는 냉수 공급수단을 본체 내부에 구비하므로, 호퍼에 저장된 분말상태의 음용원료가 수분 등으로 인 해 딱딱하게 굳어 배출통로를 막거나, 변질 또는 세균 번식으로 인해 오염되어 소비자들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음용원료 등을 저장하는 호퍼와, 컵이 적재되는 홀더를 별도로 분리형성하여 호퍼로부터의 음용원료를 컵에 받아 별도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혼합하여 커피 등을 타 마시도록 호퍼와 홀더를 따로 사용하는 것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미숫가루 등의 음용원료를 물에 타 먹기 위하여 버튼을 가압시 홀더에 적재수용된 컵을 낱개로 배출하는 컵 배출수단 구동이 전원을 이용하지않는 순수한 기구적인 메카니즘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줄여 유지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무동력식 컵 배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 간단화로 인해 해당 부품수를 줄이고, 외형 사이즈 축소로 인해 장소 또는 공간에 구애받지않고 설치가능한 무동력식 컵 배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홀더에 적재수용된 컵의 상단테두리를 좌우양측에서 동시에 지지하여 홀더로 부터 컵이 두개씩 배출되거나, 너무 쉽게 배출되지않아 신뢰성을 갖도록 한 무동력식 컵 배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컵이 적재수용되는 홀더가 상면에 형성되고 조작 버튼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본체와,
경사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조작 버튼 가압시 본체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핀에 의해 지지되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더와,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 구동시 경사홈에 결합되어 캠운동하는 회동핀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형성되고 조작 버튼 가압으로 회전축 회전시 홀더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제1로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식 컵 배출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바람직한 실시예 의하면, 전술한 본체는, 회전축 일단부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컵을 홀더의 좌우양측에서 로킹 및 언로킹시킬 수 있도록 제2로커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축 구동시 연동되는 피동축과,
피동축 일단부에 결합되어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회전축 회전시 구동기어와 상호 이맞물림으로 인해 피동축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동기어 및 피동기어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제1,2로커는, 조작 버튼 가압으로 회전축 및 피동축 회전시 컵의 상단테두리 부터 이탈되어 홀더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제1돌기부와, 제1돌기부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제1돌기부 회전으로 낙하되는 컵의 바로위에 위치한 컵 의 상단테두리를 지지하여 로킹시키는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홀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컵을 적재수용하는 호퍼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호퍼는 투명체로 형성된다.
전술한 본체는, 일단이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제1,2로커에 의해 컵을 로킹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동력식 컵 배출기는, 컵(1)(일예로서, 일회용 종이컵을 말함)이 적재수용되고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 홀더(2)(holder)가 상면에 형성되며 조작 버튼(3)이 외측면에 형성되며, 배면에 장착되는 미도시된 고정수단(일예로서, 자성체 등을 말함)에 의해 피고정부(일예로서, 건물의 벽면, 공장 내부의 캐비넷 등을 말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4)와,
경사홈(5)이 일측에 형성되고, 조작 버튼(3) 가압시 본체(4)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핀(6)에 의해 지지되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더(7)와,
홀더(2)의 내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7) 구동시 경사홈(5)에 결합되어 캠운동하는 회동핀(8)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9)과,
회전축(9)에 형성되고 조작 버튼(3) 가압으로 회전축(9) 회전시 홀더(2)로 부터 컵(1)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제1로커(10)와,
일단이 본체(4)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더(7)에 고정되며 제1,2로커(10,11)에 의해 컵(1)을 로킹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12)(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를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본체(4)는 회전축(9) 일단부에 결합되는 부채꼴 형상의 구동기어(13)와, 컵(1)을 홀더(2)의 좌우 양측에서 로킹 및 언로킹시킬 수 있도록 제2로커(11)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홀더(2)의 내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축(9) 구동시 연동되는 피동축(14)과, 피동축(14) 일단부에 결합되고 구동기어(13)와 치합되어 회전축(9) 회전시 구동기어(13)와 상호 이맞물림으로 인해 피동축(14)을 회전시키는 부채꼴 형상의 피동기어(15)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제1,2로커(10,11)는 조작 버튼(3) 가압으로 회전축(9) 및 피동축(14) 회전시 컵(1)의 상단테두리(1a) 부터 이탈되어 홀더(2)로 부터 컵(1)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제1돌기부(16)와, 