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582Y1 -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 Google Patents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582Y1
KR200419582Y1 KR2020060008756U KR20060008756U KR200419582Y1 KR 200419582 Y1 KR200419582 Y1 KR 200419582Y1 KR 2020060008756 U KR2020060008756 U KR 2020060008756U KR 20060008756 U KR20060008756 U KR 20060008756U KR 200419582 Y1 KR200419582 Y1 KR 200419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riven
holder
hopper
d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승호
임도선
Original Assignee
차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승호 filed Critical 차승호
Priority to KR2020060008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5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해당 조작버튼 조작시 홀더로 부터 컵만을 낱개로 배출하거나, 또는 홀더로 부터 컵을 배출한 후 저장호퍼로 부터 음용원료를 배출하거나, 저장호퍼로 부터 음용원료만을 컵에 일정량씩 배출하는 배출수단 구동시 전원을 이용하지않아 전력 소비를 줄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는, 컵 인출구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및 제1,2,3조작버튼을 갖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음용원료의 재료가 미리 소정비율로 혼합되어 저장된 호퍼와,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컵이 적층된 홀더와,
홀더에 장착되고, 제1조작버튼 가압시 홀더로부터의 컵을 낱개로 컵 인출구로 공급하는 컵 배출수단과,
호퍼의 배출구에 장착되고, 제2조작버튼 또는 제3조작버튼 가압시 호퍼로부터의 음용원료를 배출구를 통하여 컵 인출구에 안착된 컵에 일정량씩 공급하는 음용원료 배출수단과,
컵 배출수단 및 음용원료 배출수단의 구동부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커피 믹스, 전통차, 컵

Description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drink vending machine of using non-pow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에서 컵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의 구조도,
도 3(a,b)은 도 2에 도시된 컵 배출수단의 작동도,
도 4(a,b)는 도 2에 도시된 컵 배출수단에서 컵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로커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에서 음용원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의 구조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음용원료 배출수단의 작동도,
도 7(a,b)은 도 5에 도시된 음용원료 배출수단에서 호퍼로 부터 음용원료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의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에서 음용원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의 변형예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배출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에서 컵 배출수단의 변형예시도,
도 13(a)은 도 12에 도시된 컵 배출수단에서 초기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13(b)는 도 12에 도시된 컵 배출수단에서 작동중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컵 인출구 2; 도어
3; 제1조작버튼 4; 제2조작버튼
5; 제3조작버튼 6; 본체
7; 호퍼 8; 컵
9; 홀더 10; 제1구동모터
11; 구동기어 12; 감속기어
13; 경사홈 14; 가이드핀
15; 슬라이더 16; 제1로커
17; 회동핀 18; 회전축
19; 제2로커 20; 피동축
21; 제1피동기어 22; 제2피동기어
23; 제1돌기부 24; 제2돌기부
25; 편심축 26; 리미트스위치
27; 요홈 28; 제2구동모터
29; 구동기어 30; 감속기어
본 고안은 홀더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하거나, 또는 저장호퍼에 저장된 분말상태의 전통차, 미숫가루 또는 커피믹스(이하, "음용원료" 라고 한다) 등을 컵에 일정량씩 배출하는 동작시 전원을 배제시켜 전력 소비를 줄이도록 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해당 조작버튼 조작시 홀더로 부터 컵만을 낱개로 배출하거나(only cup), 또는 홀더로 부터 컵을 배출한 후 저장호퍼로 부터 음용원료를 배출하거나(cup and coffee), 저장호퍼로 부터 음용원료만을 컵에 일정량씩 배출하는(only coffee) 배출수단 구동시 전원을 이용하지않아 전력 소비를 줄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자동판매기는 그 편리성 및 간편함으로 인해 공공장소, 건물의 휴계실 등에 설치되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커피 자판기는 저장탱크로 부터 토출되는 정수를 히터장치에 의해 가열하여 더운 커피를 마시거나, 또는 정수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시켜 냉커피를 마시게 된다.
