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657Y1 - 작동유주입구 마개 - Google Patents

작동유주입구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657Y1
KR200419657Y1 KR2020060008082U KR20060008082U KR200419657Y1 KR 200419657 Y1 KR200419657 Y1 KR 200419657Y1 KR 2020060008082 U KR2020060008082 U KR 2020060008082U KR 20060008082 U KR20060008082 U KR 20060008082U KR 200419657 Y1 KR200419657 Y1 KR 200419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oil
oil inlet
hydraulic
oil tank
inle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선
Original Assignee
이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선 filed Critical 이용선
Priority to KR2020060008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6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동유주입구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유의 잔량 측정이 가능한 작동유주입구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작동유주입구 마개는, 내부 공간에 작동유가 저장되는 작동유탱크의 내부로 작동유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작동유탱크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성형되는 작동유주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유탱크의 내부에 저장되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하는 작동유측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작동유주입구와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성형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작동유주입구 마개에 의하면 작동유탱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하기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
작동유탱크, 작동유주입구, 작동유주입구 마개, 작동유측정수단, 역류방지수단

Description

작동유주입구 마개 {A filler cap}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작동유주입구 마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작동유주입구 마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작동유주입구 마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작동유주입구 마개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체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200. 체결부
220. 탄성편 240. 실링부재
260. 분리막 280. 가스배출공
300. 손잡이부 310. 돌출손잡이
320. 파지홈 330. 리테이너링
340. 지지리브 350. 걸림리브
400. 작동유측정봉 410. 작동유표시부
420. 역류방지수단 422. 역류방지부재
424. 가스배출홈 426. 지지부재
428. 유동방지클립 A. 작동유주입구
T. 작동유탱크
본 고안은 작동유주입구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유의 잔량 측정이 가능한 작동유주입구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동유가 들어있는 작동유탱크에는 작동유탱크의 내부로 작동유를 주입하는 작동유주입구가 구비되며, 이러한 작동유주입구에는 작동유탱크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마개가 구비된다. 또한, 작동유주입구 마개는 작동유탱크의 작동유주입구에 회전하면서 체결되도록 나선형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작동유탱크의 작동유주입구 내면 또는 외면이 나선형으로 성형되며, 작동유주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마개의 외면 또는 내면이 마개가 회전하면서 체결되거나 이탈되도록 나선형으로 성형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작동유주입구 마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작동유주입구 마개를 살펴보면, 작동유주입구 마개는 대략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판 형상의 손잡이부(1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10)는 작동유주입구 마개의 상반부를 형성하게 되며, 손잡이부(1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손잡이(12)가 성형된다. 상기 돌출손잡이(12) 는 대략 가로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손잡이부(10)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손잡이부(1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파지홈(14)이 내측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홈(14)은 다수개 성형되며, 파지홈(14)과 인접되는 파지홈(14)의 사이에는 외측방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16)가 성형된다.
상기 파지홈(14)과 돌출부(16)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0)를 파지하여 마개를 회전시켜 작동유탱크의 작동유주입구를 차폐시키거나 개방시키게 될 때,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파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유주입구 마개는 유압탱크 또는 유체가 저장되는 거의 모든 작동유탱크에 사용되고 있으며, 작동유탱크가 구비되는 유압실린더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유주입구 마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작동유가 저장되는 작동유탱크의 내부에 남아있는 작동유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량계를 설치하거나 작동유탱크의 재질을 내부의 작동유가 투과되는 소재로 성형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유량계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가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설치비의 증가에 따라 생산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생산비의 증가는 제품의 단가를 증가시키게 되며, 제품의 단가 증가는 판매 의 감소로 이어지게 됨으로써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유량계를 설치하지 않고 작동유가 저장되는 작동유탱크의 내부에 저장되는 작동유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작동유탱크의 내부를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조명이 없거나 야간에는 작동유의 양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동유탱크 내부의 작동유 양을 확인할 수 있는 작동유주입구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작동유주입구 마개는, 내부 공간에 작동유가 저장되는 작동유탱크의 내부로 작동유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작동유탱크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성형되는 작동유주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유탱크의 내부에 저장되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하는 작동유측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작동유주입구와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성형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유측정수단에는 작동유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작동유주입구의 내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되는 역류방지부재와, 상기 역류방지부재의 상방 유동 및 하방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방 유동 및 하방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에는 작동유탱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홈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유측정수단에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작동유표시부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에는 작동유탱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공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유측정수단은 길이가 긴 환봉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작동유주입구 마개에 의하면 작동유탱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하기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작동유주입구 마개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작동유주입구 마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작동유주입구 마개의 외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작동유를 사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에서는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탱크(T)가 구비된다. 