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678Y1 -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678Y1
KR200419678Y1 KR2020060008630U KR20060008630U KR200419678Y1 KR 200419678 Y1 KR200419678 Y1 KR 200419678Y1 KR 2020060008630 U KR2020060008630 U KR 2020060008630U KR 20060008630 U KR20060008630 U KR 20060008630U KR 200419678 Y1 KR200419678 Y1 KR 200419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wheel assembly
driving
board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표
소이빈
Original Assignee
(주)와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와이티에스
Priority to KR2020060008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6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6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 제안된 모션보드 4축과 이들 모션보드 사이의 동기를 적절하게 연결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동기보드에 의해 LCD 패널 절단기의 최대 12축에 대한 동기를 적절하게 연결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은 LCD 패널 합착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홈을 형성하는 상부휠 어셈블리 및 하부휠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이동대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씩 설치되어 이동대를 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및 이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 이동대 상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씩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장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수의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및 이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구동부; 모든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일의 이동대제어용 모션보드; 모든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구동부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일의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 및 이동대 제어용 모션보드와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로부터 출력 펄스신호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모션보드로부터의 출력 펄스신호에 의해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 및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구동부가 모두 제어되도록 동기를 연결하는 스위칭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LCD 패널, 동기, 절단, 스크라이빙, 이동, 커터

Description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LCD panel cutting machine}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를 보인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를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에서 상부휠 어셈블리와 하부휠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
도 6a 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의 상부휠과 하부휠을 통해 합착기판에 홈이나 크랙의 형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6b 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의 상부롤러와 하부휠을 통해 합착기판의 하부면 상에 부착된 CF 기판에 홈의 형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에서의 스크라이빙 방향 및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을 보인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합착기판 10u. TFT 기판
10l. CF 기판 100. TFT-LCD 패널 절단기
110. 바디 프레임 112. 가이드 레일
120. 척 유닛 130, 130a. 이동대
140lra, 140lrb, 140lrc. 우측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140lla, 140llb, 140llc. 좌측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150, 150a. 컨베이어
152cra, 152crb. 우측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152cla, 152clb. 좌측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160, 160a. 상·하부휠 어셈블리
161. 상부휠용 Z서보모터
161a. 하부휠용 Z서보모터
162, 162a, 166. 볼 스크류
163, 163a, 167. 로드셀 164. 상부휠
164a. 하부휠
165a. 하부휠용 Y서보모터
165. 상부롤러용 Z서보모터 168. 상부롤러
170u, 170l. 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180. 휠 어셈블리 가이드 레일
190. 얼라인 마크와 스크라이빙 라인 인식 비전
200. 상위 PC
300, 310, 320, 330, 340. 모션보드
400. 동기보드 410. 제 1 스위칭 제어부
420. 제 1 스위칭부 430. 제 2 스위칭 제어부
440. 제 2 스위칭부
500, 510, 540. 서보구동부 그룹
501-506, 511-514, 520, 530. 서보구동부
본 고안은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 제안된 모션보드 4축과 이들 모션보드 사이의 동기를 적절하게 연결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동기보드에 의해 LCD 패널 절단기의 최대 12축에 대한 동기를 적절하게 연결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한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 들어 화상 정보의 전달매체인 표시장치의 대형화 및 고품질화에 많은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던 CRT(Cathode Ray Tube)를 대신하는 각종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들 중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가 화질의 색상 측면에서 CRT 이상의 수준으로 발전되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를 이루는 일반적인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요로써 TFT-LCD 패널의 한 개 픽셀(R, G, B 3개의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다)은 폭이 약 0.3mm 정도로 미세하다. 물론, 그 안에 들어가는 TFT (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더 작다. 더군다나, 해상도가 1600 x 1200 수준이 되려면 그 픽셀의 수가 무려 192만개가 되며 여기에 각 서브 픽셀까지 고려한다면 3배(R, G, B)를 해야 하므로 576만개의 TFT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전체 공정 자체의 정밀도도 높아야하는 공정으로 반도체 수준의 공정이 요구된다.
한편, TFT-LCD 패널의 제조 공정은 크게 TFT 공정, 컬러 필터(Color Filter : 이하, 간단히 "CF"라 한다) 공정, 셀(Cell) 공정, 모듈 공정으로 나뉘어 진행되는데, TFT 공정과 CF 공정을 거친 두 개의 글라스를 가지고 셀 공정을 거쳐 한 개의 패널이 만들어지고, 셀 공정을 거친 패널이 모듈 공정을 거쳐 실제로 모니터나 TV에 들어가는 TFT-LCD 패널 한 장이 만들어진다.