제1돌기부(16)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제1돌기부(16) 회전으로 낙하되는 컵(1)의 바로위에 위치한 컵(1A)의 상단테두리(1a)를 지지하여 홀더(2)로 부터 떨어지지않도록 로킹시키는 제2돌기부(17)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홀더(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컵(1)을 적재수용하며, 투명체(일예로서, 투명한 합성수지재, 강화유리재 등이 사용됨을 말함)로 형성되는 호퍼(18)(hopper)를 더 포함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9는 홀더(2) 하단부에 연장형성되며 홀더(2)로 부터 배출되는 컵(1)이 바닥으로 곧바로 떨어지지않도록 지지하는 슈트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무동력식 컵 배출기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빌딩 등의 휴계실, 또는 대중 식당 등에 설치되는 무동력식 컵 배출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커피, 또는 율무 등과 같은 전통차를 편리하게 타 마실 수 있다. 이때 컵 배출기로 부터 컵을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전술한 본체(4) 외측면에 돌출된 조작버튼(3)을 본체(4)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홀더(2) 외측에 설치된 가이드핀(6)을 따라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7)를 밀어 직선이동시킨다(도 3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됨을 말함). 이때 일단이 본체(4)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더(7)에 고정된 탄성부재(12)(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는 인장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슬라이더(7) 일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5)에 결합되며 회전축(9) 일단부에 형성된 회동핀(8)의 캠운동에 의해 회전축(9)을 도 3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슬라이더(7) 구동으로 인해 회전축(9)이 연동되어 회전될 경우, 회전축(9) 단부에 고정된 부채꼴 형상의 구동기어(13)와, 이와 치합되고 피동축(14)에 고정된 부채꼴 형상의 피동기어(15)의 상호 기어맞물림에 의해 피동축(14)을 동시에 회전시킨다(도 2의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을 말함).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작 버튼(3) 가압시 회전축(9) 외측면에 형성된 제1로커(10)와 피동축(14) 외측면에 형성된 제2로커(11)가 동시에 회전될 경우, 컵(1)의 상단테두리(1a)를 지지하고 있는 제1,2로커(10,11)의 제1돌기부(16)가 회전되어 컵(1)으로 부터 이탈 되므로(즉 제1,2로커(10,11)에 의해 컵(1)의 로킹력이 해제된 상태를 말함), 홀더(2)에 적재수용되어 제일 밑바닥에 위치한 컵(1)을 홀더(2)로 부터 배출시킨다.
전술한 홀더(2)로 부터 낱개로 이탈되는 컵(1)은 홀더(2) 하방에 연장형성된 슈트(19)에 낙하된다. 이로 인해 홀더(2)로 부터 낱개로 배출되는 컵(1)이 갑자기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 밑바닥에 위치한 컵(1)이 홀더(2)로 부터 배출될 경우, 낙하되는 컵(1)의 바로위에 위치한 컵(1A)의 상단테두리(1a)를 제1,2로커(10,11)의 제2돌기부(17)에 의해 지지하므로 홀더(2)로 부터 컵(1A)이 떨어지지않도록 로킹시킨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홀더(2)로 부터 컵(1)을 배출하기 위하여 조작버튼(3)을 가압한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탄성부재(12)의 탄성복원력에 의 해 슬라이더(7)를 직선운동시켜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도 3의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됨을 말함).
이로 인해, 슬라이더(7)의 경사홈(5)에 결합된 회동핀(8)의 회동에 의해 회전축(9)을 초기위치로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구동기어(13)와 피동기어(15)의 상호 기어이맞물림에 의해 피동축(14)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1,2로커(10,11)에 형성된 제1돌기부(16)에 의해 컵(1)의 상단테두리(1a)를 좌우양측에서 동시에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홀더(2) 밑바닥에 위치한 컵(1)이 홀더(2)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동력식 컵 배출기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구동이 전원을 사용하지않은 순수한 기구적인 운동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작동되므로 전력 사용에 따른 비용을 줄이고, 고장 발생되는 것을 줄여 사후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홀더(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컵(1)이 적재수용되는 호퍼(18)를 투명한 합성수지재 또는 강화유리재로 형성함에 따라 컵(1)의 잔유량을 확인하여 부족한 경우 컵(1)을 곧바로 보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작버튼(3) 조작으로 인해 컵 배출기로 부터 낱개로 배출되는 컵(1)을 이용하여 커피 등의 음용원료를 정수기 등으로 부터 배출되는 온수 또는 냉수를 이용하여 타 마시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동력식 컵 배출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미숫가루 등의 음용원료를 물에 타 먹기 위하여 버튼을 가압시 홀더에 적재수용된 컵을 낱개로 배출하는 컵 배출수단 구동이 전원을 이용하지않는 순수한 기구적인 메카니즘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줄여 유지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구조 간단화로 인해 해당 부품수를 줄이고, 외형 사이즈 축소로 인해 장소 또는 공간에 구애받지않고 설치 가능하고, 벽면 등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여 설치 장소를 쉽게 변경하므로 한정된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홀더에 적재수용된 컵의 상단테두리를 좌우양측에서 동시에 지지하여 홀더로 부터 컵이 두개씩 배출되거나, 너무 쉽게 배출되지않아 신뢰성을 갖는다.