이러한 작동유탱크(T)의 일면에는 작동유탱크(T)의 내부에 작동유를 주입하기 위한 작동유주입구(A)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유주입구(A)는 상기 작동유탱크(T)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작동유탱크(T)의 내부로 작동유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성형된다. 상기 작동유탱크(T)는 상기 작동유주입구(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작동유주입구(A)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작동유주입구(A)의 상면은 개구되도록 성형된다. 작동유주입구(A)의 개구된 상면에는 작동유주입구(A)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본체(100)가 체결된다. 상기 본체(100)는 작동유주입구(A)와 체결되는 체결부(200)와 상기 체결부(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성형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작동유탱크(T)의 내부로부터 작동유가 역류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상기 작동유주입구(A)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작동유탱크(T)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손잡이부(300)는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개구된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 형된다. 손잡이부(30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를 회전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돌출손잡이(310)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돌출손잡이(310)는 소정의 높이와 너비를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돌출손잡이(310)의 상면은 중앙부가 하방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함몰되도록 성형된다. 돌출손잡이(3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내측방으로 함몰되도록 성형되며, 전면과 후면의 중앙부는 돌출손잡이(310)의 내측방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라운드지도록 성형된다.
이처럼, 상기 돌출손잡이(310)가 라운드지거나 함몰되도록 성형되는 것은 사용자가 돌출손잡이(310)를 파지하게 될 때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외형을 부드럽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손잡이부(30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파지홈(320)이 외주면을 따라 내측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홈(320)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부(300)의 외주면을 파지하게 될 때 미끄러짐없이 용이하게 파지하여 상기 본체(10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300)는 하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손잡이부(3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손잡이부(300)의 상면에 성형되는 돌출손잡이(310)는 손잡이부(300)와 일체로 성형된다. 즉, 손잡이부(300)의 내측 상면이 상방으로 함몰되도록 성형되어 돌출손잡이(31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00)의 하측에는 체결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20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되며, 체결부(200)의 외주면은 나선 형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체결부(200)는 외주면이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개구된 상면의 내측면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삽되어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200)에는 상기 작동유탱크(T)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유탱크(T)의 내부에 수용되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하는 작동유측정봉(400)이 장착된다.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환봉 형상으로 성형되며, 외주면에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작동유표시부(410)가 하단부 외주면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내측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작동유표시부(410)는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성형된다. 이러한 작동유표시부(410)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1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킴으로써 상기 작동유주입구(A)를 개방시켜 본체(100)를 작동유주입구(A)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작동유측정봉(400)에 표시되는 작동유의 위치를 파악하게 함으로써 상기 작동유탱크(T)의 내부에 수용되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성형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0)를 파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유주입구(A)로부터 상기 본체(100)를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부(200)에 장착되는 상기 작동유측정봉(400)도 동시에 상기 작동유탱크(T)의 내부 공간에서부터 이탈된다.
이때, 작동유탱크(T)의 내부에 수용되는 작동유가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외주면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작동유측정봉(400)의 외주면에 표시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기 작동유탱크(T)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200)의 하측에는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작동유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420)이 장착된다. 상기 역류방지수단(420)은 다소 플렉시불한 재질의 소재로 성형되며, 자체 탄성을 가지는 역류방지부재(422)와 , 상기 역류방지부재(422)의 상면과 하면에 구비되어 역류방지부재(422)의 상방 또는 하방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426)와, 상기 지지부재(426)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클립(4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42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직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역류방지부재(422)의 외주면에는 내측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스배출홈(424)이 성형된다. 역류방지부재(422)는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 내유성이 우수한 고분자 화합물로 성형된다. 이러한 역류방지부재(422)는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내부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성형되며, 역류방지부재(422)의 상면과 하면 중앙부에는 역류방지부재(42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26)가 장착된다.