먼저, TFT 공정은 기본적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가장 기본이 되면서도 핵심적인 공정으로 각 셀의 전극을 만들어 주게 된다. 그 공정 순서로는 게이트 전극 생성, 절연막 및 반도체막 생성, 데이터 전극 생성, 보호막 생성, 화소 전극 생성의 5단계를 거치지만 각 단계마다 1회 이상의 패턴 공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패턴 공정이야말로 TFT-LCD 패널 제조공정의 핵심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공정으로 TFT 공정뿐만 아니라 CF 공정에도 유사한 패턴 공정이 필요하다.
전술한 패턴 공정은 그 하나만으로도 매우 정밀하고 복잡한 공정이다. 한 장의 TFT-LCD 패널을 만들기 위해서 적어도 이 공정을 여러 번 거치게 된다. 물론, 그때그때 동일한 증착 재료와 공법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개략적인 공정은 비슷하다. 이러한 패턴 공정은 증착, 세정, 감광물질(Photo Registor, 이하 PR) 코팅, 노광, 현상, 식각(Etching 공정), PR 박리(Strip 공정) 및 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TFT 공정에서만 5번 이상의 공정이 필요하다.
한편, TFT-LCD는 PDP나 OLED(유기 EL)처럼 각 셀이 스스로 발광하는 것이 아니라 백라이트에서 나오는 일정한 빛을 각 셀에 있는 액정의 배열을 조절하여 빛의 밝기를 조절한다. 백라이트 자체는 백색광이므로 액정의 배열을 변화시켜 빛의 양 을 조절하지만 색을 구현하기 위한 R, G, B로 만들기 위해서 CF(Color Filter)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CF는 TFT-LCD 패널의 상판에 위치하며 TFT 공정과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CF 공정에서도 앞서 설명했던 패턴 공정이 필요하다.
전술한 CF(Color Filter) 공정은 BM(Black Matrix) 공정(증착, 세정, PR 코팅, 노광, 현상, 식각, 박리 순의 패턴 공정이 필요하다), 화소별 공정(이 패턴 공정은 앞서 했던 2가지 공정과는 약간 다른 공정으로 증착과 세정 과정이 필요없이 컬러를 갖는 감광물질을 도포하여 노광과 현상의 공정을 거치면 된다) 및 ITO 공정(Indum Tin Oxide : 투과성과 도전성이 좋으며 화학적,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투명 전극 재료)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패널의 타입(VA, IPS, TN 등)에 따라 몇 가지 공정이 더 추가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셀 공정은 CF 공정과 TFT 공정에서 만들어진 2개의 글라스를 하나로 합치고 절단하는 공정으로, CF와 TFT 세정, 배향막(Polyimide) 인쇄, 러빙(Rubbing) 공정, 스페이서(Spacer) 산포, 합착(TFT 기판과 CF 기판을 정밀하게 합착 : 이하, 이렇게 합착된 기판을 "합착기판"이라 한다), 절단(합착기판을 절단하여 각각의 패널로 분리), 액정 주입 및 최종 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제조공정 중 모듈공정은 완제품 패널을 만들기 위한 마지막 공정으로 셀 공정으로 만들어진 패널에 편광판과 PCB, 백라이트유닛 등을 부착하는 최종 단계로, 세정, 편광판 부착, TAB 부착, 탈포(Autoclave), PCB 부착, BLU(Back Light Unit) 조립 및 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TFT-LCD 패널의 제조공정 중 셀 공정에서 TFT 공정과 CF 공정을 거친 TFT 기판과 CF 기판을 정밀하게 합착시키는 합착 공정을 거쳐 합착기판을 절단하는 절단공정이 이루어지는데, 이 절단공정에서는 TFT 기판과 CF 기판의 합착기판을 패널로 분리하기 위해 합착기판을 절단한 후에 TAB을 부착하기 위해 CF 기판의 일단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TFT 기판과 CF 기판의 합착기판의 절단과 TAB의 부착을 위한 CF 기판의 일단을 절단하는 장치가 LCD 패널 절단기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TFT-LCD 패널 절단기를 구동함에 있어서는 각종 리니어모터나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션제어가 필요하고, 이들 각종 리니어모터나 서보모터의 구동시에 동기를 유지할 필요가 발생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동기 연결 방식으로는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퍼스널 컴퓨터(이하, 간단히 "PC"라고 한다)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단독 시스템(Stand-Alone System : 예 UMAC)으로 동기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기 연결 방식의 경우에는 동기를 연결할 수 있는 축이 최대 20축이어서 12축의 동기 연결을 필요로 하는 TFT-LCD 패널 절단기에 구비된 각 축의 동기를 모두 연결할 수 있으나 메인 시스템의 다운 시에도 단독 시스템은 살아 있어서 간혹 누적된 리니어의 펄스 값에 의해 오작동과 폭주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형 장비에서는 중량이 크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TFT-LCD 패널 절단기에 있어서 동기 연결의 또 다른 방식은 PC에 장착된 모션보드를 이용하여 동기를 연결하는 방식인데, 이 방식의 경우에는 동기를 연결할 수 있는 축이 최대 8축으로 제한되어 있어서 12축의 동기 연결을 필요로 하는 TFT-LCD 패널 절단기에서는 사용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 제안된 모션보드 4축과 이들 모션보드 사이의 동기를 적절하게 연결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동기보드에 의해 TFT-LCD 패널 절단기의 최대 12축에 대한 동기를 적절하게 연결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한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은 LCD 패널 합착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홈을 형성하는 상부휠 어셈블리와 하부휠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이동대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씩 설치되어 이동대를 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및 이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 이동대 상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씩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장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수의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및 