이로 인해, 커피 자판기 내부에 커피 원료(커피, 프림, 설탕 등을 말함)를 따로따로 보관하는 저장호퍼, 정수용 저장탱크, 냉/온수용 저장탱크 및 히터장치 등을 장착해야 되므로 해당 부품수 증가로 원가비용이 증가되고, 외형 사이즈가 커져 자판기를 실내의 비좁은 공간(일예로서, 자판기 설치위치가 식당 등의 협소한 공간을 말함)에 설치할 경우 장소와 공간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저장호퍼의 음용원료와 냉/온수가 혼합되어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먼지 등으로 인해 오염되어 소비자들의 건강을 해치거나, 또는 음용원료 배출통로가 수분 흡수로 인해 막혀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야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커피 자판기는 커피 원료 등이 저장된 저장호퍼로부터의 원료를 일회용 컵에 각각 배출하는 배출수단 구동시 전기회로/전자시스템을 이용하므로 전력 소비로 인한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여러명이 커피를 동시에 마실 경우 또는 일과중 손님에게 커피를 접대시 사람수에 맞도록 커피 원료를 각각 혼합하여 마시게 되므로 번잡함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컵이 적층된 홀더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하거나, 음용원료를 저장호퍼로 부터 컵에 일정량씩 배출하는 배출수단 구동시 전원을 사용하지않아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를 제공함에 있 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컵 만을 따로 배출하는 컵 배출기의 기능과, 재료 만을 따로 배출하는 음용원료 배출기의 기능을 포함하므로 자판기를 다용도로서 활용할 수 있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많은 사람들이 음용원료를 동시에 마시고자 하는 경우, 저장호퍼로부터의 음용원료가 컵에 일정량씩 바로 바로 배출되므로 음용원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판기의 소형화 및 컴팩트화로 인해 설치 장소 또는 공간에 구애받지않고 설치가능하고(일예로서, 후크를 사용하여 벽면에 걸어 고정할수 있음), 원가비용을 줄일 수 있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음용원료에 혼합되는 냉수 또는 온수 공급수단을 자판기로 부터 배제하여 수분 흡수로 인한 음용원료의 변질 또는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수 배출통로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사후관리(A/S를 말함)가 불필요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컵 인출구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및 제1,2,3조작버튼을 갖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음용원료의 재료가 미리 소정비율로 혼합되어 저장된 호퍼와,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컵이 적층된 홀더와,
홀더에 장착되고, 제1조작버튼 가압시 홀더로부터의 컵을 낱개로 컵 인출구로 공급하는 컵 배출수단과,
호퍼의 배출구에 장착되고, 제2조작버튼 또는 제3조작버튼 가압시 호퍼로부터의 음용원료를 배출구를 통하여 컵 인출구에 안착된 컵에 일정량씩 공급하는 음용원료 배출수단과,
컵 배출수단 및 음용원료 배출수단의 구동부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컵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와,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제1동력발생부와,
경사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홀더 외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핀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며, 제1구동모터 구동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더와,
홀더의 컵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1로커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슬라이더 구동시 경사홈에 결합되어 캠운동하는 회동핀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일단부에 결합된 제1피동기어와,
홀더의 컵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2로커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회전축 구동시 연동되는 피동축과,
피동축 일단부에 결합되어 제1피동기어와 치합되고, 회전축 회전시 피동축을 회전시키는 제2피동기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컵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와,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제1동력발생부와,
경사홈이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홀더 외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핀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며, 제1구동모터 구동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더와,
홀더의 컵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1로커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일측 경사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더 구동시 캠운동하는 일측 회동핀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홀더의 컵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2로커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타측 경사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더 구동시 캠운동하는 타측 회동핀에 의해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피동축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1,2피동기어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제1,2로커는,
제1조작버튼 가압으로 회전축 및 피동축 회전시 컵의 상단테두리로 부터 이탈되어 홀더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제1돌기부와, 제1돌기부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제1돌기부 회전으로 낙하되는 컵의 바로위에 위치한 컵의 상단테두리를 지지하여 로킹시키는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컵 배출수단은,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감속기어 측면에 형성된 편심축과, 슬라이더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편심축이 결합되며 제1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요홈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음용원료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제2동력발생부와,
호퍼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구동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음용원료를 호퍼로 부터 일정량씩 배출하는 회전체와,
제2구동모터 축상에 장착되며 회전체와 연동되는 캠과,
게이트가 폐쇄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설되고, 호퍼의 배출구 외측으로 승하강되도록 결합되며 캠 구동시 승하강되는 토출관과,
캠 구동에 따라 토출관 하강시 게이트를 개방하는 연결구와,
