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895Y1 -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 - Google Patents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895Y1
KR200418895Y1 KR2020060008352U KR20060008352U KR200418895Y1 KR 200418895 Y1 KR200418895 Y1 KR 200418895Y1 KR 2020060008352 U KR2020060008352 U KR 2020060008352U KR 20060008352 U KR20060008352 U KR 20060008352U KR 200418895 Y1 KR200418895 Y1 KR 200418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plate
charcoal
vermiculite
plate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옥
Original Assignee
(주)사인코미네랄
김치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인코미네랄, 김치옥 filed Critical (주)사인코미네랄
Priority to KR2020060008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8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기구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원으로 고기를 굽을 수 있게 하는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대나무 숯과 소성된 질석을 300메시 정도 되게 분쇄하여 1:1로 혼합하고 결합제로 소디움 실리케이트와 음이온 방출제를 추가하여 성형한 것으로 구이판의 형상은 4각형 또는 원형으로 할 수 있으며 구이판의 상부면에는 수문이나 기름배출수단이 구비되며 이면에는 가열기구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이판, 대나무 숯, 질석, 소디움 실리케이트

Description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The roast plate to use vermiculite and charcoal}
도 1은 본 고안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이판
2. 테두리
3. 경사면
4. 배출로
5. 배출공
6. 배출구
7. 걸림홈
본 고안은 분말화된 숯과 질석을 무기결합제로 결합성형한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고기를 굽는 구이판에 고기가 타거나 눌어붙지 않게 하면서 구이판의 강도를 향상시켜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고기를 굽기 위한 조리기구 중 구이판은 통상 주물에 의하여 제작되는 주철제 구이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주철제 구이판은 내구성은 양호하나 열전도성이 높아 화력이 고기에 바로 전달되므로서 고기를 태우지 않고 굽는 것이 매우 어려웠고 고기가 타서 눌어붙는 경우 구이판을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주철제 구이판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전도성이 낮은 비금속제 구이판이 공지된바 있었으며, 비금속재질의 구이판으로 제안된 선행기술로는 황토분과 마사분 및 쑥분을 혼합하고 표면에는 삼베를 덮어 가압성형한 것이 등록특허 197148호로 공지된바 있었으나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나 기름에 의하여 황토가 용출될 수 있고 가열과 냉각과정에서 열충격으로 쉽게 크랙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분말화된 숯만으로 가압성형한 구이판은 고기가 타거나 눌어붙지 않고 높은 탈취력에 의하여 고기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결합강도가 낮고 외부충격에 취약하여 쉽게 깨어지고, 표면경도가 낮아 쉽게 마모되며 흡습성이 높아 물로 세척할 수 없어 키친타올 등으로 가볍게 닦는 것만 가능 취급에 어려움이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숯이 가지는 특성을 활용하여 고기가 타거나 눌어붙지 않게 하면서 결합강도를 높여 내구성 있는 구이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이판의 표면경도를 높여 쉽게 마모되지 않게 하면서 흡습성을 낮추어 물로 세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이판에서 음이온을 발생하게 하여 고기 굽는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은 숯분말과 질석분말을 1:1로 혼합하고 무기결합제를 투입한 후 가압하여 성형한다.
또한 구이판에서 음이온 방출량이 증대될 수 있도록 음이온 방출제를 추가투입할 수도 있으며 기름이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테프론 또는 마블코팅을 실시한다.
구이판의 형상은 4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나 기름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이판의 전면에는 경사면을 형성하거나 기름배출구가 구비되며 구이판의 이면에는 가열기구로부터 미끄 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 구이판(1)은 숯과 질석을 주재로 하고 결합제로 소디움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를 사용하며 음이온의 발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음이온방출제를 추가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숯은 대나무 숯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나무 숯은 적당한 경도를 가져 분쇄시 미분할화 되지 않으면서 기공이 많아 흡착율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질석(Vermiculite)은 운모상의 광물로서 전기소성로에서 700°C~1000°C로 급속가열하면 10~15배로 팽창되면서 소성된다.
질석의 물리적 성질은 소성된 상태에서 열전도율이 0.02~0.054 Kcal/mh°C 이고 안전사용온도는 1150°C 이며 팽창계수는 982°C 에서 3%정도이고 흡수성은 습도(RH) 75%에서 1% 이하이며 금속과 같은 광택성을 가지고 있다.
결합제인 소디움 실리케이트는 일명 물유리라고도 불리우며 액체상태에서 공기와 접촉하면 경화되는 무기계 결합제이다.
음이온 방출제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을 혼합한 상품명 에코 바이오 코 트(ECO-BIO-COAT)를 사용할 수 있다.
구이판의 상부표면에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기가 타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프론 코팅이나 마블(Marble)코팅을 실시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선별된 대나무 숯과 소성된 질석을 분쇄기를 대략 300메시 정도로 분쇄하여 중량비로 1:1정도 되게 준비하고 적당량의 소디움 실리케이트와 음이온 방출제를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교반기로 혼합한다.
혼합된 재료는 구이판 성형틀에 투입하여 가압성형되며 성형된 구이판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경화되어 완성된다.
결합제인 소디움 실리케이트는 투입량에 따라 구이판의 강도가 달라지므로 대나무 숯과 질석의 혼합물에 대하여 대략 5%~15% 정도 투입하면 적당하며 음이온 방출제는 상기 혼합물의 1% 정도면 충분하다.
구이판(1)의 형상은 4각형으로 하거나 원형으로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이판(1)의 상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2)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면(3)을 형성하거나 가운데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배출로(4)를 형성하고 바닥면에 배출공(5) 또는 테두리(2)에 배출구(6)를 형성하고 성형된 구이판의 상부표면에는 테프론 또는 마블코팅을 실시한다.
또한 구이판(1)의 이면에는 가열기구에 걸쳐져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걸림 홈(7)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숯과 질석을 주재로 하여 구이판을 형성하므로서 구이판의 낮은 열전도율과 원적외선에 의하여 고기를 연하게 익힐 수 있게 하면서 구이판의 바닥면에 타서 눌어붙는 탄화현상을 방지하게 할 수 있고 무기결합제에 의하여 결합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하면서 흡수성을 제한하여 물로 세척이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가열기구의 열원에 의하여 고기를 굽을 수 있게 하는 구이판에 있어서,
    대나무 숯과 소성된 질석을 300메시로 분쇄하여 중량비로 1:1이 되게 준비한 주재료와 결합제인 소디움 실리케이트와 음이온 방출제를 혼합하고 가압성형하여 구이판(1)의 상부면에 수분 또는 기름배출수단과 침투방지코팅을 실시하고 이면에 걸림홈(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
KR2020060008352U 2006-03-29 2006-03-29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 KR200418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52U KR200418895Y1 (ko) 2006-03-29 2006-03-29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52U KR200418895Y1 (ko) 2006-03-29 2006-03-29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895Y1 true KR200418895Y1 (ko) 2006-06-15