이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구동부; 모든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일의 이동대제어용 모션보드; 모든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구동부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일의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 및 이동대 제어용 모션보드와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로부터 출력 펄스신호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모션보드로부터의 출력 펄스신호에 의해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와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구동부가 모두 제어되도록 동기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제 1 스위칭 제어수단은 제 1 스위칭부와 제 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이동대 제어용 모션보드의 출력단은 모든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의 공통접속 입력단에 연결됨과 함께 제 1 스위칭부의 제 1 가동접점에 연결되고,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의 출력단은 제 1 스위칭부의 제 2 가동접점에 연결되며, 모든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구동부의 공통접속 입력단은 제 1 스위칭부의 고정접점에 연결되고, 제 1 스위칭 제어부는 이동대 제어용 모션보드와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로부터 출력 펄스신호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정접점을 제 1 가동접점에 연결시키고 이동대 제어용 모션보드와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의 어느 하나에서만 출력 펄스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정접점을 제 2 가동접점에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 1 스위칭 제어부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제 1 스위칭 제어부는 하드웨어적인 논리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제 1 스위칭부는 전자적으로 동작하는 릴레이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제 1 스위칭부는 무접점의 반도체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은 LCD 패널 합 착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홈을 형성하는 상부휠 어셈블리와 하부휠 어셈블리를 각각 단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와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와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를 각각 구동하는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와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일의 상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일의 하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 및 상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와 하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로부터 출력 펄스신호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모션보드로부터의 출력 펄스신호에 의해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와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가 모두 제어되도록 동기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 2 스위칭 제어수단은 제 2 스위칭부와 제 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의 출력단은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의 입력단에 연결됨과 함께 제 2 스위칭부의 제 1 가동접점에 연결되고, 하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의 출력단은 제 2 스위칭부의 제 2 가동접점에 연결되며,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의 입력단은 제 2 스위칭부의 고정접점에 연결되고, 제 2 스위칭 제어부는 상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와 하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로부터 출력 펄스신호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정접점을 제 1 가동접점에 연결시키고 상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와 하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의 어느 하나에서 만 출력 펄스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정접점을 제 2 가동접점에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제 2 스위칭 제어부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제 2 스위칭 제어부는 하드웨어적인 논리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제 2 스위칭부는 전자적으로 동작하는 릴레이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제 2 스위칭부는 무접점의 반도체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의 구성에서의 커터Y용 모션보드와 컨베이어용 모션보드 및 커터X1용 모션보드와 커터X2용 모션보드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상위 PC에 장착되어 상위 PC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에 일반적인 LCD 패널 절단기의 전반적인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를 보인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를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100)는 평탄한 지면 상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지되 