일단이 호퍼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토출관 상단에 고정되며, 호퍼로 부터 음용원료 배출시 토출관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컵 인출구와 홀더 사이에 장착되며, 제1조작버튼 가압으로 홀더로 부터 배출되어 컵 인출구에 이송되는 동안 컵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음용원료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제2동력발생부와,
호퍼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구동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음용원료를 호퍼로 부터 일정량씩 배출하는 회전체와,
회전체와 연동되도록 제2구동모터 축상에 장착되고, 가이드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캠과,
캠 구동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캠롤러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체와,
호퍼 하방으로 형성되고 방향전환용 경사부가 형성된 고정판과,
게이트가 폐쇄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설되고, 캠 구동으로 승강체 승강시 호퍼의 배출구 외측으로 승강되는 토출관과,
게이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토출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캠 구동으로 토출관 하강시 방향전환용 경사부에 의해 회동되어 게이트를 개방하는 로드와,
로드에 비틀림력을 부여하도록 로드 외주연에 탄설되고, 토출관의 배출구에 장착된 게이트를 폐쇄시킨 것을 초기상태로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체 일측면에 장착되는 동전 투입구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본체는 도어 전면에 장착되고, 홀더에 적재되는 컵 잔유량이 설정된 갯수 이하인 경우, 또는 컵 배출수단 및 음용원료 배출수단의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잔유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점등되는 램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는, 컵 인출구(1)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2)와, 제1,2,3조작버튼(3,4,5)과, 제1,2,3조작버튼(3,4,5)중 해당 버튼 조작시 구동수단 작동중임을 표시하도록 점등되는 램프(3a,4a,5a)를 갖는 박스형상의 본체(6)와,
본체(6) 내부에 장착되고, 분말(粉末) 상태의 음용원료(일예로서, 커피원료, 프리임 및 설탕이 소정비율으로 혼합된 커피믹스를 말함)의 재료가 미리 소정비율로 혼합되어 저장된 호퍼(7)와,
본체(6) 내부에 장착되고 컵(8)(일예로서, 일회용 컵이 사용된다)이 적층된 홀더(9)와,
홀더(9)에 장착되고, 사용자에 의해 제1조작버튼(3)(only cup) 가압시 홀더(9)로부터의 컵(8)을 낱개로 컵 인출구(1)로 공급하는 컵 배출수단과,
호퍼(7)의 배출구 하방에 장착되고, 사용자에 의해 제2조작버튼(4)(cup and coffee), 또는 제3조작버튼(5)(only coffee) 가압시 호퍼(7)로부터의 음용원료를 배출구를 통하여 컵 인출구(1)에 안착된 컵(8)에 일정량씩 공급하는 음용원료 배출수단과,
컵 배출수단 및 음용원료 배출수단의 구동부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체(6)는 도어(2) 전면에 장착되고, 홀더(9)에 적재되는 컵 잔유량이 설정된 갯수 이하인 경우, 또는 컵 배출수단 및 음용원료 배출수단의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잔유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점등되는 램프(100)(일예로서, LED가 사용됨)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컵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10)와, 제1구동모터(10)에 연결되는 구동기어(11)와, 구동기어(11)와 치합되는 감속기어(12)를 포함하는 제1동력발생부와,
경사홈(13)이 일측에 형성되고 홀더(9) 외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핀(14)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며, 제1구동모터(10) 구동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더(15)와,
홀더(9)에 적층된 컵(8)을 로킹(컵(8)이 홀더(9)로 부터 떨어지지않도록 지지하는 동작을 말함) 및 언로킹(컵(8)을 홀더(9)로 부터 떨어트리는 동작을 말함)시키는 제1로커(16)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슬라이더(15)의 직선운동시 경사홈(13)에 결합된 회동핀(17)의 캠운동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8)과,
회전축(18) 일단부에 결합된 부채꼴 형상의 제1피동기어(21)와,
홀더(9)의 컵(8)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2로커(19)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회전축(17) 구동시 연동되는 피동축(20)과,
피동축(20) 일단부에 결합되어 제1피동기어(21)와 치합되고, 회전축(18) 회 전시 피동축(20)을 회전시키는 부채꼴 형상의 제2피동기어(22)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1,2로커(16,19)는,
제1조작버튼(3) 가압시 제1구동모터(10) 구동으로 인해 회전축(18) 및 피동축(20)의 회전시 컵(8)의 상단테두리(8a)로 부터 이탈되어 홀더(9)로 부터 컵(8)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제1돌기부(23)와, 제1돌기부(23)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제1돌기부(23) 회전으로 낙하되는 컵(8)의 바로위에 위치한 컵(두번째로 낙하되는 컵을 말함)의 상단테두리(8a)를 지지하여 로킹시키는 제2돌기부(24)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컵 배출수단은,
구동기어(11)와 치합되는 감속기어(12) 측면에 형성된 편심축(25)과, 슬라이더(15)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편심축(25)이 결합되며 제1구동모터(10)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더(15)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요홈(27)을 더 포함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6은 제1구동모터(10) 구동으로 슬라이더(15)가 설정된 거리만큼 직선운동시 이를 감지하여 제1구동모터(1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리미트스위치이다.
전술한 음용원료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28)와, 제2구동모터(28)와 연결되는 구동기어(29)와, 구동기어(29)와 치합되는 감속기어(30)를 포함하는 제2동력발생부와,
제2구동모터(28) 축상에 장착되고 호퍼(7)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구동모터(28) 구동으로 회전시 호퍼(7)로 부터 음용원료를 일정량씩 배출(일예로서, 상용되는 커피믹스의 경우 12g을 말함)하는 회전체(31)와,
제2구동모터(28) 축상에 장착되며 회전체(31)와 연동되는 캠(32)과,
게이트(33)가 배출구에 탄성부재(일예로서, 토션스프링이 사용됨)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탄설되고 호퍼(7)의 배출구 외측으로 승하강되도록 결합되며, 캠(32) 구동시 캠(32) 곡면에 구름접촉되는 캠롤러(39)에 의해 승하강되는 원통형상의 토출관(34)과,
캠(32) 구동에 따라 토출관(34) 하강시 게이트(33)를 개방(이때, 토션스프링은 인장력을 받는다)하는 연결구(38)와,
일단이 호퍼(7)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토출관(34) 상단에 고정되며, 호퍼(7)로 부터 음용원료의 배출 완료시 토출관(34)을 초기위치로 슬라이딩이동시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35)(일예로서,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됨)를 포함한다.
전술한 컵 인출구(1)와 홀더(9) 사이에 경사지게 장착되며, 제1조작버튼(3) 가압으로 홀더(9)로 부터 배출되어 컵 인출구(1)에 이송되는 동안 컵(8)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36)를 더 포함한다.
