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403Y1 -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 - Google Patents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403Y1
KR200420403Y1 KR2020060009539U KR20060009539U KR200420403Y1 KR 200420403 Y1 KR200420403 Y1 KR 200420403Y1 KR 2020060009539 U KR2020060009539 U KR 2020060009539U KR 20060009539 U KR20060009539 U KR 20060009539U KR 200420403 Y1 KR200420403 Y1 KR 200420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expansion joint
bridge
joint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Original Assignee
김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수 filed Critical 김재수
Priority to KR2020060009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4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 측단부에 형성되는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 작용을 함으로써 측벽의 신축작용에 의한 교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교량의 상판에 이격 설치된 측벽과 측벽 사이를 연결 결합하는 측벽 신축이음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벽 신축이음부재는 상호 이격되어 연이어지는 측벽과 측벽 사이의 단부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플레이트부 사이에 탄성적으로 팽창 복원 수축되는 주름커버부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플레이트부의 일단에는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결합플레이트부가 직교되게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부에는 앙카볼트가 끼워지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A expansion joint apparatus of bridge}
도 1은 종래에 통상적인 교량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측벽 신축이음부재
110 : 끼움플레이트부 120 : 주름커버부
130 : 결합플레이트부 131 : 결합공
140 : 앙카볼트 150 : 덮개플레이트부
160 : 고정너트
본 고안은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교량의 상판 측단부에 형성되는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 작용을 함으로써 측벽의 신축작용에 의한 교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에 다수개의 교각(1)이 설치되고, 상기 교각(1)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상판(2)이 연이어지면서 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상판(2)의 측단부에는 가이드레일과 같은 역할을 하는 측벽(4)이 상기 상판(2)과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상판(2)에 지지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교각(1)의 상측에 연이어 설치되는 상판(2)은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신축이음장치(5)에 의해 상호 연이어지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신축이음장치(5)는 상기 상판(2)이 주변의 온도 변화에 의해 부피가 팽창 및 수축될 경우 상기 상판(2)과 상판(2) 사이의 간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상기 상판(2)을 연결하여 교량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상기 상판(2)을 지나는 차량에 의한 소음을 억제시키는 등의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벽(4)과 측벽(4) 사이 역시 상판(2)과 같이 이격 설치되며, 이 격된 측벽(4)과 측벽(4) 사이의 공간은 안전성을 위한 측벽 신축이음부재(10)에 의해 마감된다.
이러한 측벽 신축이음부재(10)는 종래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4)과 측벽(4)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감싸는 커버(11)의 양측에 각각 상기 측벽(4)에 고정 결합되는 앙카볼트(12)가 지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공(13)과 장공(1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측벽 신축이음부재(10)를 이용하여 측벽(4)의 이격된 공간을 마감 할 경우에는, 먼저 양측 측벽(4)에 각각 앙카볼트(12)를 결합하고 이후 상기 커버(11)의 결합공(13) 및 장공(14)을 각각 앙카볼트(12)에 끼운 다음 상기 커버(11)의 결합공(13) 및 장공(14)을 통해 노출된 앙카볼트(12)에 고정너트(15)를 체결하여 커버(11)를 측벽(4)에 지지 결합함으로써 측벽(4)의 이격된 공간을 마감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측벽 신축이음부재(10)는 단순히 측벽(4)의 이격된 공간만을 감싸서 가리고 있기 때문에 외관상 심리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낄 뿐 실질적으로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파손되면서 자칫 안전사고로 이어질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교량의 상판 측단부에 형성되는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 창 및 수축 작용을 함으로써 측벽의 신축작용에 의한 교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교량의 상판에 이격 설치된 측벽과 측벽 사이를 연결 결합하는 측벽 신축이음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벽 신축이음부재는 상호 이격되어 연이어지는 측벽과 측벽 사이의 단부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플레이트부 사이에 탄성적으로 팽창 복원 수축되는 주름커버부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플레이트부의 일단에는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결합플레이트부가 직교되게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부에는 앙카볼트가 끼워지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인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의 상판(2)에 이격 설치된 측벽(4)과 측벽(4) 사이를 연결 결합하는 측벽 신축이음부재(100)에 있어서,
본 고안인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100)는 상호 이격되어 연이어지는 측 벽(4)과 측벽(4) 사이의 단부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플레이트부(110) 사이에 탄성적으로 외부 압력에 의해 팽창 복원 수축되는 주름커버부(120)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플레이트부(110)의 일단에는 상기 측벽(4)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결합플레이트부(130)가 직교되게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부(130)에는 앙카볼트(140)가 끼워지는 다수의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름커버부(120)의 상단면을 덮으면서 결합되는 덮개플레이트부(15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끼움플레이트부(110)는 측벽(4)의 횡단면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커버부(120)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해 능동적으로 팽창과 복원과 수축이 이루어지는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끼움플레이트부(110) 및 결합플레이트부(130)는 상기 측벽(4)의 단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주름커버부(120) 보다는 다소 경질이면서 강도가 높은 경화고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인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100)를 이용하여 교량의 상판(2)에 형성된 측벽(4)의 이격된 공간을 마감하면서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상호 연이어지는 양측 측벽(4) 외측면에 각각 앙카볼트(140)를 결합하되, 본 고안인 측벽 신축이음 부재(100)의 결합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공(131)의 위치 및 간격과 일치하도록 결합한다.