그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114)이 구비되는 바디 프레임(110), 바디 프레임(110)의 전방 측에 일정 높이로 다수 구비되어 합착기판(10)의 일단을 잡아 고정시키는 척 유닛(120), 바디 프레임(110)의 가이드 레일(112) 상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전후에 일정 간격으로 두 개가 구비되는 이동대(130, 130a), 전후의 이동대(130, 130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3개씩 설치되어 이동대(130, 130a)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140lra, 140lrb, 140lrc, 140lla, 140llb, 140llc), 전후 각각의 이동대(130, 130a)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컨베이어(150, 150a), 컨베이어(150, 150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씩 설치되어 컨베이어(150, 150a)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152cra, 152crb, 152cla, 1520clb), 후방측 이동대(130a)의 선단 상하에 횡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합착기판(10)의 상하부면 또는 하부면에 홈을 형성(이하, 이러한 공정을 "스크라이빙(scribing)" 공정이라 한다)하는 상·하부휠 유닛(미도시)이 구비된 상·하부휠 어셈블리(160, 160a), 상·하부휠 어셈블리(160, 160a)를 각각 횡방향(이하 이를 '단방향' 또는 'X방향'이라고도 한다)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170u, 170l), 상·하부휠 어셈블리(160, 160a)를 가이드하는 휠 어셈블리 가이드 레일(180) 및 척 유닛(120)과 전방측 컨베이어(150) 상에 고정 지지된 합착기판(10)의 얼라인 마크(Align mark)와 스크라이빙 라인을 인식하는 얼라인 마크와 스크라이빙 라인 인식 비전(19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100)를 통해 TFT 공정과 CF 공정을 거친 TFT 기판과 CF 기판을 정밀하게 합착시키는 합착 공정을 거쳐 얻어진 합착기판(10)을 패널로 분리하기 위한 합착기판(10)의 스크라이빙 작업은 먼저, 전방측 이동대(130)의 컨베이어(150) 상부에 합착기판(1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합착기판(10)의 선단부를 척 유닛(120)을 통해 물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척 유닛(120)을 통해 전방측 이동대(130)의 컨베이어(150) 상부에 지지된 합착기판(10) 선단을 고정시킨 후에는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140lra, 140lrb, 140lrc, 140lla, 140llb, 140llc)의 구동을 통해 전후의 이동대(130, 130a)를 이동시켜 합착기판(10)의 스크라이빙 작업 위치에 상·하부휠 어셈블리(160, 160a)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하부휠 어셈블리(160, 160a)의 상·하부휠 유닛을 합착기판(10)의 상·하부면으로 이동시켜 후술하는 상부휠과 하부휠이 합착기판(10)의 상·하부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휠 유닛을 합착기판(10)의 상·하부면으로 이동시켜 상부휠과 하부휠이 합착기판(10)의 상·하부면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140lra, 140lrb, 140lrc, 140lla, 140llb, 140llc)를 구동시켜 이동대(130, 130a)를 전진(스크라이빙)시키면 상부휠과 하부휠에 의해 합착기판(10)의 상하부면에 홈이 형성된다. 이처럼 합착기판(10) 상에 전후의 길이방향(이하, "장방향" 또는 "Y방향"이라고도 한다)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홈을 형성한 후에는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140lra, 140lrb, 140lrc, 140lla, 140llb, 140llc)의 구동을 정지시켜 길이방향으로의 스크라이빙 작업을 마치고, 후술하는 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170u, 170l)를 구동시켜 상·하부휠 어셈블리(160, 160a)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횡방향으로의 스크라이빙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길이방향의 스크라이빙 작업시 합착기판(10)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140lra, 140lrb, 140lrc, 140lla, 140llb, 140llc)와 동일한 속도로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152cra, 152crb, 152cla, 1520clb)를 구동시켜 컨베이어(150, 150a)를 회전시킴으로써 컨베이어(150, 150a)에 의한 합착기판(10)의 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스크라이빙 작업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대(130, 130a)를 전진시켜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합착기판(10)의 상하부면에 홈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하부휠 어셈블리(160, 160a)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 횡방향으로 합착기판(10)에 홈을 형성한 후에 이동대(130, 130a)를 후진시켜 타측의 길이방향으로 합착기판(10)에 홈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하부휠 어셈블리(160, 160a)를 상부휠과 하부휠의 출발점 방향으로 이동시켜 합착기판(10)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홈이 형성된 부분의 절단을 통해 패널로 분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합착기판(10)을 패널로 분리한 후에는 상부휠 어셈블리(160)에 구성된 후술하는 상부롤러 유닛의 상부롤러와 하부휠 어셈블리(160a)의 하부휠을 홈이 형성된 합착기판(10)의 상하부로 위치시켜 TAB의 부착을 위한 CF 기판의 일측에 홈을 형성하게 된다. LCD 패널 절단기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본 출원인이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를 고안의 명칭으로 하여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4-88828호(공개번호: 10-2004-99220, 공개일: 2004년 11월 26일)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에서 상부휠 어셈블리와 