투입되는 동전을 검출수단(40)에 의해 인식하여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1구동모터(10)를 구동시켜 홀더(9)로 부터 컵(8)을 컵 인출구(1)에 낱개로 배출하거나, 또는 제2구동모터(28)를 구동시켜 호퍼(7)로부터의 음용원료를 컵 인출구(1)에 안착된 컵(8)에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6) 일측면에 장착되는 동전 투입구(37)를 더 포함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1은 동전수납함이고, 42는 제1,2구동모터(10,28)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용한 수납함(또는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어댑터가 결합되는 잭(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이며, 43은 가이드(36) 단부에 형성되어 컵(8)을 지지하는 컵홀더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빌딩 등의 휴계실, 또는 대중 식당 등에 설치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커피 등을 편리하게 마실 수 있다. 이때 홀더로 부터 컵만을 배출하는 과정(only cup)과, 홀더로 부터 컵을 배출한 후 호퍼로 부터 음용원료를 배출하는 과정(cup and coffee)과, 호퍼로 부터 음용원료만을 배출하는 과정(only coffee)을 각각 분리하여 설명한다.
가) 사용자에 의한 버튼 가압시 홀더에 적층된 컵(일회용 컵을 말함)만이 낱개로 배출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체(6) 상면에 장착된 제1조작버튼(3)을 조작함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됨)로 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제1구동모터(10)가 구동된다.
전술한 제1구동모터(10) 구동시 이의 출력축(미도시됨)에 장착된 구동기 어(11)와 이와 치합된 감속기어(12)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감속기어(12) 측면에 장착된 편심축(25)이 슬라이더(15)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요홈(27)을 따라 이동되므로(상승후 하강됨을 말함), 제1구동모터(10)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슬라이더(15)를 도 2 및 도 3의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15)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13)에 결합되며 회전축(18) 일단부에 형성된 회동핀(17)의 캠운동(도면상, 경사홈(13)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회전축(1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축(18) 단부에 고정된 부채꼴 형상의 제1피동기어(21)와, 이와 치합되고 피동축(20)에 고정된 부채꼴 형상의 제2피동기어(22)의 상호 기어맞물림에 의해 피동축(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작버튼(3)을 가압시 회전축(18) 외측면에 형성된 제1로커(16)(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와 피동축(20) 외측면에 형성된 제2로커(19)(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가 동시에 회전된다.
이로 인해, 컵(8)의 상단테두리(8a)를 지지하고 있는 제1,2로커(16,19)의 제1돌기부(23)가 회전되어 컵(8)으로 부터 이탈되므로(제1,2로커(16,19)에 의해 컵(8)의 로킹력이 해제된 상태를 말함), 홀더(9)에 수용되어 제일 밑바닥에 위치한 컵(8)을 홀더(9)로 부터 배출시킨다.
전술한 홀더(9)로 부터 낱개로 배출되는 컵(8)은 홀더(9)와 컵 인출구(1)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36)를 따라 낙하되어 컵홀더(43)에 안착된다. 이로 인해 홀더(9)로 부터 낱개로 배출되어 이동되는 도중에 컵(8)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9)의 제일 밑바닥에 위치한 컵(8)이 홀더(9)로 부터 배출될 경우, 낙하되는 컵(8)의 바로위에 위치한 컵(1A)(두번째로 떨어지는 컵을 말함)의 상단테두리(8a)를 제1,2로커(16,19)의 제2돌기부(23)에 의해 지지하므로 홀더(9)로 부터 컵(1A)이 떨어지지않도록 로킹시킨다.
전술한 슬라이더(15)가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는 경우, 리미트스위치(26)에 의해 감지되어 검출신호를 제어부에 보내고, 제어부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해 제1구동모터(10)가 역회전되고, 감속기어(12)에 장착된 편심축(25)이 슬라이더(15)의 요홈(27)내에서 이동되므로 슬라이더(15)를 직선운동시켜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슬라이더(15)의 경사홈(13)에 결합된 회동핀(17)의 회동에 의해 회전축(18)을 초기위치로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1피동기어(21)와 제2피동기어(22)의 상호 이맞물림에 의해 피동축(14)을 회전시킨다. 제1,2로커(16,19)에 형성된 제1돌기부(23)에 의해 컵(8)의 상단테두리(8a)를 좌우양측에서 지지하므로, 홀더(9) 밑바닥에 위치한 컵(8)이 홀더(9)로 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제1조작버튼(3)을 가압시 홀더(9)로 부터 컵(8)이 낱개로 배출되어 컵홀더(43)에 안착되므로(이때, 제1조작버튼(3)상에 장착된 램프(3a)는 점등된다), 이때 컵홀더(43)에 이미 컵(8)이 안착된 경우 미도시된 검출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가 제1조작버튼(3)을 조작하는 경 우에도 제어부에 의해 컵 배출수단을 구동시키지 않아 홀더(9)로 부터 컵(8)이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컵홀더(43)로 부터 컵을 인출하여 정수기(미도시됨) 등에서 물을 인출하여 마실 수 있다. 이때 컵(8)이 본체(6) 내부의 홀더(9)에 수용된 상태에서 배출되므로 먼지 또는 분진 등이 많이 발생되는 작업장 등에서 컵을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나) 사용자에 의한 버튼 가압시 홀더로 부터 배출되어 컵 인출구에 안착되는 컵(일회용 컵을 말함)에 호퍼로부터의 음용원료(일예로서, 커피믹스를 말함)가 공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본체(6) 상면에 장착된 제2조작버튼(4)을 조작함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됨)로 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제1구동모터(10)가 구동되어 홀더(9)에 적재된 컵(8)을 컵인출구(1)로 낱개로 배출하고, 제2구동모터(28) 구동으로 인해 호퍼(7)에 수용된 분말상태의 음용원료를 컵인출구(1)에 안착된 컵(8)에 일정량씩 배출한다.