Claims (7)

  1. 컵이 적재수용되는 홀더가 상면에 형성되고 조작 버튼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본체;
    경사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조작 버튼 가압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핀에 의해 지지되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더;
    상기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구동시 상기 경사홈에 결합되어 캠운동하는 회동핀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며, 구동기어가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고 조작 버튼 가압으로 회전축 회전시 홀더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제1로커;
    상기 컵을 홀더의 좌우양측에서 로킹 및 언로킹시킬 수 있도록 제2로커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 구동시 연동되는 피동축; 및
    상기 피동축 일단부에 결합되어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회전축 회전시 상기 구동기어와 상호 이맞물림으로 인해 상기 피동축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식 컵 배출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 및 피동기어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식 컵 배출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로커는, 조작 버튼 가압으로 회전축 및 피동축 회전시 컵의 상단테두리 부터 이탈되어 홀더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제1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 회전으로 낙하되는 컵의 바로위에 위치한 컵의 상단테두리를 지지하여 로킹시키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식 컵 배출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컵을 적재수용하는 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식 컵 배출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식 컵 배출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상기 제1,2로커에 의해 컵을 로킹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식 컵 배출기.
KR2020060003628U 2006-02-09 2006-02-09 무동력식 컵 배출기 KR200421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628U KR200421162Y1 (ko) 2006-02-09 2006-02-09 무동력식 컵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628U KR200421162Y1 (ko) 2006-02-09 2006-02-09 무동력식 컵 배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162Y1 true KR200421162Y1 (ko) 2006-07-13

Family

ID=4176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628U KR200421162Y1 (ko) 2006-02-09 2006-02-09 무동력식 컵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1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37B1 (ko) 2006-12-06 2008-05-02 김옥련 컵과 커피의 수동식 인출기
KR200450802Y1 (ko) 2010-07-22 2010-11-02 류근필 소음저감형 컵 디스팬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37B1 (ko) 2006-12-06 2008-05-02 김옥련 컵과 커피의 수동식 인출기
KR200450802Y1 (ko) 2010-07-22 2010-11-02 류근필 소음저감형 컵 디스팬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275B2 (en) Mechanism for dispensing shaved ice from a refrigeration appliance
CN101557737B (zh) 刀叉餐具分配器以及分配刀叉餐具的方法
DK2763931T3 (en) DISPENSES FOR INDIVIDUAL FROZEN BEVERAGES
JP4642427B2 (ja) ティッシュペーパ吐出装置
KR20090088961A (ko) 음료 자판기의 개선
KR200421162Y1 (ko) 무동력식 컵 배출기
US11446188B2 (en) Apparatus to dispense feminine hygiene products with one or more user sensors
US20100223946A1 (en) Device for the dosage of ice cubes
WO2019102211A1 (en) Tablet dispenser
KR101552204B1 (ko) 빙삭기
AU2008100499A4 (en) Linear Food Processor
KR100827037B1 (ko) 컵과 커피의 수동식 인출기
WO2019060133A1 (en) DISTRIBUTION CONTAINER
KR200419582Y1 (ko)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KR20070092070A (ko)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KR200424391Y1 (ko) 컵 자동 배출기
JP4316398B2 (ja) 飲料自動販売機
KR200414544Y1 (ko) 무동력식 음용원료 공급장치
CN214157035U (zh) 现磨饮品机
JP2018068757A (ja) ミル装置
KR100827036B1 (ko) 수동식 컵과 커피 인출기
CN112785781A (zh) 杯式自动售货机
JP5309961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CN111150309A (zh) 现磨自动咖啡机料仓冷藏装置
KR0131884Y1 (ko) 커피 냉장고 시스템의 커피 기능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