하부휠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휠 어셈블리(160)는 합착기판(10)의 상부 기판, 즉 TFT 기판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휠(164), 상부휠(164)에 인가되는 하중치를 감지하는 로드셀(163), 상부휠(164)을 수직(이하, "Z축" 또는 "Z"라고도 한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부휠용 Z서보모터(161), 상부휠용 Z서보모터(161)의 축에 결합되어 상부휠(164)을 승강시키는 볼 스크류(162), 상부휠(164)과 나란히 설치되어 TAB 형성시 TFT 기판을 가압하는 가압용 상부롤러(168), 상부롤러(168)에 가해지는 하중치를 감지하는 로드셀(167), 상부롤러(168)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부롤러용 Z서보모터(165) 및 상부롤러용 Z서보모터(165)의 축에 결합되어 상부롤러(168)를 승강시키는 볼 스크류(1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하부휠 어셈블리(160a)는 합착기판(10)의 하부 기판, 즉 CF 기판에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휠(164)과 상부롤러(168)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하부휠(164a), 하부휠(164a)에 인가되는 하중치를 감지하는 로드셀(163a), 하부휠(164a)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하부휠용 Z서보모터(161a), 하부휠용 Z서보모터(161a)의 축에 결합되어 하부휠(164a)을 승강시키는 볼 스크류(162a), 하부휠(164a)이 상부휠(164) 또는 상부롤러(168)와 정대향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부휠(164a)을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하부휠용 Y서보모터(165a) 및 하부휠용 Y서보모터(165a)의 축에 결합되어 하부휠(164a)을 수평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166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 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의 상부휠과 하부휠을 통해 합착기판에 홈이나 크랙의 형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6b 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의 상부롤러와 하부휠을 통해 합착기판의 하부면 상에 부착된 CF 기판에 홈의 형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먼저,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착기판(10)의 절단을 위해서는 상부휠(164)을 합착기판(10)의 TFT 기판(10u)에 대해 소정의 깊이로 가압하고 이와 함께 하부휠(164a)을 상부휠(164)과 정대향하도록 정렬시키고, 다시 합착기판(10)의 CF 기판(10l)에 대해 소정의 깊이로 가압한 상태에서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140lra, 140lrb, 140lrc, 140lla, 140llb, 140llc) 또는 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 모터(170u, 170l)를 구동시켜 TFT 기판(10u) 및 CF 기판(10l) 모두에 홈을 형성시키게 된다.
반면, TAB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168)를 합착기판(10)의 TFT 기판(10u)에 대해 가압하고 이와 함께 하부휠(164a)을 상부롤러(168)와 정대향하도록 정렬시키고, 다시 합착기판(10)의 CF 기판(10l)에 대해 소정의 깊이로 가압한 상태에서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140lra, 140lrb, 140lrc, 140lla, 140llb, 140llc) 또는 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170u, 170l)를 구동시켜 CF 기판(10l)에만 홈을 형성시키게 된다.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에서의 스크라이빙 방향 및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 실선의 화살표는 스크라이빙 작업 방향을 나타 내고, 점선의 화살표는 상부휠(164)과 하부휠(164a) 또는 상부롤러(168)와 하부휠(164a)의 합착기판(10)에의 접촉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다음 순서의 스크라이빙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장으로 이루어진 대형 TFT-LCD 패널을 이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여러 장, 예를 들어 총 12장의 소형 TFT-LCD 패널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측 이동대(130, 130a)의 컨베이어(150, 150a) 상부에 합착기판(1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합착기판(10)의 선단부를 척 유닛(120)을 통해 물어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휠(164)과 하부휠(164a) 또는 상부롤러(168)와 하부휠(164a)을 합착기판(10)에 미리 정해진 하중으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 및 궤적을 따라 스크라이빙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방향인 Y방향으로 스크라이빙 작업을 수행(①~④)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합착기판(10)에 흠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동대(130, 130a와 컨베이어(150, 150a)를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켜야 하고 이에 따라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140lra, 140lrb, 140lrc, 140lla, 140llb, 140llc)와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152cra, 152crb, 152cla, 1520clb) 사이에 동기를 연결할 필요가 있다.
반면, 단방향인 X방향으로 스크라이빙 작업을 수행(⑤~⑫)함에 있어서는 이동대(130, 130a)와 컨베이어(150, 150a)의 구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상부휠 어셈블리(160)와 하부휠 어셈블리(160a)를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켜야 하고 이에 따라 상 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170u)와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170l) 사이에 동기를 연결할 필요가 있다.