즉, 상기 역류방지부재(422)는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면과 하면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부재(426)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의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422)는 역류방지부재(422)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측지지부재(426')에 의해 역류방지부재(422)의 상방 유동이 방지되고, 역류방지부재(422)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측지지부재(426")에 의해 역류방지부재(422)의 하방 유동이 방지된다.
다시말해, 상기 상측지지부재(426')의 하면이 상기 역류방지부재(422)의 상면과 접하면서, 역류방지부재(422)의 상방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하게 되며, 하측지지부재(도 3의 426")의 상면이 역류방지부재(422)의 하면과 접하면서, 역류방지부재(422)의 하방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426)는 상기 유동방지클립(428)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지지부재(426)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면서 두께를 가지도록 원판 형상으로 성형되며, 중앙부는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이 관통되도록 천공 형성된다. 작동유측정봉(400)에는 역류방지부재(422)와 지지부재(426)의 내주면 즉, 작동유측정봉(400)이 관통되는 면이 안착되도록 안착홈(도시되지 않음)이 작동유측정봉(400)의 내측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422)는 하나 또는 다수개가 장착되며, 이러한 역류방지부재(422)가 다수개 장착될 경우 역류방지부재(422)에 성형되는 상기 가스배출홈(424)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가스배출홈(424)을 통해 작동유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클립(428)은 링(Ring) 형상으로 성형되며, 일측이 개구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개구된 일측으로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면서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재(426)의 상방 또는 하방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즉, 유동방지클립(428)의 중앙부는 안착홈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천공 형성 되며, 외주면은 안착홈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상기 유동방지클립(428)의 천공 형성되는 중앙부 내주면에는 내측방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더 성형되기도 하며, 이러한 돌기에 의해 안착홈에 끼워지면서 상기 지지부재(426)의 상방 또는 하방 유동을 방지하기도 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422)는 내유성 및 내부식성이 강한 고무재질의 소재로 성형되며, 상기 지지부재(426)는 내유성 및 내부식성이 강한 금속성의 소재로 성형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작동유주입구 마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작동유주입구 마개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체결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작동유주입구 마개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손잡이부(300)의 내부 공간에는 리테이너링(330)이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링(330)은 사용자가 과도하게 상기 손잡이부(300)를 회전시키더라도 일정한 잠김 강도이상으로 상기 체결부(200)가 손잡이부(300)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리테이너링(330)은 상기 작동유주입구(A)에 체결부(200)의 사이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체결부(200)와 손잡이부(300)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링(330)은 상기 손잡이부(300)의 내부 공간과 체결부(200)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리테이너링(330)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손잡이부 (300)는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300)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리테이너링(3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리브(340)가 내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지지리브(340)는 손잡이부(300)의 내주면 하단부에 다수개가 구비되며, 이러한 지지리브(340)가 리테이너링(330)의 외주면에 외주면을 따라 내측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지지리브홈(도시되지 않음)에 안착되어 지지리브(340)가 리테이너링(33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링(330)은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링(Ring) 형상으로 성형되며, 내유성과 내충격성이 강한 고분자 화합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테이너링(330)의 하측에는 상기 체결부(200)가 구비된다. 체결부(200)의 외주면은 나선형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나선형의 외주면이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내주면에 성형되는 나선형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체결부(200)는 회전함으로써 작동유주입구(A)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200)의 상단부에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반원 형상 즉, "⊂" 및 "⊃" 형상으로 성형되는 탄성편(210)이 체결부(200)와 일체로 성형되며, 체결부(200)의 외주면보다 더 외측방에 위치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탄성편(220)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편(222)이 성형된다.
상기 걸림편(222)의 상단부가 상기 손잡이부(300)의 내측 상면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되는 걸림리브(350)의 하단부를 스치면서 마찰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잠김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체결부(200)의 외주면은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직 경을 가지도록 성형되며, 상기 걸림편(222)의 하측, 다시말해, 나선형으로 성형되는 체결부(200)의 상단부에는 실링부재(240)가 장착되어 체결부(200)를 통한 작동유의 역류를 한번 더 방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200)의 내부에는 체결부(200)의 내부 공간을 상반부와 하반부로 구획하는 분리막(260)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막(26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분리막(260)은 체결부(200)의 내부 공간을 상반부와 하반부로 구획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와 체결된다.