이때, 전술한 제1구동모터(10) 구동으로 인해 홀더(9)로부터의 컵(8)을 컵인출구(1)에 낱개로 배출하는 것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컵 배출수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호퍼(7)로 부터 분말상태의 음용원료를 배출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제2구동모터(28) 구동시 이의 출력축(미도시됨)에 장착된 구동기어(29)와 이와 치합된 감속기어(30)가 구동되고, 동시에 호퍼(7) 내부에 장착된 회전체(31)가 회전되므로, 회전체(31)의 회전량에 대응되는 양만큼 분말상태의 음용원료는 호퍼(7)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회전체(31)를 형성하는 날개형 블레이드(도면에는 8개로 도시됨)중 일부가 호퍼(7)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호퍼(7) 내부의 음용원료는 더이상 배출구측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즉 호퍼(7)로 부터 토출관(34)에 공급된 음용원료가 배출된 후 게이트(33)가 닫힘에 따라 회전체(31)의 회전으로 인해 호퍼(7)로 부터 배출되는 음용원료는 토출관(34)에 임시 저장된다.
한편, 전술한 회전체(31)와 동축상으로 고정된 캠(32) 구동시 원통형 토출관(34)이 하강되므로 호퍼(7)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분말상태의 음용원료는 손실없이 컵 인출구(1)에 안착된 컵(8)에 공급된다(분말상태의 음용원료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제2조작버튼(4) 상에 장착된 램프(4a)는 점등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호퍼(7)의 배출구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원통형 토출관(34)에 형성된 캠롤러(39)가 캠(32) 외측면을 따라 구름접촉되므로, 캠(32) 구동시 토출관(34)을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호퍼(7) 외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토출관(34) 상면에 타단이 고정된 탄성부재(35)는 인장력을 받는다.
토출관(34)이 배출구 외측으로 소정위치로 이동될 경우(캠롤러(39)가 캠(32) 에 형성된 요홈(32a)의 반대쪽 정점에 위치할 경우를 말함), 토출관(34)의 배출구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게이트(33)는 이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연결구(38)에 의해 힌지핀(33a)을 중심축으로 하여 도 6의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개방된다.
따라서, 회전체(31) 회전으로 인해 호퍼(7)로 부터 배출되는 일정량의 음용원료는 호퍼(7)의 배출구와, 토출관(34)을 차례로 통과하여 컵 인출구(1)에 안착된 컵(8)에 배출된다. 이때 대롱형상의 토출관(34)이 컵 인출구(1)에 안착된 컵(8)에 최대한 근접된 위치로 하강된 상태에서 호퍼(7)로부터의 음용원료가 컵(8)에 공급되므로 분말상태의 음용원료가 흩날리는 것이 방지된다(이때 호퍼(7) 내부의 음용원료는 회전체(31)의 날개 끝단이 호퍼(7) 내측면에 밀착되므로 일시적으로 배출구측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토출관(34)이 소정위치로 하강시 리미트스위치(미도시됨)에 의해 감지되고, 검출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므로 제2구동모터(28)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탄성부재(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토출관(34)을 초기위치로 상승시킨다.
이때, 토출관(34)의 배출구에 장착된 게이트(33)는 탄성부재(미도시됨)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힌지핀(33a)을 중심축으로 회동되어 배출구를 폐쇄시킨다. 이로 인해 회전체(31) 외측면에 묻어있는 분말상태의 음용원료 일부가 토출관(34) 내부에 수용되므로, 호퍼(7) 외부로 음용원료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제2조작버튼(4) 가압시 홀더(9)로부터의 컵(8)이 컵 인출구(1)에 공급되지않는 경우 제어부에 의해 음용원료 배출수단을 구동시키지않는다.
즉, 전술한 제2조작버튼(4)을 가압시 홀더(9)로 부터 컵(8)이 낱개로 배출되어 컵홀더(43)에 안착된 후, 호퍼(7)에 수용된 분말상태의 음용원료가 회전체(31) 회전으로 인해 토출관(34)을 통하여 컵(8)에 일정량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과 분리되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음용원료를 정수기 등에서 배출되는 온수 또는 냉수를 혼합하여 마실 수 있다.