한편, 매 다음 번의 스크라이빙 작업을 위한 이동시에는 상부휠(164)과 하부휠(164a) 또는 상부롤러(168)와 하부휠(164a)의 합착기판(10)에의 접촉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 및 궤적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사선 방향으로 경사 이동함에 있어서는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140lra, 140lrb, 140lrc, 140lla, 140llb, 140llc)와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152cra, 152crb, 152cla, 1520clb) 사이 및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170u)와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170l) 사이에 동기를 연결해야 한다.
도 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형 TFT-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을 보인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로, 이하에서는 총 6개의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들이 장방향인 Y방향으로의 커터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를 각각 커터Y1(140lra), 커터Y2(140lrb), 커터Y3(140lrc), 커터Y4(140lla), 커터Y5(140llb) 및 커터Y6(140llc)라고도 하고 이들을 총칭하여 커터Y 그룹(600)이라 한다. 또한, 2개의 우측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152cra, 152crb)와 2개의 좌측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152cla, 1520clb)를 각각 순서대로 컨베이어1(152cra), 컨베이어2(152crb), 컨베이어3(152cla) 및 컨베이어4(152clb)라고도 하고, 이들을 총칭하여 컨베이어 그룹(610)이라 한다. 나아가, 커터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170u)와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170l)는 각각 단방향인 X방향으로의 커터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를 각각 커터X1(170u) 및 커터X2(170l)라고도 한다.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에 따르면, LCD 패널 절단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상위 PC(200)에 커터Y 그룹(600)에 속한 모든 리니어모터(140lra, 140lrb, 140lrc, 140lla, 140llb, 140llc)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일의 커터Y용 모션보드(300), 컨베이어 그룹(610)에 속한 모든 리니어모터(152cra, 152crb, 152cla, 1520clb)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일의 컨베이어용 모션보드(310), 각각 커터X1(170u)와 커터X2(170l)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커터X1용 모션보드(320) 및 커터X2용 모션보드(330)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커터Y 그룹(600)에 속한 총 6개의 리니어모터(140lra, 140lrb, 140lrc, 140lla, 140llb, 140llc)에는 이를 각각 구동하는 총 6개의 서보 구동부(501-506)로 이루어진 커터Y용 서보구동부 그룹(500)이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커터Y용 서보구동부 그룹(500)의 공통접속 입력단에는 커터Y용 모션보드(300)의 출력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그룹(510)에 속한 총 4개의 리니어모터(152cra, 152crb, 152cla, 1520clb)에는 이를 각각 구동하는 총 4개의 서보 구동부(511-514)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용 서보구동부 그룹(510), 이들 컨베이어용 서보구동부 그룹(510)의 공통접속 입력단은 제 1 스위칭부(420)의 고정접점(420a)에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 제 1 스위칭부(420)의 일측 가동접점(420b)은 커터Y용 모션보드(30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그 타측 가동접점(420c)은 컨베이어용 모션보드(3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커터X1용 모션보드(320)의 출력단은 커터X1용 서보구동부(52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커터X2용 서보구동부(530)의 입력단은 제 2 스위칭부(440)의 고정접점(440a)에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 제 2 스위칭부(440)의 일측 가동접점(440b)은 커터X1용 모션보드(3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그 타측 가동접점(440c)은 커터X2용 모션보드(3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커터Y용 모션보드(300)의 절환 제어단자(so)와 컨베이어용 모션보드(310)의 절환 제어단자(so)는 각각 제 1 스위칭 제어부(4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제 1 스위칭 제어부(410)에 의해 제 1 스위칭부(420)의 절환 동작이 제어된다.