Family

ID=4176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352U KR200418895Y1 (ko) 2006-03-29 2006-03-29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8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053B1 (ko) 전자렌지용 발열 복합 조리기
KR200418895Y1 (ko) 숯과 질석을 이용한 구이판
KR10072768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황토 숯 구이판의 제조방법
CN109414136B (zh) 使用陶瓷加热元件的加热炊具及其制造方法
CN101756633A (zh) 一种安全锅
KR20170061346A (ko) 인덕션 렌지용 세라믹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837B1 (ko) 발열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렌지용 용기
EP3359504B1 (en) A composition for refractory material
KR200425862Y1 (ko) 육류 구이용 불판
JP2020116343A (ja) 加熱調理器
JP7281828B2 (ja) 調理器
JPH08187185A (ja) セラミックグリル器
KR200238388Y1 (ko) 상열하육의 불고기 구이기
KR20100059620A (ko) 고기 구이판
KR200368281Y1 (ko) 양면 겸용 조리판
KR20010069759A (ko) 銀항균제와 불소수지를 이용한 내열항균 구이판 제조
JP2005350338A (ja) 遠赤外線放射加熱セラミックス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遠赤外線放射加熱セラミックスを使用した調理器具
KR20060020408A (ko) 황토석 불판
KR101290524B1 (ko) 전자렌지용 조리기구
KR101522908B1 (ko) 유해물질 발생이 없는 1회용 황토 불판
CN201691734U (zh) 一种烧烤炉的烤板
CN201238763Y (zh) 一种电炉桌
TR2023013561A2 (tr) İndi̇ksi̇yonlu ocaklar i̇çi̇n pi̇şi̇rme kabi altliği
KR200370255Y1 (ko) 숯 성형물
KR200172144Y1 (ko) 프레스로 압축하여 만든 도자기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