상기 분리막(260)의 중앙부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함몰 성형되며, 함몰 성형되는 중앙부는 내측방으로 단차지게 성형되면서 한번 더 하방으로 함몰 성형된다. 즉, 분리막(260) 중앙부의 측단면을 보면 대략 "
Figure 112006021365142-utm00001
"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분리막(260)의 하단부 중앙에는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이 관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며, 작동유측정봉(400)이 관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중앙부의 내주면은 나선형으로 성형된다. 이처럼 내주면이 나선형으로 성형되는 분리막(260)의 중앙부에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가 회전하면서 체결된다. 따라서,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분리막(260)의 중앙부 내주면에 성형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성형된다.
상기 분리막(260)의 중앙부 단차면의 상측에는 와셔가 구비된다. 이러한 와셔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가 와셔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상방으로 돌 출되도록 성형되면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된다.
즉,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외주면이 나선형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외주면은 상기 분리막(26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와셔의 중앙부를 지나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체결된다. 와셔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되는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가 상기 체결부(200)와 체결되는 것이 완료된다.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는 금속성의 소재로 성형되며, 상기 체결부(200)는 고분자 화합물로 성형된다. 따라서, 너트가 체결될 때 과도한 체결로 인해 체결부(2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분리막(260)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와셔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가 체결된 다음 상기 분리막(260)의 중앙부 하단 하측에 너트로 체결된다. 이처럼 너트와 너트의 사이에 분리막(260)의 중앙부 하단 하측이 위치하게 되면서,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단부 체결이 완료된다.
상기 분리막(260)의 중앙부 외측방에는 작동유탱크(T)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가스배출공(280)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가스배출공(28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천공 형성되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중앙부의 외측방을 따라 다수개 성형된다.
상기 가스배출공(280)을 통해 작동유탱크(T)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가스는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방으로 유동되는 가스는 상기 체결부(200)의 상단부 와 상기 손잡이부(300)의 내부 공간 사이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분리막(260)의 상측에는 필터(F)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F)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체결부(200)의 내부로 흡입될 때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줌으로써 이물질이 상기 작동유탱크(T)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은 상기 체결부(200)와 체결되는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성형된다. 이러한 작동유측정봉(40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세로가 긴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된다.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반부 즉, 상기 체결부(20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하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는 상기 역류방지부재(420)가 안착되는 안착홈(미도시)이 내측방으로 함몰되어 성형된다.
또한,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작동유표시부(410)가 외주면을 따라 내측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유표시부(410)에 의해 작동유탱크(T)의 내부에 수용되는 작동유 양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작동유주입구 마개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0)를 파지한 다음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하단부를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고, 작동유주입구(A)의 내부로 작동유측정봉(400)을 계속적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작동유측정봉(400)은 작동유탱크(T)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하반부에 성형되는 상기 작동유표시부(410) 는 작동유탱크(T)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작동유의 내부로 삽입된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100)를 지속적으로 하방으로 유동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의 상반부에 장착되는 상기 역류방지수단(420)이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입구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입구에 상기 역류방지수단(420)이 위치하게 될 때 사용자는 상기 본체(100)를 하방으로 더 유동시키게 된다. 하방으로 유동되는 상기 본체(100)에 의해 상기 작동유측정봉(400)은 하방으로 유동되고, 작동유측정봉(400)에 장착되는 상기 역류방지수단(420)도 하방으로 유동된다.
하방으로 유동되는 상기 역류방지수단(420)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성형되는 상기 역류방지부재(422)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내부로 유입된다. 작동유주입구(A)의 상단부는 상기 체결부(200)와 체결되도록 나선형으로 성형되므로 역류방지부재(422)의 탄성이 없으면 연류주입구(A)의 내부로 유동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26)는 상기 역류방지부재(422)보다 작은 직경의 크기로 성형되어 자체 탄성이 없이도 작동유주입구(A)의 내부로 유동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역류방지수단(420)이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내부로 유동되면, 역류방지수단(420)의 외주면과 작동유주입구(A)의 내주면이 접하게 되어 저장탱크의 내부에 수용되는 작동유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100)를 계속적으로 하방으로 유동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부(200)의 하단부와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상단 부가 접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돌출손잡이(310)를 파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돌출손잡이(310)를 파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부(200)의 외주면에 성형되는 나사산과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내주면에 성형되는 나사산이 체결되면서, 작동유주입구(A)의 개구된 상면이 차폐된다.