마찬가지로, 커터X1용 모션보드(320)의 절환제어단자(so) 및 커터X2용 모션보드(330)의 절환 제어단자(so)는 각각 제 2 스위칭 제어부(43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제 2 스위칭 제어부(430)에 의해 제 2 스위칭부(440)의 절환 동작이 제어되게 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제 1 스위칭 제어부(410)와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스위칭부(420) 및 제 2 스위칭 제어부(430)와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스위칭부(440)가 동기보드(400)를 구성하게 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640은 LCD 패널 절단기에서 상호간에 동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각종 서보모터, 예를 들어 전술한 상부휠 Z축 서보모터, 상부롤러 Z축 서보모터, 하부휠 Z축 서보모터, 하부휠 Y축 서보모터, 카메라1 서보모터, 얼라인 카메라1 Z축 서보모터, 카메라1 X축 리니어 및 얼라인 카메라2 Z축 서보모터와 같은 8개의 서보모터로 이루어진 서보모터 그룹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540은 이들 서보모터 그룹(640)에 속한 각각의 서보모터를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서보구동부 그룹을 나타내며, 참조번호 340은 이들 각각의 서보구동부 그룹(530)에 속한 서보구동부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모션보드 그룹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8축과 전술한 4축의 모션보드(300, 310, 320, 330)를 포함하여 본 고안의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에서는 총 12축의 모션보드와 1개의 동기보드(300)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인바, 이러한 구성은 본 고안에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기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에 대한 동기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터Y용 모션보드(300), 컨베이어용 모션보드(310), 커터X1용 모션보드(320) 및 커터X2용 모션보드(330)에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리니어모터에 제어용 펄스(CW/CCW)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동안에만 그 절환 제어단자(so)가 활성화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정하에 제 1 스위칭 제어부(410)는 커터Y용 모션보드(300) 또는 컨베이어용 모션보드(310) 중 어느 하나의 모션보드에서만 펄스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제 1 스위칭부(420)의 고정접점(420a)을 제 2 가동접점(420c)에 연결시킴으로써 각각의 동기를 해제시키는 반면에 양측에서 모두 펄스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 1 스위칭부(420)의 고정접점(420a)을 제 1 가동접점(420b)에 연결시킴으로써 커터Y 그룹(600) 및 컨베이어 그룹(610)에 속한 모든 리니어모터들이 커터Y용 모션보드(300)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커터Y용 모션보드(300)의 출력 펄스신호와 컨베이어용 모션보드(310)의 출력 펄스신호 사이에 위상차나 시간 지연 등이 발생하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그 리니어모터들이 정확하게 동기되어 동작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스위칭 제어수단의 제 2 스위칭 제어부(430)는 커터X1용 모션보드(320) 또는 커터X2용 모션보드(330) 중 어느 하나의 모션보드에서만 펄스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제 2 스위칭부(434)의 고정접점(440a)을 제 2 가동접점(440c)에 연결시킴으로써 각각의 동기를 해제시키는 반면에 양측에서 모두 펄스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 2 스위칭부(440)의 고정접점(440a)을 제 1 가동접점(440b)에 연결시킴으로써 커터X1(170u) 및 커터X2(170l)가 모두 커터X1용 모션보드(320)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커터X1용 모션보드(320)의 출력 펄스신호와 커터X2용 모션보드(330)의 출력 펄스신호 사이에 위상차나 시간 지연 등이 발생하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그 리니어모터들이 정확하게 동기되어 동작하게 된다.
한편, 도 7 에서 점선 방향으로의 경사 이동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커터Y 그룹(600)과 컨베이어 그룹(610) 사이의 동기 연결 및 커터X1(170u)과 커터X2(170l) 사이의 동기 연결이 함께 요구되게 된다.
본 고안에 다른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위칭 제어부(410) 및 제 2 스위칭 제어부(430)는 하드웨어적인 논리회로나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동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각의 모션보드에 별도의 절환 제어단자(so)를 구비시킴이 없이 그 출력 펄스신호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 스위칭 제어수단과 제 2 스위칭 제어수단의 제 1 스위칭부(420)과 제 2 스위칭부(440)는 전자(電磁)적으로 동작하는 릴레이 스위치 또는 무접점의 반도체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바와는 달리 커터Y 그룹(600)과 컨베이어 그룹(610) 및 커터X1(170u)과 커터X2(170l)에 대해 별개의 동기보드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커터Y용 모션보드나 커터X1용 모션보드의 출력단을 각각의 스위칭부의 제 2 가동접점에 연결하는 대신에 컨베이어용 모션보드나 커터X2용 모션보드의 출력단을 각각의 스위칭부의 제 1 가동접점에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외에도 커터Y 그룹 및 컨베이어 그룹에 속한 리니어모터의 수는 적절하게 증감하는 등의 다른 변형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에 따르면 기 제안된 모션보드 4축을 상위 PC에 장착하여 별도의 독립 시스템을 구성하지 않은 채로 이들 모션보드 사이의 동기를 적절하게 연결 또는 해제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동기보드에 의해 LCD 패널 절단기의 최대 12축에 대한 동기를 안전하게 연결 또는 해제할 수가 있다.