다) 사용자에 의한 버튼 가압시 컵 인출구에 안착되는 컵(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머그컵 등을 말함)에 음용원료만이 공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에 의해 머그컵(미도시됨)(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컵 종류를 말함)을 컵 인출구(1)의 컵홀더(43)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본체(6) 전면에 장착된 제3버튼(5)을 가압하는 경우, 제2구동모터(28) 구동으로 인해 회전체(31)가 회전되므로 호퍼(7)로부터의 음용원료가 컵홀더(43)에 안착된 머그컵에 일정량 공급된다. 이때 제3조작버튼(5)상에 장착된 램프(5a)는 점등된다. 또한 컵 인출구(1)의 컵홀더(43)에 컵이 안착되지않는 경우 미도시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신호가 제어부에 전송됨에 따라,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음용원료 배출수단을 구동하지않아 호퍼(7)로 부터 음용원료를 배출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제2구동모터(28) 구동으로 인해 호퍼(7)로부터의 음용원료를 컵홀더(43)에 안착된 컵(미도시됨)에 배출하는 것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음용원료 배출수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의 설치상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업용 식당 또는 휴계실 등의 벽면에 후크를 고정하고 본체(6) 배면에 걸이공을 형성하여 음용 자판기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함에 따라, 음용 자판기의 설치장소를 쉽게 변경할 수 있고, 음용 자판기를 바닥면에 놓는 경우 필요한 받침용 테이블 등이 불필요하므로 협소한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에서 음용원료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28)와, 제2구동모터(28)와 연결되는 구동기어(29)와, 구동기어(29)와 치합되는 감속기어(30)를 포함하는 제2동력발생부와,
호퍼(7)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구동모터(28) 구동으로 회전시 분말상태의 음용원료를 호퍼(7)로 부터 일정량씩 배출하는 회전체(31)와,
회전체(31)와 연동되도록 제2구동모터(28) 축상에 장착되고, 가이드홈(32a)이 내측면에 형성된 캠(32)과,
캠(32) 구동시 가이드홈(32a)을 따라 이동하는 캠롤러(39)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체(50)와,
호퍼(7) 하방으로 형성되고 방향전환용 경사부(51)가 형성된 고정판(52)과,
게이트(33)가 폐쇄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설되고, 캠(32) 구동으로 승강 체(50) 승강시 호퍼(7)의 배출구 외측으로 승강되는 원통형상의 토출관(34)과,
게이트(33)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토출관(3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캠(32) 구동으로 토출관(34) 하강시 방향전환용 경사부(51)에 의해 회동되어 게이트(33)를 개방하는 로드(53)와,
로드(53)에 비틀림력을 부여하도록 로드(53) 외주연에 탄설되고, 토출관(34)의 배출구에 장착된 게이트(33)를 폐쇄시킨 것을 초기상태로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54)(일예로서, 토오션스프링이 사용됨)를 포함한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음용원료 배출수단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된 것은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표기하고, 이들의 구성 및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용원료 배출수단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본체(6) 외측면에 장착된 제2조작버튼(4)을 가압시, 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제2구동모터(28)가 구동된다. 제2구동모터(28) 구동으로 구동기어(29) 및 감속기어(30)에 의해 호퍼(7) 내부에 장착된 회전체(31)가 회전되므로, 회전체(31)의 회전량에 대응되는 양만큼 분말상태의 음용원료는 호퍼(7)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회전체(31) 회전으로 호퍼(7)로 부터 배출 되는 음용원료는 게이트(33)에 의해 배출구가 폐쇄된 토출관(34)에 임시 저장된다.
회전체(31)와 동축상으로 고정된 캠(32) 구동시 캠(32)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2a)에 결합된 캠롤러(39)에 의해 승강체(50)가 하강된다. 즉 캠롤러(39)가 가이드홈(32a)을 따라 이동되는 도중에 가이드홈(32a)의 정점부위에 위치할 경우 승강체(50)의 하강은 완료된다.
승강체(50) 하강시 연동되는 원통형상의 토출관(34)은 호퍼(7)의 배출구 외측으로 하강된다. 이때 토출관(34)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로드(53)의 절곡부(53a)가 고정판(52) 측면에 밀착되어 하강되고, 로드(53)가 고정판(52) 하단에 형성된 방향전환용 경사부(51)에 도달될 때 회동된다(이때 로드(53)에 탄설된 탄성부재(54)(토오션스프링이 사용됨)는 인장력을 받는다).
이로 인해, 로드(53)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게이트(33)가 회동되어 토출관(34) 배출구를 개방함에 따라, 토출관(34)에 임시로 저장된 분말상태의 음용원료는 컵 인출구(1)에 안착된 컵(8)에 공급된다. 즉 대롱형상의 토출관(34)이 컵 인출구(1)에 안착된 컵(8)에 최대한 근접된 위치로 하강된 상태에서 호퍼(7)로부터의 음용원료가 컵(8)에 공급되므로 분말상태의 음용원료가 흩날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캠(32) 구동시 가이드홈(32a)을 따라 이동되는 캠롤러(39)에 의해 승강체(50)를 리프팅시켜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토출관(34)이 호퍼(7)의 배출구 외측으로 상승될 경우 리미트스위치(미도시됨)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2구동모터(28)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승강체(50)가 초기위치로 복귀시 토출관(34)이 연동되어 리프팅된다. 토출관(34)이 초기위치로 복귀시 토출관(34)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로드(53)가 고정판(52)의 방향전환용 경사부(51) 위치를 벗어나므로 탄성부재(5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동된다.