상기 작동유탱크(T)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상기 역류방지부재(422)의 외주면에 다수개 성형되는 상기 가스배출홈(424)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되며, 가스배출홈(424)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가스는 상기 체결부(200)에 천공 형성되는 가스배출공(280)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손잡이부(300)의 내부 공간과 체결부(200)의 상단부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0)를 파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작동유주입구(A)의 상면을 차폐하게 될 때 상기 체결부(200)의 체결이 완료되면, 체결부(200)는 회전하지 않고, 체결부(200)의 상단부에 성형되는 탄성편의 걸림돌기와 걸림리브가 접하면서 마찰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마찰음에 의해 사용자는 체결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여 상기 본체(100)를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작동유측정봉이 체결된다. 이러한 작동유측정봉에 의해 사용자는 작동유탱크의 내부에 수용되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작동유탱크의 내부에 수용되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동유의 양에 부담을 느끼지 않으면서 기계 또는 장치의 사용이 원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유탱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동유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작동유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 부가하게 되는 별도의 작동유측정장치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설비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설비비의 절감에 따라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도 있으며, 생산비의 절감 효과에 따라 제품의 단가가 절감되며, 이러한 제품의 단가 절감은 제품의 가격경쟁력 향상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뿐만아니라, 작동유탱크 내부의 작동유를 인지할 수 없게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기계 또는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내부 공간에 작동유가 저장되는 작동유탱크의 내부로 작동유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작동유탱크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성형되는 작동유주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유탱크의 내부에 저장되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하는 작동유측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주입구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작동유주입구와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성형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주입구 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주입구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측정수단에는 작동유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주입구 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작동유주입구의 내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되는 역류방지부재와,
    상기 역류방지부재의 상방 유동 및 하방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방 유동 및 하방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주입구 마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에는 작동유탱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홈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주입구 마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측정수단에는 작동유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작동유표시부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주입구 마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작동유탱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공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주입구 마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측정수단은 길이가 긴 환봉 형상으로 성형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주입구 마개.
KR2020060008082U 2006-03-27 2006-03-27 작동유주입구 마개 KR200419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082U KR200419657Y1 (ko) 2006-03-27 2006-03-27 작동유주입구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082U KR200419657Y1 (ko) 2006-03-27 2006-03-27 작동유주입구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657Y1 true KR200419657Y1 (ko) 2006-06-23

Family

ID=4448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082U KR200419657Y1 (ko) 2006-03-27 2006-03-27 작동유주입구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6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268B1 (ko) * 2016-01-21 2018-03-14 조옥남 목욕용재 수납형 샤워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268B1 (ko) * 2016-01-21 2018-03-14 조옥남 목욕용재 수납형 샤워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6058C (en) Drink containers with closure retention mechanisms
ES2589627T3 (es) Cabezal de llenado para un depósito de líquido
US10151614B2 (en) Self-filling graduated cylinder system
JP6200097B2 (ja) 弁ケースの取付構造
JP2010023244A (ja) シーリング剤容器の蓋ユニット
RU2006119450A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мкостей, имеющее подвижный элемент
US9931928B2 (en) Filler pipe and vehicle fuel filler port structure
PT1979265E (pt) Grupo de componentes de ligação para efectuar a ligação entre um recipiente de saída e um recipiente de destino
US3163869A (en) Portable urinal
KR200419657Y1 (ko) 작동유주입구 마개
JP5340405B2 (ja) 筆記用具、および筆記用具のための内表面溝を有するキャップ
US6945289B2 (en) Bottled water dispenser with shutoff, variable filtration capacity and replaceable cartridge filter
CN107000902B (zh) 计量容器
AU2021335408B2 (en) Filter having a centering device
KR20110075546A (ko) 낙하식 위조방지 마개 조립체
EP2835322A1 (en) Tube vessel capable of preventing air infiltration
JP4993710B2 (ja) ノズルカバー
CN108473051B (zh) 加注口颈
KR200396746Y1 (ko) 수위 및 수량표시 장치를 갖춘 물탱크 수위계
KR200376734Y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JP2017154749A (ja) 液体計量容器
CN214387302U (zh) 液体自动分配装置
KR101774177B1 (ko)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KR101306624B1 (ko)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JP6621203B2 (ja) バッテリー液補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