Claims (13)

  1. LCD 패널 합착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홈을 형성하는 상부휠 어셈블리와 하부휠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이동대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씩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를 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및 이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
    상기 이동대 상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씩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장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수의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및 이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구동부;
    상기 모든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일의 이동대제어용 모션보드;
    상기 모든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구동부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일의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 및
    상기 이동대 제어용 모션보드와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로부터 출력 펄스신호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모션보드로부터의 출력 펄스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와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구동부가 모두 제어되도록 동기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칭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제어수단은 제 1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대 제어용 모션보드의 출력단은 상기 모든 이동대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의 공통접속 입력단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제 1 가동접점에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의 출력단은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제 2 가동접점에 연결되며,
    상기 모든 컨베이어 구동 서보모터 구동부의 공통접속 입력단은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고정접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이동대 제어용 모션보드와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로부터 출력 펄스신호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접점을 상기 제 1 가동접점에 연결시키고, 상기 이동대 제어용 모션보드와 컨베이어 제어용 모션보드의 어느 하나에서만 출력 펄스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접점을 상기 제 2 가동접점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제어부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제어부는 하드웨어적인 논리회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는 전자적으로 동작하는 릴레이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는 무접점의 반도체 스위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7. LCD 패널 합착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홈을 형성하는 상부휠 어셈블리와 하부휠 어셈블리를 각각 단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와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상기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와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를 각각 구동하는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와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
    상기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일의 상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
    상기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일의 하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 및
    상기 상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와 하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로부터 출력 펄스신호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모션보드로부터의 출력 펄스신호에 의해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와 상기 하부휠 어셈 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가 모두 제어되도록 동기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칭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제어수단은 제 2 스위칭부와 제 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의 출력단은 상기 상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의 입력단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 2 스위칭부의 제 1 가동접점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의 출력단은 상기 제 2 스위칭부의 제 2 가동접점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휠 어셈블리 구동 리니어모터 구동부의 입력단은 상기 제 2 스위칭부의 고정접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상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와 하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로부터 출력 펄스신호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접점을 상기 제 1 가동접점에 연결시키고, 상기 상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와 하부휠 어셈블리 제어용 모션보드의 어느 하나에서만 출력 펄스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접점을 상기 제 2 가동접점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제어부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소 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제어부는 하드웨어적인 논리회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전자적으로 동작하는 릴레이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무접점의 반도체 스위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상기 커터Y용 모션보드와 컨베이어용 모션보드 및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상기 커터X1용 모션보드와 커터X2용 모션보드는 LCD 패널 절단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상위 PC에 장착되어 상기 상위 PC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도록 한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KR2020060008630U 2006-03-31 2006-03-31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KR200419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30U KR200419678Y1 (ko) 2006-03-31 2006-03-31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30U KR200419678Y1 (ko) 2006-03-31 2006-03-31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543A Division KR100857607B1 (ko) 2006-03-31 2006-03-31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678Y1 true KR200419678Y1 (ko) 2006-06-23

Family

ID=4448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30U KR200419678Y1 (ko) 2006-03-31 2006-03-31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6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482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라인 컷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KR102077520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단자 인쇄 시스템
JP2007004116A (ja) 液晶パネル切断システ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CN107352786A (zh) Tft视觉定位精密光电玻璃切割机
CN105572939A (zh) 液晶显示面板的对位组立方法
KR100796371B1 (ko)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KR100857607B1 (ko)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KR101331813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CN102976599B (zh) 对结合基板进行台阶式划线的方法及其控制系统
KR200419678Y1 (ko) Lcd 패널 절단기의 제어장치
KR100699077B1 (ko) 대형 tft-lcd 패널 절단장치
CN110262146A (zh) 显示面板的十字线修复方法及显示面板
KR20120056568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4341B1 (ko) 시트 재단장치
JP4395012B2 (ja) パネル洗浄装置および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806249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US10288913B2 (en) Display panel
KR10066673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비쥬얼 지그 장치
KR200418561Y1 (ko) Lcd 패널 절단장치의 로드셀 보드
KR101084323B1 (ko) 액정패널 절단장치
KR100745796B1 (ko) Lcd 패널 절단장치의 로드셀 보드 및 이를 통한스크라이빙 제어방법
KR200417802Y1 (ko)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JP2009116276A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表示パネル、および、基板切断方法
JP2006327877A (ja) 基板ブレイク装置および基板ブレイク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
JP4022560B2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