로드(53)의 회동으로 인해 토출관(34)의 배출구에 장착된 게이트(33)는 토출관(34)의 배출구를 폐쇄한다. 이로 인해 회전체(31) 외측면에 묻어있는 분말상태의 음용원료 일부가 떨어지는 경우에도 토출관(34) 내부에 수용되므로, 호퍼(7) 외부로 음용원료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컵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10)와, 제1구동모터(10)에 연결되는 구동기어(11)와, 구동기어(11)와 치합되는 감속기어(12)를 포함하는 제1동력발생부와,
경사홈(13,13a)이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홀더(9) 외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핀(14)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며, 제1구동모터(10) 구동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더(15)와,
홀더(9)의 컵(8)을 로킹(홀더(9)로 부터 컵(8)이 떨어지지않도록 지지하는 동작을 말함) 및 언로킹(홀더(9)로 부터 컵(8)을 떨어트리는 동작을 말함)시키는 제1로커(16)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일측 경사홈(13)(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것을 말함)에 결합되어 슬라이더(15)가 수평방향으로 구동시 캠운동하는 일측 회동 핀(17)(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것을 말함)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8)과,
홀더(9)의 컵(8)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2로커(19)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타측 경사홈(13a;도면상, 우측에 위치한 것을 말함)에 결합되어 슬라이더(15)가 수평방향으로 구동시 캠운동하는 타측 회동핀(17a;도면상, 우측에 위치한 것을 말함)(회동핀(17)과 180도 위상차이를 갖는다)에 의해 회전축(18)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피동축(20)을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슬라이더(15) 우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13a)과, 경사홈(13a)에 결합되고 제1구동모터(10) 구동시 회전축(18)과 연동되어 캠운동하여 피동축(20)을 회전시키는 회동핀(17a)을 제외한 것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조 및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전술한 제1,2피동기어(21,22)는 삭제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구동모터(10) 구동으로 슬라이더(15)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슬라이더(15) 좌우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13,13a)에 결합되는 회동핀(17,17a)의 캠운동에 의해 회전축(18) 및 피동축(20)이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때에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 해당되므로(회전축(18) 및 피동축(20)이 회전을 시작하는 초기상태를 말함) 홀더(9)로 부터 컵(8)이 떨어지지 않는다.
한편, 도 4(b)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모터(10) 구동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8) 및 피동축(20)에 의해 홀더(9)로 부터 컵(8)을 낱개로 떨어트린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구동모터(10) 구동시 이의 출력축에 장착된 구동기어(11)와 이와 치합된 감속기어(12)가 회전(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됨에 따라, 감속기어(12) 측면에 고정된 편심축(25)과 슬라이더(15)의 요홈(27)에 의해 슬라이더(15)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킨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슬라이더(15)의 수평이동시, 슬라이더(15) 좌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13)에 결합되는 회동핀(17)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도면에 화살표로 표기됨) 경사홈(13)을 따라 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슬라이더(15) 우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13a)에 결합되는 회동핀(17a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도면에 화살표로 표기됨) 경사홈(13a)을 따라 도면상,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회전축(18)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동시에 피동축(20)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회전축(18) 외주연에 형성된 제1로커(16)의 제1돌기부(2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동시에 피동축(20) 외주연에 형성된 제2로커(19)의 제2돌기부(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 홀더(9)로 부터 컵(8)은 낱개로 배출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회전축(18) 단부에 고정된 제1피동기어(21) 및 피동축(20) 단부에 고정된 제2피동기어(22)가 불필요하므로 원가비용을 절감하고,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호퍼(7)에 수용되는 음용원료는 분말상태의 커피믹스를 예를들 어 설명하였으나, 본체(6) 내부에 호퍼를 다수개 장착하여 소비자 기호도에 따라 분말(粉末) 또는 입자(粒子)상태의 율무차, 미숫가루 등의 국산 전통차를 음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홀더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하거나, 또는 저장호퍼로 부터의 음용원료를 컵에 일정량씩 배출하는 배출수단 구동시 전원을 사용하지않아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컵 만을 따로 배출하는 컵 배출기의 기능과, 재료 만을 따로 배출하는 음용원료 배출기의 기능을 포함하므로 자판기의 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음용원료를 동시에 마시고자 하는 경우, 저장호퍼로부터의 음용원료가 컵에 일정량씩 바로 바로 배출되므로 음용원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다.
또한, 자판기의 소형화 및 컴팩트화로 인해 장소 또는 공간에 구애받지않고 설치가능하고, 해당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이 줄어들어 가격 경쟁력을 갖는다.
또한, 저장호퍼에 저장된 음용원료가 수분 흡수로 인해 변질 또는 오염이 방지되고, 정수 배출통로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사후관리가 불필요하다.