이후 본 고안인 측벽 신축이음부재(100)의 끼움플레이트부(110)를 가압하여 상기 끼움플레이트부(110)의 사이에 형성된 주름커버부(120)의 부피 즉 길이가 수축되도록 한 다음 상기 측벽(4)의 이격된 공간으로 끼움플레이트부(110) 및 주름커버부(120)를 끼워 넣으면서 동시에 상기 측벽(4)에 결합된 앙카볼트(140)에 결합플레이트의 결합공(131)이 끼워지도록 한 후 상기 끼움플레이트부(110)를 누르고 있던 외압을 해지하여 상기 끼움플레이트부(110)가 측벽(4)의 단부에 밀착되면서 끼워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끼움플레이트의 결합공(131)을 통해 노출된 앙카볼트(140)에 고정너트(160)를 체결하면, 본 고안인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100)에 의한 측벽(4)의 연결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는 교량의 상판에 연이어 이격 설치되는 측벽과 측벽 사이의 단부에 내재되면서 측벽과 결합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음으로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에 대한 신뢰성 및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는 완충효과가 높은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음으로 차량이 충돌될 경우 완충작용을 하기 때문에 차량의 파손 및 차량 탑승자에게 발생될 수 안전사고를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량의 상판(2)에 이격 설치된 측벽(4)과 측벽(4) 사이를 연결 결합하는 측벽 신축이음부재(100)에 있어서,
    상기 측벽 신축이음부재(100)는 상호 이격되어 연이어지는 측벽(4)과 측벽(4) 사이의 단부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플레이트부(110) 사이에 탄성적으로 팽창 복원 수축되는 주름커버부(120)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플레이트부(110)의 일단에는 상기 측벽(4)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결합플레이트부(130)가 직교되게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부(130)에는 앙카볼트(140)가 끼워지는 다수의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플레이트부(110)는 측벽(4)의 횡단면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커버부(120)의 상단면을 덮으면서 결합되는 덮개플레이트부(15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
KR2020060009539U 2006-04-10 2006-04-10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 KR200420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39U KR200420403Y1 (ko) 2006-04-10 2006-04-10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39U KR200420403Y1 (ko) 2006-04-10 2006-04-10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403Y1 true KR200420403Y1 (ko) 2006-07-04

Family

ID=4176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539U KR200420403Y1 (ko) 2006-04-10 2006-04-10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4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572B1 (ko) 2017-09-27 2018-01-29 (주)건교산업 방호벽 커버
KR101840975B1 (ko) 2017-06-27 2018-03-21 이명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975B1 (ko) 2017-06-27 2018-03-21 이명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구조물
KR101822572B1 (ko) 2017-09-27 2018-01-29 (주)건교산업 방호벽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065B1 (ko) 데크로드 및 목교 시스템
KR101192078B1 (ko)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보호장치
KR101530663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방수부재 결합 구조물
JP4542529B2 (ja) 伸縮装置
KR200420403Y1 (ko) 교량의 측벽 신축이음부재
KR100768521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CN104822883A (zh) 伸缩缝跨接设备
KR102051614B1 (ko)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20170061404A (ko) 누수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US10457481B2 (en) Structure protector
JP2007332665A (ja) 変位調整機能付き落橋防止装置
KR20090026074A (ko) 지지 구조
KR10157188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822572B1 (ko) 방호벽 커버
KR101481029B1 (ko)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JP4725435B2 (ja) 壁高欄遊間部カバー
KR100965234B1 (ko) 교량 방호벽용 안전블럭
KR20190012428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구조
JP4827612B2 (ja) 壁高欄の伸縮間隙被覆構造
KR101634001B1 (ko) 맨홀의 상부 틀 보호용 프레임 조립체
JP3210126U (ja) 橋梁用埋設型伸縮継手構造
KR100448486B1 (ko) 교좌장치
KR101986949B1 (ko) 신축이음장치
KR100976546B1 (ko) 바리아렉스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0986717B1 (ko)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