Claims (11)

  1. 컵 인출구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및 제1,2,3조작버튼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음용원료의 재료가 미리 소정비율로 혼합되어 저장된 호퍼;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컵이 적층된 홀더;
    상기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제1조작버튼 가압시 홀더로부터의 컵을 낱개로 컵 인출구로 공급하는 컵 배출수단;
    상기 호퍼의 배출구에 장착되고, 상기 제2조작버튼 또는 제3조작버튼 가압시 호퍼로부터의 음용원료를 배출구를 통하여 컵 인출구에 안착된 컵에 일정량씩 공급하는 음용원료 배출수단; 및
    상기 컵 배출수단 및 음용원료 배출수단의 구동부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와,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제1동력발생부;
    경사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홀더 외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핀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며, 제1구동모터 구동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홀더의 컵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1로커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슬라이더 구동시 경사홈에 결합되어 캠운동하는 회동핀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일단부에 결합된 제1피동기어;
    상기 홀더의 컵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2로커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회전축 구동시 연동되는 피동축; 및
    상기 피동축 일단부에 결합되어 제1피동기어와 치합되고, 회전축 회전시 피동축을 회전시키는 제2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와,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제1동력발생부;
    경사홈이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홀더 외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핀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며, 제1구동모터 구동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홀더의 컵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1로커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일측 경사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더 구동시 캠운동하는 일측 회동핀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홀더의 컵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2로커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타측 경사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더 구동시 캠운동하는 타측 회동핀에 의해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피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2로커는,
    상기 제1조작버튼 가압으로 회전축 및 피동축 회전시 컵의 상단테두리로 부터 이탈되어 홀더로 부터 컵을 낱개로 배출시키는 제1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 회전으로 낙하되는 컵의 바로위에 위치한 컵의 상단테두리를 지지하여 로킹시키는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피동기어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컵 배출수단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감속기어 측면에 형성된 편심축과, 슬라이더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편심축이 결합되며 제1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더의 직 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용원료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제2동력발생부;
    상기 호퍼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구동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음용원료를 호퍼로 부터 일정량씩 배출하는 회전체;
    상기 제2구동모터 축상에 장착되며 회전체와 연동되는 캠;
    게이트가 폐쇄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설되고, 상기 호퍼의 배출구 외측으로 승하강되도록 결합되며 캠 구동시 승하강되는 토출관;
    상기 캠 구동에 따라 토출관 하강시 게이트를 개방하는 연결구; 및
    일단이 호퍼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토출관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호퍼로 부터 음용원료 배출시 상기 토출관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컵 인출구와 홀더 사이에 장착되며, 제1조작버튼 가압으로 홀더로 부터 배출되어 컵 인출구에 이송되는 동안 컵 전도되 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일측면에 장착되는 동전 투입구를 더 포함하여, 투입되는 동전을 검출수단에 의해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1구동모터를 구동시켜 홀더로 부터 컵을 컵 인출구에 낱개로 배출하거나, 또는 제2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컵 인출구에 안착된 컵에 음용원료를 일정량씩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용원료 배출수단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제2동력발생부;
    상기 호퍼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구동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음용원료를 호퍼로 부터 일정량씩 배출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연동되도록 제2구동모터 축상에 장착되고, 가이드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캠;
    상기 캠 구동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캠롤러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체;
    상기 호퍼 하방으로 형성되고 방향전환용 경사부가 형성된 고정판;
    게이트가 폐쇄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설되고, 상기 캠 구동으로 상기 승강체 승강시 호퍼의 배출구 외측으로 승강되는 토출관;
    상기 게이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토출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캠 구동으로 상기 토출관 하강시 방향전환용 경사부에 의해 회동되어 게이트를 개방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에 비틀림력을 부여하도록 로드 외주연에 탄설되고, 토출관의 배출구에 장착된 게이트를 폐쇄시킨 것을 초기상태로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홀더에 적재되는 컵 잔유량이 설정된 갯수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컵 배출수단 및 음용원료 배출수단의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잔유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점등되는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KR2020060008756U 2006-04-03 2006-04-03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KR200419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756U KR200419582Y1 (ko) 2006-04-03 2006-04-03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756U KR200419582Y1 (ko) 2006-04-03 2006-04-03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100A Division KR20070092070A (ko) 2006-03-08 2006-04-03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582Y1 true KR200419582Y1 (ko) 2006-06-22

Family

ID=4448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756U KR200419582Y1 (ko) 2006-04-03 2006-04-03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5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4345A (zh) * 2019-09-26 2019-12-06 昆山力盟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自动落杯和储杯一体设备
KR102275298B1 (ko) * 2021-01-21 2021-07-12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커피머신의 종이컵 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4345A (zh) * 2019-09-26 2019-12-06 昆山力盟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自动落杯和储杯一体设备
KR102275298B1 (ko) * 2021-01-21 2021-07-12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커피머신의 종이컵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3385B2 (ja) 飲料自動販売機の改良
DK2651269T3 (en) AC magnetic AND / OR DC VOLTAGE DRIVEN MACHINE FOR PRODUCTION OF ESPRESSO COFFEE AND OTHER infused DRINK AND DRINKS
CN101721135A (zh) 用于形成饮料的方法和装置
KR200419582Y1 (ko)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KR20070092070A (ko)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US20240074906A1 (en) Contactless earplug dispenser
KR200421162Y1 (ko) 무동력식 컵 배출기
JP200733449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扉装置
KR100966294B1 (ko) 음료수 정량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
KR100827037B1 (ko) 컵과 커피의 수동식 인출기
KR101140871B1 (ko) 로우터리형 조작레버가 구비된 디스펜서
KR200414544Y1 (ko) 무동력식 음용원료 공급장치
CN112785781A (zh) 杯式自动售货机
KR100878227B1 (ko) 커피믹스 분배기
KR200290591Y1 (ko) 라면 자동 판매기의 용기 배출장치
KR20070059739A (ko) 팝콘 자동 판매기
CN215016194U (zh) 一种饮料出料机
JPS6313239B2 (ko)
KR100827036B1 (ko) 수동식 컵과 커피 인출기
KR200286089Y1 (ko) 티백 자동공급장치
CN110167408A (zh) 用于片材产品的分配器和操作方法
JP2010117831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0131884Y1 (ko) 커피 냉장고 시스템의 커피 기능록 장치
CN201936390U (zh) 投币式袋装水自动销售机
KR200289836Y1 (ko) 사료 자동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